KR20140065489A -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489A
KR20140065489A KR1020120126884A KR20120126884A KR20140065489A KR 20140065489 A KR20140065489 A KR 20140065489A KR 1020120126884 A KR1020120126884 A KR 1020120126884A KR 20120126884 A KR20120126884 A KR 20120126884A KR 20140065489 A KR20140065489 A KR 2014006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extract
composition
preve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566B1 (ko
Inventor
윤은영
황재삼
구태원
김미애
최영철
전미라
김지영
여혜림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5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ß-secretase(BACE1)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comprising Tenebrio molitor ex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노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화와 관련된 치매(senile dementia)의 발생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질환은 발병률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뚜렷한 치료제나 예방제가 없어 막대한 사회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AD)은 치매의 가장 통상적인 형태이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심혈관계 질환 및 암 다음으로 미국 내 3번째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감퇴 및 인지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점진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신경 조직 및 혈관에서 플라크(plaque)의 축적, 신경섬유 얽힘, 아밀로이드 침착, 시냅스 손상 및 신경세포 사멸을 병리학적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치매 치료제로서 타크린(tacrine; Cognex, 1994)과 도네피질(donepezil; Aricept, 1996)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약품들의 작용기전은 중추신경전달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 효소의 활성억제를 통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치매를 예방 및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타크린은 효능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심각한 간독성의 문제점이 있으며, 도네피질은 간독성은 없으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구토, 오심, 설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약물들은 뇌병변의 개선과 같은 원인적인 치료를 위한 약물이 아니라, 기억력 감퇴와 같은 치매의 주요 증상을 완화하려는 약물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원인적인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ß-아밀로이드의 독성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ß-세크레타제(ß-secretase, BACE 1)는 작용기전이 확실하고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목표 효소(target enzyme) 중 하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사람의 21번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아밀로이드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생하는데, 상기 유전자 이상은 주로 ß-아밀로이드라는 유전자 독성 물질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Probst A. et al., Brain Pathol., 1:229-239, 1991). 상기 ß-아밀로이드는 정상적인 뇌에 존재하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이 ß-세크레타제(BACE 1)에 의해 C-말단 펩티드(C-terminal peptide) 및 ß-아밀로이드로 분해됨으로써 생성된다.
상기 ß-아밀로이드 및 C-말단 펩티드는 정상인의 뇌에는 소량으로 존재하지만,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는 다량 생성되어 노인성 신경반(senile plaque)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J., Nature, 325:733-736, 1987). 따라서 ß-세크레타제(BACE 1)의 활성을 저해할 경우,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의 분해에 의한 ß-아밀로이드 및 C-말단 펩티드의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ß-아밀로이드 및 C-말단 펩티드에 의한 노인성 신경반 형성 및 아밀로이드 유전자 이상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치매를 치료할 수 있다.
기존 BACE 1 에 대한 저해제 개발은 거의 대부분이 합성 화합물에 기초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천연물에서 유래한 BACE 1 저해제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갈색쌀거저리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약 15mm정도이며, 몸 빛깔이 구룡충(구룡거저리)과 비슷해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머리에 점들이 있으나 촘촘히 나 있지 않으며, 촉각(더듬이)의 끝마디는 길이와 나비가 같다. 앞가슴등판은 정사각형이고, 뒷가두리의 새로홈은 뚜렷하며, 복판은 나비가 넓은 오각형이다. 딱지날개는 갈색으로 8줄의 새로홈이 있고 간실은 볼록하며 작은 점들이 촘촘히 있다. 성충은 주로 곡류 속에 알을 낳는데, 알은 매우 작아 눈으로 쉽게 찾을 수 없으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갈색거저리의 추출물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하는데, 추출물기간은 약 10주이나 인공 사육할 때에는 약 2주 정도이다. 밀웜이 애완용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아 곤충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곡식을 먹이로 하는 매우 청결한 곤충이기 때문이다. 추출물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3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에 활동한다. 주로 인가 근처의 곡식부대 속에서 추출물로 월동하다가 봄에 번데기와 성충으로 변태한다. 곡식의 해충으로 유명하며 최근 동물원에서 새나 고슴도치와 같은 작은 동물의 먹이로 많이 기르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 분포한다.
현재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특허로는 갈색거저리를 함유하는 사료(공개특허 10-2011-0054692), 갈색거저리 추출물에서 분리한 항진균 단백질(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30959) 등이 있고, 밝혀진 용도는 아직 많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인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BACE1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품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품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a)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분말을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 추출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 추출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이다. 분획 추출 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열한 물질들 순으로 순차 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고 성장 단계의 갈색거저리 분말에 10배(w/v)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을 하였다. 상기 감압농축한 에탄올 추출물에 500 mL의 물과 동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분획깔때기로 층분리를 통해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같은 방법으로,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고, 수득한 추출물들은 감압 농축을 실시하였다(실시예 1 참조).
상기 추출물들의 ß-secretase(BACE1)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추출물 모두 저해활성을 보였다(실험예 1 참조). 베타-세크레타제는 또한 BACE1(-site APP-cleaving enzyme 1) 또는 메맙신 2(memapsin 2)로도 불린다. 현재까지의 일부 연구에 따르면, 막관통 아스파르트산 단백질 분해효소인 BACE의 과발현(overexpression)에 의하여 베타-세크레타제의 활성이 증가하며, BACE의 과발현에 의하여 APP가 베타-세크레타제의 절단 부위에서 정확하게 절단되며, BACE antisense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의하여 베타-세크레타제의 활성이 억제되며, 정제된 BACE가 APP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베타-세크레타제의 특성을 보인다는 연구(Robert Vassar et al., -Secretase Cleavage of Alzheimer's Amyloid Precursor Protein by the Transmembrane Aspartic Protease BACE, Science, 286, 735-741 (1999))와 막-결합 단백질인 아스파르트산 단백질 분해효소 역시 베타-세크레타제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표적 물질이라는 연구(Riqiang Yan et al, Membrane-anchored aspartyl protease with Alzheimer's disease -secretase activity, Nature, 402, 533-537 (1999))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베타-세크레타제는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개시하는 효소로서 베타-세크레타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베타-아밀로이드의 감소는 물론이고 그 이후의 해로운 모든 단계를 또한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베타-세크레타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변형시키더라도 심각한 문제가 없으므로 임상적으로도 안전하다는 점에서 알츠하이머 질병의 치료를 위한 표적으로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베타-세크레타제의 활성을 저해시키기 위한 많은 억제제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이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능이 있는 치매 질환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노인성 치매 및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서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갈색거저리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 형태로 제조 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에 대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함유된 껌, 비타민 복합체, 차, 주스 및 드링크 형태로 제조 할 수 있으며,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며 하기에 예시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미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유산균 또는 유산균 발효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또는 유산균 발효물을 기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ß-secretase(BACE1)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ß-secretase(BACE1) 저해 활성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Hex : 헥산 분획추출물, EA :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BuOH : 부탄올 분획추출물, H2O : 물 분획추출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갈색거저리 추출물 제조
동결 건조한 최대 성장 단계의 갈색거저리(길이 28~35mm, 직경 5~7 mm) 분말을 (주)월드웨이로부터 제공받았다. 갈색거저리 분말 1.2 kg을 12리터의 에탄올에 7일 동안 실온에서 250rpm 으로 stirring을 실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380g을 획득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 380g을 500 mL의 물에 용해시킨 후, 분획깔때기에 넣어 물과 동량의 Hexane(헥산)을 넣고 실온에서 shaking하여 혼합한 후 층 분리하여 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그 후, 같은 방법으로 CH2Cl2(디클로로메탄), EtOAc(에틸 아세테이트), n-BuOH 및 H2O 등 극성이 다른 용매로 순차로 분획 후, 감압농축 (40, 100 rpm)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 Hexane 분획 313.90g (82.61%), CH2Cl2 분획 0.42g (0.11%), EtOAc 분획 0.78g (0.21%), BuOH 분획 24.80 g (6.53%), H2O 분획 39.03g (10.27%)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들의 Thin-layered chromatography (TLC) 확인 결과 CH2Cl2, EtOAc(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성분 패턴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두 분획을 혼합하여 EtOAc 로 명명하였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ß- secretase 활성 저해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획물들의 ß-secretase(BACE1)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BACE1 FRET assay kit (PANVERA)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BACE1 저해제로 알려진 'resveratol'(Sigma, St. Louis, MO, USA)을 이용했다. Resveratrol은 15 uM에서 약 50%의 BACE1 inhibitory activity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50nM BACE1 substrate (Rh-EVNLDAEFK-Quencher) 10㎕, BACE1 (1.0 U/mL) 10 ㎕, assay buffer (50 mM Sodium acetate, pH 4.5)로 상기 <실시예 1>의 분획물들을 50 g㎍/mL, 100g㎍/mL로 희석한 각각의 시료들 10 ㎕을 384-well plate에 넣고, 25℃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Ex:530nm, Em:590nm에서 형광을 측정한 후, 아래 식으로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Inhibition (%) = [1 - ( S - S 0 ) / ( C - C 0 )] 100
C : Fluorescence of control after 60min of incubation (enzyme, assay buffer and substrate)
C 0 : Fluorescence of the control at time 0
S : Fluorescence of control after 60min of incubation (enzyme, sample solution and substrate)
S 0 : Fluorescence of the tested samples (S) at time 0
상기 실험결과는 [도 1]에 기재하였다. [도 1]에서 모든 분획이 저해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농도가 높을수록 저해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ß-secretase(BACE1)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8)

  1.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a)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분말을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 추출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노인성 치매 및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조성물.
  5.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노인성 치매 및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
  8. 제5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20126884A 2012-11-09 2012-11-09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84A KR101404566B1 (ko) 2012-11-09 2012-11-09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84A KR101404566B1 (ko) 2012-11-09 2012-11-09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489A true KR20140065489A (ko) 2014-05-30
KR101404566B1 KR101404566B1 (ko) 2014-06-11

Family

ID=5089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884A KR101404566B1 (ko) 2012-11-09 2012-11-09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5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70B1 (ko) * 2016-04-05 2017-04-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 방법
KR101890062B1 (ko) * 2017-03-23 2018-08-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97100A (ko) * 2017-02-22 2018-08-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7720B1 (ko) * 2018-03-13 2018-09-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19093739A1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2824A (ko) * 2018-02-27 2019-09-04 전라남도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을 위한 조성물
KR20210052718A (ko) * 2019-10-30 2021-05-11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갈색거저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503B1 (ko) 2016-11-16 2019-04-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간 보호용 및 스트레스 감소용 식품 조성물
KR102075645B1 (ko) * 2016-12-30 2020-02-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곤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곤충의 사육방법,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되어 가바 함량이 증진된 곤충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44234B1 (ko) * 2019-01-31 2019-11-14 영월군 갈색거저리 성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459B1 (ko) 2019-10-29 2020-02-13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KR102379612B1 (ko) 2020-08-07 2022-03-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유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6350A (ko) 2022-08-18 2024-02-28 설건석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32914B1 (ko) 2022-11-29 2023-05-18 권혁분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340B1 (ko) 1993-06-11 2000-08-16 허일섭 항균성 폴리펩타이드
KR101016688B1 (ko) 2007-09-19 2011-02-25 주식회사유한양행 펩티도글리칸 인식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이를코딩하는 유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감염 검출용키트
KR20110054692A (ko) * 2009-11-18 2011-05-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101149702B1 (ko) * 2010-03-26 2012-05-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잠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70B1 (ko) * 2016-04-05 2017-04-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 방법
WO2017175915A1 (ko) * 2016-04-05 2017-10-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 방법
KR20180097100A (ko) * 2017-02-22 2018-08-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062B1 (ko) * 2017-03-23 2018-08-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93739A1 (ko) * 2017-11-08 2019-05-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2824A (ko) * 2018-02-27 2019-09-04 전라남도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을 위한 조성물
KR101897720B1 (ko) * 2018-03-13 2018-09-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10052718A (ko) * 2019-10-30 2021-05-11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갈색거저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566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566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4125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110038959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1859196B1 (ko) 팥꽃나무 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003395A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77483A (ko) 갯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0606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치매용 조성물
US20170035828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12754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pine wormwood
KR101852583B1 (ko) 현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1140583B1 (ko) 클라도니아 마실렌타 퍼플 균체 또는 이의 배양 추출물, 및/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비루로퀴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20200060274A (ko)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244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362988B1 (ko)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 또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9452B1 (ko) 패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996857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Ramalin
KR102588274B1 (ko) D-리모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전증 또는 발작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51751B1 (ko)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7018210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asterwort extract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