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484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484A
KR20140065484A KR1020147012825A KR20147012825A KR20140065484A KR 20140065484 A KR20140065484 A KR 20140065484A KR 1020147012825 A KR1020147012825 A KR 1020147012825A KR 20147012825 A KR20147012825 A KR 20147012825A KR 20140065484 A KR20140065484 A KR 2014006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dust
main body
dust collecting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치 우네
아키히로 이시자와
시게노리 오이누마
유스케 아베
히토시 스즈키
마사토시 다나카
유우지 오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892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540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89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3581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6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13)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67)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와,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한 진애를 포집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함진 공기를 집진 장치로 흡입하고, 이 집진 장치에 의해 진애를 포집한 공기를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진 장치로서, 최근, 함진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킴으로써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 분리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풍로 내에는, 예를 들어 장기에 걸쳐서 전기 청소기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 등에, 잡균이 번식하고, 배기 냄새가 발생하는 등,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로 인해,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전기 청소기가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10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1-7774호 공보 특허 제426301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함진 공기 중의 조진(粗塵) 및 세진(細塵)을 각각 원심 분리하는 원심 분리부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원심 분리부 내를 제균(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원심 분리부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자외선이 조진에 의해서 차단되거나 확산되거나 하여, 충분한 제균(살균) 효과를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배기풍의 열을 이용하고, 이 배기풍을 흡입측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제균(살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제균(살균)에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제균(살균)될 때까지 전동 송풍기를 구동 상태로 유지해야만 하여, 에너지 절약 및 정음(소음이 거의 없는)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진드기를 사멸시키는 경우에는, 50℃ 이상의 온도를 20분 정도 지속시킬 필요가 있어, 청소기 본체를 구성하는 ABS 등의 합성 수지의 내열 온도에 근접해 간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배치한 광촉매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촉매의 산화 환원 작용을 발생시켜 제균(살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제균(살균)에 수시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에 의해서 잡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소음으로, 또한, 단시간에서의 제균이 가능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다단으로 접속되고,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원심 분리부 중, 하류측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갖는다.
또한,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풍로의 내부를 제균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고, 전동 송풍기 및 자외선 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의 온 오프를 조작에 의해 설정 가능한 설정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전동 송풍기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정 수단에 의해 전동 송풍기의 오프가 설정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 자외선 조사부를 동작시킨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청소기 본체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자외선의 조사 거리와 잡균의 불활화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관계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흡입 풍로체(풍로 형성체)인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관부(15)와, 이 접속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 혹은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루프 형상의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의 상부에는, 조작용의 조작부로서의 설정 수단인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3)는, 대경의 주행륜(23)을 양측에 갖고 소경의 선회륜(24)을 하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25)에는, 집진부로서의 (제1) 원심 분리부인 제1 분리 집진부(26)와 집진 장치로서의 (제2) 원심 분리부인 제2 분리 집진부(27)를 구비하는 집진 수단(28)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집진 수단(28)은, 전단에 제1 분리 집진부(26)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 분리 집진부(27)를 구비하는, 다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집진 수단(28)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3)는, 주행륜(23) 및 선회륜(24)에 의해서 피청소면인 바닥면 위를 적어도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상하 및 좌우 등의 방향은,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31)를 수용한 본체부(32)와, 이 본체부(32)의 전방부에 돌출 설치된 적재부로서의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25)의 내부에는, 돌출부(33)의 내부로부터 본체부(32)의 내부의 전방부에 걸쳐서 위치하는 (제1) 덕트부인 상류측 덕트부(38)와, 본체부(32) 내에 위치하는 (제2) 덕트부인 하류측 덕트부(39)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원실(40)이 구획되고, 후방부에 확산부로서의 확산실(41)이 구획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31)는, 예를 들어 원심 팬을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부압을 발생시켜 공기를 흡입하는 팬 모터이고, 대략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고, 하류측 덕트부(39) 내에 위치하여 본체부(3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설정 버튼(22)의 설정 조작에 따라서, 본체부(32) 내에 수용된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동작의 온 오프 등이 제어된다. 그리고, 이 전동 송풍기(31)에 의해, 관부(12), 제1 분리 집진부(26), 제2 분리 집진부(27) 및 하류측 덕트부(39)와 순차 연통하는 풍로(W)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전동 송풍기(31)의 외주면에는, 흡입한 공기를 측방으로 배기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2)의 전방부에는, 집진 수단(28)의 제2 분리 집진부(27)를 착탈하기 위한 장착 오목부(44)가 돌출부(33)에 면해서 오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2)의 양측에는, 주행륜(23)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44)의 양측에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전방면부(48, 4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 오목부(44)의 상부는, 덮개부(56)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장착 오목부(44)의 상측 후방부에는, 하류측 덕트부(39)의 상류 단부가 되는 연통구(63)가 개방되어 있다. 이 연통구(63)는, 예를 들어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 즉 횡길이에 설치되어 있고, 주연부를 따라서 고무 패킹 등의 연통구 시일 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통구(63)는, 연통구 시일 부재(64)를 통하여 제2 분리 집진부(27)의 하류 단부와 기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56)는, 상측에 볼록하게 되는 단면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 형상의 배치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치부(66)의 내부에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을 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로서의 자외선 램프(자외선 발광관)(67)가 수용되어 있다. 이 자외선 램프(67)는, 조사하는 자외선 자체가 잡균 등의 DNA를 파괴함으로써 제균(살균) 효과를 갖는 제균(살균)광이며, 예를 들어 제어 수단에 의해 소등을 포함한 점등 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이 배치부(66)의 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68)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개구(68)를 통하여,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제2 분리 집진부(27)의 상부로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전방면부(49)에는, 상류측 덕트부(38)의 하류 단부가 되는 연통 개구(103)가 상측 부근의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이 연통 개구(103)에는, 주연부를 따라서 고무 패킹 등의 연통 개구 시일 부재(10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통 개구(103)는, 연통 개구 시일 부재(104)를 통하여 제1 분리 집진부(26)의 상류 단부와 기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3)는, 제1 분리 집진부(26)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 돌출부(33)의 전방부에는, 상류측 덕트부(38)의 상류 단부이고 관부(12)의 접속관부(15)가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07)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33)의 하부에는, 선회륜(24)이 선회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5)의 상부에는, 덮개부(56)의 후방의 위치에, 청소기 본체(13)를 들어올리기 위한 핸들(10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5)의 후방부에는, 확산실(41)과 연통하여 전동 송풍기(31)로부터의 배기를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구멍(109)이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복수 개구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덕트부(39)는, 확산실(41)의 전방이고 또한 제2 분리 집진부(27)[장착 오목부(44)]의 후방, 즉 본체 케이스(25)의 후방부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류 단부인 상단부가 연통구(63)가 되는 연통 풍로부(115)와, 이 연통 풍로부(115)의 일측의 전방에 연통하여 전동 송풍기(31)를 내부에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동 송풍기실부와, 이 전동 송풍기실부의 전방부 측면으로부터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전동 송풍기실부에 대해 타측에 배치된 전원실(40)에 걸쳐서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풍로부로서의 접속 풍로부(117)를 구비하고, 후방부 상측으로부터 하측 전방부, 나아가서는 전방부 타측[전원실(4)]으로 연통하는 연통 풍로를 내부에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풍로부(117)의 내부에는, 필터(119)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전원실(40)의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31)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부(121)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전원부(121)는, 예를 들어 코드 릴 장치이고, 선단측이 본체 케이스(25)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상용 교류 전원에 대해 선단부의 플러그부(121a)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25)의 본체부(32)의 상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권취 버튼의 조작에 의해 본체 케이스(25) 내에 권취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집진 수단(28)의 일부(상류측)를 구성하는 제1 분리 집진부(26)는,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섬유 먼지 등의 비교적 큰 진애인 조진을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 및 포집하는 집진 컵이고, 집진 수단(28)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분리 집진부(26)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컵부인 케이스체(125)와, 이 케이스체(125)의 내부에 수용된 원통 형상의 선회부(126)를 갖는 유닛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분리 집진부(26)는, 돌출부(33) 위에 적재한 상태에서 전방측 하부를 중심(지지점)으로서 회전함으로써 본체 케이스(25)에 착탈 가능하고, 이 본체 케이스(2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를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장착 오목부(44)의 전방부를 덮는다. 또한, 이 제1 분리 집진부(26)는, 도시하지 않은 제1 착탈 기구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진다.
케이스체(125)는, 집진부 본체로서의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131)와, 이 케이스 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덮개(132)와, 케이스 본체(131)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덮개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31)의 후방부 일측에는, 연통 개구(103)와 기밀하게 접속되는 유입구(135)가 개방되어 있고, 이 유입구(135)를 통하여 함진 공기가 케이스체(125) 내로 접선 방향을 따라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31)는, 유입구(135)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키는 동시에, 이 선회에 의해 분리된 진애(조진)를 내부에 수용하는 부분이고,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설치되고 내부(진애)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본체(131)의 하단부는, 이 케이스 본체(131)의 내부에 수용된 진애를 외부로 폐기하기 위한 폐기 개구(137)로 되어 있다.
또한, 덮개(132)는, 케이스 본체(131)의 폐기 개구(137)를 회전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고, 케이스 본체(131)보다도 약간 직경 치수가 큰 원판 형상의 덮개 본체(141)와, 이 덮개 본체(141)의 상측 즉 케이스 본체(131)측에 배치된 시일 부재(142)를 일체로 갖고 있다.
시일 부재(142)는, 덮개(132)를 폐쇄한 상태에서 폐기 개구(137)의 하단부에 압접되도록, 덮개 본체(141) 위에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부(133)는,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의 상부를 덮는 것이고, 집진부용 파지부로서의 손잡이부(152)를 일체로 구비하여, 케이스 본체(131)에 대해 기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 덮개부(133)는, 케이스 본체(131)를 제2 분리 집진부(27)에 연통하는 연결 풍로(153)를 내부에 구획하고 있다. 또한, 이 상부 덮개부(133)의 후방부에는, 연결 풍로(153)의 하류 단부를 구성하는 배출구(154)가 케이스체(125)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154)는, 제1 분리 집진부(26)의 케이스체(125)를 통과한 공기를 제2 분리 집진부(27)측, 즉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것이고, 주연부를 따라서 고무 패킹 등의 배출구 시일 부재(15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선회부(126)는,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의 내부에, 이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와 동심 형상(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선회부(126)는, 원통 형상의 선회부 본체(161)와, 이 선회부 본체(161)의 일단부측인 하단부측에 일체로 설치된 원통 형상의 확대부로서의 압축부(16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부 본체(161)는, 상단부가 연결 풍로(153)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선회부 본체(161)에는, 내부에 연통하는 복수의 통기 개구부(166)가 주위면에 개방되어 있고, 이들 통기 개구부(166)를 덮어서 메쉬 형상의 집진 필터(16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회부 본체(161)는, 질량이 상대적으로 큰 진애(조진)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공기가 통기 개구부(166)[집진 필터(167)]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통과하여 연결 풍로(153)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부(162)는, 덮개(132)에 대향하는 하측이 개방되어 있고, 선회부 본체(161)보다도 직경 치수가 크고, 선회부 본체(161)에 대해 단차 형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부(162)의 중앙부에는, 선회부 본체(161)의 하단부와 연통하는 연통 개구부(16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통 개구부(168)를 덮어, 메쉬 형상의 압축 필터(16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부(162)에서는, 선회부 본체(161)의 외주를 선회하는 공기의 일부가 하측으로부터 연통 개구부(168)를 선회부 본체(161)의 내부로 통과함으로써, 포집한 진애(조진)가 압축 필터(169)에 압박되어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 수단(28)의 타부(하류측)를 구성하는 제2 분리 집진부(27)는,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 중에서, 제1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분리할 수 없었던 가루 먼지 등의 비교적 작은 진애(세진 또는 미세 먼지), 즉 제1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분리하는 조진보다도 미세한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 수단(28)의 최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분리 집진부(27)는, 예를 들어 ABS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집진 장치 본체로서의 제2 원심 분리부 본체인 분리 집진부 본체(171)와, 이 분리 집진부 본체(171)는 별도의 부재로 이 분리 집진부 본체(171)의 하측에 위치하는 진애 저류부로서의 세진 저류부인 집진 케이스(172)를 구비하고, 이들 분리 집진부 본체(171)와 집진 케이스(172)가, 보유 지지 부재로서의 클램프(173, 173)에 의해 일체적으로 걸림 지지되어 유닛 형상이 되고,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분리 집진부(27)는, 도시하지 않은 제2 착탈 기구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제2 분리 집진부(27)는, 자외선 램프(67)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리 집진부 본체(171)는, 제2 분리 집진부(27)를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 오목부(44)의 상측에 수용되는 부분이고, 분리부(175)와, 이 분리부(175)의 집진 케이스(172)와 반대측인 상측을 개폐하는 덮개부(17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분리부(175)와 덮개부(176) 사이에,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연결 풍로(153)를 통과한 함진 공기가 일단부측인 전단부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 풍로부(177)가 구획되어 있는 동시에, 덮개부(176)의 내부에, 분리부(175)로부터의 배기가 타단부측인 후단부측으로부터 연통구(63)[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로 유출되는 유출 풍로부(178)가 구획되어 있다.
분리부(175)는,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제1 분리 집진부(26)를 통과하여 내부에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고, 복수의 분리실(181)과, 이들 분리실(181)의 일방향측인 상측을 둘러싸서 돌출 설치된 외측 프레임부(182)와, 분리실(181)의 타방향측인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부(183)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분리실(181)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즉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서서히 직경 축소된 장척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유입 풍로부(177)로의 함진 공기의 유입 방향의 연장선상, 즉 전후 방향을 따라서 복수, 예를 들어 4개씩으로 분리실열(L)을 이루고 있다. 이 분리실열(L)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열(L1)과, 이 중앙열(L1)의 좌우 양측방에 위치하는 좌측열(L2) 및 우측열(L3)이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열(L1)이 중앙측에 위치하는 분리실열, 좌측열(L2) 및 우측열(L3)이 양측에 위치하는 분리실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실(181)은,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열(L2) 및 우측열(L3)의 각 분리실(181)은, 중앙열(L1)의 분리실(181)에 대해 하측이 각각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각 분리실(181)은, 각각 정류부(185)를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정류부(185)를 통하여 유입된 함진 공기를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분리실(181)은, 적어도 내주면의 최대 직경 치수가 제1 분리 집진부(26)의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보다도 작고, 예를 들어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의 내주면의 절반 이하 정도의 직경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정류부(185)는, 유입 풍로부(177)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도입 개구를 통하여 연통하는 나선 형상의 정류 통로부(188)와, 이 정류 통로부(188)의 중심축을 따라서 위치하는 통기부로서의 배기관부인 통기통부(189)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각 정류 통로부(188)는, 통기통부(189)의 주위를 따라서 설치되고, 함진 공기를 도입 개구로부터 분리실(181) 내로, 이 분리실(181)의 접선 방향을 따라서 유입시키는 것이다.
또한, 각 통기통부(189)는, 분리실(181)에 있어서 진애(세진 또는 미세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유출 풍로부(178)로 배기 즉 유출시키는 것이고,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분리실(181)의 상단부측에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류 단부인 하단부가 분리실(181) 내에 연통하는 동시에, 하류 단부인 상단부가 유출 풍로부(178)에 기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프레임부(182)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으로 설치되고, 분리실(181) 전체의 외측을 프레임 형상으로 둘러싸는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외측 프레임부(182)는, 분리실(181)의 외주면과 연속되고 정류부(185)가 장착되는 저면부(182a), 이 저면부(182a)로부터 수직 상승된 상류 측면인 전방면(182b), 클램프(17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양측면(182c) 및 하류 측면인 후방면(182d)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되어 덮개부(176)에 의해 폐색된다. 전방면(182b)에는, 유입 풍로부(177)의 상류 단부이고 제1 분리 집진부(26)의 연결 풍로(153)의 하류 단부와 기밀하게 접속되는 유입 개구부(182e)가 개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입 풍로부(177)는, 모든 분리실(181)의 상측 부근의 위치의 외측 전체를 둘러싸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83)는, 집진 케이스(172)의 덮개가 되는 부분이고, 모든 분리실(181)의 하단부가 연통되어 전후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176)는, 각 클램프(173)의 상측에 의해 분리부(17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어 있고, 분리부(175)에 대한 착탈에 의해 이 분리부(175)의 상측을 개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덮개부(176)는, 유입 풍로부(177)의 상측을 구획하는 피복부(192)와, 이 피복부(192)의 상측(외측)을 덮는 덮개부 본체(193)를 구비하고, 이들 피복부(192)와 덮개부 본체(193)가 상하에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이들 피복부(192)와 덮개부 본체(193) 사이에 유출 풍로부(178)가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피복부(192)와 덮개부 본체(193)의 후방부 사이에, 유출 풍로부(178)의 하류 단부가 되는 유출 개구부(194)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 본체(193)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을 투과시켜 하방, 즉 유출 풍로부(178), 각 분리실(181) 및 집진 케이스(172) 등의 각 부로 유도하는 투과부로서의 창부(195)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창부(195)가, 예를 들어 불소 수지 혹은 석영 글래스 등의 자외선을 투과 가능한 투과 부재(195a)에 의해 덮여져 기밀하게 폐색되어 있다.
피복부(192)에는, 분리부(175)의 하류측, 즉 각 분리실(181)의 하류측인 각 정류부(185)의 통기통부(189)의 상단부측과 기밀하게 접속되어 각 분리실(181)과 유출 풍로부(178)를 연통하는 원형 형상의 접속 개구(192a)가 복수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분리실(181)의 하류측이 유출 풍로부(178)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통하고 있다. 이들 접속 개구(192a)는, 분리실(181)의 개수에 대응하여,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4개씩, 좌우 폭 방향으로 3열, 합계 1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창부(195)는, 제2 분리 집진부(27)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중앙열(L1)의 각 통기통부(189)[접속 개구(192a)]와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이 제2 분리 집진부(27)를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 배치부(66)의 하방 즉 자외선 램프(67)의 하방에 대향하는 위치로 된다. 따라서, 중앙열(L1)의 각 통기통부(189)[접속 개구(192a)]는, 제2 분리 집진부(27)를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 자외선 램프(67)에 대향하고,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은, 창부(195) 및 중앙열(L1)의 각 통기통부(189)[접속 개구(192a)] 및 중앙열(L1)의 분리실(181)을 통하여, 이들 중앙열(L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집진 케이스(172)에까지 직선 형상으로 유도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출 풍로부(178)는, 유입 풍로부(177)의 상측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유출 풍로부(178)는, 유입 풍로부(177)와 상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유출 풍로부(178)는, 제2 분리 집진부(27)를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통구(63)와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에 연통한다.
한편, 집진 케이스(172)는, 분리 집진부 본체(171)에 의해 분리된 진애(세진)를 수용하는 것이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 형상의 진애 저류부 본체로서의 집진 케이스 본체(201)와,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의 상측에 연속되는 끼워 맞춤부(202)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들 집진 케이스 본체(201)와 끼워 맞춤부(202)가 연속되는 부분에, 단차 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용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케이스 본체(201)는, 제2 분리 집진부(27)를 본체 케이스(25)[의 장착 오목부(44)]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 오목부(44)의 하측에 수용되는 부분이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고, 분리 집진부 본체(171)의 연결부(18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진다. 또한,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의 내부에는, 좌우 폭 방향을 따라서 판 형상의 구획부(201a)가 전후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이들 구획부(201a)에 의해, 집진 케이스 본체(201)의 내부에 복수의 저류부(201b)가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획부(201a)가 연결부(183)의 하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각 저류부(201b)가, 좌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분리실(181)과 각각 연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는, 중앙열(L1)의 각 분리실(181)의 하단부측, 바꾸어 말하면 분리실(181)에 대해 정류부(185)(도입 개구)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열(L1)의 분리실(181)의 바로 아래, 즉 중앙열(L1)의 분리실(181)의 통기통부(189)의 중심축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는, 분리실(181)을 통하여 창부(195)[자외선 램프(67)]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203)는, 연결부(183)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이 연결부(183)의 하단부가 기밀하게 접속되는 부분이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시에는,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를 각각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케이스(25)에 미리 장착해 둔다.
제2 분리 집진부(27)의 장착시에는, 장착 오목부(44)에 본체부(32)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압입함으로써, 제2 분리 집진부(27)가 제2 착탈 기구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유출 풍로부(178)의 하류 단부인 유출 개구부(194)의 테두리부가 연통구 시일 부재(64)에 압접되어 연통구(63)와 기밀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창부(195)[투과 부재(195a)]가 약간의 간극을 두고 자외선 램프(67)에 근접하여 대향한다.
또한, 제1 분리 집진부(26)의 장착시에는 손잡이부(152)를 파지한 상태에서 돌출부(33) 위에 덮개(132)의 전방측 하부를 적재하고, 이 전방측 하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분리 집진부(26)가 본체 케이스(25)에 대해 좌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면서, 제1 착탈 기구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분리 집진부(26)의 유입구(135)의 테두리부가, 연통 개구 시일 부재(104)에 압접되어 연통 개구(103)와 기밀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배출구(154)의 배출구 시일 부재(155)가 제2 분리 집진부(27)의 유입 개구부(182e)의 테두리부와 압접되어 배출구(154)와 유입 개구부(182e)가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제1 분리 집진부(26)의 손잡이부(152)의 후단부측이 본체 케이스(25)의 배치부(66)의 전단부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분리 집진부(26)와 제2 분리 집진부(27)를 통하여, 관부(12)와 전동 송풍기(31)의 흡입측이 기밀하게 접속되어 풍로(W)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원부(121)에 의해 급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파지부(21)를 파지하여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전동 송풍기(31)를 위상각 제어하고,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전동 송풍기(31)를 구동시킨다.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은, 하류측 덕트부(39)의 연통 풍로부(115), 연통구(63), 제2 분리 집진부(27), 제1 분리 집진부(26), 연통 개구(103), 상류측 덕트부(38) 및 본체 흡입구(107)를 통하여 관부(12)로 작용한다. 그리고, 관부(12)에서는, 호스체(16), 연장관(18) 및 바닥 브러시(19)와 부압이 작용하여, 피청소면에 적재한 바닥 브러시(19)의 선단 등으로부터,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함진 공기는, 바닥 브러시(19), 연장관(18) 및 호스체(16)를 통하여, 본체 흡입구(107)로부터 상류측 덕트부(38)의 연통 개구(103)를 통하여 제1 분리 집진부(26)의 케이스체(125)의 내부로 유입구(135)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 유입구(135)로부터 유입된 함진 공기는,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와 선회부(126)의 선회부 본체(161)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선회하고, 세진이 원심 분리되어 하방으로 중력 낙하하고, 제1 분리 집진부(26)의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의 하부에 포집된다.
이 제1 분리 집진부(26) 내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는, 집진 필터(167)를 통하여 통기 개구부(166)로부터 선회부 본체(16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집진 필터(167)의 통과시에는, 이 함진 공기 중의 세진보다도 미세한 진애가 집진 필터(167)에 포집된다. 또한, 제1 분리 집진부(26) 내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의 일부는, 압축부(162)측으로 흐르고, 압축 필터(169)를 통하여 연통 개구부(168)로부터 선회부 본체(16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압축 필터(169)의 통과시에는, 이 함진 공기 중의 조진보다도 미세한 진애가 압축 필터(169)에 포집되는 동시에, 케이스체(125)[케이스 본체(131)] 내에 포집된 진애가 압축 필터(169)에 압박되어 압축된다.
선회부 본체(161) 내를 통과한 함진 공기(세진을 포함한 공기)는, 연결 풍로(153)를 통과한 후, 배출구(154)로부터 배출되어 유입 개구부(182e)로부터 유입 풍로부(177)로 유입되고, 제2 분리 집진부(27)의 각 정류부(185)의 정류 통로부(188)로 도입 개구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유입되고, 이들 정류 통로부(188)에 의해 정류되면서 각 분리실(181) 내로 유입된다.
이들 분리실(181)에 유입된 함진 공기는, 이들 분리실(181)의 내주면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제1 분리 집진부(26)의 케이스체(125) 내에서의 선회의 유속보다도 큰 유속으로 선회하고, 세진(미세 먼지)이 원심 분리되어 각 분리실(181)의 하단부로부터 연결부(183)를 통하여 집진 케이스(172)에 각각 중력 낙하하고, 이 집진 케이스(172)의 집진 케이스 본체(201)의 각 저류부(201b) 내에 포집된다. 세진(미세 먼지)이 제거된 맑은 공기는, 정류부(185)의 통기통부(189)를 통과하여 유출 풍로부(178)로 추출되어 서로 합류한다.
그리고, 유출 풍로부(178)에 합류한 공기는 유출 개구부(194)로부터 연통구(63)를 통하여 하류측 덕트부(39)의 연통 풍로부(115)로부터 전동 송풍기실부 내의 전동 송풍기(31)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31) 내를 통과하여 이 전동 송풍기(31)를 냉각한 후, 이 전동 송풍기(3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배기구로부터 측방으로 배기되어 배기풍이 된다. 이 배기풍은, 필터(119)를 통과하면서 하류측 덕트부(39)의 접속 풍로부(117)로 유입되고, 이 접속 풍로부(117)로부터 전원실(40) 내로 유입되어, 이 전원실(40) 내의 전원부(121)를 냉각한다. 그리고, 이 전원실(40)을 후방으로 통과한 배기풍은, 확산실(41)로 유입될 때에 확산되고, 각 배기 구멍(109)으로부터 청소기 본체(13)의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분산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이 우선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소정 시간 조사한 후, 전동 송풍기(31) 및 자외선 램프(67)를 정지시킨다. 또한, 자외선 램프(67)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약간의 간극만을 두고 근접한 상태이므로, 자외선의 조사 시간은 수초 내지 수십초 정도로 매우 짧아도 충분한 제균(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10). 그리고,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한 자외선은, 배치부(66)의 하부의 개구(68) 및 투과 부재(195a)를 통하여 창부(195)를 통과하고, 제2 분리 집진부(27) 내의 유출 풍로부(178)에 조사되어 이 유출 풍로부(178) 내를 제균(살균)하는 동시에, 각 접속 개구(192a)를 통하여 각 분리실(181) 내로 조사되어 이들 분리실(181) 내를 제균(살균)한다. 또한, 중앙열(L1)에 위치하는 분리실(181) 내에 조사된 자외선의 일부는, 이들 분리실(181)을 축 방향으로 통과하여 집진 케이스(172)의 집진 케이스 본체(201) 내에 조사되고,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 내 및 이 집진 케이스 본체(201)의 저류부(201b) 내에 저류된 세진(미세 먼지)을 제균(살균)한다.
그리고, 소정량 이상의 진애가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의 집진 케이스(172)에 저류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를 각각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하여 진애를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1 분리 집진부(26)와 제2 분리 집진부(27)를 다단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서 잡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제2 분리 집진부(27)에 유입되는 함진 공기는, 제1 분리 집진부(26)에 의해서 조진이 원심 분리된 것이므로, 제2 분리 집진부(27)에는 세진이 저류되는 경우가 없다. 그로 인해, 제2 분리 집진부(27)에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 자외선이 조진에 의해서 차단되거나 확산되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자외선에 의해서 잡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1 분리 집진부(26)에는, 주로 세진이 포집되므로, 사용자는 이 제1 분리 집진부(26)를 빈번히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하여 내부의 진애를 폐기하는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므로, 장기에 걸쳐서 진애가 내부에 저류되기 어려운 것이며, 잡균 등의 번식이 비교적 적다. 그에 대하여, 제2 분리 집진부(27)는, 대부분의 진애를 제거한 제1 분리 집진부(26)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진애(세진)가 저류되기 어려워, 진애의 폐기 등의 메인터넌스를 빈번히 행하는 것이 아니라, 잡균 등이 제1 분리 집진부(26)보다도 번식하기 쉽다. 즉, 집진 수단(28)에 있어서는, 후단(하류측)일수록 포집하는 진애량이 적어, 빈번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지지 않아, 장기에 걸쳐서 진애가 저류된 상태로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함으로써, 집진 수단(28) 전체적으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67)가, 제2 분리 집진부(27)의 분리실(181)과, 이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는 유출 풍로부(178)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원심 분리되기 직전의 함진 공기와, 각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원심 분리된 후의 공기의 각각을 제균(살균)할 수 있어, 잡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유출 풍로부(178)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하류측에 있어서 잡균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가 없어, 전동 송풍기(31)에 흡입된 후, 배기되므로, 이 유출 풍로부(178)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균(살균)함으로써, 전동 송풍기(31)로부터의 배기에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67)를 점등시키는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수단(28)은, 3단 이상의 다단의 원심 분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자외선 램프(67)는, 최상류의 원심 분리부를 제외하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원심 분리부, 즉 하류측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31)가, 설정 버튼(22)의 설정 조작에 따라서, 본체부(32) 내에 수용된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 수단(211)에 의해 동작의 온 오프 등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 램프(67)는, 풍로(W)의 일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을 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제어 수단(211)에 의해 소등을 포함한 점등 상태가 제어된다.
다음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제어 수단(211)은, 설정 버튼(22)으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211)은, 전원인 상용 교류 전원(e)에 선단부의 플러그부(121a)가 접속된 전원부(121)로부터 급전을 받아서 동작 가능하고, 예를 들어 트라이액 등의 제어 소자(Tr)를 통하여, 설정 버튼(22)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31)의 입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211)은, 시간 측정 수단으로서의 타이머(T) 및 자외선 램프(6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자외선 램프(67)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211)이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키는 타이밍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송풍기(31)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정 버튼(22)이 조작되어 제어 수단(211)이 전동 송풍기(31)를 정지시키기 직전이고, 타이머(T)를 통하여 시간을 잰 제1 소정 시간(T1),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소정 시간(T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 즉 금회의 전동 송풍기(31)의 기동으로부터 정지까지의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가변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소정 시간(T1)의 설정시에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단수 혹은 복수의 임계값과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을 비교하고, 그 동작 시간과 임계값의 대소 관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등을 참조해서 설정해도 좋고,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을 변수로 하는 소정의 수식 등에 의해서 제1 소정 시간(T1)을 산출해서 설정해도 좋다. 어느 것으로 해도,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이 길수록, 제2 분리 집진부(27)의 집진 케이스(172)에 많은 진애가 저류되어 있다고 생각되므로,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이 길수록 제1 소정 시간(T1)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시에는, 사용자는, 플러그부(121a)를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해서 전원부(121)에 의해 급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파지부(21)를 파지하여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전원부(121)로부터 급전된 제어 수단(211)이 제어 소자(Tr)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31)를 위상각 제어하고,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전동 송풍기(31)를 구동시키고,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서, 피청소면에 적재한 바닥 브러시(19)의 선단 등으로부터,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 함진 공기로부터 각 진애를 분리 포집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211)이 우선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조사한 후, 전동 송풍기(31) 및 자외선 램프(67)를 정지시킨다. 즉,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중에, 설정 버튼(22)에 의해 정지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 즉 전동 송풍기(31)의 오프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제어 수단(211)이 판단하고(스텝 1), 이 스텝 1에 있어서, 오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을 반복하고, 오프가 설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이 타이머(T)를 기동시키는 동시에 자외선 램프(67)를 점등(기동)시킨다(스텝 2). 이 후, 제어 수단(211)은, 전동 송풍기(31)의 오프가 설정된 타이밍, 즉 자외선 램프(67)의 점등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3),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3을 반복하고,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타이머(T) 및 자외선 램프(67)를 정지시킨다(스텝 4). 또한, 타이머(T)는, 이 정지와 동시에 리셋해도 좋고, 스텝 2에 있어서 기동시키기 직전에 리셋해도 좋다. 또한, 전동 송풍기(31)의 정지의 타이밍은,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67) 및 타이머(T)의 기동 직전(스텝 1에 있어서 오프가 설정되었다고 판단한 직후), 자외선 램프(67) 및 타이머(T)의 기동과 동시, 이들 자외선 램프(67) 및 타이머(T)의 동작 중, 이들 자외선 램프(67) 및 타이머(T)의 정지와 동시, 혹은, 이들 자외선 램프(67) 및 타이머(T)의 정지 후 등, 임의의 타이밍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한 자외선은, 배치부(66)의 하부의 개구(68) 및 투과 부재(195a)를 통하여 창부(195)를 통과하고, 제2 분리 집진부(27) 내의 유출 풍로부(178)에 조사되어 이 유출 풍로부(178) 내를 제균(살균)하는 동시에, 각 접속 개구(192a)를 통하여 각 분리실(181) 내로 조사되어 이들 분리실(181) 내를 제균(살균)한다. 또한 분리실(181) 내에 조사된 자외선의 일부는, 이들 분리실(181)을 축 방향으로 통과하여 집진 케이스(172)에 조사되고, 이 집진 케이스(172) 내 및 이 집진 케이스(172) 내에 저류된 세진(미세 먼지)을 제균(살균)한다.
그리고, 소정량 이상의 진애가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의 집진 케이스(172)에 저류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를 각각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하여 진애를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211)이, 전동 송풍기(31)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정 버튼(22)에 의해 전동 송풍기(31)의 오프가 설정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켜 풍로(W)의 내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의 배기풍을 순환시켜 그 열에 의해 제균(살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소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광촉매의 산화 환원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보다도 강해, 잡균 등의 DNA를 파괴함으로써 제균(살균) 효과를 갖는 제균(살균)광이므로, 단시간에 제균(살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11)의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동 송풍기(31)는, 장시간 동작시킬수록 제2 분리 집진부(27)에서의 진애의 포집량이 증가하고, 풍로(W)[제2 분리 집진부(27)] 내의 잡균의 양이 증가된다고 생각되므로,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키는 제1 소정 시간(T1)을, 직전의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에 대응시켜 변화시키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시간이 길수록 제1 소정 시간(T1)을 길게 설정함으로써, 풍로(W)[제2 분리 집진부(27)]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균(살균)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제어 대신에, 제어 수단(211)이 자외선 램프(67)를, 전동 송풍기(31)에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급전 가능해진 타이밍, 바꾸어 말하면 플러그부(121a)를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한 타이밍(플러그인)으로부터 소정 시간(T2)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어 수단(211)은, 플러그부(121a)를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한 상기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되기 전에 설정 버튼(22)에 의해 전동 송풍기(31)의 온이 설정된 경우에는, 이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중에도 계속해서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킨다. 즉, 제어 수단(211)은, 전동 송풍기(31)를 기동시키는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에 불구하고, 플러그부(121a)를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한 상기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될 때까지 자외선 램프(67)는 동작을 계속한다.
즉, 도 13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11)은,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되었는지 여부(플러그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1). 이 스텝 11에 있어서,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플러그인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1을 반복한다. 또한, 이 스텝 11에 있어서,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되었다(플러그인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타이머(T)를 기동시키는 동시에 자외선 램프(67)를 점등(기동)시킨다(스텝 12).
계속해서, 제어 수단(211)은,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 즉 자외선 램프(67)의 점등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3). 이 스텝 13에 있어서,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타이머(T) 및 자외선 램프(67)를 정지시키고(스텝 14), 설정 버튼(22)에 의해 기동 조작, 즉 전동 송풍기(31)의 온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5). 이 스텝 15에 있어서, 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5를 반복하고, 온이 설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31)를 설정 버튼(22)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기동시킨다(스텝 16).
한편, 스텝 13에 있어서,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설정 버튼(22)에 의해 기동 조작, 즉 전동 송풍기(31)의 온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7). 이 스텝 17에 있어서, 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3으로 복귀되고, 온이 설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31)를 설정 버튼(22)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기동시킨다(스텝 18).
이 스텝 18의 후, 제어 수단(211)은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 즉 자외선 램프(67)의 점등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9),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9를 반복하고,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타이머(T) 및 자외선 램프(67)를 정지시킨다(스텝 20). 또한, 스텝 19에 있어서, 소정 시간(T2)이 경과되기 전에 설정 버튼(22)에 의해 전동 송풍기(31)의 오프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67) 및 전동 송풍기(31)를 함께 즉시 정지시켜도 좋고,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에서 소정 시간(T2)이 경과된 후에 자외선 램프(67)와 함께 전동 송풍기(31)를 정지시켜도 좋고, 전동 송풍기(31)를 정지시킨 후,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될 때까지 자외선 램프(67)의 점등을 계속시켜도 좋다. 또한, 타이머(T)는, 스텝 14 혹은 스텝 20의 정지와 동시에 리셋해도 좋고, 스텝 12에 있어서 기동시키기 직전에 리셋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211)이, 전동 송풍기(31)에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급전 가능해진 타이밍, 즉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으로부터 자외선 램프(67)를 소정 시간(T2) 동작시켜 풍로(W),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의 배기풍을 순환시켜 그 열에 의해 제균(살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소음화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광촉매의 산화 환원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보다도 강해, 잡균 등의 DNA를 파괴함으로써 제균(살균) 효과를 갖는 제균(살균)광이므로, 단시간에 제균(살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기 청소기(11)의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전회 청소를 하고 나서 금회의 청소까지 기간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풍로(W)[제2 분리 집진부(27)]의 내부에 잡균이 증식하고 있는 것이 생각되므로, 청소를 개시하기 전, 즉 전동 송풍기(31)가 기동하기 전에 자외선 램프(67)에 의해 제균(살균)함으로써, 전동 송풍기(31)의 기동시의 배기에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121a)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T2)이 경과되기 전에 설정 버튼(22)에 의해 전동 송풍기(31)의 온이 설정된 경우에는 이 전동 송풍기(31)의 동작 중에도 계속해서 자외선 램프(67)를 동작시킴으로써, 설정 버튼(22)을 조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동 송풍기(31)가 기동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는 동시에, 풍로(W)[제2 분리 집진부(27)]를 확실하게 제균(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실시 형태를 조합해도 좋다. 즉, 전기 청소기(11)의 기동 전에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제어를 행하고, 구동 중의 전기 청소기(11)를 정지시킬 때에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의 스텝 19에 있어서, 소정 시간인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되기 전에 설정 버튼(22)에 의해 전동 송풍기(31)의 오프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어 수단(211)은, 예를 들어 타이머(T)를 리셋하고,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2에 진행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실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31)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를 선회시켜 진애를 원심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1 분리 집진부(26)와 제2 분리 집진부(27)를 다단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서 잡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제2 분리 집진부(27)에 유입되는 함진 공기는, 제1 분리 집진부(26)에 의해 조진이 원심 분리된 것이므로, 제2 분리 집진부(27)에는 조진이 저류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제2 분리 집진부(27)에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 자외선이 조진에 의해 차단되거나 확산되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자외선에 의해서 잡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1 분리 집진부(26)에는, 주로 조진이 포집되므로, 사용자는 이 제1 분리 집진부(26)를 빈번히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하여 내부의 진애를 폐기하는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므로, 장기에 걸쳐서 진애가 내부에 저류되기 어려운 것이며, 잡균 등의 번식이 비교적 적다. 그에 대하여, 제2 분리 집진부(27)는, 대부분의 진애를 제거한 제1 분리 집진부(26)의 후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진애(세진)가 저류되기 어려워, 진애의 폐기 등의 메인터넌스를 빈번히 행하는 것이 아니라, 잡균 등이 제1 분리 집진부(26)보다도 번식하기 쉽다. 즉, 집진 수단(28)에 있어서는, 후단(하류측)일수록 포집하는 진애량이 적어, 빈번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지지 않고, 장기에 걸쳐서 진애가 저류된 상태로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분리 집진부(27)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균(살균)함으로써, 집진 수단(28) 전체적으로 잡균이 번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67)가, 제2 분리 집진부(27)의 분리실(181)과, 이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는 유출 풍로부(178)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원심 분리되기 직전의 함진 공기와, 각 분리실(181)에 의해 진애가 원심 분리된 후의 공기의 각각을 제균(살균)할 수 있어, 잡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유출 풍로부(178)를 통과하는 공기는, 그 하류측에 있어서 잡균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가 없고, 전동 송풍기(31)에 흡입된 후, 배기되므로, 이 유출 풍로부(178)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균(살균)함으로써, 전동 송풍기(31)로부터의 배기에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분리 집진부(26) 및 제2 분리 집진부(27)는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포집할 수 있으면,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67)는, 풍로(W) 중 임의의 개소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분리 집진부(27)는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하고 있는 경우, 자외선 램프(67)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지 않도록 자외선이 닿는 개소에 도금을 실시하는 등의 대책을 사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이외라도,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지 않는(열화되기 어려운) 부재를 사용해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 형상의 청소기 본체(13)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19)를 접속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본체(13)에 바닥 브러시(19) 등이 직접 접속되어 이 청소기 본체(13)를 운반하면서 청소하는 핸디형, 혹은, 청소기 본체(13)가 구동륜(주행륜)에 의해 자주, 혹은 자율 주행하는 로봇형 등으로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되어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도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

  1.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이 풍로의 내부를 제균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 및 상기 자외선 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의 온 오프를 조작에 의해 설정 가능한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송풍기의 오프가 설정된 타이밍으로부터 제1 소정 시간,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전동 송풍기에 전원으로부터 급전 가능해진 타이밍으로부터 자외선 조사부를 제2 소정 시간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전동 송풍기의 온이 설정된 경우에는 이 전동 송풍기의 동작 중에도 계속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소정 시간을 전동 송풍기의 동작 시간에 대응시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1020147012825A 2011-12-28 2012-12-28 전기 청소기 KR20140065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9204A JP6054032B2 (ja) 2011-12-28 2011-12-28 電気掃除機
JP2011289205A JP2013135814A (ja) 2011-12-28 2011-12-28 電気掃除機
JPJP-P-2011-289204 2011-12-28
JPJP-P-2011-289205 2011-12-28
PCT/JP2012/084080 WO2013100131A1 (ja) 2011-12-28 2012-12-28 電気掃除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23A Division KR101452654B1 (ko) 2011-12-28 2012-12-28 전기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484A true KR20140065484A (ko) 2014-05-29

Family

ID=486976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23A KR101452654B1 (ko) 2011-12-28 2012-12-28 전기 청소기
KR1020147012825A KR20140065484A (ko) 2011-12-28 2012-12-28 전기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23A KR101452654B1 (ko) 2011-12-28 2012-12-2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98992B1 (ko)
KR (2) KR101452654B1 (ko)
CN (1) CN103281944B (ko)
RU (1) RU2577732C2 (ko)
WO (1) WO20131001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94A (ko) * 2017-06-23 2019-11-01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청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909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10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14349B2 (en) 2016-12-28 2019-02-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64746B2 (en)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2873B2 (en) 2016-12-28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910864B2 (ja) * 2017-06-22 2021-07-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WO2019120344A1 (de) 2017-12-20 2019-06-27 Gravity Holding Ltd. Handhabungssaugrohr für staubsauger und desinfektionsverfahren dam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807B2 (ja) 1986-12-19 1994-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オーカスビデオカメラ
KR100232533B1 (ko) * 1997-12-27 2000-01-15 배길성 진공청소기의 자외선램프 구동방법
JP2004049674A (ja) * 2002-07-23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ナス粒子発生装置を具備した電気掃除機
JP2004113469A (ja) * 2002-09-26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4263013B2 (ja) 2002-12-03 2009-05-13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KR20060072190A (ko) * 2004-12-22 2006-06-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603209B1 (ko) 2005-02-23 2006-07-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투과창을 가지는 오물수거통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8112841B2 (en) * 2006-02-22 2012-02-14 Oreck Holdings Llc Ultraviolet vacuum cleaner with safety mechanism
KR100778701B1 (ko) * 2006-04-27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의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CN201192310Y (zh) * 2008-04-18 2009-02-11 宁波华东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吸尘器
JP2010227466A (ja) * 2009-03-30 2010-10-14 Hitachi Appliances Inc 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417220B2 (ja) * 2010-02-26 2014-02-1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5488204B2 (ja) * 2010-05-31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794A (ko) * 2017-06-23 2019-11-01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청소 장치
US11406236B2 (en) 2017-06-23 2022-08-09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31056A (ru) 2016-02-20
EP2798992B1 (en) 2018-01-24
CN103281944A (zh) 2013-09-04
RU2577732C2 (ru) 2016-03-20
KR101452654B1 (ko) 2014-10-22
WO2013100131A1 (ja) 2013-07-04
EP2798992A4 (en) 2015-07-22
EP2798992A1 (en) 2014-11-05
CN103281944B (zh) 2016-04-06
KR20130100265A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54B1 (ko) 전기 청소기
JP5417220B2 (ja) 電気掃除機
KR101452673B1 (ko) 전기 청소기
CN107105955B (zh) 电动吸尘器
KR101539143B1 (ko) 전기 청소기
KR101512559B1 (ko)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CN114727736B (zh) 真空清洁器
KR20230032841A (ko)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JP2013135814A (ja) 電気掃除機
JP2013090833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4113469A (ja) 電気掃除機
JP6054032B2 (ja) 電気掃除機
JP2013135815A (ja) 電気掃除機
KR101372727B1 (ko) 전기 청소기
KR20210131907A (ko) 핸드헬드 청소기
JP2007313057A (ja) 電気掃除機
JP2008100004A (ja) 電気掃除機
JP5840811B2 (ja) 電気掃除機
US20230018446A1 (en) Air pu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 cleaners
JP584080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33971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108281A (ja) 電気掃除機
JP2013132375A (ja) 電気掃除機
KR101300755B1 (ko)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JP2004089263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9

Effective date: 201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