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755B1 -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755B1
KR101300755B1 KR1020110052302A KR20110052302A KR101300755B1 KR 101300755 B1 KR101300755 B1 KR 101300755B1 KR 1020110052302 A KR1020110052302 A KR 1020110052302A KR 20110052302 A KR20110052302 A KR 20110052302A KR 101300755 B1 KR101300755 B1 KR 10130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ain body
roll
dus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583A (ko
Inventor
김순길
Original Assignee
김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길 filed Critical 김순길
Priority to KR102011005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7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2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브러쉬를 살균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청소기 흡입판이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입판의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와, 상기 브러쉬롤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롤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 및 브러쉬를 살균하는 살균램프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그 본체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가 설치되며, 그 안전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 집진부, 살균램프가 동시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DUST REMOVING APPARATUS OF BRUSH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브러쉬를 살균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수집, 저장하는 먼지통과 먼지통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팬부가 구비된 본체와 연결관을 매개로 먼지통과 연통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흡입파이프와 이 흡입파이프의 자유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면에 맞닿아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팬부의 흡기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어지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판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파이프 끝단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통상의 흡입판에는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솔 형태의 브러쉬가 설치되는데, 그 브러쉬에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세균 등이 번식되어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청소대상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위해 흡입판의 바닥면에 살균램프를 설치하는 기술들은 다수 게재되었으나, 정작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살균하는 기술은 게재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함으로써 세균 등의 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호스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먼지통 또는 먼지통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청소기 흡입판이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입판의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와, 상기 브러쉬롤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롤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 및 브러쉬를 살균하는 살균램프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그 본체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가 설치되며, 그 안전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 집진부, 살균램프가 동시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롤은 롤과 모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는 상기 롤의 둘레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의 전방 본체의 벽에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집진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호스는 상기 공기흡입구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살균하고,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청소기 내부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의 개폐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흡입판에 의해 안전스위치가 눌려지는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청소기 흡입판(1)의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청소기용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및 하기에서 설명되는 살균램프(50) 등은 별도의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당연히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본체(20)와, 브러쉬롤(40)와, 집진부(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제진 대상물인 브러쉬(10)가 설치된 청소기의 흡입판(1)이 안착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4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상기 브러쉬롤(40)의 교체 또는 세척을 위해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수단(45)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털어내어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45)은 일 실시예로 모터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브러쉬(10)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해 벨트로 연결되거나 감속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롤(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롤(40)는 롤(41)과 모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42)는 상기 롤(41)의 둘레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식재되어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모두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롤(4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안전스위치(30)의 누름동작에 의해 동작되지만 별도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진부(60)는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포집하게 된다.
상기 집진부(60)는 진공흡입장치(61)와, 그 진공흡입장치(61)의 전방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62)와, 그 제1필터(62)를 통과하여 흡입되어진 이물질을 다시 한번 걸러주는 제2필터(6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브러쉬롤(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고, 그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진공흡입장치(61)에 의해 흡입되면서 상기 제1필터(62)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상기 제1필터(62)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을 상기 제2필터(63)에서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롤(40)와 집진부(60)의 사이에는 상기 브러쉬롤(40)에 의해 제거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상기 제1필터(62)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판(9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러쉬롤(4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40) 및 상기 브러쉬(10)를 살균하는 살균램프(50)가 더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상기 브러쉬롤(40)와 이격된 채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 또는 상기 브러쉬롤(40) 및 브러쉬(10)를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또는 상기 브러쉬롤(40) 및 브러쉬(10)를 살균할 수 있는 UV, 오존, 광촉매를 이용한 램프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살균램프(50)는 상기 브러쉬롤(40)와 마찬가지로 하기에서 설명되는 안전스위치(30)의 누름동작에 의해 동작되지만 별도의 램프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공지된 기술의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하여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는 그 본체(20)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30)가 설치되고, 그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작동된다.
다시 말해, 상기 흡입판(1)을 본체(20)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그 본체(20)의 상단부로 돌출된 상기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고, 눌려진 안전스위치(30)의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치(30)는 푸쉬풀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러쉬(10)가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되고, 상기 브러쉬(10)의 제진 및 살균작업이 끝나 상기 흡입판(1)의 안착을 해제하여 상기 안전스위치(30)가 돌출되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의 작동이 동시에 멈추게 되어, 각 구성 별로 각각의 스위치를 ON/OFF 해야하는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비용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스위치(30)를 상기 본체의 양측에 설치하고, 양측에 설치된 안전스위치(30)가 동시에 눌려져야만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일측의 안전스위치(30)가 눌려 불필요한 작동을 한다거나 상기 살균램프(50)의 빛에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커버(21)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에는 공기흡입구(7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에는 상기 집진부(6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8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집진부(60)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호스(80)를 이용하여 청소기의 내부 먼지통과 먼지통 주변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집진부(60)의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커버(2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0)의 상측을 폐쇄하되, 상기 커버(21)는 상기 안전스위치(30)와 브러쉬롤(4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호스(80)는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상기 공기흡입구(70)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호스(80)를 분해결합할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70)를 여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75)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75)은 일 실시예로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 내면에는 상기 공기흡입구(70)의 상/하측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가이드레일(76)과, 그 가이드레일(76)을 따라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하는 개폐캡(77)과, 그 개폐캡(77)의 일측면에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78)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흡입구(7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캡(77)이 개구될 경우 상기 손잡이(78)를 안내하는 안내홈(79)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75)은 상술한 일 실시예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진부(60)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상기 본체(20)의 외측에 설치하여 청소기의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커버(21)를 열고 상기 흡입판(1)을 본체(20)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그 흡입판(1)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30)가 눌려지도록 한다.
상기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상기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브러쉬롤(40)가 제거하게 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하부로 떨어지면서 상기 집진부(60)에 의해 포집되며, 상기 살균램프(50)에 의해 상기 브러쉬(10), 브러쉬롤(40), 본체(20)의 내부 등이 살균되어 세균 등의 번식을 막아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1)를 닫고 상기 공기흡입구(70)를 열어 흡입호스(80)를 연결한 뒤, 상기 집진부(60)를 작동시켜 청소기의 자체 청소가 불가능한 먼지통이나 먼지통 주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 흡입판 10: 브러쉬
20: 본체 21: 커버
30: 안전스위치 40: 브러쉬롤
41: 롤샤프트 42: 모재
45: 구동수단 50: 살균램프
60: 집진부 61: 진공흡입장치
62: 제1필터 63: 제2필터
70: 공기흡입구 75: 개폐수단
76: 가이드레일 77: 개폐캡
78: 손잡이 79: 안내홈
80: 흡입호스 90: 유도판
100: 제어부

Claims (6)

  1. 청소기 흡입판(1)이 안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 상측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입판(1)의 브러쉬(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롤(40)와, 상기 브러쉬롤(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롤(40)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브러쉬롤(40) 및 브러쉬(10)를 살균하는 살균램프(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에는 그 본체(20)의 내측면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판(1)에 의해 눌려지는 안전스위치(30)가 설치되며, 그 안전스위치(30)의 눌림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5), 집진부(60), 살균램프(50)가 동시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롤(40)는 롤(41)과 모재(4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42)는 상기 롤(41)의 둘레를 따라 나선방향으로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커버(21)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부(60)의 전방 본체(20)의 벽에는 공기흡입구(7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70)에는 상기 집진부(6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호스(80)는 상기 공기흡입구(70)에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7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75)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KR1020110052302A 2011-05-31 2011-05-31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KR10130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02A KR101300755B1 (ko) 2011-05-31 2011-05-31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02A KR101300755B1 (ko) 2011-05-31 2011-05-31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83A KR20120133583A (ko) 2012-12-11
KR101300755B1 true KR101300755B1 (ko) 2013-08-29

Family

ID=4751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302A KR101300755B1 (ko) 2011-05-31 2011-05-31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7697A (zh) * 2022-12-28 2023-04-25 宿州市三军牧业设备有限公司 一种鸡舍清扫杀菌一体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869U (ko) * 1984-10-02 1986-05-02
JPS6330938U (ko) * 1986-08-19 1988-02-29
KR100444717B1 (ko) * 2003-03-19 2004-08-25 주태숙 자외선 살균 기능이 있는 브러시형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869U (ko) * 1984-10-02 1986-05-02
JPS6330938U (ko) * 1986-08-19 1988-02-29
KR100444717B1 (ko) * 2003-03-19 2004-08-25 주태숙 자외선 살균 기능이 있는 브러시형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83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1356519B1 (ko) 진공 청소기
KR101524170B1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60115497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EP1921970A1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KR20110035636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 장치
JP2016540546A (ja) ダスト容器
KR102076931B1 (ko)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452654B1 (ko) 전기 청소기
US20060278088A1 (en) Vacuum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for sanitization
KR20010108805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1742738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200133889A (ko) 공기청정기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150118613A (ko) 산업용 진공 청소기
JP2007136288A (ja) サイクロン式集塵器及び空気浄化装置
KR100842098B1 (ko) 공기 정화용 에어 필터의 자동 세척장치
TWI753493B (zh) 真空吸塵器
KR101300755B1 (ko) 청소기용 브러쉬 제진장치
KR20170046345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485200B1 (ko) 이오나이저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1408571B1 (ko) 카트리지 타입 이동식 집진기
KR20210039844A (ko) 공기청정기
KR20020004576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