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002A -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002A
KR20140064002A KR1020120130815A KR20120130815A KR20140064002A KR 20140064002 A KR20140064002 A KR 20140064002A KR 1020120130815 A KR1020120130815 A KR 1020120130815A KR 20120130815 A KR20120130815 A KR 20120130815A KR 20140064002 A KR20140064002 A KR 2014006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tmospheric pressure
sense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422B1 (ko
Inventor
천재웅
박남준
이민규
정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22B1/ko
Priority to US14/083,683 priority patent/US9097537B2/en
Publication of KR2014006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 중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는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ESTABLISHED DEVIC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와 같은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위성 항법 시스템은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 측위 시스템이 고안되었으나,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실내 측위를 위한 특별한 장치가 실내에 구비되거나 측위하고자 하는 실내 지역에 대한 사전 측위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하지만, 모든 실내 환경에 이와 같은 내용을 구비하기에는 비용 및 시간의 부담이 따른다.
따라서, 전자 장치와 설정된 디바이스가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한 곳에 위치한 경우, 사전 인프라의 구축 없이도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을 사용하기 곤란한 곳에도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 인프라의 구축이 없이도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디바이스로부터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디바이스의 이동경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디바이스가 실내의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와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다면 구체적인 이동 수단 까지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기압과 감지된 기압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 중 센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위치 추적 정보를 호출하는 과정; 및 상기 호출된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감지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정보는, 감지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압과 감지된 기압을 비교하며, 상기 확인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 중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는,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위치 추적 정보를 호출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호출된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감지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정보는, 감지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하여 위성 항법 시스템을 사용하기 곤란한 곳에도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층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 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수단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설정된 전자 장치의 이동 트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9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제2 전자 장치(102)와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는 통신 가능 범위(d, 103)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 사이의 거리가 통신 가능 범위(103)를 벗어났으며, 현재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는 여러 층으로 구성된 임의의 실내의 건물 안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현재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가 위치한 실내의 건물에서는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를 가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103)를 벗어났음을 확인한 후, 제2 전자 장치(102)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은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와이파이, 3G 및 4G 망 등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추적 정보는 제2 전자 장치(102)가 감지한 센서 정보(sensor information)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Wireless Fidelity scan information)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센서 정보인 제2 전자 장치(102)가 감지한 기압 정보(atmospheric pressure information), 각속도 정보(angular velocity information), 가속도 정보(acceleration information) 및 시간 정보(time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에서 현재 제2 전자 장치(102)가 위치한 층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한 기압 정보와 제1 전자 장치(101)에서 감지한 기압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102)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102)가 이동한 경로 및 이동 수단을 추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의 다른 층으로 이동한 경로 및 이동 수단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102)가 다른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이동되었는지 계단을 통하여 이동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제2 전자 장치(102)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RSSI(Service Set IDentifier)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102)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전자 장치(102)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101)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란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하여 상관도가 높은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 도 1(b)의 도면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전자 장치(102)가 경로 1(104)을 따라서 이동을 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경로 1(104)을 따라서 이동 중 스캔된 와이파이 정보는 경로 2(105)에서의 스캔된 정보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 정보는 경로 1(104)에서만 획득될 수 있는 유일한 정보이며, 결과적으로 경로 1(104)을 묘사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자 장치(102)에서 주기적으로 스캔된 위치 추적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1 전자 장치(101)가 경로 1(104)을 따라서 이동하였을 때의 경우만 제2 전자 장치(102)에서 전송한 와이파이 전파환경과 유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관도가 높은 경로가 경로 1(104)임을 알 수 있게 되고, 제2 전자 장치(102)가 이동한 경로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 전자 장치(101)는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102)의 이동 트랙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102)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전자 장치(101)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102)가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와 이동한 시간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10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범위를 넘어선 제2 전자 장치(102)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실내에서는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두 개의 전자 장치 상호 간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위성 항법 시스템은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 측위 시스템이 고안되었으나,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자 장치에 추가적인 장치가 부가되어야 하고, 사전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서는 사전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실내에서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한 층 위치와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층에 위치한 경우에는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 제2 전자 장치와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거리가 설정된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12층 건물의 백화점에 부모와 아이가 쇼핑중에 있으며, 부모는 제1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고, 아이는 제2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상호 간에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주의력이 산만한 아이가 부모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는 제2 전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한 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기 위해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부모는 제2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아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제1 전자 장치에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층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이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는 50미터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부모와 아이가 각각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를 소지한 상태이며, 현재 부모와 아이는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임의의 건물에 위치하여, 8층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부모와 아이가 같이 8층의 상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던 중, 주의력이 산만한 아이가 부모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50미터의 거리를 벗어났을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3G 및 4G 망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는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압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현재 제1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을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이 현재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이 현재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이유는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현재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한 기압과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층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과 현재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한 층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현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은 "805.0mmHg"이며, "현재 제2 전자 장치는 10층에 위치하고 있다고 추정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가 시야에서 사라진 것을 확인한 부모는 현재 8층에서 2층을 더 올라가 아이가 위치하고 있는 10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 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이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는 50미터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부모와 아이가 각각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를 소지한 상태이며, 현재 부모와 아이는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임의의 건물에 위치하여, 8층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부모와 아이가 같이 8층의 상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던 중, 주의력이 산만한 아이가 부모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50미터의 거리를 벗어났을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3G 및 4G 망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는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과 현재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한 층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서 정보 중 제1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8층에 위치하고 있던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층으로 이동한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하였다고 추정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나 "제2 전자 장치는 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하였다고 추정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가속도 정보를 분석한 결과 공간 좌표 상의 Z축으로만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전자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8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의 각속도 정보를 분석한 결과 공간 좌표 상의 제2 전자 장치가 X축과 Y축 사이, Y축과 Z축 사이 및 Z축과 X축 사이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전자 장치는 계단을 이용하여 8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수단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501)와 제2 전자 장치(502)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이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는 50미터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보호자와 지적 장애인은 각각 제1 전자 장치(501)와 제2 전자 장치(502)를 소지한 상태이며, 현재 보호자와 지적 장애인은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임의의 건물에 위치하여, 8층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보호자와 지적 장애인이 같이 8층의 상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던 중, 주의력이 산만한 지적 장애인이 보호자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50미터의 거리를 벗어났을 경우, 제1 전자 장치(501)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502)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501)는 제2 전자 장치(502)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은 경우, 제2 전자 장치(502)로부터 와이파이, 3G 및 4G 망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502)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02)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502)는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502)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501)는 제2 전자 장치(502)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501)에서 제2 전자 장치(502)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2 전자 장치(502)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501)는 제2 전자 장치(502)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502)가 감지하였던 기압과 현재 제2 전자 장치(502)가 위치한 층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제1 전자 장치(501)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502)가 현재 10층에 위치하고 있다는 층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501)에서 제2 전자 장치(502)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입력받았다면, 제1 전자 장치(501)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502)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501)는 제2 전자 장치(502)로부터 수신된 센서 정보 중 제1 전자 장치(501)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502)의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501)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8층에 위치하고 있던 제2 전자 장치(502)가 10층으로 이동한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501)는 "제2 전자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하였다고 추정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나 "제2 전자 장치는 계단을 이용하여 이동하였다고 추정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501)에서 제2 전자 장치(502)의 가속도 정보를 분석한 결과 공간 좌표 상의 Z축으로만 제2 전자 장치(502)가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전자 장치(502)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8층에서 10층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501)에서 제2 전자 장치(502)의 각속도 정보를 분석한 결과 공간 좌표 상의 제2 전자 장치가 X축과 Y축 사이, Y축과 Z축 사이 및 Z축과 X축 사이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전자 장치(502)는 계단을 이용하여 8층에서 10층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501)는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502)가 현재 10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전자 장치(502)가 8층에서 10층으로 이동한 수단은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501)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는 현재 제2 전자 장치(502)를 소지하고 있는 지적 장애인의 위치와 이동수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501)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는 제2 전자 장치(502)를 소지하고 있는 지적 장애인을 찾기 위하여 확인된 이동수단 정보에 따라 세부적인 동선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501)가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102)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10층으로 이동하였다고 디스플레이하였다면, 제1 전자 장치(501)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10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실내에서 사람의 이동 동선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2 전자 장치(502)가 이동한 이동 경로를 따라서 제2 전자 장치(502)의 위치를 찾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제1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스캔 정보란 제2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한 BSSID, RSSI, mac address 정보,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제2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상세히 살펴보자. 상술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AP는 A, B 및 C라는 세 개의 AP가 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는 A, B 및 C의 세 개의 AP를 감지하였고, 각각의 AP의 BSSID, RSSI, mac address 정보, 신호 세기를 함께 표시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제2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같은 층에서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한 이동동선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특정 건물에서는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동선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제2 전자 장치의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한 이동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 설정된 전자 장치의 이동 트랙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건물 내 특정 층에서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한 이동동선이 A상점과 B상점을 거처 현재 C상점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현재 제1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가 현재 제2 전자 장치와 같은 층의 A상점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도 7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는 현재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가 A상점에 과거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는 현재 위치를 5분 전에 통과하였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까지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가 A상점을 5분 전에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확인하여, 다른 동선으로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실내에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동선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설정된 몇 개의 이동동선으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제2 전자 장치가 위한 곳으로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종래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없었던 실내에서는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두 개의 전자 장치 상호 간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위성 항법 시스템은 실내와 같이 위성신호가 미약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 측위 시스템이 고안되었으나, 실내에 위치한 전자 장치에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실내 측위를 위한 특별한 장치가 실내에 구비되거나 측위하고자 하는 실내 지역에 대한 사전 측위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하지만, 모든 실내 환경에 이와 같은 내용을 구비하기에는 비용 및 시간의 부담이 따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서는 사전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실내에서도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한 층 위치와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층에 위치한 경우에는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80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던 중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GPS 위치 정보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802).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GPS 위치 정보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803).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3G 및 4G 망 등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추적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인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804).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압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현재 제1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을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이 현재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제1 전자 장치는 수신된 위치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가 위치한 층 위치 정보 및 이동수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805).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기압 정보와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한 기압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한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내의 다른 층으로 이동한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각속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가 다른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이동되었는지 계단을 통하여 이동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806). 즉,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란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하였던 이동 트랙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807).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와 이동한 시간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범위를 넘어선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802)에서, 제1 전자 장치가 GPS 위치 정보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제1 전자 장치의 모든 동작은 바로 종료된다. 또한, 상술한 판단과정(804)에서, 제1 전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전자 장치는 상술한 과정(806)을 반복할 수 있다.
도 9의(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901). 먼저,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던 중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였다면,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GPS 위치 정보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GPS 위치 정보로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와이파이, 3G 및 4G 망 등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추적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인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902).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압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현재 제1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을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이 현재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제1 전자 장치는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903). 즉,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란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와이파이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이동하였던 이동 트랙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와 이동한 시간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범위를 넘어선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의(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장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904).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3G 및 4G 망 등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추적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인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수신된 위치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905).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압 정보는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현재 제1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과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하였던 기압을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유닛은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하였던 기압이 현재 제1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906).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은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와 이동한 시간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범위를 넘어선 제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020), 제1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제2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1), 외부 포트(1060),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 스피커(1051), 마이크로폰(1052), 입출력(IO, Input Output) 시스템(1070), 터치스크린(1080) 및 기타 입력 또는 제어 장치(1090)를 포함한다. 메모리(1010)와 외부 포트(1060)는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0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02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2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 유닛(102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 유닛(1020)은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고,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압과 감지된 기압을 비교하며, 확인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 중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을 감지하고,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유닛(1020)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위치 추적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022)는 메모리(10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023)는 전자 장치(1000)의 입출력 서브시스템(1070) 및 여러 가지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022) 및 메모리(1010)(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에 연결시킨다.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스트림 선(참조번호 미기재)에 의해 결합될(coupled) 수 있다.
외부 포트(1060)는, 휴대용 전자 장치(미도시)를 다른 전자 장치로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포트(106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FIREWIRE 포트 등을 말한다.
움직임 센서(1091) 및 광 센서(1092)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1091) 및 광 센서(1092)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전하 이동량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서브시스템(1093)은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 센서(1092)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을 통해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수신기 및 송수신기 및/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수신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통신 서브 시스템(1031)은 전자 장치(1000)가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또는/및 Bluetooth네트워크 등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0)과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31)은 합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이 스피커(1051) 및 마이크로폰(1052)에 결합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스피커(speaker)(1051) 및 마이크로폰(1052)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프로세서 유닛(1020)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23)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스트림(electric signal)는 스피커(1051)로 전달된다. 스피커(1051)는 전기 스트림을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052)은,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052)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제2 센서에서 설정된 거리 내에 물체가 위치하고 있음을 감지하였다면 동작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마이크로폰(1052)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스트림을 수신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수신한 전기스트림을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주변 인터페이스 (10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10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Input/Output) 서브시스템(1070)은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 및/또는 기타 입력 제어기(107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071)는 터치 스크린(108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8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071)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108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1072)는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1090)에 하나 이상의 버튼, 로커(r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터 장치 등 일수 있다.
터치스크린(1080)은 전자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08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1000)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 (108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08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10980)은,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980)은,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980)은, 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980)은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021)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모듈(1011), 통신 모듈(1012), 그래픽 모듈(10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 및 MPEG 모듈(1015), 카메라 모듈(1016),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1011)[예를 들어,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모듈(1012)은, 무선통신 서브시스템(1030, 1031)이나 외부 포트(106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모듈(1012)은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012)은 호출된 위치 추적 정보를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013)은 터치스크린(10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코덱(CODEC) 모듈(10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은 MPEG 모듈 및/또는 H204 모듈과 같은 비디오 스트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은 AAA, AMR, WMA 등 여러 가지 오디오 파일용 코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덱 모듈(1015)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017)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01: 제1 전자 장치 102: 제2 전자 장치
103: 설정된 거리 501: 제1 전자 장치
502: 제2 전자 장치 1000: 전자장치
1010: 메모리 1011: 운영체제 모듈
1012: 통신모듈 1013: 그래픽 모듈
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15: CODEC 모듈
1016: 카메라 모듈 1017: 애플리케이션
1020: 프로세서 유닛 1021: 메모리 인터페이스
1022: 프로세서 1023: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1030: 제1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31: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
1050: 오디오 서브 시스템 1051: 스피커
1052: 마이크로폰 1060: 외부 포트
1070: 입출력 시스템 1071: 터치 스크린 제어기
1072: 기타 입력 제어기 1080: 터치 스크린
1090: 기타 입력/제어 장치들 1091: 움직임 센서
1092: 제1 광 센서 1093: 카메라 서브 시스템
1094: 제1 센서

Claims (32)

  1.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 중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sensor information)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Wireless Fidelity scan in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atmospheric pressure information), 각속도 정보(angular velocity information), 가속도 정보(acceleration information) 및 시간 정보(time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며,
    상기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가속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층간 이동할 때의 이동수단을 판단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RSSI(Service Set IDentifier)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기압과 감지된 기압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 중 센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 중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위치 추적 정보를 호출(call)하는 과정; 및
    상기 호출된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감지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감지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 중인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면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음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며,
    상기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가속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층간 이동할 때의 이동수단을 판단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센서 정보에 포함된 기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압과 감지된 기압을 비교하며, 상기 확인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추정 정보 중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감지한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감지된 기압과 설정된 범위 내의 기압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추적 정보 중 와이파이 스캔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AP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트랙 정보 및 현재의 위치를 이동하였다면 이동하였던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검색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 중인 제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위치 추적 정보를 호출하는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호출된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정보는,
    감지된 센서 정보 및 와이파이 스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감지된 기압 정보, 각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스캔 정보는,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AP,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 신호 세기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의 구별 인자는,
    상기 AP의 BSSID, RSSI 및 mac addres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30815A 2012-11-19 2012-11-19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8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15A KR101887422B1 (ko) 2012-11-19 2012-11-19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083,683 US9097537B2 (en) 2012-11-19 2013-11-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 information of se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15A KR101887422B1 (ko) 2012-11-19 2012-11-19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02A true KR20140064002A (ko) 2014-05-28
KR101887422B1 KR101887422B1 (ko) 2018-09-10

Family

ID=5072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15A KR101887422B1 (ko) 2012-11-19 2012-11-19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97537B2 (ko)
KR (1) KR101887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119B2 (en) * 2013-11-20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Using sensor data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ximally-relevant group communications
US9813992B2 (en) * 2013-12-06 2017-11-07 Mcp Llc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tracking a location of a person on a map of a monitored premise
JP6174992B2 (ja) * 2013-12-20 2017-08-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880712B2 (en) * 2014-09-14 2020-12-29 Eugene Joseph Bransfield Multifunction scanner and computer
US10791415B2 (en) 2014-09-14 2020-09-29 Eugene Joseph Bransfield Hand-held, simplified WiFi scanner
US9476717B2 (en) 2014-10-27 2016-10-25 Indooratlas Oy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y using Earth's magnetic fields
US10206068B2 (en) * 2015-07-09 2019-02-12 OneMarket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9819509B2 (en) * 2015-07-17 2017-11-14 ARC Informatique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control of equipment and facility resources
CN106230653A (zh) * 2016-07-21 2016-12-14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一种以mac码为主键的数据整合方法
US9883373B1 (en) * 2016-09-15 2018-01-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obile technology microcellular service
CN108692732A (zh) * 2017-04-12 2018-10-23 广东工贸职业技术学院 室内导航方法及装置
US11156694B2 (en) * 2017-12-08 2021-10-26 Here Global B.V. Supporting a selection of a floor
EP4086736A1 (en) * 2018-02-23 2022-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ordinating alignment of coordinate systems used for a computer generated reality device and a hapt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291A (ko) *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미아방지 시스템
KR20120066733A (ko) * 2010-12-07 2012-06-25 이상서 센서를 이용한 인 빌딩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이동통신망 무선 정보 수집 방법과 이를 활용한 인 빌딩 측위 방법
JP2012216984A (ja) * 2011-03-31 2012-11-0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2752B2 (en) 2003-10-22 2007-12-25 Awarepoint Corporation Wireless position location and tracking system
JP2011102707A (ja) * 2009-11-10 2011-05-26 Seiko Epson Corp 測位装置及び測位方法
EP2597486A4 (en) 2010-07-21 2014-03-12 Korea Trad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RVICES FOR INTERIOR NAVIGATION
JP6031735B2 (ja) * 2011-06-13 2016-1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88810B2 (en) * 2011-11-30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location tracking on smart phones
US8953890B2 (en) * 2011-12-13 2015-02-10 Sap Se Usage of visual reader as an input provider in portals
US9253607B2 (en) * 2011-12-16 2016-02-02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determination and navigation using textual information
US8904410B2 (en) * 2012-01-31 2014-12-02 MCub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event detection
US20130281023A1 (en) * 2012-04-20 2013-10-24 General Motors Llc Enabling features and display reminders on a mobile phone
US8732031B2 (en) * 2012-06-12 2014-05-20 Sensity Systems, Inc. Lighting infrastructure and revenue model
US8934884B2 (en) * 2012-09-21 2015-01-13 SenionLab AB Method and device for indoor position resolu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291A (ko) *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미아방지 시스템
KR20120066733A (ko) * 2010-12-07 2012-06-25 이상서 센서를 이용한 인 빌딩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이동통신망 무선 정보 수집 방법과 이를 활용한 인 빌딩 측위 방법
JP2012216984A (ja) * 2011-03-31 2012-11-08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422B1 (ko) 2018-09-10
US20140142846A1 (en) 2014-05-22
US9097537B2 (en) 201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422B1 (ko) 설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667542B (zh) 使用伙伴设备的位置确定
EP2962066B1 (en) Indoor positioning using disambiguation information from other mobile devices
CN104956236B (zh) 用于生成位置指纹数据的调查技术
KR101997771B1 (ko) 저 전력으로 지오 펜스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664513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JP6087693B2 (ja) チャネル毎の電波受信強度に基づいて特定位置を検知する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811482A (zh) 移动设备位置估计
WO2013058895A1 (en) Image and video based pedestrian traffic estimation
KR20140054960A (ko) 음성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38848B2 (en) Venue data prefetch
KR20140025939A (ko) 음성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마이크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09005226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 인식 및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4567903A (zh) 获取导航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US100515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60295546A1 (en) Position estimation apparatus, position estimation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recording medium, and position estimation system
CN108093362B (zh) 定位模块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2016009019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US10823577B2 (en)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CN110622528A (zh) 一种信息推荐方法及装置
KR20150092855A (ko) 비컨 장치를 이용한 타겟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타겟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5001187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추적 방법
KR101954800B1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573198B1 (ko)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