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00B1 -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00B1
KR101954800B1 KR1020120086069A KR20120086069A KR101954800B1 KR 101954800 B1 KR101954800 B1 KR 101954800B1 KR 1020120086069 A KR1020120086069 A KR 1020120086069A KR 20120086069 A KR20120086069 A KR 20120086069A KR 101954800 B1 KR101954800 B1 KR 10195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location
ser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939A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8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의 요청을 받으면, 상대방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정보 요청에 따라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POSITIONINNG SERVICE SYSTEM, METHOD AND PROVIDING SERVICE APPARATUS FOR LOCATION INFORMATION, MOBILE IN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이 급증하고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다양한 컨텐츠 정보(예컨대, 교통정보, 광고, 여행정보, 지역정보, 전자상거래, 공연정보 등)를 결합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즉, 개인의 이동성이 커지면서 안전 및 긴급 구난 서비스, 이동 중에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및 가족 구성원의 위치 찾기 서비스 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사는 셀(CELL)방식의 위치 추적(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휴대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을 내장한 GPS 방식의 위치 추적 서비스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기존의 GPS 방식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식은 오차 범위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제공이 어렵다.
특허문헌: KR 10-2011-0020572 A, 2011년 03월 03일 공개 (명칭: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검출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관심 분야의 관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대방 주변의 영상을 이용하여 검출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위치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대방의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말장치와, 제1 단말장치의 위치 요청에 따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말장치 및 제1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의 요청을 받으면, 제2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정보 요청에 따라 제2 단말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하고,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장치는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관심정보를 요청 받으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위치에서의 관심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관심정보를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 받으면, 제2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정보 요청에 따라 제2 단말장치로부터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하고,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제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식별정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영상정보 분석부 및 영상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관심정보를 요청받으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위치에서의 관심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관심정보를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관심정보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식별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에 대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장치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서비스장치로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 및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장치로부터 영상정보 요청을 받으면, 주변에 있는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위치정보를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실행 화면에 위치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 받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제1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 요청 시 수신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제2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제2 단말장치에서 주변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장치가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부터 관심정보를 요청받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위치에서의 관심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검색된 관심정보를 제1 단말장치 또는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제1 단말장치로 위치정보를 전송함에 따른 결과 및 검출된 위치정보를 제2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장치에서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요청한 단말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단말장치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놀이공원, 대형서점, 빌딩, 백화점 등과 같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거나, 잘 알려진 장소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GPS 등과 같은 위치 검출장치를 통해 위치정보를 추출할 경우, 정밀도가 떨어지고, 오차범위가 생기게 되는데, 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주변의 랜드마크(Landmark), 문화재 등과 같은 대표 사물과, 주변 간판에 포함된 텍스트들의 연관성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에 대한 지형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리고자 할 경우, 주변의 영상정보를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은 영상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지 못하더라도,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장치(100: 100a, 100b), 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나 다수의 단말장치(1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장치(1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위치 확인 서비스에 대한 회원 가입을 하거나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대방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장치(200)로 상대방 단말장치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휴대폰 번호 등의 고유 식별 번호)를 전송하면서, 상대방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상대방이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얻은 위치정보를 촬영된 영상을 함께 제공받아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통해 상대방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된 현재 상대방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분야별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장치(200)로 관심정보를 요청하여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에 관련한 검색된 관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관심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관심 분야로 맛집을 입력한 경우, 상대방의 현재 위치 주변의 맛집을 검색하여 얻은 결과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심정보는 일반적인 데이터 형태 및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킬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관심정보를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에 반영하여 관심정보를 지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관심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관심정보를 확인하여 예를 들어, 상대방과의 약속 장소를 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위치정보를 통해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여 현재 위치에서 관심정보를 통해 확인한 맛집, 쇼핑몰, 카페, 공원 등의 장소를 약속 장소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에 반영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지도로 표현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위치로 이동 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사용자가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해줄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위치를 요청받는 입장인 경우,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를 요청받고, 요청에 따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그대로 또는 편집하여 얻은 영상정보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은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촬영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 등에 대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장치(200)가 상대방 단말장치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위치정보 전송에 대한 결과와 함께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장치(100)가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단말기이거나,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면, 사용자가 낯선 장소에서 현재 자신의 위치한 장소가 어디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수신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위치정보를 통해 현재 자신이 위치한 장소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0)는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 장치로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상대방의 위치정보를 요청 받으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대방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즉,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a)로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 등에 대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가 촬영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1차로 적용된 위치 추적 기반 방식의 위경도 좌표에 따라 일정 범위 내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0)는 검출된 범위 내의 위치정보 중에서 영상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2차로 최종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가 촬영된 위치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0)는 검출한 위치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요청한 단말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상대방 단말장치로 위치정보 전송에 대한 결과 및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장치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관심정보 요청을 받으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검출된 위치정보에 따른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정보를 요청한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촬영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위치 확인 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며, 상대방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할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장치(200)로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대방 단말장치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휴대폰 번호 등의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상대방이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얻은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상대방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정보를 통해 확인된 현재 상대방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관심 분야별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여 관심정보를 요청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장치(200)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위치정보에 관련한 검색된 관심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심정보를 출력부(16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에 수신된 관심정보를 적용하기 위해,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관심정보를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일 예로, 관심정보가 맛집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지도 실행 화면에 표시된 지도 상에 수신된 맛집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해준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미리 설치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위치정보를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11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정보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위치정보가 상대방 위치정보가 아닌,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의 출발지 정보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목적지 또는 출발지로 설정된 위치정보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여 네비게이션 실행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10)는 촬영부(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들을 데이터 처리하고, 데이터 처리된 영상정보를 영상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은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도록 촬영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함에 따라 관심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저장부(150)에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식별정보로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촬영부(130)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단말장치(100)에 연결된 카메라로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주변 영상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통신부(14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를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4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4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40)는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서비스장치(200)와 관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고, 단말장치(100)가 위치 확인을 요청받는 입장이면, 통신부(14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장치(200)로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저장부(150)는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정보,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관심정보를 저장하며, 위치정보 및 관심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지도 및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6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위치 확인 서비스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관심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160)는 위치정보 또는 관심정보를 적용할 수 있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동작 등의 제어를 수행하며,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정보를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10)는 영상정보 분석부(211), 위치정보 검출부(212) 및 관심정보 검색부(2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영상정보 분석부(211)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상대방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하고,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장치로 생성된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영상정보 분석부(211)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리고, 영상정보 분석부(211)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이후, 영상정보 분석부(211)는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a)로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으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 등에 대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검출부(212)는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검출부(212)는 이러한 영상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관성에 따라 상대방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검출부(212)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간판인 경우, 간판에 기록된 상호명, 전화번호 등을 인식하여 인식된 상호명, 전화번호 등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위치정보 검출부(212)는 자신이 데이터베이스에 식별정보를 분석한 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매칭되는 위치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식별정보를 분석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212)는 검출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요청한 단말장치(100)로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관심정보 검색부(213)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관심정보 요청을 받으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확인하고, 검출된 위치정보에 따른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정보를 요청한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필요에 따라 상대방 단말장치로 위치정보 전송에 대한 결과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관심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고, 단말장치(100)로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변 영상을 촬영한 단말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 처리한 영상정보를 포함한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저장부(230)는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 검출된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관심정보를 저장하며, 요청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위치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결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장치(100)는 제1 단말장치(100a)라 명하고,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100b)라 명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서비스장치(200)나 다수의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나 다수의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 Script나 ECMA 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장치(100a)는 1101단계에서 제2 단말장치(100b)의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확인된 식별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장치(200)는 1102단계에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할 상대방 단말장치인 제2 단말장치(100b)로 영상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2 단말장치(100b)는 1103단계에서 주변의 영상들을 촬영하여 위치 확인을 위한 주변 영상들을 수집하고, 제2 단말장치(100b)는 1104단계에서 수집된 주변 영상들을 데이터 처리한 영상정보를 포함한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200)는 1105단계에서 제2 단말장치(100b)로부터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즉,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비스장치(200)는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정보 전송 메시지와 관련된 식별정보(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 등)를 확인한다.
영상정보와 관련된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장치(200)는 확인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검출한다. 즉, 서비스장치(200)는 식별정보와 연관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의 비교 과정을 통해 유사하거나 동일한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위치정보로 선정한다. 이때, 위치 추적 방식은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LBS) 등을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제한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되는 수리적 위치, 주변과의 관계로 표시되는 관계적 위치,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으로 표시되는 상대적 위치, 기준선을 중심으로 표시되는 좌표 위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GPS 등과 같은 위치 검출장치를 통해 위치정보를 추출할 경우, 정밀도가 떨어지고, 오차범위가 생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정보를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비스장치(200)는 랜드마크, 문화재 등과 같은 대표 사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정보에 랜드마크 또는 문화재 등과 같은 대표 사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영상정보에 포함된 주변 간판들의 텍스트에 대한 연관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장치(200)는 텍스트들의 연관성으로 지명에 해당하는 단어가 복수의 간판에서 나오거나, 특정 음식명이 복수의 간판에 표기된 경우 이들을 관계를 조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검출된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a)로 전송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 정류장 등으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는 건물, 간판, 공원, 역, 버스정류장 등에 대한 텍스트, 전화번호, 상표, 로고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서비스장치(200)는 1106단계에서 검출된 위치정보 및 제2 단말장치(100b)에서 수신한 영상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제1 단말장치(100a)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a)는 1107단계에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장치(100b)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정보 및 파악된 위치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1108단계에서 제1 단말장치(100a)로 위치정보를 제공하였음을 알리는 결과 및 검출된 위치정보를 제2 단말장치(100b)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파악된 위치에서 얻을 수 있는 관심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여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제1 단말장치(100a) 또는 제2 단말장치(100b)는 1110단계에서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포함한 관심정보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장치(200)는 수신된 입력정보에 매칭되는 위치정보에 따른 관심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관심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a) 및 제2 단말장치(100b)로 전송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과 DVD-ROM(Digital Video Disk)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비스장치,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영상을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요청한 단말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단말장치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으로,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장치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촬영부 140: 통신부
150: 저장부 160: 출력부 200: 서비스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211: 영상정보 분석부 212: 위치정보 검출부
213: 관심정보 검색부

Claims (13)

  1. 위치정보의 요청에 따라 상대방의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1 단말장치;
    상기 제1 단말장치의 위치 요청에 따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제2 단말장치; 및
    상기 제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의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2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복수의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검출된 위치정보에 따른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정보를 요청한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요청 받으면, 제2 단말장치로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관련된 위치정보의 범위를 위치 추적 방식에 따라 선정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기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선정된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검출된 위치정보에 따른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정보를 요청한 상기 제1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단말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정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영상정보 분석부; 및
    상기 영상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위치정보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삭제
  6. 삭제
  7.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서비스장치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주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통해 검출된 위치정보 및 상기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심 분야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른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제공받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86069A 2012-08-07 2012-08-07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95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069A KR101954800B1 (ko) 2012-08-07 2012-08-07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069A KR101954800B1 (ko) 2012-08-07 2012-08-07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39A KR20140019939A (ko) 2014-02-18
KR101954800B1 true KR101954800B1 (ko) 2019-03-07

Family

ID=5026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069A KR101954800B1 (ko) 2012-08-07 2012-08-07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024B1 (ko) * 2016-11-04 2017-11-10 렉스젠(주) 상호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3017B1 (ko) * 2019-10-29 2020-01-07 주식회사 코드42 맵 매칭 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맵 매칭 보정 방법
KR102405235B1 (ko) * 2020-08-28 2022-06-07 주식회사 수리텍 이미지 비교 기반 카메라 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000A (ko)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56580A (ko) * 2004-11-22 2006-05-2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 검색 방법
KR20100041926A (ko) * 2008-10-15 2010-04-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KR100987513B1 (ko) * 2009-03-09 2010-10-12 김진양 위치기반 통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9010B1 (ko) 2009-08-24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KR101232864B1 (ko) * 2010-02-25 2013-02-19 김희남 이동 단말에 대한 주변 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39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654B2 (ja) 関心地点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938355B2 (en) Human assisted techniques for providing local maps and location-specific annotated data
US9080882B2 (en) Visual OCR for positioning
US95004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ltitude in portable terminal
CN104798417B (zh) 基于语义位置的地理围栏
US2017017620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US20190212151A1 (en) Facility navigation
WO2018107996A1 (zh) 路线规划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终端
TW201428236A (zh) 室內定位系統及方法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EP26724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data
TWI749532B (zh) 一種定位方法及定位裝置、電子設備和電腦可讀儲存媒介
US201402877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xt-aware information using local service information
KR101954800B1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CN117128959A (zh) 寻车导航方法、电子设备、服务器及系统
KR20080088434A (ko) 탐색 시스템, 탐색 시스템의 관리 서버, 탐색 시스템의이동 통신 장치, 탐색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34896A (ko) 검색 장소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241678B (zh) 兴趣点数据的挖掘方法和装置
CN102957741A (zh) 用于访问基于位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KR1006711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6058455A1 (zh) 信息获取方法及装置
JP4915311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方法
KR20150015836A (ko) 클라우드 기반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7291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936611B1 (ko) 사용자 장치를 통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