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989A -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989A
KR20140063989A KR1020120130797A KR20120130797A KR20140063989A KR 20140063989 A KR20140063989 A KR 20140063989A KR 1020120130797 A KR1020120130797 A KR 1020120130797A KR 20120130797 A KR20120130797 A KR 20120130797A KR 20140063989 A KR20140063989 A KR 2014006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ing
dust cover
cover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지
Priority to KR102012013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989A/ko
Publication of KR2014006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6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rotary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9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인 더스트 커버, 더스트 링,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을 하나의 조립장치 측으로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 스터드에 조립되는 부품인 더스트 커버, 더스트 링, 인너 커버, 클램프 링을 각각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1개씩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더스트 커버 공급부, 더스트 링 공급부, 인너 커버 공급부, 클램프 링 공급부들과, 더스트 커버 공급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더스트 커버의 상부 외주면에 더스트 링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결합부와, 더스트 링 결합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 위치로 더스트 커버를 이송시키는 더스트 커버 이송부와, 이송된 더스트 커버의 상측으로 상기 더스트 링을 이송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이송부와, 더스트 링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와 외부로 인출되는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을 순차적으로 파지한 후에 이송시키는 부품 이동수단과, 부품 이동수단을 통해 공급된 각 부품들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되고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턴테이블 공급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PARTS IN BALL JOINT}
본 발명은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인 더스트 커버, 더스트 링,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을 하나의 조립장치 측으로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조인트는 현가장치에서 예를 들어 어퍼암(upper arm)과 로워암(lower arm), 측부암의 결합부분에 적용되는 기계 부품으로서, 회전 및 요동이 이루어지는 부시(bush) 또는 부시조인트 적용부위에 장착되고 있다.
또한, 서스펜션이나 스티어링 시스템에는 볼 조인트가 많이 사용되고, 이러한 볼 조인트의 구조는 구형의 볼 스터드와 이를 양측에서 감싸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기존 볼 스터드(Ball Stud)의 제조공정은 열처리가 필요한 구조용강재를 어닐링(Annealing:풀림)처리하여 헤드부와 테이퍼부 및 꼬리부로 구성되고 구상화 된 냉간단조품을 형성하고, 냉간단조품을 다시 퀀칭(Quenching:담금질), 템퍼링(Tempering:뜨임)에 의한 열처리를 하여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후에, 상기와 같은 열처리(퀀칭, 템퍼링)된 냉간단조품의 꼬리부에 핀홀구멍가공을 한 후, 냉간단조품의 목부와 헤드부의 절삭가공을 하여 볼 스터드의 형체를 갖춘다. 냉간단조품의 헤드부 절삭가공이 완료되면, 다시 헤드부에 버니싱(Burnishing)공정을 하여 거칠기를 연마하고 최종적으로 꼬리부의 나사 전조공정을 거치면서 볼 스터드의 제품을 완성하는 제조공정을 갖는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볼 스터드는 헤드부의 직경과 꼬리부(이하, 하단부라 칭함)간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기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볼 스터드를 타이로드 엔드에 적용되는 볼 조인트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타이로드 엔드 부분과 나사 결합시킨 후에, 인너커버 및 더스트 커버를 삽입하고 클램프 링을 결합시키는 조립공정을 통해 타이로드 엔드에 적용되는 볼 조인트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더스트 커버는 상부 외주면에 더스트 링이 결합되는 과정과, 더스트 커버의 조립 위치에 해당하는 볼 스터드의 외주면에 그리스를 도포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기존의 인너커버, 더스트 커버 및 클램프 링의 조립과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각각의 제조공정별 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이송시켜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 각각의 조립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부품들을 적시적소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하나의 조립장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부품들을 원활하게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볼조인트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인 더스트 커버, 더스트 링, 인너 커버, 클램프 링을 각각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1개씩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각각의 공급부들과,
상기 인출되는 더스트 커버의 상부 외주면에 더스트 링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결합부와,
상기 더스트 링 결합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 위치로 상기 더스트 커버를 이송시키는 더스트 커버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더스트 커버의 상측으로 상기 더스트 링을 이송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이송부와,
상기 더스트 링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와 외부로 인출되는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을 순차적으로 파지한 후에 이송시키는 부품 이동수단과,
상기 부품 이동수단을 통해 공급된 각 부품들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되고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턴테이블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 링 결합부는 상기 이송된 더스트 링과 상기 조립 위치로 이송된 더스트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태의 제 1결합 보조구와,
상부가 핀 결합되고 하단부 둘레에 탄성링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확장 및 복원 가능한 복수의 핑거를 가지며, 상기 제 1결합 보조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결합 보조구에 끼워진 더스트 링을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측으로 밀어서 결합시키기 위한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핑거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력을 부여하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 이송부는 상기 더스트 커버 공급부로부터 인출된 더스트 커버를 파지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파지구와,
상기 더스트 커버 파지구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와,
상기 더스트 커버 파지구를 전,후로 동작시켜 상기 더스트 커버를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부품 이동수단은 상부에 이동 레일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더스트 링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이 외부 인출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더스트 링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를 파지하기 위한 제 1그립부와, 상기 인너 커버를 파지하는 홀더 및 상기 클램프 링의 내주면 둘레를 파지하는 제 2그립부를 갖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의 제 1,2그립부 및 홀더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2그립부 및 홀더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제 1,2,3이동 실린더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턴테이블 공급부는 턴테이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들이 안착되는 제 1,2안착부와,
상기 제 1,2안착부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너 커버가 끼움 결합되는 제 2결합 보조구가 안착되는 제 3,4안착부와,
상기 제 3,4안착부의 외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링이 끼움 결합되는 제 3결합 보조구가 안착되는 제 5,6안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볼 조인트의 부품들인 더스트 링, 더스트 커버, 인너 커버, 클램프 링들의 공급시 더스트 링과 더스트 커버의 선 조립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나머지 부품들을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볼 조인트 조립장치측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볼 조인트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더스트 링과 더스트 커버의 결합을 위한 더스트 커버 이송부와 더스트 링 결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핑거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더스트 링 이송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더스트 커버 이송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부품 이동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턴테이블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제 1,2,3,4,5,6안착부에 각각의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 턴테이블 공급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은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인 더스트 커버, 더스트 링, 인너 커버 및 클램프 링을 하나의 조립장치 측으로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볼 스터드에 조립되는 부품인 더스트 커버(10; dust cover), 더스트 링(20; dust ring), 인너 커버(30; inner cover), 클램프 링(40; clamp ring)을 각각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1개씩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더스트 커버 공급부(100), 더스트 링 공급부(200), 인너 커버 공급부(300), 클램프 링 공급부(350)들과, 더스트 커버 공급부(1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더스트 커버(10)의 상부 외주면에 더스트 링(20)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결합부(400)와, 더스트 링 결합부(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 위치로 더스트 커버(10)를 이송시키는 더스트 커버 이송부(150)와, 이송된 더스트 커버(10)의 상측으로 상기 더스트 링(20)을 이송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이송부(250)와,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와 외부로 인출되는 인너 커버(30) 및 클램프 링(40)을 순차적으로 파지한 후에 이송시키는 부품 이동수단(500)과, 부품 이동수단(500)을 통해 공급된 각 부품들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되고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턴테이블 공급부(60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공급부는 도면에는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더스트 커버(10), 더스트 링(20), 인너 커버(30), 클램프 링(40)을 각각 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출구측에 일렬로 정렬되도록 출구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출구가이드측으로 부품들을 공급하는 컨베이어 등의 이송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더스트 링 결합부(400)는 이송된 더스트 링(20)과 조립 위치로 이송된 더스트 커버(1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태의 제 1결합 보조구(610)와, 상부가 핀(455) 결합되고 하단부 둘레에 탄성링(426)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확장 및 복원 가능한 복수의 핑거(422)를 가지며 제 1결합 보조구(6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결합 보조구(610)에 끼워진 더스트 링(20)을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측으로 밀어서 결합시키기 위한 핑거부(420)와, 핑거부(4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핑거부(4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력을 부여하는 승강 실린더(410)로 구성된다.
핑거(422)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탄성링(426)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42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결합 보조구(610)는 상부의 직경이 작고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콘(cone) 형상을 가지며, 신축 가능한 더스트 링(20)의 특성을 이용하여 핑거부(420)의 하강 동작시 더스트 링(20)을 더스트 커버(10)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스트 커버 이송부(150)는 더스트 커버 공급부(1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더스트 커버(10)를 더스트 링(20)과의 결합을 위한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그 구성은 더스트 커버 공급부(100)로부터 인출된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와,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와 연결된 고정블록(155)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156)와,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를 전,후로 동작시켜 상기 더스트 커버를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154)로 구성된다.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는 더스트 커버(10)의 상부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복수의 파지 핑거를 가지며, 에어 압력에 의해 파지 핑거를 개폐시키는 공지의 에어 척(air chuck)을 갖는다.
에어 척 외에도 파지 핑거를 개폐시키는 수단으로는 에어 실린더를 이용하여 파지 핑거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제 1,2액츄에이터(156,154)는 일 예로, 에어 압력으로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를 승강 또는 전,후 동작시키는 에어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그외에도 더스트 커버 이송부(150)는 에어호스 및 케이블등을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의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케이블베이어(cableveyor; 157)가 마련되어 있다.
더스트 링 이송부(250)는 O링 형태의 더스트 링(20)의 테두리 내측에서 양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핑거(252)와, 지지핑거(252)의 단부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지지 척(251)과, 지지 척(251)의 상부와 연결된 지지블록(255)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 1이송실린더(254)와, 제 1이송실린더(254)가 연결된 연결블록(257)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 2이송실린더(256)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품 이동수단(500)은 상부에 이동 레일(505)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502)과, 이동 레일(505) 상에서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 인너 커버(30) 및 클램프 링(40)이 외부 인출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 1,2,3이동실린더(542,544,546)로 구성된다.
클램핑부는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하기 위한 제 1그립부(510)와, 상기 인너 커버(30)를 파지하는 홀더(520) 및 상기 클램프 링(40)의 내주면 둘레를 파지하는 제 2그립부(530)를 갖는다.
제 1실린더(542)는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하는 제 1그립부(510)를 승강시키고, 제 2실린더(544)는 클램프 링(40)의 내주면 둘레를 지지하는 제 2그립부(530)를 승강시키며, 제 3실린더(546)는 인너 커버(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홀더(520)를 상,하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2,3실린더(542,544,546)는 일 예로 에어의 공급에 따라 동작되는 에어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이동수단(500)은 이동 레일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의 클램핑부가 종방향으로 배치된 이동 레일을 따라 각 부품들을 종방향으로 같이 이송시키는 것도 있으나, 이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충분히 설명 가능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 부품 이동수단(500)은 각 부품들이 안착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는 대차를 채택할 수도 있으나, 이는 단지 이송 설비에 불과하며 공지의 이송 장치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외에도 클램핑부의 이동시 케이블 및 에어호스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프레임(502)의 상부에 이동케이블베이어(570)가 마련되어 있다.
턴테이블 공급부(600)는 턴테이블(605)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판(620)과, 회전판(62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10)들이 안착되는 제 1,2안착부(632a,632b)와, 제 1,2안착부(632a,632b)의 외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너 커버(30)가 끼움 결합되는 제 2결합 보조구(640)가 안착되는 제 3,4안착부(634a,634b)와, 제 3,4안착부(634a,634b)의 외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링(40)이 끼움 결합되는 제 3결합 보조구(650)가 안착되는 제 5,6안착부(636a,636b)로 구성된다.
즉, 제 1,3,5안착부가 회전판(6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 2,4,6안착부가 회전판(62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 2,3결합 보조구(640)(650)는 상부에 볼 조인트 조립장치로 부품을 이송하는 클램프의 파지를 위해 파지홈(642,6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는, 부품들 각각의 공급부에서 출구가이드를 통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외부로 인출되고, 더스트 링 결합부(400)에서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에 더스트 링(20)이 결합된다.
더스트 링(20)과 더스트 커버(10)의 결합과정은 승강 실린더(410)의 하강 동작시 핑거부(420)의 핑거(422)가 콘 형태의 제 1결합 보조구(610)의 직경 차이로 인해 핀(425)을 매개로 회전되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더스트 링(20)을 더스트 커버(10)의 상부 측으로 밀어서 끼움 결합시키게 되며, 더스트 링(20)과 더스트 커버(1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승강 실린더(410)의 상승 동작시 상승하면서 탄성링(426)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오므려들게 된다.
상기한 결합을 위한 더스트 링(20)의 이송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스트 링(20)을 지지한 지지핑거(252)가 제 1,2이동실린더(254,256)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및 전,후 동작되어 더스트 링(20)을 더스트 커버(10)와의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더스트 커버(10)의 이송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2액츄에이터(156,154)를 이용하여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와 연결된 고정블록(155)을 상,하 및 전,후로 동작시켜 더스트 링(20)과의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클램핑부의 제 1그립부(510)가 제 1이동실린더(542)에 의해 하강 동작되어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한 상태로 상승 동작되고, 이동 레일(505) 상에서 인너 커버 공급부(300)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클램핑부의 홀더(520)가 제 3이동실린더(546)에 의해 하강 동작되어 인너 커버 공급부(300)로부터 외부 인출된 인너 커버(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파지한 후에 다시 상승되고, 이동 레일(505)을 따라 클램프 링 공급부(35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후에, 클램핑부의 제 2그립부(530)가 제 2이동실린더(544)의 동작에 의해 하강 동작되어 클램프 링(40)의 내주면 둘레를 지지한 상태로 상승된 후에 턴테이블 공급부(600)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품 이동수단(500)이 이동 레일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종방향 및 각 부품들이 안착된 상태로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대차를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부품이동수단의 클램핑부에 의해 각각의 부품들이 턴테이블 공급부(600)에 공급되는 것으로 표현한다.
클램핑부의 제 1,2그립부(510,530) 및 홀더(520)에 의해 이동되는 각각의 부품들은 턴테이블 공급부(600)의 제 1,2,3,4,5,6안착부들 중 제 1,3,5안착부 또는 제 2,4,6안착부에 한 세트로 공급된다.
이때, 각각의 부품들 중 인너 커버(30)와 클램프 링(40)은 제 3,5안착부 또는 제 4,6안착부에 안착된 제 2,3결합 보조구에 끼움 결합된다.
즉, 인너 커버(30)는 제 3,4안착부(634a,634b) 중 하나의 안착부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2결합 보조구(64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클램프 링(40)은 제 5,6안착부(636a,636b) 중 하나의 안착부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콘 형태의 제 3결합 보조구(65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또,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는 제 1,2안착부(632a,632b) 중 하나의 상부에 안착되는 공급과정을 갖는다.
각 부품들이 공급된 후에는 턴테이블(605)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판(620)이 회전 동작되고, 이로 인해 제 1,3,5안착부 또는 제 2,4,6안착부가 도면에 미도시된 볼 조인트 조립장치측에 공급되기 전의 공급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일 예로, 볼 조인트 조립장치에 회전판(620)의 일측에 위치하는 부품들이 공급될 때 타측의 안착부들에 부품 이동수단(500)에 의한 부품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턴테이블(605)의 회전 동작에 의해 부품의 공급 및 전달이 연속적으로 이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볼 조인트의 조립과정에 필요한 소모성 부품들인 더스트 링(20), 더스트 커버(10), 인너 커버(30), 클램프 링(40)들의 공급시 더스트 링(20)과 더스트 커버(10)의 선 조립과정을 거친 후에 나머지 부품들을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볼 조인트 조립장치로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더스트 커버 20 : 더스트 링
30 : 인너 커버 40 : 클램프 링
100 : 더스트 커버 공급부 150 : 더스트 커버 이송부
152 : 더스트 커버 파지구 156,154 : 제 1,2액츄에이터
200 : 더스트 링 공급부 300 : 인너 커버 공급부
350 : 클램프 링 공급부 400 : 더스트 링 결합부
410 : 승강 실린더 420 : 핑거부
422 : 핑거 425 : 핀
426 : 탄성링 500 : 부품 이동수단
502 : 프레임 505 : 이동 레일
510 : 제 1그립부 520 : 홀더
530 : 제 2그립부 542,544,546 : 제 1,2,3실린더
600 : 턴테이블 공급부 605 : 턴테이블
610 : 제 1결합 보조구 620 : 회전판
632a,632b : 제 1,2안착부 634a,634b : 제 3,4안착부
636a,636b : 제 5,6안착부 640 : 제 2결합 보조구
650 : 제 3결합 보조구

Claims (5)

  1.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부품인 더스트 커버(10), 더스트 링(20), 인너 커버(30), 클램프 링(40)을 각각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1개씩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각각의 공급부(100)(200)(300)(350)들과,
    상기 인출되는 더스트 커버(10)의 상부 외주면에 더스트 링(20)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결합부(400)와,
    상기 더스트 링 결합부(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조립 위치로 상기 더스트 커버(10)를 이송시키는 더스트 커버 이송부(150)와,
    상기 이송된 더스트 커버(10)의 상측으로 상기 더스트 링(20)을 이송시키기 위한 더스트 링 이송부(250)와,
    상기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와 외부로 인출되는 인너 커버(30) 및 클램프 링(40)을 순차적으로 파지한 후에 이송시키는 부품 이동수단(500)과,
    상기 부품 이동수단(500)을 통해 공급된 각 부품들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안착되고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턴테이블 공급부(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링 결합부(400)는 상기 이송된 더스트 링(20)과 상기 조립 위치로 이송된 더스트 커버(10)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태의 제 1결합 보조구(610)와,
    상부가 핀 결합되고 하단부 둘레에 탄성링(426)이 결합되어 외측으로 확장 및 복원 가능한 복수의 핑거(422)를 가지며, 상기 제 1결합 보조구(6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결합 보조구(610)에 끼워진 더스트 링(20)을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측으로 밀어서 결합시키기 위한 핑거부(420)와,
    상기 핑거부(4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핑거부(4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력을 부여하는 승강 실린더(4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 이송부(150)는 상기 공급부들 중 더스트 커버 공급부(100)로부터 인출된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와,
    상기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 1액츄에이터(156)와,
    상기 더스트 커버 파지구(152)를 전,후로 동작시켜 상기 더스트 커버(10)를 조립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액츄에이터(1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이동수단(500)은 상부에 이동 레일(505)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502)과;
    상기 이동 레일(505) 상에서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 인너 커버(30) 및 클램프 링(40)이 외부 인출된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더스트 링(20)이 결합된 더스트 커버(10)를 파지하기 위한 제 1그립부(510)와, 상기 인너 커버(30)를 파지하는 홀더(520) 및 상기 클램프 링(40)의 내주면 둘레를 파지하는 제 2그립부(530)를 갖는 클램핑부와;
    상기 클램핑부의 제 1,2그립부 및 홀더(520)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2그립부 및 홀더(520)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제 1,2,3이동실린더(542,544,54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공급부(600)는 턴테이블(605)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판(620)과,
    상기 회전판(62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10)들이 안착되는 제 1,2안착부(632a,632b)와,
    상기 제 1,2안착부(632a,632b)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너 커버(30)가 끼움 결합되는 제 2결합 보조구(640)가 안착되는 제 3,4안착부(634a,634b)와,
    상기 제 3,4안착부(634a,634b)의 외측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링(40)이 끼움 결합되는 제 3결합 보조구(650)가 안착되는 제 5,6안착부(636a,636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KR1020120130797A 2012-11-19 2012-11-19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KR20140063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797A KR20140063989A (ko) 2012-11-19 2012-11-19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797A KR20140063989A (ko) 2012-11-19 2012-11-19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89A true KR20140063989A (ko) 2014-05-28

Family

ID=508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797A KR20140063989A (ko) 2012-11-19 2012-11-19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99B1 (ko) * 2016-11-28 2018-04-24 김보경 더스트 커버용 검사장치
CN113500256A (zh) * 2021-07-01 2021-10-15 浙江万兆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滚齿机的自动上料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99B1 (ko) * 2016-11-28 2018-04-24 김보경 더스트 커버용 검사장치
CN113500256A (zh) * 2021-07-01 2021-10-15 浙江万兆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滚齿机的自动上料装置
CN113500256B (zh) * 2021-07-01 2024-04-23 浙江万兆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滚齿机的自动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02B1 (ko) 파이프 가공장치
US10668628B2 (en) Omnidirectional multi-finger asynchronous gripper for casting robot
JP5423441B2 (ja) 作業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機械製品の製造方法
US20190366426A1 (en) Multi-arm hanging rail type casting cleaning robot
KR101179383B1 (ko) 볼 조인트 조립장치
CN110757032B (zh) 一种管-法兰和管-套管的全自动组对焊接工作站
CN105621110A (zh) 托盘式自动供料收盘设备
JP2015080816A (ja) ワーク搬送装置
CN102152159A (zh) 杆状工件自动送料装置
CN113334080A (zh) 一种液压油缸的组合加工设备
KR20140063989A (ko) 볼 조인트 부품 공급장치
CN107708941B (zh) 物品保持具、搬送机器人、及物品搬送方法
CN215280790U (zh) 一种液压油缸的组合加工设备
KR102207931B1 (ko) 링 성형용 블랭크 제조 장치
JP2011212767A (ja) 加工システム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5365989B2 (ja) ワーク設置装置を備えた搬送ロボットと設置方法及び持ち上げ方法
CN104191361B (zh) 用于铸铁件精整装置的托盘定位机构及铸铁件精整装置
CN210388020U (zh) 一种用于胶带输送机支腿的机器人智能焊接装置
KR101563915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
KR100775147B1 (ko) 로봇 로딩 행거장치
CN204094621U (zh) 用于铸铁件精整装置的托盘定位机构及铸铁件精整装置
JP6469540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CN208680732U (zh) 堆焊工作站及轧辊自动堆焊修复系统
US20100089208A1 (en) Manipulating device for lathes, in particular for vertical turret lathes, and a lathe including said device
US11498116B2 (en) Stretch rolling method and stretch roll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