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509A -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509A
KR20140063509A KR1020137023617A KR20137023617A KR20140063509A KR 20140063509 A KR20140063509 A KR 20140063509A KR 1020137023617 A KR1020137023617 A KR 1020137023617A KR 20137023617 A KR20137023617 A KR 20137023617A KR 20140063509 A KR20140063509 A KR 20140063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ompound
syndrome
trifluoromethyl
p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제이. 자오
퀴 왕
Original Assignee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filed Critical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6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8Two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유용한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에 관한 것이다.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은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므로, 이는 또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치료적 및 예방적 치료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의 양을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여 실시된다.

Description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METHOD OF INHIBITING HAMARTOMA TUMOR CELLS}
본원은 2011년 2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441,896의 35 U.S.C. §119(e)하에 출원 일자의 이익을 청구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연방정부가 지원한 연구 또는 개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국 국립보건원(NIH) 및 국립 암 학회(NCI)가 부여한 계약 번호 R01 CA134502로 지원된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서 일정 권리를 보유할 수 있다.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PHTS)은 종양 억제 유전자 PTEN(포스파타제 및 텐신 동족체, 염색체 10에서 결실)에서 생식세포 돌연변이와 관련된 드물며 본질적으로 다른 질병의 집합이다. 이러한 증후군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기관에서의 양성 과오종을 초래하는 세포성 과도성장을 특징으로 한다. PTEN은 PI3K/Akt/mTOR 경로를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2중 포스파타제 단백질을 인코딩한다. 돌연변이, 결실 또는 메틸화를 통한 PTEN 기능의 신체 손실은 뇌, 유방, 전립선, 결장, 폐 및 자궁내막을 비롯한 각종 산발성 사람 암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래서 암 연구에 의하여 조사중에 있다. 문헌 [Blumenthal, G.M. and Dennis, P.A., Eur . J. Hum . Gen. 16, 1289-1300 (2008)].
과오종은 세포가 정상적인 분화를 유지하지만 구조에 대하여서는 파괴되는 양성 종양의 조직학적으로 뚜렷한 서브타입이다. 코든(Cowden) 증후군(CS)은 점막피부 병변, 양성 과오종, 대두증, 유방, 갑상선 및 자궁내막 암종에 걸릴 증가된 소인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증후군이다. CS의 변종인 레미트-듀클로스(Lhermitte-Duclos)(LD)는 수두증, 실조 및 발작을 초래할 수 있는 소뇌의 형성이상 신경절세포종을 특징으로 한다. PTEN 유전자 및 CS가 PTEN의 생식세포 돌연변이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사실의 발견후, CS가 기타 외견상 관련 없는 임상적 증후군에 대하여 대립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발단 지연, 대두증, 지방종, 혈관종 및 남성에서의 반점 음경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Bannayan-Riley-Ruvalcaba syndrome, BRRS)은 사례의 약 60%로 PTEN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다. 프로테우스(Proteus) 증후군은 또한 논란의 여지가 많기는 하지만 생식세포 PTEN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다. PHTS 환자의 임상 관리는 역사적으로 유전 상담 및 검사에 촛점이 맞춰졌다. PHTS, 특히 CS 환자는 감수성 암에 대한 초기 및 잦은 감시를 실시하여야만 한다. PHTS 환자에 대한 의학적 요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PTEN 유전자(또한 MMAC1 또는 TEP1로서 공지됨)는 9개의 엑손에 걸쳐 있으며 염색체 10q22-23에 위치한다. 유전자는 403 아미노산 단백질을 인코딩하며, 이는 지질 및 단백질을 탈인산화시키는 2중 특이성 포스파타제로서 작용한다. PTEN은 PI3K의 30-포스포이노시티드 생성물을 탈인산화시키고,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5) 트리포스페이트를 포스파티딜이노시톨(4,5) 비스포스페이트로의 전환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3,4) 비스포스페이트를 포스파티딜이노시톨(4) 포스페이트로의 전환을 야기하여 그의 지질 포스파타제 활성을 나타낸다. 30-포스포이노시티디의 환원은 포스포이노시티드-의존성 키나제 1, Akt 및 mTOR과 같은 PI3K의 키나제 하류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그의 종양 억제 활성에 기여한다. Akt 경로의 음성 조절로 인하여, PTEN은 p27, p21, GSK-3, Bad, ASK-1과 같은 Akt의 기타 기질 하류뿐 아니라, 포크헤드 전사 인자 패밀리의 구성원(예, AFX, FKHR, FKHRL1)의 인산화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래서, PTEN 활성에서의 손실 또는 감소는 다수의 핵심 세포성 단백질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이는 세포 주기 진행, 대사, 이동, 아폽토시스, 전사 및 번역과 같은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엠. 블루멘탈(G.M. Blumenthal) 및 피.에이. 데니스(P.A. Dennis)는 PI3K/Akt/mTOR 경로의 억제제, 라파마이신, 고 특이성 mTOR 억제제, FKBP12를 결합시키는 약물, 보르테조미브를 비롯한 프로테오솜 억제제 및 PINK1 효능제를 비롯한 다수의 각종 유형의 요법이 PHTS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그러나, 블루멘탈 및 데니스는 PHTS에 대한 임의의 특정한 요법을 교시하지 않았으며 효과적인 요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장애물이 존재할 것으로 보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을 치료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원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이러한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3은 수소,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W는 CRw 또는 N이고, 여기서 Rw는 수소, 시아노,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술폰아미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PHTS의 마우스 모델에서의 PHTS의 PI3K 차단된 발생의 p110-알파 및 p110-베타 이소형의 제거를 예시하는 일련의 사진을 도시한다. (i) K14-cre Pten f/f (n= 28), (ii) K14-cre Pten f/f; p110a f/f (n=16), (iii) K14-cre Pten f/f; p110b f/f (n=11) 및 (iv) k14-cre-Pten f/f; p110a f/f; p110b f/f (n=15) 마우스. 이소형 중 단 하나의 제거는 PHTS의 부분 억제만을 나타낸다.
도 1b는 (i) K14-cre Pten f/f (n=28), (ii) K14-cre Pten f/f; p110a f/f (n=16), (iii) K14-cre Pten f/f; p110b f/f (n=11) 및 (iv) k14-cre-Pten f/f; p110a f/f; p110b f/f (n=15) 마우스에서의 PHTS 발병의 카플란-메이어(Kaplan-Meier) 플롯을 도시한다. 중앙 PHTS 발병:
Figure pct00002

도 2a는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화합물 A)으로 처치된 마우스가 PHTS 증상이 없는 것으로 잔존하며(ii); 한편, 비히클 단독으로 처치된 마우스는 그의 안면 및 사지에서 특징적인 PHTS 병변이 발생한다는(i) 것을 예시하는 일련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2b는 전술한 바와 같은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화합물 A)(ii)을 사용하여 유지되거나 또는 비히클 단독(i)으로 처치된 K14-cre-Pten f/f 마우스(n=12)에서의 PHTS가 없는 생존율의 카플란-메이어 곡선을 도시한다.
도 3은 45 mg/㎖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화합물 A)으로 매일 처치된 K14-cre-Pten f/f 마우스 2마리의 머리 및 왼쪽 앞발을 나타내는 일련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3은 완전 발생된 PHTS를 갖는 마우스에서 시간 경과에 대한 약물 처치의 효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나타낸 바와 같은 치환된 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의 선택군이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의 억제에 유용하다는 발견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은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므로, 이는 또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치료적 및 예방적 치료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을 상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여 실시된다.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및 아이오딘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하다", "억제하는" 또는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다"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을 지연, 방해, 정지 또는 중단시키는 것을 지칭하며, 과오종 종양 세포 성장의 완전 제거를 반드시 나타내지는 않는다. 용어 "억제하다" 및 "억제하는" 등은 2가지 상태 사이의 정량적 차이를 나타내며, 2가지 상태 사이의 적어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이라는 것은 세포의 성장 속도가 미처치 세포와는 적어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상이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는 본원에서 예를 들면 세포 증식 속도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치료하는", "치료하다" 또는 "치료"는 질병 또는 질환과 관련된 증상의 완화 또는, 증상의 추가의 진행 또는 악화의 중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문맥에서, 성공적인 치료는 과오종 종양과 관련된 증상의 완화 또는 PHTS와 같은 질환의 진행 중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상황에서, 치료는 또한 과오종 종양 또는 PHTS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무증상 환자의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과오종" 또는 "과오종 종양"은 세포가 정상의 분화를 유지하지만 구조에 대하여서는 파괴되는 양성 종양의 조직학적으로 뚜렷한 서브타입을 지칭한다.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 또는 "PHTS"는 이상 성장을 특징으로 하며 생식세포 PTEN 돌연변이와 관련된 가변적인 임상적 징후를 갖는 다양한 증후군을 지칭한다. 코든 증후군(CS), 레미트-듀클로스 증후군(LD),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 증후군이 PHTS의 모든 예가 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피리미딘 화합물의 비독성 산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은 피리미딘 화합물의 최종 분리 및 정제 중에 또는 염기 또는 산 작용기를 적절한 유기 또는 무기 산 또는 염기와 각각 별도로 반응시켜 계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염의 대표적인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시트레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비술페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술포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술페이트, 에탄술포네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푸마레이트, 염산염, 브로민화수소산염, 아이오딘화수소산염,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옥살레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기성 질소-함유 기는 알킬 할라이드,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디알킬 술페이트, 예컨대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및 디아밀 술페이트, 장쇄 할라이드, 예컨대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및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아랄킬 할라이드, 예컨대 벤질 및 펜에틸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4급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용성 또는 유용성 또는 분산성 생성물을 얻는다.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의 예로는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붕산, 질산, 황산 및 인산, 유기 산,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레산, 메탄술폰산, 숙신산, 말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 시트르산, 및 산성 아미노 산, 예컨대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들 수 있다.
염기성 부가 염은 피리미딘 화합물의 최종 분리 및 정제 중에 또는 별도로 카르복실산 부분을 적절한 염기, 예컨대 제약상 허용되는 금속 양이온의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또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1급, 2급 또는 3급 아민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염 등 뿐 아니라, 비독성 암모늄, 4급 암모늄에 기초한 양이온 및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아민 등을 비롯한(이에 한정되지 않음) 아민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염기 첨가 염의 형성에 유용한 기타의 대표적인 유기 아민으로는 디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라진, 피리딘, 피콜린, 트리에탄올아민 등 및 염기성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닌, 리신 및 오르니틴을 들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조성물 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된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비독성, 불활성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캡슐화 물질 또는 임의의 유형의 제제 보조제를 의미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예로는 당,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셀룰로스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분말 트라가칸트; 몰트; 젤라틴; 탈크;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 오일, 예컨대 낙화생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 한천; 완충제,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알긴산; 발열성 물질 제거수; 등장성 염수; 링거액; 에틸 알콜 및 인산염 완충액 뿐 아니라, 기타 비독성 적합성 윤활제,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뿐 아니라, 착색제, 이형제, 피복제, 감미제, 풍미제 및 향료, 방부제 및 산화방지제도 또한 배합자의 판단에 따라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 Co., New Jersey, 199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사람 및 기타 동물에게 경구, 비경구, 설하, 분무 또는 흡입 스프레이, 직장, 수조내, 질내, 복강내, 협측 또는 국소로 통상의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및 비히클을 원하는 바에 따라 함유하는 투여 단위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또한 경피 투여, 예컨대 경피 패치 또는 이온영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용어 비경구는 피하 주사,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 [Remington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th Edition (199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은 무균, 비-발열성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 피복 캡슐, 좌제, 동결건조 분말, 경피 패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의 제제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주사 제제, 예를 들면 무균 주사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라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무균 주사 제제는 또한 1,3-프로판디올 또는 1,3-부탄디올 중의 액제로서 비독성 비경구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 주사 액제, 현탁제 또는 에멀젼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서 물, 링거액, U.S.P.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무균, 고정유가 용매 또는 현탁 매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무자극 고정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은 주사제의 제조에서의 용도를 갖는다. 주사 제제는 예를 들면 박테리아 보유 필터를 통한 여과에 의하여 또는 사용전 무균수 또는 기타 무균 주사 매체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는 무균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살균제를 혼입하여 살균시킬 수 있다.
약물의 효과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로부터 약물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해성이 불량한 결정질 또는 무정형 물질의 액체 현탁액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후, 약물의 흡수 속도는 그의 용해 속도에 의존하며, 다시 결정 크기 및 결정질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대안으로, 비경구 투여된 약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오일 비히클 중에 약물을 용해 또는 현탁시켜 달성될 수 있다. 주사 데포 형태는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중에 약물의 마이크로캡슐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생성된다. 약물 대 중합체의 비율 및 사용된 특정 중합체의 성질에 의존하여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기타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을 들 수 있다. 데포 주사 제제는 또한 신체 조직과 적합성을 갖는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 중에 약물을 포획시켜 제조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내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 또는 질강내에서 용융되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적절한 무자극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 왁스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좌제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여 형태로는 캡슐, 정제, 환약, 분말 및 과립을 들 수 있다. 그러한 고체 투여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1종 이상의 불활성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이칼슘 및/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 b)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c)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d) 붕해제, 예컨대 한천-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규산염 및 탄산나트륨, e) 용해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f) 흡수 촉진제, 예컨대 4급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컨대 아세틸 알콜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수제, 예컨대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 및 i) 윤활제 예컨대 탈크,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그의 혼합물과 혼합한다. 캡슐, 정제 및 환약의 경우에서, 투여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락토스 또는 유당과 같은 부형제뿐 아니라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 충전된 젤라틴 캡슐 중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환약 및 과립의 고체 투여 형태는 피복 및 외피, 예컨대 제약 배합 분야에 공지된 장용 피복 및 기타 피복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활성 성분(들) 단독을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매립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들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환약 및 과립의 고체 투여 형태는 피복 및 외피, 예컨대 장용 피복, 방출 조절 피복 및 제약 배합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기타 피복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고체 투여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1종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전분과 혼합될 수 있다. 그러한 투여 형태는 또한 통상의 실시에서와 같이 불활성 희석제를 제외한 추가의 물질, 예를 들면 정제 윤활제 및 기타 정제 보조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미정질 셀룰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정제 및 환약의 경우에서, 투여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활성 성분(들) 단독을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매립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들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투여 형태는 제약상 허용되는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액제,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 이외에, 액체 투여 형태는 예를 들면 물 또는 기타의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보네이트, EtOAc,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특히 면실유, 낙화생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기름), 글리세롤,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경구 조성물은 또한 아주반트, 예컨대 습윤제, 유화 및 현탁제, 감미제, 풍미제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투여 형태는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분말, 액제, 분무, 흡입제 또는 패치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무균 조건하에서 요구되는 바대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의 요구되는 방부제 또는 완충제와 혼합한다. 안과용 제제, 점이제 등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겔은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이외에 부형제, 예컨대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탈크 및 산화아연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액체 에어로졸 또는 흡입용 건조 분말로서 전달을 위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제제는 종말 및 호흡 세기관지에 전달될 수 있는 입자 크기로 주로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화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질량 중앙 평균 직경이 주로 1 내지 5 ㎛인 에어로졸 입자를 형성하도록 선택된 에어로졸 형성 장치, 예컨대 제트, 진동 다공성 판 또는 초음파 분무기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추가로, 제제는 균형을 이룬 삼투 이온 강도 및 클로라이드 농도 및 감염 부위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는 최소 에어로졸화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에어로졸화 제제는 기도의 작용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제의 투여에 적절한 에어로졸화 장치는 본 발명의 제제를 주로 1 내지 5 ㎛의 크기 범위의 에어로졸 입자 크기로 분무시킬 수 있는 예컨대 제트, 진동 다공성 판, 초음파 분무기 및 에너지 충전된 건조 분말 흡입기를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주로 모든 생성된 에어로졸 입자의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초과가 1 내지 5 ㎛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트 분무기는 액체 용액을 에어로졸 액적으로 분해하는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된다. 진동 다공판 분무기는 다공판을 통하여 용매 액적을 압출시키기 위하여 신속하게 진동하는 다공판에 의하여 생성된 초음파 진공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초음파 분무기는 액적을 작은 에어로졸 액적으로 전단 처리하는 압전 결정에 의하여 작동된다. 에어로넵(AERONEB) 및 에어로도즈(AERODOSE) 진동 다공판 분무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써니베일에 소재하는 에어로겐, 인코포레이티드(AeroGen, Inc.)), 사이드스트림(SIDESTREAM) 분무기 (영국 웨스트 써섹스에 소재하는 메딕-에이드 리미티드(Medic-Aid Ltd.), 패리 엘씨(PARI LC) 및 패리 엘씨 스타(PARI LC STAR) 제트 분무기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트에 소재하는 패리 레스피러토리 이큅먼트, 인코포레이티드(Pari Respiratory Equipment, Inc.)) 및 에어로소닉(AEROSONIC) (독일 하이든에 소재하는 드빌비스 메디지니셰 프로듀케 (도이칠란트) 게엠베하(DeVilbiss Medizinische Produkte (Deutschland) GmbH)) 및 울트라에어(ULTRAAIRE) (미국 일리노이즈 버논 힐즈에 소재하는 옴론 헬쓰케어, 인코포레이티드(Omron Healthcare, Inc.))를 비롯한 각종 적절한 장치가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탈크, 규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는 국소 분말 및 스프레이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스프레이는 통상의 추진제, 예컨대 클로로플루오탄화수소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경피 패치는 화합물을 신체에 조절된 전달을 제공하는 추가의 잇점을 갖는다. 이러한 투여 형태는 적절한 매체 중에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배하여 생성될 수 있다. 흡수 향상제는 또한 피부를 통한 화합물의 흐름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속도 조절 막을 제공하거나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겔 중에 화합물을 분산시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포좀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리포좀은 일반적으로는 인지질 또는 기타 지질 물질로부터 유래된다. 리포좀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된 단층 또는 다층 수화된 액체 결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리포좀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비-독성, 생리학적 허용되는 그리고 대사성 지질을 사용할 수 있다. 리포좀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안정화제, 방부제, 부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지질은 천연 및 합성 모두인 인지질 및 포스파티딜 콜린(레시틴)이다. 리포좀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 [Prescott (ed.), "Methods in Cell Biology," Volume XIV, Academic Press, New York, 1976, p. 33 et seq.]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PHTS 증상의 억제 또는 완화를 검출하거나 또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검출 가능하게 억제하기에 충분한 임의의 양을 포함한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한 담체 물질과 조합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처치되는 숙주 및 투여의 특정 방식에 의존하여 변경된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한 투여 수준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성별,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율, 약물 병용 및 특정 질환의 진행중인 요법의 경중도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존할 것이다. 소정의 상황에 대한 치료 유효량은 통상의 실험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것이며, 임상의의 기술 및 판단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결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정도로 소정량으로 그리고 시간 동안 환자, 예컨대 사람 또는 하급 동물에게 소정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환자에게 과오종 종양 성장을 감소 또는 예방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은 임의의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타당한 유익/유해 비율로 과오종 종양 성장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의 충분량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의 1일 총 사용량은 주치의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내에서 결정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임의의 특정한 환자에 대한 특정한 치료적 유효 투여 수준은 치료되는 질병 및 질병의 경중도; 사용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사용된 특정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배설율; 치료의 기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과의 우연의 또는 병용에 사용되는 약물; 의학 분야에 공지된 유사 요인을 비롯한 다수의 요인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치료적 유효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숙주에게 단일 또는 복수의 투여로 투여되는 1일 총 투여량, 예를 들면 1일 체중 1 ㎏당 0.001 내지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체중 1 ㎏당 1.0 내지 30 mg의 양일 수 있다. 투여 단위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을 만들기 위하여 그의 약수의 양을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치료 요법은 1일당 단일 또는 복수의 투여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 약 10 mg 내지 약 2,000 mg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를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대안의 실시양태는 하기에 제시된다:
1) R2
a. 수소;
b. 수소 또는 플루오린; 또는
c. 수소, 플루오린 또는 염소인 화합물;
2) R3
a. 트리플루오로메틸;
b.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c. 수소, 할로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3) R4
a. 수소; 또는
b. 수소, 플루오린 또는 염소인 화합물;
4) R6이 수소인 화합물;
5) W가
a. CH; 또는
b. N인 화합물.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추가의 실시양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상기 실시양태 (1) 내지 (5) 중 하나 이상을 요구하여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예를 들면, 추가의 대안의 실시양태는 (1)(a) 및 (2)(a); (1)(a) 및 (2)(b); (1)(b) 및 (2)(a); (1)(b) 및 (2)(b); (1)(c) 및 (2)(a); (1)(c) 및 (2b); (1)(c) 및 (2)(c); (1)(b) 및 (2)(c); (1)(a) 및 (2)(c); (1)(a), (2)(a) 및 (3)(a); (1)(b), (2)(a) 및 (3)(a); (1)(a), (2)(b) 및 (3)(a); (1)(a), (2)(a) 및 (3)(b); (1)(b), (2)(b) 및 (3)(a); (1)(a), (2)(b) 및 (3)(b); (1)(a), (2)(a), (3)(a) 및 (4); (1)(b), (2)(a), (3)(a) 및 (4); (1)(a), (2)(a), (3)(b) 및 (4); (1)(b), (2)(b), (3)(a) 및 (4); (1)(b), (2)(a), (3)(b) 및 (4); (1)(b), (2)(b), (3)(b) 및 (4); (1)(c), (2)(a), (3)(a) 및 (4); (1)(c), (2)(b), (3)(a) 및 (4); (1)(c), (2)(b), (3)(b) 및 (4); (1)(c), (2)(c), (3)(a) 및 (4); (1)(c), (2)(c), (3)(b) 및 (4); (1)(a), (2)(a), (3)(a), (4) 및 (5)(a); (1)(b), (2)(a), (3)(a), (4) 및 (5)(a); (1)(a), (2)(b), (3)(a), (4) 및 (5)(a); (1)(a), (2)(a), (3)(b), (4) 및 (5)(a); (1)(b), (2)(b), (3)(a), (4) 및 (5)(a); (1)(b), (2)(b), (3)(a), (4) 및 (5)(a); (1)(c), (2)(a), (3)(a), (4) 및 (5)(a); (1)(a), (2)(c), (3)(a), (4) 및 (5)(a); (1)(c), (2)(c), (3)(b), (4) 및 (5)(a); (1)(a), (2)(a), (3)(a), (4) 및 (5)(b); (1)(b), (2)(a), (3)(a), (4) 및 (5)(b); (1)(a), (2)(b), (3)(a), (4) 및 (5)(b); (1)(a), (2)(a), (3)(b), (4) 및 (5)(b); (1)(c), (2)(a), (3)(a), (4) 및 (5)(b); (1)(c), (2)(a), (3)(a), (4) 및 (5)(b); (1)(c), (2)(b), (3)(a), (4) 및 (5)(b); (1)(b), (2)(c), (3)(a), (4) 및 (5)(b); (1)(b), (2)(b), (3)(b), (4) 및 (5)(b); (1)(c), (2)(c), (3)(b), (4) 및 (5)(b); (1)(a) 및 (4); (1)(b) 및 (4); (2)(a) 및 (4); (3)(a) 및 (4); (2)(a), (3)(a) 및 (4); (1)(a) 및 (5)(a); (1)(b), (4) 및 (5); 등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그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하여 제공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2010년 9월 30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공보 번호 2010/0249126 A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이 출원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선택예도 또한 하기의 반응식 및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다.
화합물 및/또는 중간체는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하여 2695 분리 모듈(Separation Module)(미국 매사츄세츠주 밀포드 소재)을 갖는 워터스 밀레니움(Waters Millenium)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분석 컬럼은 알테크(Alltech)(미국 일리노이주 디어필드 소재)로부터의 얼티마(Alltima) C-18 역상, 4.6×50 mm, 유량 2.5 ㎖/min이다. 통상적으로 40 분에 걸쳐 5% 아세토니트릴/95% 물로부터 출발하여 100% 아세토니트릴로 진행하는 구배 용출을 사용하였다. 모든 용매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을 함유하였다. 화합물은 220 또는 254 nm에서의 자외선광(UV) 흡수에 의하여 검출되었다. HPLC 용매는 버딕 앤 잭슨(Burdick and Jackson)(미국 미주리주 머스케간 소재) 또는 피셔 사이언티픽(Fisher Scientific)(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으로부터의 것이다. 일부의 경우에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지지된 실리카 겔판, 예를 들면 베이커-플렉스(Baker-Flex) 실리카 겔 1B2-F 가요성 시트를 사용하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하여 순도를 평가하였다. TLC 결과는 자외선광하에서 또는 공지의 아이오딘 증기 및 기타 다양한 염색 기법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검출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분석은 워터즈 시스템(Waters System)(얼라이언스(Alliance) HT HPLC 및 마이크로매스(Micromass) ZQ 질량 분광기; 컬럼: 이클립스(Eclipse) XDB-C18, 2.1×50 mm; 용매계: 0.05% TFA와 함께 물 중의 5-95%(또는 35-95% 또는 65-95% 또는 95-95%) 아세토니트릴; 유량: 0.8 ㎖/min; 분자량 범위 200-1,500; 콘 전압 20 V; 컬럼 온도 40℃) 또는 휴렛 패커드 시스템(Hewlett Packard System)(시리즈 1100 HPLC; 컬럼: 이클립스 XDB-C18, 2.1×50 mm; 용매계: 0.05% TFA와 함께 물 중의 1-95% 아세토니트릴; 유량 0.8 ㎖/min; 분자량 범위 150-850; 콘 전압 50 V; 컬럼 온도 30℃)인 2종의 LCMS 기기 중 하나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질량은 양성자화된 모 이온의 것으로서 보고하였다.
GCMS 분석은 휴렛 패커드 기기(질량 선택적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 5973를 사용한 HP6890 시리즈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투입기 부피: 1 ㎕; 초기 컬럼 온도: 50℃; 최종 컬럼 온도: 250℃; 램프(ramp) 시간: 20 분; 기체 유량: 1 ㎖/min; 컬럼: 5% 페닐 메틸 실록산, 모델 번호 HP 190915-443, 크기: 30.0 m×25 m×0.25 m)에서 실시한다.
핵 자기 공명(NMR) 분석은 배리언(Varian) 300 MHz NMR(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 소재)을 사용하여 화합물 일부에 실시하였다. 스펙트럼 기준물질은 TMS 또는 용매의 공지의 물질이었다. 일부 화합물 샘플은 증가된 샘플 용해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고온(예, 75℃)에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의 순도는 원소 분석(미국 아리조나주 투싼에 소재하는 데저트 애널리틱스(Desert Analytics))으로 평가한다.
융점은 래버러토리 디바이시즈 멜-템프(Laboratory Devices Mel-Temp) 장치(미국 매사츄세츠주 홀리스톤 소재)로 측정한다.
조제용 분리는 플래쉬(Flash) 40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및 KP-Sil, 60A(미국 버지니아주 샬롯테빌에 소재하는 바이오테이지(Biotage)) 또는 실리카 겔(230-400 메쉬) 충전 물질을 사용하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또는 워터스 2767 샘플 매니저(Sample Manager), C-18 역상 컬럼, 30×50 mm, 유량 75 ㎖/min을 사용한 HPLC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플래쉬(Flash) 40 바이오테이지 시스템 및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 통상의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아세톤, 수성 암모니아(또는 수산화암모늄) 및 트리에틸 아민이다. 역상 HPLC에 사용된 통상의 용매는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갖는 다양한 농도의 아세토니트릴 및 물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학식은 단지 가능한 호변이성질체 형태 중 하나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구조의 임의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예시를 위하여 본원에 제시한 실시양태에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개시내용의 범주내에 포함되는 그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약어
ACN: 아세토니트릴
BINAP: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DI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E: 1,2-디메톡시에탄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MCPBA: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
NBS: N-브로모숙신이미드
NMP: N-메틸-2-피롤리돈
RT: 실온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서 4-할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반응성 보론산 에스테르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반응성 보론산 에스테르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는 보론산 에스테르에 대하여 파라 위치에 -NH2 기를 갖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반응성 보론산 에스테르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는 보론산 에스테르에 대하여 파라 위치에 -NH2 기를 가지며 보론산 에스테르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또다른 비-수소 치환기를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비-수소 치환기는 -CF3, -CN, -NH2, 할로겐, 히드록실 또는 니트로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피리디닐 보론산 에스테르는 4-(트리플루오로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아민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팔라듐 촉매는 Pd(dppf)Cl2 디클로로메탄 부가물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 기는 4,6-디클로로-2-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모르폴린과 반응시켜 생성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4,6-디클로로-2-모르폴리노피리미딘 기는 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을 POCl3과 반응시켜 생성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은 염기, 예컨대 나트륨 에톡시드의 존재하에서 모르폴린-4-카르복스아미딘을 디에틸 말로네이트와 반응시켜 생성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반응성 보론산 에스테르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는 브로모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를 디보론산 에스테르, 예컨대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과 반응시켜 생성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브로모 치환기를 함유하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는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피리미디닐 기를 N-브로모숙신이미드(NBS)와 반응시켜 생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는 적절한 용매 중에서 모르폴린을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용매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매는 THF이다. 또다른 보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은 적어도 10 분 또는 적어도 20 분 또는 30 분의 기간에 걸쳐 모르폴린을 포함하는 용매에 첨가한다. 대안으로, 모르폴린을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액을 20℃ 미만 또는 10℃ 미만 또는 5℃ 미만 또는 0℃ 미만으로 냉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의 첨가 도중에 또는 이후에, 용액을 20℃ 초과 또는 25℃ 초과 또는 30℃ 초과로 가온되도록 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모르폴린 및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조합한 후, 수용액을 첨가하여 용해를 종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르폴린 및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조합한 후 10 시간 이상 또는 20 시간 이상 또는 30 시간 이상 또는 40 시간 이상 또는 50 시간 이상 또는 약 64 시간 이상에서, 수용액을 첨가하여 용해를 종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료후, 용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컬럼은 실리카 겔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4-클로로-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을 2-아미노피리딜 또는 2-아미노피리미딜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방법 1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피리미딘-2- 일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03
무수 500 ㎖ 플라스크에 2-아미노-5-브로모피리미딘(10 g, 57.5 mmol), 아세트산칼륨(16.9 g, 172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16.1 g, 63.0 mmol) 및 디옥산(30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Pd(dppf)Cl2 CH2Cl2)(2.34 g, 2.8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4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EtOAc(500 ㎖)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500 ㎖)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H2O(2×300 ㎖), NaCl(포화)(3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의 5 cm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플러쉬 처리하였다. 용매를 농축시킨 후, 미정제물을 1:3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40 ㎖)의 혼합물로 처리하고, 여과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여 담황색 고체(8.5 g, 75%)를 얻었다. LCMS (m/z): 140 (보론산의 MH+, LC에서의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04
방법 2
2- 아미노메틸 -5- 브로모피리미딘의 합성
Figure pct00005
메틸아민(메탄올 중의 2.0 M, 40 ㎖, 80 mmol)을 밀폐 가능한 반응 용기내에서 5-브로모-2-클로로피리미딘(5.6 g, 29.0 mmol)에 첨가하였다. 수분 동안 환기시킨 후, 용기를 밀폐시키고, 안전 실드 뒤에 두고, 115℃ 오일 배스내에서 4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물을 냉각시켜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물질을 CH2Cl2(200 ㎖)에 용해시키고, 1M NaOH(40 ㎖)로 세정하였다. 수성층을 CH2Cl2(2×50 ㎖)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Mg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회백색 고체(5.1 g, 93%)를 얻었다. LCMS (m/z): 188.0/190.0 (MH+).
메틸[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피리미딘-2-일]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06
무수 500 ㎖ 플라스크에 2-메틸아미노-5-브로모피리미딘(9.5 g, 50.5 mmol), 아세트산칼륨(15.1 g, 154.4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14.1 g, 55.5 mmol) 및 디옥산(28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2.05 g, 2.5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4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EtOAc(500 ㎖)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500 ㎖)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H2O(2×300 ㎖), NaCl(포화)(3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SiO2 크로마토그래피(5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7.66 g, 64%)를 얻었다. LCMS (m/z): 154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07
방법 3
5- 브로모 -4-( 트리플루오로메틸 )-2- 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08
클로로포름(200 ㎖) 중의 2-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10.0 g, 62.1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12.0 g, 67.4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암실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를 CH2Cl2(200 ㎖) 및 1N NaOH(200 ㎖)에 첨가하였다. 혼합시, 층이 분리되고, 유기 층을 NaCl(포화)(1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0-5% EtOAc/CH2Cl2)에 의하여 정제하여 12.0 g(80%)의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아민을 얻었다. LCMS (m/z): 241/243 (MH+).
Figure pct00009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4-( 트리플루오로메틸 )-2-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0
무수 500 ㎖ 플라스크에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아민(11.8 g, 49.0 mmol), 아세트산칼륨(14.4 g, 146.9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13.6 g, 53.9 mmol) 및 디옥산(30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2.0 g, 2.4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8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옥산을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EtOAc(500 ㎖)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500 ㎖)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30-40% EtOAc/헥산)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정제하였다. 용매의 제거시, 헥산(75 ㎖)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고 진공하에서 3 일 동안 건조시켜 2.4 g의 회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에 의하면 물질은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및 2-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딘 부산물의 5:1 혼합물이었다. 물질을 차후의 스즈키(Suzuki) 반응에서와 같이 사용하였다. LCMS (m/z): 207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11
방법 4
5- 브로모 -4-(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미딘-2- 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2
클로로포름(300 ㎖) 중의 2-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8.0 g, 49.1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8.9 g, 50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암실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추가의 N-브로모숙신이미드(4.0 g, 22.5 mmol)를 첨가하였다. 추가의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액을 CH2Cl2(200 ㎖) 및 1N NaOH(200 ㎖)에 첨가하였다. 혼합시, 층이 분리되고, 유기 층을 NaCl(포화)(1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10.9 g(82%)의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미딜아민을 얻었다. LCMS (m/z): 242/244 (MH+).
Figure pct00013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4-( 트리플루오로메틸 )피리미딘-2- 일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4
무수 500 ㎖ 플라스크에 5-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미딜아민(10.1 g, 41.7 mmol), 아세트산칼륨(12.3 g, 125.2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11.6 g, 45.9 mmol) 및 디옥산(15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1.7 g, 2.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6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옥산을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EtOAc(500 ㎖)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500 ㎖)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30-4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4.40 g의 회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에 의하면 물질은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및 2-아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부산물의 1:1 혼합물이었다. 물질을 차후의 스즈키 반응에서와 같이 사용하였다. LCMS (m/z): 208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15
방법 5
5- 브로모 -4- 클로로 -2- 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6
클로로포름(180 ㎖) 중의 4-클로로-2-피리딜아민(6.0 g, 46.7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8.3 g, 46.7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암실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를 CH2Cl2(800 ㎖) 및 1N NaOH(100 ㎖)에 첨가하였다. 혼합시, 층이 분리되고, 유기 층을 NaCl(포화)(1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25-35% EtOAc/헥산)로 정제하여 3.63 g(38%)의 5-브로모-4-클로로-2-피리딜아민을 얻었다. LCMS (m/z): 206.9/208.9 (MH+).
Figure pct00017
4- 클로로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2- 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18
무수 500 ㎖ 플라스크에 5-브로모-4-클로로-2-피리딜아민(7.3 g, 35.8 mmol), 아세트산칼륨(10.3 g, 105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10.1 g, 39.8 mmol) 및 디옥산(15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0.85 g, 1.0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6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디옥산을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그후, EtOAc(500 ㎖)를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였다. 추가의 EtOAc(500 ㎖)를 사용하여 고체를 세정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로서 EtOAc)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용매의 제거시, 3:1 헥산/CH2Cl2(100 ㎖)를 첨가하였다. 초음파 처리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2.8 g의 백색 고체를 얻었다. 1H NMR에 의하면 물질은 보로네이트 에스테르 및 2-아미노-4-클로로피리딘 부산물의 10:1 혼합물이었다. 물질을 차후의 스즈키 반응에서와 같이 사용하였다. LCMS (m/z): 173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19
방법 6
5- 브로모피리미딘 -2,4- 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0
클로로포름(30 ㎖) 중의 2,4-디아미노피리미딘(1.0 g, 9.1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1.62 g, 9.08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암실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를 CH2Cl2(150 ㎖) 및 1N NaOH(50 ㎖)에 첨가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정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1.4 g(74%)의 5-브로모피리미딘-2,4-디아민을 얻었다. LCMS (m/z): 189/191 (MH+).
Figure pct00021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피리미딘-2,4- 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2
무수 1 ℓ 플라스크에 5-브로모피리미딘-2,4-디아민(30.0 g, 158.7 mmol), 아세트산칼륨(45.8 g, 466.7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51.2 g, 202.2 mmol) 및 디옥산(500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2.5 g, 3.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16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체 무기 물질을 여과하고, EtOAc(1 ℓ)로 헹구었다. 유기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고체에 디클로로메탄(1 ℓ)을 첨가하였다. 초음파 처리후, 고체를 여과하였다. 고체는 탈브로민화 2,4-디아미노피리미딘이었다. 소정의 보로네이트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잔류물에 디에틸 에테르(100 ㎖)를 첨가하였다. 초음파 처리후, 용액을 여과하고, 추가의 디에틸 에테르(50 ㎖)로 헹구고, 얻은 고체를 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소정의 2,4-디아미노피리미딜-5-보로네이트 에스테르(10.13 g, 27%)를 얻었다. 1H NMR에 의하면 물질은 2,4-디아미노피리미딜-5-보로네이트 에스테르 및 2,4-디아미노피리미딘 부산물의 4:1 혼합물이었다. 물질을 차후의 스즈키 반응에서와 같이 사용하였다. LCMS (m/z): 155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23
방법 7
5- 브로모 -6- 플루오로 -2- 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4
클로로포름(55 ㎖) 중의 6-플루오로-2-피리딜아민(1.0 g, 8.93 mmol)의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1.59 g, 8.9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암실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때 CH2Cl2(200 ㎖) 및 1N NaOH(50 ㎖)에 첨가하였다. 혼합시, 층이 분리되고, 유기 층을 NaCl(포화)(5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25% EtOAc/헥산)로 정제하여 5-브로모-6-플루오로-2-피리딜아민(386 mg, 22%)을 얻었다. LCMS (m/z): 190.9/192.9 (MH+);
Figure pct00025
6- 플루오로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2- 피리딜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6
무수 50 ㎖ 플라스크에 5-브로모-6-플루오로-2-피리딜아민(370 mg, 1.93 mmol), 아세트산칼륨(569 mg, 5.8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538 mg, 2.12 mmol) 및 디옥산(15 ㎖)을 첨가하였다. 아르곤을 용액을 통하여 15 분 동안 버블링 처리하고, 이때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79 mg, 0.0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115℃ 오일 배스내에서 4 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서 환류시켰다. 휘발물을 진공하에서 제거한 후, EtOAc(150 ㎖)를 첨가하고, 용액을 H2O(3×40 ㎖), NaCl(포화)(300 ㎖)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SiO2 크로마토그래피(30% EtOAc/헥산)에 의하여 정제하여 보로네이트 에스테르(161 mg, 35%)를 얻었다. LCMS (m/z): 157 (보론산의 MH+, LC에서의 계내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유래함)
Figure pct00027
방법 8
5- 브로모 -4- 플루오로피리딘 -2- 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8
N-브로모숙신이미드(126 mg, 0.71 mmol)를 어두운 후드내에서 알루미늄 호일로 싼 플라스크내에서 아세토니트릴(4 ㎖) 중의 4-플루오로피리딘-2-아민 TFA 염(162 mg, 0.7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암실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미정제 생성물을 EtOAc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의 위에서 정제하여 5-브로모-4-플루오로피리딘-2-아민을 아이보리색 고체(92 mg, 67%)로서 얻었다. LC/MS (m/z): 190.9/192.9 (MH+), Rt 1.02 분.
4- 플루오로 -5-(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피리딘-2- 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29
밀폐 가능한 파이렉스(Pyrex) 가압 용기내에서 5-브로모-4-플루오로피리딘-2-아민(25 mg, 0.13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40 mg, 0.16 mmol), 아세트산칼륨(51 mg, 0.52 mmol) 및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로메탄 부가물(16 mg, 0.019 mmol)의 혼합물을 디옥산(1.7 ㎖)에 아르곤 하에서 현탁시켰다. 가압 용기를 밀폐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하여 판단시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4-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아민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차후의 반응에 사용하였으며, 정량적 수율(0.13 mmol)을 추정한다. LC/MS (m/z): 157.0 (LC에서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형성된 보론산의 MH+), Rt 0.34 분.
방법 9
2-아미노-5- 브로모 - 이소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Figure pct00030
어두운 암실에서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플라스크에서 2-아미노-이소니코티노니트릴 TFA 염(125 mg, 0.54 mmol)을 아세토니트릴(3.5 ㎖)에 용해시켰다. 고체 N-브로모숙신이미드(89.2 mg, 0.501 mmol)를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암실에서 9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로 정제하여 2-아미노-5-브로모-이소니코티노니트릴(53 mg, 49%)을 얻었다. LC/MS (m/z): 197.9 (MH+), Rt 2.92 분.
2-아미노-5- 보론산 에스테르- 이소니코티노니트릴의 합성
Figure pct00031
유리 가압 용기내에서, 2-아미노-5-브로모-이소니코티노니트릴(25 mg, 0.126 mmol), 4,4,5,5-테트라메틸-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3,2-디옥사보롤란(38 mg, 0.151 mmol) 및 아세트산칼륨(49 mg, 0.504 mmol)의 혼합물을 디옥산(1.8 ㎖) 중에 현탁시켰다.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1-2 분 동안 퍼징시킨 후,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 디클로로메탄 부가물(16 mg, 0.019 mmo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폐시키고, 1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미정제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며, 보론산 에스테르(0.126 mmol)의 정량적 수율을 추정한다. LC/MS (m/z): 164.0 (LC에서의 생성물 가수분해로부터 형성된 보론산의 MH+), Rt 0.37 분.
방법 10
5- 플루오로 -2- 모르폴리노피리미딘 -4,6- 디올의 합성
Figure pct00032
수소화나트륨(오일 중의 60%, 3.9 g, 96.5 mmol)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내에서 아르곤 하에서 헥산으로 세정하고, 빙수 배스로 냉각시켰다. EtOH(100 ㎖)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염기 혼합물에 디에틸 2-플루오로말로네이트(5.7 g, 32.2 mmol)를 첨가한 후, 모르폴리노포름아미딘 브로민화수소산염(6.8 g, 32.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하에서 교반하면서 90-95℃로 가열하였다. 12 시간 후,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H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물(25 ㎖)에 용해시키고, 진한 HCl로 pH=3-4로 산성으로 만들었다.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뷰흐너(Buechner) 필터의 위에서 수집하고, 물(2×50 ㎖)로 세정하고, 필터의 위에서 공기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5-플루오로-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0.87 g, 12%)을 얻었다. LC/MS (m/z): 216.0 (MH+), Rt 0.63 분.
4-(4,6- 디클로로 -5- 플루오로피리미딘 -2-일)모르폴린의 합성
Figure pct00033
5-플루오로-2-모르폴리노피리미딘-4,6-디올(0.87 g, 4.0 mmol) 및 POCl3(10 ㎖)의 혼합물을 120℃에서 16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과잉량의 POCl3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반-고체를 얻고, 이를 추가로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진공 건조 12 시간 후, 고체를 EtOAc(150 ㎖) 중에서 희석하고, 포화 NaHCO3(60 ㎖)로 세정하였다. 세정 중에 고체가 형성되었으며, 수성층과 함께 버렸다. 유기 층을 포화 NaHCO3(2×30 ㎖), 염수(30 ㎖)로 다시 세정하고,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생성물을 25% EtOAc/헥산으로 용출시키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6-디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일)모르폴린(418 mg, 42%)을 얻었다. LC/MS (m/z): 251.9 (MH+), Rt 3.22 분.
방법 11
Figure pct00034
THF(450 ㎖) 중의 모르폴린(100 g; 1.15 몰; 5.3 당량)의 용액을 얼음 배스로 냉각시켰다. THF(100 ㎖) 중의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39.9 g; 217 당량)을 3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의 첨가시 상당량의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반응 혼합물이 신속하게 진해졌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64 시간 동안 기계 교반하였다(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여 반응을 60 분 이내에 완료시켰다. a 대 b의 비는 불변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추가의 THF(2×100 ㎖)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회전증발로 농축시켰다. 물(600 ㎖)을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추가의 물(2×100 ㎖)로 세정하고, 밤새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a+b: 61.3 g(99%). 생성물은 hplc 면적 비율(%)에 의하여 87%이고, 나머지는 b이다.
31 g의 미정제 고체를 200 ㎖의 CH2Cl2에 용해시키고, 프릿 유리 깔때기내에서 600 g의 건조 실리카에 가하였다. 실리카를 1:1 헥산:EtOAc로 용출시키고, 300 ㎖ 분획을 수집하였다. TLC 분석은 a가 분획 1-7 중에 존재하며 4,6-디모르폴리노-2-클로로피리미딘은 분획 6-10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분획 1-5를 푸울링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수율: 28.2 g(생성물은 hplc 면적 비율(%)에 의하여 98%이었다).
실시예 1
4-( 트리플루오로메틸 )-5-(2,6-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 -4-일)피리딘-2- 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35
NMP(14 ㎖) 중의 2-모르폴리노-4,6-디클로로피리미딘(방법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함, 2.0 g, 8.54 mmol)의 슬러리에 트리에틸아민(1.43 ㎖, 10.25 mmol)을 첨가하였다. 불균질 혼합물을 15 분 동안 교반한 후, 모르폴린(0.75 ㎖, 8.54 mmol)으로 처리하였다. 85℃에서 아르곤 하에서 2 시간 동안 환류하고, 용액을 냉각시킨 후, EtOAc(160 ㎖)에 첨가하였다. 유기 용액을 25 ㎖의 NaHCO3 (포화)(2회), 물(2회) 및 염수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200 ㎖ EtOAc에 용해시키고, EtOAc로 추가로 용출시키는 SiO2 패드를 통하여 여과하여 2.2 g(93%)의 2,4-디모르폴리노-6-클로로피리미딘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m/z): 285.0 (MH+),
Figure pct00036
4-( 트리플루오로메틸 )-5-(2,6-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 -4-일)피리딘-2-아민
Figure pct00037
1,2-디메톡시에탄 및 2M Na2CO3(3:1) 중의 2,4-디모르폴리노-6-클로로피리미딘(4.1 g, 14.3 mmol) 및 4-(트리플루오로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아민(16.5 g, 57.3 mmol)의 불균질 혼합물을 통하여 아르곤 기체를 20 분 동안 버블링시켰다. 염화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II)(292 mg, 0.3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압 유리 용기를 밀폐시켰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EtOAc(300 ㎖)로 희석하였다. 유기 용액을 물:Na2CO3 (포화):NH4OH(진한)=5:4:1의 혼합물 300 ㎖에 이어서 NH4Cl(포화) 및 염수(2회)로 세정하고, Na2SO4의 위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0.1% TEA를 포함하는 50-90% EtOAc/헥산)로 정제하여 5.62 g(95%)의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LCMS (m/z): 411.3 (MH+);
Figure pct00038
실시예 2
4-( 트리플루오로메틸 )-5-(2,6- 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 -4-일)피리딘-2- 아민에 대한 테스트 배합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분말을 1 부피의 NMP(1-메틸-2-피롤리돈)에 용해시켰다. 용해후(필요할 경우 따뜻한 물 중에서), 9 부피의 PEG300을 첨가하였다. 최종 비는 NMP 10%/PEG300 90%이다.
실시예 3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 또는 PHTS 의 발생에서 p110a 및/또는 p110b 의 역할
Pten f/f 마우스[Lesche, R., et al., Cre / loxP - mediated inactivation of the murine Pten tumor suppressor gene. Genesis, 2002. 32(2): 148-9]를 K14-cre 마우스[Jonkers, J., et al., Synergistic tumor suppressor activity BRCA2 and p53 in a conditional mouse model for breast cancer. Nat Genet, 2001. 29(4): 418-25]와 이종교배시켜 플록스(floxed) Pten 대립유전자가 K14-유도된 Cre 재조합효소에 의하여 각질세포에서 특이적으로 결실된 K14-Cre Pten f/f 마우스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마우스를 p110a f/f[Zhao, J.J., et al., The p110alpha isoform of PI3K is essential for proper growth factor signaling and oncogenic transformation. 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44): 16296-300] 및 p110b f/f 마우스[Jia, S., et al., Essential roles of PI (3)K- p110beta in cell growth, metabolism and tumorigenesis. Nature, 2008]와 추가로 이종교배시켜 K14-cre Pten f/f, K14-cre Pten f/f; p110a f/f, K14-cre Pten f/f; p110b f/f 및 K14-cre-Pten f/f; p110a f/f; p110b f/f 마우스를 생성하였다. Pten의 각질세포-특이성 결실은 PHTS의 복수의 피부 과오종과 유사한 K14-cre Pten f/f 마우스에서 복수의 피부 병변을 생성한다. 도 1의 패널 (a)는 12 주령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관련 유전자형의 마우스의 머리 및 앞발을 도시한다. 모든 마우스는 FVB 백그라운드의 위에 있다. (a) 패널의 사진에서 시각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p110a 또는 p110b의 추가의 제거는 발병을 지연시키며, 병변의 경중도를 감소시키며 p110 이소형 모두의 제거는 증상의 출현을 차단한다.
도 1, 패널 (b)는 K14-cre Pten f/f (n= 28), K14-cre Pten f/f; p110a f/f (n=16), K14-cre Pten f/f; p110b f/f (n=11) 및 k14-cre-Pten f/f; p110a f/f; p110b f/f (n=15) 마우스에서 PHTS 발병의 카플란-메이어 플롯을 도시한다. K14-cre Pten f/f 마우스(적색 선)에 대한 중앙 PHTS 발병은 62 일이다. 이들 유전자형의 모든 마우스는 약 210 내지 225 일에 증상을 지연시키기는 하나, p110a(녹색 선) 또는 p110b(청색 선)의 제거는 약 60 일까지 증상 발병을 지연시킨다. 현저한 차이로는, K14-cre-Pten f/f; p110a f/f; p110b f/f 마우스 모두는 적어도 300 일 동안 PHTS 증상이 없이 유지되었다.
실시예 4
K14 - cre - Pten f/f 마우스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조기 투여는 PHTS 증상 발생을 방지한다.
K14-cre-Pten f/f 마우스를 3 주령에서 개시하여 경구 영양에 의하여 25 mg/kg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으로 매일 처치하고, PHTS 증상의 발생을 모니터하였다. 도 2, 패널 (a)는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으로 처치한 마우스는 PHTS 증상 없이 유지되었으나, 비히클 단독으로 처치한 마우스는 특징적인 PHTS 병변이 그의 안면 및 사지에서 발생되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 패널 (b)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으로 유지되거나 또는 비히클 단독으로 처치한 K14-cre-Pten f/f 마우스(n=12)에서의 PHTS 무병 생존 기간의 카플란-메이어 곡선을 도시한다.
실시예 5
K14 - cre - Pten f/f 마우스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는 PHTS 증상을 완화시킨다 .
PHTS가 완전 발생된 K14-cre-Pten f/f 마우스(12-14 주령)를 45 mg/kg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으로 경구 영양으로 매일 처치하였다. 도 3의 사진은 도 3의 범례에 기재한 바와 같이 45 mg/㎖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으로 매일 처치한 K14-cre-Pten f/f 마우스 2 마리의 머리 및 왼쪽 앞발을 도시한다.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은 4 주 동안 투여하고, 처치전, 2주 및 4주에서 마우스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의 투여는 이들 마우스에서 PHTS 증상이 크게 완화되었다. 대부분의 PHTS 증상은 4-주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처치의 종반에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감소되었다.
결과
PHTS의 동물 모델에서 PI3K의 p110α 또는 p110β 이소형의 손실이 PHTS의 발생 및 경중도를 상당히 감소시키면서 이들 두 이소형의 제거가 PHTS의 발생을 완전히 방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이러한 발견은 어린 마우스에서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의 투여는 또한 PHTS의 출현을 완전히 방지한다는 것을 예시한다. 보다 뚜렷하게는, 후기 피부 병변을 갖는 마우스에서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의 투여가 PHST의 표현형을 완전하게 역전시켰다.

Claims (38)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이러한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pct00039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3은 수소,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W는 CRw 또는 N이고, 여기서 Rw는 수소, 시아노,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술폰아미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W가 CH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이고; R6이 수소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W가 CH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R3이 트리플루오로메틸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0.001 내지 1,00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1.0 내지 1,00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방법.
  9.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pct00040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3은 수소,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W는 CRw 또는 N이고, 여기서 Rw는 수소, 시아노,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술폰아미도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W가 CH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이고; R6이 수소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W가 CH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R3이 트리플루오로메틸인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0.001 내지 1,00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1.0 내지 3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Cowden) 증후군, 레미트-듀클로스(Lhermitte-Duclos) 질환, 바나얀-릴리-루발카바(Bannayan-Riley-Ruvalcaba)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Proteus)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 레미트-듀클로스 질환,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인 방법.
  21.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41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3은 수소,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W는 CRw 또는 N이고, 여기서 Rw는 수소, 시아노,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술폰아미도이다.
  22. 제21항에 있어서, W가 CH인 화합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이고; R6이 수소인 화합물.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25. 제2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0.001 내지 1,00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화합물.
  27.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1.0 내지 3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화합물.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 레미트-듀클로스 질환,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29. 제28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인 화합물.
  30.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
    <화학식 I>
    Figure pct00042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3은 수소, 시아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실, 아미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6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W는 CRw 또는 N이고, 여기서 Rw는 수소, 시아노, 할로겐,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술폰아미도이다.
  31. 제30항에 있어서, W가 CH인 용도.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R2가 수소이고; R3이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이고; R6이 수소인 용도.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트리플루오로메틸인 용도.
  34. 제30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4-(트리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용도.
  35.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0.001 내지 1,00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용도.
  36. 제3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오종 종양 세포의 성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양이 1.0 내지 30 mg/kg 범위의 투여량인 용도.
  37. 제30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 레미트-듀클로스 질환,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및 프로테우스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38. 제37항에 있어서, PTEN 과오종 종양 증후군이 코든 증후군인 용도.
KR1020137023617A 2011-02-11 2012-02-09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KR20140063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1896P 2011-02-11 2011-02-11
US61/441,896 2011-02-11
PCT/US2012/024440 WO2012109423A1 (en) 2011-02-11 2012-02-09 Method of inhibiting hamartoma tumor cel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509A true KR20140063509A (ko) 2014-05-27

Family

ID=4580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617A KR20140063509A (ko) 2011-02-11 2012-02-09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40309221A1 (ko)
EP (1) EP2673268A1 (ko)
JP (1) JP2014505107A (ko)
KR (1) KR20140063509A (ko)
CN (1) CN103476765A (ko)
AU (1) AU2012214413A1 (ko)
BR (1) BR112013020159A2 (ko)
CA (1) CA2826387A1 (ko)
MX (1) MX2013009256A (ko)
RU (1) RU2013141559A (ko)
WO (1) WO2012109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2660B1 (en) 2006-01-20 2012-06-17 نوفارتيس ايه جي Pi-3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MX342326B (es) 2011-09-27 2016-09-26 Novartis Ag 3-pirimidin-4-il-oxazolidin-2-onas como inhibidoras de idh mutante.
UY34632A (es) 2012-02-24 2013-05-31 Novartis Ag Compuestos de oxazolidin- 2- ona y usos de los mismos
US9296733B2 (en) 2012-11-12 2016-03-29 Novartis Ag Oxazolidin-2-one-pyrim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conditions, diseases and disorders dependent upon PI3 kinases
CN103012284A (zh) * 2012-12-26 2013-04-03 无锡捷化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2-氨基-5-溴嘧啶类化合物的制备方法
JP6387360B2 (ja) 2013-03-14 2018-09-05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変異idhの阻害薬としての3−ピリミジン−4−イル−オキサゾリジン−2−オン
CA2944697C (en) * 2014-04-22 2022-07-19 Universitaet Basel Manufacturing process for triazine, pyrimidine and pyridine derivatives
CN105001151B (zh) * 2015-08-28 2017-07-14 苏州明锐医药科技有限公司 布帕尼西中间体及其制备方法
EP3458035A1 (en) * 2016-05-18 2019-03-27 PIQUR Therapeutics AG Treatment of skin lesions
BR112018073549A8 (pt) 2016-05-18 2023-01-10 Univ Pennsylvania Uso de inibidores seletivos e específicos de mtor e/ou de inibidores duplos de pi3k/mtor,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N106905294A (zh) * 2016-07-08 2017-06-30 苏州科睿思制药有限公司 5‑[2,6‑二(4‑吗啉基)‑4‑嘧啶基]‑4‑(三氟甲基)‑2‑吡啶胺的晶型及其制备方法
CN106632443B (zh) * 2016-11-23 2022-06-17 山东友帮生化科技有限公司 一种2-氨基嘧啶-5-硼酸频哪酯硼酸盐的合成方法
IL274132B2 (en) 2017-11-23 2024-02-01 Piqur Therapeutics Ag Treatment of skin problems
CN114213340B (zh) 2022-02-22 2022-06-07 北京蓝晶微生物科技有限公司 2,4-二氨基嘧啶氧化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2660B1 (en) * 2006-01-20 2012-06-17 نوفارتيس ايه جي Pi-3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PL2448927T3 (pl) * 2009-07-02 2014-09-30 Sanofi Sa Nowe pochodne (6-okso-1,6-dihydro-pirymidyn-2-ylo)-amidu, ich wytwarzanie i ich zastosowanie farmaceutyczne jako inhibitorów fosforylacji AK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41559A (ru) 2015-03-20
JP2014505107A (ja) 2014-02-27
CN103476765A (zh) 2013-12-25
EP2673268A1 (en) 2013-12-18
US20140309221A1 (en) 2014-10-16
WO2012109423A1 (en) 2012-08-16
CA2826387A1 (en) 2012-08-16
AU2012214413A1 (en) 2013-08-22
BR112013020159A2 (pt) 2016-11-08
MX2013009256A (es)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3509A (ko) 과오종 종양 세포의 억제 방법
CN108349972B (zh) 用于治疗呼吸疾病的jak激酶抑制剂化合物
CN109311851B (zh) 二氢嘧啶基苯并氮杂䓬甲酰胺化合物
US10428027B2 (en) Sulfinylphenyl or sulfonimidoylphenyl benzazepines
CN103339128B (zh) 作为呼吸道合胞病毒抗病毒剂的氮杂吲哚
KR20230069090A (ko) 항바이러스제로서의 기능화된 펩타이드
CN113905785A (zh) 囊性纤维化跨膜传导调节因子调节剂
AU2017233068A1 (en) Cyclic di-nucleotid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EP3472154B1 (en) Compounds
JP6611358B2 (ja) 癌治療のためのfasn阻害剤として有用なベンズアミド誘導体
CN101203519A (zh) 用于治疗癌症和病毒感染如丙型肝炎的用作Toll样受体调节剂的2-酰氨基-6-氨基-8-氧代嘌呤衍生物
CN103619820A (zh) 可用作溴区结构域抑制剂的四氢喹啉衍生物
JP2012524715A (ja) ジヒドロオロテート脱水素酵素阻害剤
CA2566213A1 (en) Substantially pure 2-{[2-(2-methylamino-pyrimidin-4-yl)-1h-indole-5-carbonyl]-amino}-3-(phenylpyridin-2-yl-amino)-propionic acid as an ikb kinase inhibitor
WO2020233641A1 (zh) 用作ret激酶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KR20180127979A (ko) 화합물 (s)-4-((s)-3-플루오로-3-(2-(5,6,7,8-테트라히드로-1,8-나프티리딘-2-일)에틸)피롤리딘-1-일)-3-(3-(2-메톡시에톡시)페닐) 부탄산의 시트레이트 염
US20200000810A1 (en) Brk inhibitory compound
WO2015172747A1 (en) Spirocyclic molecules as mth1 inhibitors
CA2508319A1 (en) Jnk inhibitors
WO2022114164A1 (ja) ヘテロアリールカルボキシアミド化合物
JP6441830B2 (ja) カテプシンcの置換2−アザ−ビシクロ[2.2.1]ヘプタン−3−カルボン酸(シアノ−メチル)−アミド阻害剤
WO2015110092A1 (zh) 4-取代吡咯并[2,3-d]嘧啶化合物及其用途
TWI794576B (zh) 一類含氟取代的苯并噻吩類化合物及其藥物組合物及應用
CN104610233A (zh) 具有更高蛋白激酶g抑制活性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1507711A (ja) テトラゾリルベンゾピラン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