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239A -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 Google Patents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239A
KR20140063239A KR1020120130377A KR20120130377A KR20140063239A KR 20140063239 A KR20140063239 A KR 20140063239A KR 1020120130377 A KR1020120130377 A KR 1020120130377A KR 20120130377 A KR20120130377 A KR 20120130377A KR 20140063239 A KR20140063239 A KR 2014006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er
window frame
dust cover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용
강경탁
서동재
Original Assignee
박인용
강경탁
서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용, 강경탁, 서동재 filed Critical 박인용
Priority to KR102012013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239A/ko
Publication of KR2014006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창문의 개방시에 창틀의 레일을 덮어 먼지나 외부의 이물질이 레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은,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200)과; 상기 창틀(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300)과;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과 연동하여, 레일(300)의 상측을 차폐하는 먼지커버(310)와; 상기 창틀(100)에 설치되며, 상기 먼지커버(310)가 감겨지는 롤러(400)와; 상기 롤러(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4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회수수단(410)과; 상기 롤러(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400)가 상기 회수수단(41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수단(420)과; 상기 창틀(100)에 구비되며, 상기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수단(430)과; 상기 제어수단(4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단(41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20)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해제부재(4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창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창문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Windows system having function for dust prevention}
본 발명은 창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닫이 창문의 개방시에 창틀의 레일을 덮어 먼지나 외부의 이물질이 레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창틀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레일이 구비되어, 창문의 이동을 원할하게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창틀의 레일에는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쌓인 경우에는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에는 창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6027호에서와 같은 접이식 레일덮개가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덮개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창문이 닫히는 경우에는 덮개가 창문의 닫힘을 방해하게 되고, 이러한 덮개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602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의 레일 상측을 차폐함과 동시에 창문의 충격이나 여닫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은, 창틀과;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과; 상기 창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유동과 연동하여, 레일의 상측을 차폐하는 먼지커버와; 상기 창틀에 설치되며, 상기 먼지커버가 감겨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회수수단과; 상기 롤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회수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며, 상기 창문의 닫힘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창틀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통로와, 상기 하부통로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통로와, 상기 하부통로와 상부통로를 연결하는 경사통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롤러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일방향톱니와; 상기 창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일방향톱니와 간섭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해제부재는, 상기 창틀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커버의 끝단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창문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홀에 걸어지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를 지지하는 고리지지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커버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수단은 태엽스프링 또는 코드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지커버가 감겨지는 롤러가 창틀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먼지커버가 창문의 개방시 레일을 전체적으로 덮게 된다. 따라서, 창문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레일로 유입되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수수단이 구비되어, 창문의 닫힘시 먼지커버가 자동으로 창틀 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커버에는 창문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수수단의 회전력(스프링복원력)에 의해 창문의 닫힘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창문이 닫히는 경우에 최종단계에서 창문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창문이 창틀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방지되고 창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먼지커버의 회수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창문이 열리다가 정지하는 경우에도 회수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창문이 닫혀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 외측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의 실시예가 부분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 외측의 부품들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은, 전체적인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200)과, 상기 창틀(100)의 하단 및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300)과,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과 연동하여 레일(300)의 상측을 차폐하는 먼지커버(310)와, 기 먼지커버(310)가 감겨지는 롤러(400)와, 상기 롤러(4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회수수단(410)과, 상기 롤러(400)가 상기 회수수단(41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수단(420)과, 상기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수단(430)과, 상기 회수수단(41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20)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해제부재(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1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롤러(400) 등이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00)의 좌측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롤러(400) 등이 삽입 장착되는 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의 전면은 지지편(110)이 차폐한다.
상기 지지편(110)은, 아래에서 설명할 롤러(400)의 중심축(402)이 회전 가능하게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완충수단(430)이 형성되고, 이러한 완충수단(430)의 우측 상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봉(442)이 관통하여 걸어지는 연결홀(11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110)의 전방으로는 상기 지지편(110)에 걸어지는 중심축(402)과 완충수단(4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사각 평판의 케이스(12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20)에도 상기 지지편(110)에서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봉(44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외측홀(12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창틀(100)의 내측면 하단에는 상기 먼지커버(310)가 출입되는 출입구(130)가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창문(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좌우로 유동하면서 개폐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구르는 레일(300)이 창틀(100)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 형성되어, 창문(200)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창문(200)의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홀(312)에 걸어지는 걸림고리(210)와, 상기 걸림고리(210)를 지지하는 고리지지단(22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창문(200)이 좌측단(도 1에서)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고리지지단(220)이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고리지지단(220)의 상측에는 '『'형상의 단면(전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는 걸림고리(210)가 고리지지단(22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먼지커버(310)는, 끝단이 상기 창문(200)에 걸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창문(200)이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레일(300)을 덮게 된다.
상기 먼지커버(310)의 끝단(도 1에서는 우측단)에는 한 쌍의 걸림홀(3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31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창문(200)의 걸림고리(210)가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롤러(400)는 상기 창틀(100) 속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롤러(400)의 외측에는 상기 먼지커버(310)가 감겨진다. 따라서, 상기 먼지커버(3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무재질 또는 천 등과 같이 원통 형상의 롤러(400)에 잘 감겨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400)의 전후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402)이 전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심축(402)이 창틀(100)에 걸어져 롤러(400)가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수수단(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400)의 내측 또는 앞측에 형성된다. 상기 회수수단(410)은, 상기 먼지커버(310)가 펼쳐진 다음, 다시 롤러(400)의 외면에 감기도록 먼지커버(310)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먼지커버(310)는, 상기 롤러(400)에 구비되어, 롤러(400)가 일방향(도 2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회수수단(410)은, 태엽스프링 또는 코드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계 등에 사용되는 태엽(胎葉)이나 청소기 등에서 전선의 회수를 위해 사용하는 코드릴(cord reel)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태엽스프링이나 코드릴의 구성은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420)은, 상기 롤러(400)의 일측(도 2에서는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400)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400)가 상기 회수수단(410)에 의해 반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하려 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420)은, 상기 롤러(400)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일방향톱니(422)와, 일단이 상기 일방향톱니(422)와 간섭되는 걸림후크(4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방향톱니(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400)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
Figure pat00001
'형상의 단면(전방에서 볼 경우)을 가진다.
상기 걸림후크(424)는, 상기 창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일방향톱니(422)와 간섭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걸림후크(4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톱니(422)의 좌측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후크(424)의 끝단(도 1 및 도 2에서는 우측단)이 자체 하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게 되므로, 상기 일방향톱니(422)에 닿게 된다.
이처럼 상기 걸림후크(424)의 우측단이 상기 일방향톱니(422)에 닿게 되면, 상기 롤러(400)는 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차단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림후크(424)에는 걸림후크(424)가 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후크(424)에는 상기 해제부재(44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420)의 앞측에는 해제부재(440)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해제부재(440)는, 상기 창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걸림후크(424)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44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후크(424)에는 회전중심으로부터 가는 환봉 형상의 연결봉(442)이 전방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봉(442)의 선단에 상기 해제부재(440)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442)은, 후단은 상기 지지편(110)의 연결홀(1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고, 선단은 상기 케이스(120)의 외측홀(122)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봉(44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연결봉(442)의 선단에 상기 해제부재(440)가 고정되므로, 상기 해제부재(440)는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제부재(4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제부재(44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후크(424)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창틀(100)에 구비되어 상기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창틀(100)의 전후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롤러(40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결국 롤러(400)에 부딪히는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롤러(4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402)의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종국적으로는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창틀(10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통로(432)와, 상기 하부통로(43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통로(434)와, 상기 하부통로(432)와 상부통로(434)를 연결하는 경사통로(436)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지지편(110)의 우측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통로(432)와, 상기 지지편(110)의 좌측 상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부통로(434)와, 상기 하부통로(432)의 좌측단과 상기 상부통로(434)의 우측단을 연결하는 경사통로(43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통로(432)와 경사통로(436) 및 상부통로(434)는 모두 상기 중심축(402)의 선단과 후단이 각각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즉, 상기 창문(200)이 우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심축(402)은 하부통로(432)의 'A'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창문(200)이 좌측(도 1에서)으로 이동하여 상기 창틀(100)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상기 중심축(402)을 상기 경사통로(436)를 거쳐 상기 상부통로(434)의 'B'지점에 도달하여 정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창문(20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닫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고리지지단(220)이 상기 출입구(130)를 통해 들어가게 되고, 결국 상기 고리지지단(220)이 상기 롤러(400)의 우측단에 부딪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롤러(400)의 중심축(402)이 상기 완충수단(430)의 하부통로(432)에 있다가 창문(200)의 닫히는 힘에 의해 경사통로(436)를 통해 상부통로(434)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롤러(400)의 중심축(402)이 경사통로(436)를 통해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상기 창문(20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먼지커버(310)의 우측단은 상기 창문(200)의 좌측단에 걸어진다. 그리고, 창문(200)을 열게 되면, 창문(200)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먼지커버(310)도 롤러(400)로부터 풀리게 되어 우측으로 펼쳐져 상기 레일(300)의 상측을 덮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먼지커버(310)가 상기 롤러(400)에 감겨졌다가 풀려지므로, 상기 롤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롤러(4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420)의 걸림후크(424)는 롤러(400)의 회전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창문(200)의 우측 이동을 멈추면, 상기 롤러(400)는 상기 회수수단(410)의 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이때에는 상기 걸림후크(424)가 상기 일방향톱니(42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롤러(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상기 창문(200)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창문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해제부재(440)를 좌측으로 돌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림후크(4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걸림후크(424)는 상기 일방향톱니(422)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424)가 상기 일방향톱니(422)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롤러(400)는 상기 회수수단(410)의 회전 복귀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롤러(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면, 자연적으로 상기 창문(200)에 좌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창문(20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창문을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20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속도가 증가되고, 드디어 상기 창문(200)의 고리지지단(220)이 상기 출입구(130) 속으로 들어가 롤러(400)의 우측단에 부딪힌다.
이렇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400)의 중심축(402)이 경사통로(436)를 통해 상부통로(434)로 이동하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402)에 우측방향의 마찰력이 생성되므로, 결국 창문(200)의 좌측 이동속도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수단(430)을 상기 중심축(402)이 이동하는 경로를 어렵게 하여 창문(200) 속도를 줄이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완충수단(430)의 구성은 창문(20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한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창틀(100)에 댐퍼나 압축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는 창문(20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0. 창틀 200. 창문
300. 레일 310. 먼지커버
400. 롤러 410. 회수수단
420. 제어수단 422. 일방향톱니
424. 걸림후크 430. 완충수단
432. 하부통로 434. 상부통로
436. 경사통로 440. 해제부재

Claims (5)

  1.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200)과;
    상기 창틀(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300)과;
    상기 창문(200)의 슬라이딩 유동과 연동하여, 레일(300)의 상측을 차폐하는 먼지커버(310)와;
    상기 창틀(100)에 설치되며, 상기 먼지커버(310)가 감겨지는 롤러(400)와;
    상기 롤러(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4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회수수단(410)과;
    상기 롤러(4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400)가 상기 회수수단(41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수단(420)과;
    상기 창틀(100)에 구비되며, 상기 창문(200)의 닫힘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수단(430)과;
    상기 제어수단(4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수단(41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20)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해제부재(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430)은,
    상기 롤러(4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402)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창틀(10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하부통로(432)와, 상기 하부통로(43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통로(434)와, 상기 하부통로(432)와 상부통로(434)를 연결하는 경사통로(43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20)은,
    상기 롤러(400)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일방향톱니(422)와;
    상기 창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일방향톱니(422)와 간섭되는 걸림후크(4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해제부재(440)는,
    상기 창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후크(424)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봉(44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커버(310)의 끝단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홀(31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창문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홀(312)에 걸어지는 걸림고리(210)와, 상기 걸림고리(210)를 지지하는 고리지지단(220)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커버(31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수수단(410)은 태엽스프링 또는 코드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1020120130377A 2012-11-16 2012-11-16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20140063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77A KR20140063239A (ko) 2012-11-16 2012-11-16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377A KR20140063239A (ko) 2012-11-16 2012-11-16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239A true KR20140063239A (ko) 2014-05-27

Family

ID=5089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377A KR20140063239A (ko) 2012-11-16 2012-11-16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23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09B1 (ko) 2015-05-22 2016-07-04 양동석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20190122183A (ko) * 2019-10-14 2019-10-29 주식회사 이현시스템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구조체
KR102121911B1 (ko) 2019-01-30 2020-06-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CN112282592A (zh) * 2020-12-17 2021-01-29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安全防灰门窗
CN115898206A (zh) * 2022-10-13 2023-04-04 江苏德普尔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蓝牙控制平移门
KR102538474B1 (ko) 2023-01-30 2023-06-05 정근배 도어 프레임 내부로 이물질 유입 방지가 가능한 도어 시스템
CN117188934A (zh) * 2023-09-28 2023-12-08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全景推拉门的防尘结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09B1 (ko) 2015-05-22 2016-07-04 양동석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102121911B1 (ko) 2019-01-30 2020-06-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KR20190122183A (ko) * 2019-10-14 2019-10-29 주식회사 이현시스템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구조체
CN112282592A (zh) * 2020-12-17 2021-01-29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安全防灰门窗
CN112282592B (zh) * 2020-12-17 2021-03-23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安全防灰门窗
CN115898206A (zh) * 2022-10-13 2023-04-04 江苏德普尔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蓝牙控制平移门
CN115898206B (zh) * 2022-10-13 2023-11-03 江苏德普尔门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蓝牙控制平移门
KR102538474B1 (ko) 2023-01-30 2023-06-05 정근배 도어 프레임 내부로 이물질 유입 방지가 가능한 도어 시스템
CN117188934A (zh) * 2023-09-28 2023-12-08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全景推拉门的防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3239A (ko)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US8851143B2 (en) Single pull rope driving device for a window shade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CN206668063U (zh) 一种新型左右三联动移门
JP4133109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シャッター式のガード装置
KR101636209B1 (ko)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102538474B1 (ko) 도어 프레임 내부로 이물질 유입 방지가 가능한 도어 시스템
KR101382578B1 (ko) 블라인드 차양동작 전환장치
US20170167190A1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JP5981879B2 (ja) 折戸
CN208594860U (zh) 便于纱窗开合的锁紧装置
JP4781204B2 (ja) ロール式横引き網戸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1081259B1 (ko) 래치기구
KR102659390B1 (ko) 탈부착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JP5977195B2 (ja) 折戸
JP6468930B2 (ja) ガイドレール及びガイドレールの設置方法
JPH0715997Y2 (ja) 引紐付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6607658B2 (ja) プッシュラッチ付引戸クローザー
TWI803160B (zh) 捲軸屏幕裝置及其連接裝置
CN113445889B (zh) 一种后维护金融设备及其封口闸门装置
JP2004060200A (ja) 引戸装置
WO2024098317A1 (zh) 卷轴式纱窗及其连接装置
JP5199973B2 (ja) サッシ窓用のシャッター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装置付きのサッシ窓
JP6514554B2 (ja) ガイドレール、ロールスクリーン、ロールスクリーンの設置方法、及び日射遮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