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11B1 -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11B1
KR102121911B1 KR1020190011696A KR20190011696A KR102121911B1 KR 102121911 B1 KR102121911 B1 KR 102121911B1 KR 1020190011696 A KR1020190011696 A KR 1020190011696A KR 20190011696 A KR20190011696 A KR 20190011696A KR 102121911 B1 KR102121911 B1 KR 10212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ust removal
window
window fram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순
이장범
유정원
이민석
이형석
이명기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을 안내하는 레일을 갖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창틀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에 구비된 창유리를 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삽입홈부를 개폐가능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및 상측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A DUST REMOVAL APPARATUS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로 여닫는 미서기창호에 먼지제거부를 구비하여 상기 미서기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하단부 창호틀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벽에 고정시키는 창틀과,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창문을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창문의 하단부에 창착되어 있는 롤러가 창틀의 레일을 따라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창문이 점점 맞은편 측의 창틀에 근접하다가 최종적으로 창틀에 밀착된다.
종래 창호는 창문 이동을 위해 창틀에 레일이 형성되지만, 창틀 노출부위에 먼지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창문 이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옥외와 통하는 창호의 경우 더욱 심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창틀의 먼지는 별도의 청소를 해주기 전에는 절대 제거되지 않으므로 창틀을 수시로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창틀에 투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레일의 폭이 좁아 특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원할한 이물질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63239호는 여닫이 창문의 개방시에 창틀의 레일을 덮어 먼지나 외부의 이물질이 레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의 레일 상측을 차폐함과 동시에 창문의 충격이나 여닫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63239호는 창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발명으로 창틀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고 있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먼지커버를 수거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는 하나 상기 먼지커버를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창틀 먼지의 특성상 세탁으로 재사용이 어려운 먼지커버를 일회용이나 다회용으로 사용한 후 오염된 먼저커버를 제거하고 새로운 먼저커버를 가볍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먼지커버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창호 하단부 창호틀에 용이하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는 일회용 또는 다회용 먼지포를 탈착할 수 있도록 탈착구조가 포함됨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청소가 어려운 창틀에 쌓인 먼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고 실용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창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제2014-0063239호 (공개일자 2014년 05월 27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개폐되는 미서기 창호의 프레임 측면에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창호틀과 동일한 형상의 길이방향의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서기 창호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창틀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제거포가 부착된 먼지제거부를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청소가 어려운 창틀 상에 적재된 먼지 및 이물질을 상기 창호를 여닫는 것만으로도 먼지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을 안내하는 레일을 갖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창틀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에 구비된 창유리를 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삽입홈부를 개폐가능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및 상측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먼지제거부가 상기 먼지제거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하단과 상기 프레임 하측 창틀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유입하판; 상기 유입하판 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먼지제거포; 및 상기 유입하판 및 상기 먼지제거포를 탈착 가능하도록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유입하판 저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먼지제거포 상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먼지제거포가 압축된 건조 상태로 상기 유입하판에 장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된 상기 유입하판과 상기 먼지제거포의 수직 높이는 상기 프레임 하단과 상기 프레임 하측 창틀 사이 공간 높이보다 소정으로 작거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접착부재가밸크로로 구성되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덮개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덮개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먼지제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덮혀진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 시 소정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 내측에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구비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먼지제거포가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 상의 먼지 및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게 되고, 먼지제거 과정에서 오염된 상기 먼지제거포는 상기 유입하판에서 제거하여 폐기시킬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부 하단 일측에 삽입된 고정부개가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청소 및 먼지 제거가 어려운 창호의 하단부측 창틀에 적재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적은 제작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유입하판에 부착된 먼지제거포가 건조 압착된 상태에서 장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로 구성됨으로서, 건조한 상태로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수분이 흡수된 물티슈나 물스펀지에 의한 청소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창틀 청소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먼지제거포가 탈착이 용이하고 오염된 먼지제거포를 제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창틀 청소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외부공기에 의해 상당한 양의 먼지 및 이물질이 쌓이지만 청소가 어려워 방치되고 있었던 창틀 먼지 제거를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먼지제거포의 수분 흡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먼지제거포의 수분 흡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덮개부(200) 및 먼지제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창문과 상기 창문을 안내하는 레일을 갖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룰러가 상기 창틀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에 구비된 창유리를 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0)은 교행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한쌍의 창문과 상기 창문을 안내하는 레일을 갖는 창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을 따라 교행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는 두 개 이상의 이동 룰러가 레일에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외장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측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100)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0) 내부의 삽입홈부(110)를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1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하 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하단부에 일정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먼지제거부(300)의 고정부재(310)가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 즉, 상기 삽입홈부(110)를 외부에서 덮고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부(11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프레임(100) 좌우 측면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으로, 상기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재(3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재(310)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턱과 같은 돌기부재(111)를 좌우측 또는 하측면에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111)는 상기 고정부재(31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부(110) 하단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부개(310)가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 측면 하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덮개부(200)는 하측 모서리가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는 힌지부재(210), 결합부재(220) 및 수용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210)는 상기 덮개부(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프레임(100)과 상하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재(210)는 상기 덮개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프레임(100)에서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덮개부(2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된 상기 먼지제거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200)의 덮혀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힌지부재(210)와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삽입홈부(110)를 덮은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2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미도시) 및 걸림홈(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덮개부(200)에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미도시)와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걸림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부(200) 및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걸림돌기(미도시) 및 걸림홈(미도시)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미도시) 및 걸림홈(미도시)에 의한 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홈(230)은 상기 고정부재(310)가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 시 소정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200) 내측에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구비되는 홈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230)은 상기 고정부재(310)가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 일부가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100)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여진 홈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3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먼지제거부(300)는 상측이 상기 덮개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100)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제거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이 끼움 결합되는 상기 창틀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측이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에 상기 창틀과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먼지제거도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제거부(300)는 상기 프레임(100) 하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미서기창호를 좌우로 여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 하측에 배치되는 창틀 상면에 쌓인 먼지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먼지제거부(300)는 고정부재(310), 유입하판(320), 먼지제거포(330) 및 접착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먼지제거부(30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먼지제거부(300) 중 상측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상기 유입하판(320)이 상기 창틀 상측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부(11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유입하판(320)에서 직립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측면(311)과 상기 측면(311)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면(312) 및 상기 상면(312)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면(311)과 대응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내측면(3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측면(313)은 상기 프레임(100) 하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면(313)의 수직높이는 상기 측면(311)의 수직높이 보다 소정으로 낮도록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의 내측면(313)은 소정의 탄성력을 지닐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310)의 삽입 및 인출 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310)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부(110) 하단면 내측에는 상기 내측면(313)이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기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삽입홈부(110) 내부 돌기부재(111)에 걸려진 상태로 상기 삽입홈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삽입홈부(110)와 동일하거나 소정으로 작은 부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는 PVC 또는 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계를 경질로 하여 외부관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0)는 방수 및 방진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메탈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 일측에 상기 고정부재(310)의 삽입 및 인출시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될 수 있는 고리부재(3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311a)는 상기 고정부재(310)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서 발생되는 외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먼지제거부(300)의 삽입 및 인출 시 상기 먼지제거부(300)를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된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310)는 부피가 크지 않고 무게가 가벼우며 인체에 무해한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체의 플라스틱, 수지,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재질을 임의 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재(311a)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310) 측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들어가는 홈형상(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유입하판(32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100) 하단과 상기 프레임(100) 하측 창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하판(320)은 상기 고정부재(31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상기 창틀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하판(320)은 상기 유입하판(320) 저면에 상기 먼지제거포(330)가 탈착식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유입하판(320)은 저면 일정 부분에 상기 먼지제거포(330)과 접착될 수 있도록 후술할 제1접찹부재(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하판(320)은 PVC 또는 올레핀계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계를 경질로 하여 외부관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하판(320)은 방수 및 방진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메탈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먼지제거포의 수분 흡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의 먼지제거포의 수분 흡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하판(320) 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100)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상기 접착부재(340)에 의해 상기 유입하판(320) 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먼지 및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압축된 건조 상태로 상기 유입하판(320)에 장착된 후 유입된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먼지제거포(330)를 상기 유입하판(320)에 장착한 후 상기 먼지제거포(330)가 건조된 상태로 먼지 및 이물질을 포집하여 청소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먼지제거포(330)에 수분을 주입하여 상기 먼지제거포(330)에 유입된 수분을 흡수한 물티슈 또는 물스펀지 형태로 창틀 먼지를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상기 창호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 상의 먼지 및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게 되고, 먼지제거 과정에서 오염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상기 유입하판(320)에서 제거되어 폐기시킬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부직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고, 압축된 형태에 수분을 첨가하여 부직포가 부풀어지도록 하여 부풀어진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유입된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한 상태로 먼지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지의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포(330)는 상면 일정면적에 상기 유입하판(320)과 탈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후술할 제2접착부재(34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342)는 상기 유입하판(320) 저면에 구비된 제1접착부재(341)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먼지제거포(330) 상단에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접착부재(342)는 상기 제1접착부재(341)와 대응되는 상기 먼지제거포(330)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340)는 상기 유입하판(320) 및 상기 먼지제거포(330)를 탈착 가능하도록 접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340)는 상기 유입하판(320) 저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재(341) 및 상기 먼지제거포(330) 상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340)는 탈부착이 용이한 밸크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재(340)는 상기 제1접착부재(341)는 암밸크로를, 상기 제2접착부재(342)는 수밸크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착부재(340)는 상기 제1접착부재(341)는 수밸크로를, 상기 제2접착부재(342)는 암밸크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340)는 상기 유입하판(341) 및 상기 먼지제거포(330)의 접착 및 분리가 용이한 밸크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상기 접착부재(340)의 종류를 밸크로에 한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동일한 효과를 내는 똑딱이 단추나 자석단추등의 사용을 배재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청소 및 먼지 제거가 어려운 창호의 하단부측 창틀에 적재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적은 제작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유입하판에 부착된 먼지제거포가 건조 압착된 상태에서 장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로 구성됨으로서, 건조한 상태로 먼지 제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수분이 흡수된 물티슈나 물스펀지에 의한 청소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창틀 청소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먼지제거포가 탈착이 용이하고 오염된 먼지제거포를 제거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창틀 청소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는 외부공기에 의해 상당한 양의 먼지 및 이물질이 쌓이지만 청소가 어려워 방치되고 있었던 창틀 먼지 제거를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청결한 실내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미서기 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100 : 프레임 110 : 삽입홈부
111 : 돌기부재 200 : 덮개부
210 : 힌지부재 220 : 결합부재
230 : 수용홈 300 : 먼지제거부
310 : 고정부재 311 : 측면
311a : 고리부재 312 : 상면
313 : 내측면 320 : 유입하판
330 : 먼지제거포 340 : 접착부재
341 : 제1접착부재 342 : 제2접착부재

Claims (9)

  1. 창문과, 상기 창문을 안내하는 레일을 갖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하단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창틀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에 구비된 창유리를 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삽입홈부를 개폐가능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및
    상측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가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덮개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먼지제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의 덮혀진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부재; 및
    고정부재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 시 소정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 내측에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구비된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먼지제거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인출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다각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하단과 상기 프레임 하측 창틀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유입하판;
    상기 유입하판 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 창틀 상에 적재된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먼지제거포; 및
    상기 유입하판 및 상기 먼지제거포를 탈착 가능하도록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부 하단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삽입된 고정부재가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유입하판에서 직립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측면;
    상기 측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면과 대응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의 수직높이는 상기 측면의 수직높이 보다 낮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측면은 탄성력을 지닐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및 인출 시 상기 돌기부재의 걸림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유입하판 저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먼지제거포 상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포는,
    압축된 건조 상태로 상기 유입하판에 장착된 후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는 압축티슈 또는 압축스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된 상기 유입하판과 상기 먼지제거포의 수직 높이는 상기 프레임 하단과 상기 프레임 하측 창틀 사이 공간 높이보다 소정으로 작거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밸크로로 구성되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포는,
    상기 창문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창틀 상의 먼지 및 이물질을 닦아서 제거하게 되고, 먼지제거 과정에서 오염된 상기 먼지제거포는 상기 유입하판에서 제거하여 폐기시킬 수 있도록 일회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9. 삭제
KR1020190011696A 2019-01-30 2019-01-30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KR10212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96A KR102121911B1 (ko) 2019-01-30 2019-01-30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696A KR102121911B1 (ko) 2019-01-30 2019-01-30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11B1 true KR102121911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696A KR102121911B1 (ko) 2019-01-30 2019-01-30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467A (ko) * 2019-07-06 2021-01-14 김영원 창호 먼지 고임 방지 장치
KR20220094452A (ko) 2020-12-29 2022-07-06 (주) 군월드 광촉매 적용 창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 적용 창호
KR102476156B1 (ko) 2022-07-07 2022-12-09 (주)명가 모헤어 대체 가스켓 활용에 의한 기밀 성능을 갖춘 미서기 창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69A (ja) * 1994-05-20 1995-12-05 Fujisash Co 網戸装置
JP2005127086A (ja) * 2003-10-27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室用2枚折りドア
KR200390369Y1 (ko) * 2005-04-29 2005-07-21 김기수 창틀 청소용구
KR20140063239A (ko) 2012-11-16 2014-05-27 박인용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200484724Y1 (ko) * 2016-06-15 2017-10-18 하성혁 미닫이 문의 문틀홈 청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69A (ja) * 1994-05-20 1995-12-05 Fujisash Co 網戸装置
JP2005127086A (ja) * 2003-10-27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室用2枚折りドア
KR200390369Y1 (ko) * 2005-04-29 2005-07-21 김기수 창틀 청소용구
KR20140063239A (ko) 2012-11-16 2014-05-27 박인용 먼지 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200484724Y1 (ko) * 2016-06-15 2017-10-18 하성혁 미닫이 문의 문틀홈 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467A (ko) * 2019-07-06 2021-01-14 김영원 창호 먼지 고임 방지 장치
KR102290619B1 (ko) 2019-07-06 2021-08-17 김영원 창호 먼지 고임 방지 장치
KR20220094452A (ko) 2020-12-29 2022-07-06 (주) 군월드 광촉매 적용 창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 적용 창호
KR102476156B1 (ko) 2022-07-07 2022-12-09 (주)명가 모헤어 대체 가스켓 활용에 의한 기밀 성능을 갖춘 미서기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11B1 (ko) 미서기창호의 창틀 먼지제거장치
JP5384265B2 (ja) サッシ
KR20200039917A (ko)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20140046893A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669860B1 (ko) 레일커버가 구비된 창짝프레임
KR200478289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KR200478286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CN217094567U (zh) 一种具有清洁机构的指纹识别智能门禁
KR102006578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창틀 청소 겸용 틈막이 장치
CN210000087U (zh) 一种便于拆卸的汽车天窗
CN211818977U (zh) 一种用于电动放风场平移门的滑槽结构
CN211093650U (zh) 一种无缝连接方便清洁的淋浴房
KR20120005522U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가능한 문틀
KR20150140185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가능한 문틀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200180699Y1 (ko) 창문프레임 청소장치
CN214996763U (zh) 一种把手锁把手滑盖装置
KR200385435Y1 (ko) 먼지 청소용 창호의 호차
JP4182093B2 (ja) 引込戸
JPH0978960A (ja) 掃除口付戸袋の構造
CN210395136U (zh) 一种高速公路隔音屏障
KR102355802B1 (ko) 유리창 클리닝 장치
CN216690853U (zh) 一种洁净室用传递窗
CN220598932U (zh)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防雨天窗
JP4661019B2 (ja) 屋外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掃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