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839A -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839A
KR20140062839A KR1020120129694A KR20120129694A KR20140062839A KR 20140062839 A KR20140062839 A KR 20140062839A KR 1020120129694 A KR1020120129694 A KR 1020120129694A KR 20120129694 A KR20120129694 A KR 20120129694A KR 20140062839 A KR20140062839 A KR 2014006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detergent composition
hardness
group
polyhydric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589B1 (ko
Inventor
유현오
김종철
양진아
곽재훈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12012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5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3Polyvinylalcohol; Ether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69(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nitrogen, e.g. carbonamides, nitriles or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함으로써 경도가 0.01 내지 1N이 되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그립감이 좋고, 최종 조성물의 pH가 중성으로 피부 적용시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Hydrogel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도가 0.01 내지 1N이 되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그립감이 좋은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detergent)는 인간의 피부나 의복, 도자기, 금속 등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일종의 세제로서 비누, 합성세제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비누는 원료 유지를 수산화알칼리로 비누화하든가, 적당한 방법으로 얻은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켜 만든다. 따라서 종래 비누는 pH 9 정도의 알칼리성으로 세정력이 강하여 피부의 모든 피지를 씻어내기도 하지만, 피부 가장 바깥 보호막에서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는 피지막까지도 사라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딱딱한 질감으로 사용시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성의 하이드로겔 세정제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정제수를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나타내므로 상처드레싱, 콘텍트 렌즈, 약제, 화장품, 보형물, 폐수처리제 등을 포함하는 여러 의약, 미용, 환경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하이드로겔에 함유 성분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방출특성(Controlled Release)이나, pH, 온도, 전기장 및 빛 등의 자극에 의해 팽창하거나 오그라드는 감응성의 특성을 부여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겔은 인체의 세포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어 불활성이면서 탄성이 우수하고 산소 및 영양분의 투과율이 뛰어나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내므로, 의약 및 미용 산업에서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미용 분야의 경우 하이드로겔의 탄성, 피부 밀착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이용하여 사용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조절을 통한 여러 보습 및 영양 공급 또는 각질 제거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중성이면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그립감이 좋은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0.01 내지 1N 정도의 경도를 가짐으로써 그립감이 좋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최종 조성물의 pH가 중성으로 피부 적용시 피부트러블이 최소화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경도가 0.01 내지 1N인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겔화고분자는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소듐 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포타슘 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및 코카마이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의 겔화고분자, 10 내지 30 중량%의 다가알콜, 5 내지 40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 외에도 총 중량 대비 0.2 내지 2 중량%의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도 조절제는 아가, 카라기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보존제, 향료, pH 조절제, 피부유효성분, 오일, 색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로 구성된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경도가 0.01 내지 1N 정도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딱딱하지 않아 그립감이 좋다. 또한, 최종 조성물의 pH가 중성이기 때문에 피부 적용시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세정제 관련 제품 개발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과, 겔화고분자인 잔탄검(Xanthan Gum) 대신 구아검(Guar Gum)을 사용하거나(비교예 1) 경도조절제인 카라기난(carrageenan) 대신 젤라틴(gelatin)을 사용하여(비교예 2) 제조한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의 경도를 육안으로 비교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겔화고분자로는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커스트 빈 검은 구주콩나무(Ceratonia silliqua (Leguminosae)) 종자의 배유에서 얻은 검으로 주로 갈락토오스와 만노오스들이 배당체 결합을 하고 있는 고분자콜로이드성 다당류이고, 잔탄검(Xanthan Gum)은 양배추의 엽소병 원인균인 잔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균을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아이소프로필알콜에 정제·건조·분쇄한 것으로서 포도당, 마노스 및 글루크론산의 나트륨, 칼륨 및 칼슘염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겔화고분자로 사용되는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겔이 형성되지 않으며, 3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점성이 매우 높아 겔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고르게 퍼지지 않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다가알콜은 보습뿐만 아니라 겔화고분자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콜은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이 휘산되기 쉽고 겔화고분자를 분산시키기 어려우며, 3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끈적임이 심해져 사용감이 좋지 않고, 원료단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류, 아마이드 에톡실레이트류, 아민 옥사이드류, 알킬글루코사이드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류, 이소티오네이트류, 설페이트류, 설포네이트류, 타우레이트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베타인류, 글리시네이트류, 알킬아미도 알킬아민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소듐 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포타슘 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및 코카마이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5%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지면서 원하는 세정력을 얻을 수 없고, 4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수분의 양이 적어 겔화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증류수 외에도 총 중량 대비 0.2 내지 2 중량%의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도 조절제가 0.2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최종 제품의 강도가 약해지고 형태 유지가 어려우며, 2 중량% 이상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점성이 매우 높아 겔의 유동성이 감소하여 고르게 퍼지지 않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경도조절제는 최종 조성물의 경도뿐만 아니라 겔에 탄성을 부여하여 겔의 형태를 유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아가, 카라기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보존제, 향료, pH 조절제, 피부유효성분, 오일, 색소 및 점증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존제로는 예를 들어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펜탄디올,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하이드로초산 또는 그 염류,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피부와의 친화성을 향상시켜주면서 피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미백성분, 주름기능성 성분, 항산화 성분, 보습성분, 항균성분 등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및 E, 그리고 그 외 천연추출물 등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유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라우레이트, 에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올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시클로도데칸, 이소옥탄, 리퀴드파라핀, 바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시클로옥탄, 시클로펜탄,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마이크로리스탈린왁스, 비즈왁즈, 라놀린왁스, 오조케라이트왁스, 칸데릴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합성왁스 등의 왁스; 호호바오일, 아보카도오일, 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참기름, 밀배아유, 사플라워오일, 동백기름, 피마자유, 포도씨오일, 녹차씨오일, 마카다미아넛츠오일, 야자유, 로즈힙오일, 경화유, 아르간오일, 산자나무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라벤더오일 등의 천연오일; 및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오일 등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오일, 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리퀴드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1) 천연추출물과 정제수를 75℃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단계;
2) 다가알콜, 겔화고분자 및 경도 조절제(경우에 따라서)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상기 1)단계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3) 계면활성제를 75℃까지 가열한 후 상기 2)단계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 혼합물을 10분 내지 2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 혼합물을 성형틀에 붓고 약 6시간 동안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11
하기 표 1 및 2에 제시된 성분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11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에서 1, 3의 성분(정제수 및 천연추출물)을 75℃의 온도에서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에 2, 4, 5의 성분(다가알콜, 겔화고분자 및 경도 조절제)을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이 혼합물에 75℃까지 가열한 6의 성분(계면활성제)을 하여 10 내지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그 혼합물을 성형틀에 붓고 약 6시간 동안 경화시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성분종류 성분명(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10 10 10 10 10 7
부틸렌글라이콜 - - - - - 3
3 천연추출물 알로에 0.5 0.5 0.5 0.5 0.5 3
녹차 0.5 0.5 0.5 0.5 0.5 3
4 겔화고분자 로커스트 빈 검 0.4 0.4 0.4 0.4 0.4 0.5
잔탄검 0.4 0.4 0.4 0.4 0.4 0.5
5 경도조절제 카라기난 - 0.5 2.0 - - -
아가 - - - 2.0 - 0.5
폴리비닐알콜 - - - - 2.0 -
6 계면활성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 - - - - 5
데실글루코사이드 2.5 2.5 2.5 2.5 2.5 -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5 5 5 5 5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 - - - - 10
포타슘코코에이트 3 3 3 3 3 -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 - - - - -
No. 성분종류 성분명(중량%)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1 정제수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7 12 3 20 25
부틸렌글라이콜 3 3 12 10 5
3 천연추출물 알로에 7 2 - 10 5
녹차 3 8 10 - 5
4 겔화고분자 로커스트 빈 검 1.5 0.7 0.3 0.5 1
잔탄검 1 0.3 0.7 0.5 1
5 경도조절제 카라기난 0.2 0.5 0.3 0.5 -
아가 0.5 - 0.5 - 1
폴리비닐알콜 0.2 0.5 - - -
6 계면활성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 5 10 5 -
데실글루코사이드 - 5 10 - -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3 5 - 5 -
포타슘코코에이트 3 5 - 5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5 - - 40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 1 - -
비교예 1
겔화고분자 성분 중 하나인 잔탄검 대신 구아검(0.4 중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경도 조절제 성분 중 하나인 카라기난 대신 젤라틴(2.0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경도 및 pH 측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2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대상으로 경도 및 pH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Sun Rheo Meter Compac-100 Ⅱ (Sun Scientific사, Japan)를 이용하였으며, 아답타는 직경 10mm이며, 진입거리는 15mm, 최대응력은 2kg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폭 50mm, 길이 50mm의 원통형으로 제조하였다. 그 결과의 일부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pH 측정은 Orion 3-star(Thermo)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방법으로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2g을 100ml 비이커에 넣고 물 30ml를 넣어 수욕상에서 가온하여 녹인 다음 25℃ 상태에서 pH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경도 (N) 0.040 0.070 0.159 0.450
pH 6.8 6.9 7.2 6.5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 (N) 측정불가 측정불가
상기 표 3 및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딱딱하지도 않고 무르지도 않은 0.01 내지 1N의 경도를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내지 2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너무나 물러 경도를 측정할 수도 없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pH가 6.5 내지 7.2 정도로 중성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외관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2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을 대상으로 외관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의 일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유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제조된 실시예 1~4와 그렇지 않은 비교예 1~2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4의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종래 비누처럼 딱딱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형태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물렁하지도 않은 반면, 겔화고분자로 잔탄검 대신 구아검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구아검과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인해 겔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죽처럼 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점도 조절제로 카라기난 대신 젤라틴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겔화는 되지만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겔 형태 유지가 어렵고 그립감이 전혀 없으며 이수(離水)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로 구성된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중성으로 피부 적용시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경도가 0.01 내지 1N이 되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딱딱하지 않아 그립감이 좋으므로, 여러 가지 세정제 관련 제품 개발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겔화고분자, 다가알콜, 계면활성제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경도가 0.01 내지 1N인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고분자는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잔탄검(Xanthan Gum)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의 겔화고분자, 10 내지 30 중량%의 다가알콜, 5 내지 40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소듐 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포타슘 코코일 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포타슘 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및 코카마이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0.2 내지 2 중량%의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 조절제는 아가, 카라기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은 보존제, 향료, pH 조절제, 피부유효성분, 오일, 색소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KR1020120129694A 2012-11-15 2012-11-15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KR10140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94A KR101402589B1 (ko) 2012-11-15 2012-11-15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94A KR101402589B1 (ko) 2012-11-15 2012-11-15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839A true KR20140062839A (ko) 2014-05-26
KR101402589B1 KR101402589B1 (ko) 2014-06-03

Family

ID=5089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94A KR101402589B1 (ko) 2012-11-15 2012-11-15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94B1 (ko) * 2020-12-01 2021-06-17 (주)다래월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53B1 (ko) 2019-06-07 2020-02-06 (주)진코스텍 피부 세정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세정용 하이드로겔 비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980B2 (ja) * 1995-04-10 2003-03-31 花王株式会社 水系ジェル状洗浄剤組成物
KR20010076706A (ko) * 2000-01-27 2001-08-16 이종욱 피부 세정용 조성물
KR100340343B1 (ko) * 2000-03-20 2002-06-12 김상회 각질 제거용 러빙크림 조성물
KR101734089B1 (ko) * 2009-06-03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화겔 모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94B1 (ko) * 2020-12-01 2021-06-17 (주)다래월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589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1772139B1 (ko) 피부 케어 제형
MXPA06012191A (es)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personal que depositan agentes beneficos solidos hidrofilos.
KR20140093349A (ko)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4999B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EP2772270A1 (en) Emulsified hydrogel composition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9530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benefit agent including powder to liquid particles and a second powder
DE102006056814B4 (de) Das Wundreiben verhindernde, Bornitrid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KR20110102336A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CN1404819A (zh) 干燥时颜色发生改变的皮肤护理组合物
CA2750146C (en) Matte skin finish compositions
KR102439781B1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US20240099955A1 (en) Skin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812099B2 (ja) 皮膚洗浄剤
KR101402589B1 (ko) 하이드로겔 세정제 조성물
MXPA01001682A (es) Composicion solida de fase continua acuosa comprende un gelificante hidrofilo y una carga particular, y su utilizacion.
KR20140090942A (ko) 중합체 입자들 및 낮은 수준의 점토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CN106413672B (zh) 包含水性介质的组合物
JP2014129244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6247043B2 (ja)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2006282600A (ja) 低刺激性皮膚外用剤
KR20240041515A (ko) 다기능성 고체형 클렌저
EP4252860A1 (en) Anhydrous formulations suitable as lip balms
CA3230270A1 (en) Solid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KR20220033294A (ko)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