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294A -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294A
KR20220033294A KR1020200115519A KR20200115519A KR20220033294A KR 20220033294 A KR20220033294 A KR 20220033294A KR 1020200115519 A KR1020200115519 A KR 1020200115519A KR 20200115519 A KR20200115519 A KR 20200115519A KR 20220033294 A KR20220033294 A KR 2022003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powder
capsul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호
임상우
박명삼
주영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294A/ko
Publication of KR2022003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오일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입자의 형태를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혼합에도 입자가 부서짐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 표현력, 발색력이 우수하고 유분감을 충분히 가질 수 있으며 투명한 수분산에 불연속적인 과립 형태로 분포되어 있어 심미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wder mixture with oil as a binder,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thereby}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상 또는 수상에 캡슐이나 입자가 포함된 제품은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오일캡슐은 피복법이나 계면중합법 등을 통해 제조되고, 과립형캡슐은 분체를 붙여서 만드는 분모건조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투명 수분산액에 일정한 입자를 분포시키는 경우 제품의 복제가 용이하고 성분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99461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성분을 교반하여 불연속상으로 분포된 입자를 제조하거나 공개특허 제10-2018-00244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라마이드 분리막을 통하여 연속상 내로 오일 캡슐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분체를 캡슐 내에 쉽게 내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포 가능한 분체의 함량이 소량이며 특정 장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상 제약이 따른다. 또한, 상용화된 캡슐은 막에 의한 이물감과 색조 성분을 다량 내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과립형 캡슐은 내부에 유성 성분이 없어 사용감이 건조하고 뻣뻣하며 수분산 제형으로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캡슐 내 분체를 충분히 함유하면서도 막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하며 사용감이 개선된, 수분산 제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하나 이상의 파우더를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제조하는 단계; 오일 및 오일증점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 또는 분산시켜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및 상기 형성된 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오일바인더 및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하나 이상의 파우더를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제조하는 단계; 오일 및 오일증점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 또는 분산시켜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및 상기 형성된 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파우더를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더상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우더는 합성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이산화 티탄, 실리콘계 파우더, 보론파우더, 징크옥사이드,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색소 안료, 진주 광택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는 실리콘, 금속염, 지방산, 실리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아미노산, 라우로일라이신, 레시틴 등으로 표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마이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철류,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오일 및 오일증점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및 오일증점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0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0 중량%, 또는 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오일 및 오일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형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물감이 느껴져 사용감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용해도 계수가 5 내지 9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 내지 9, 5 내지 8, 5 내지 7, 5.5 내지 9, 5.5 내지 8.5 또는 5.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오일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Isopropyl Palmitate), 세틸 옥타노에이트 (Cetyl Octanoate),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2-Ethyl Hexanoate),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Octyl Dodecyl Myrist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의 석유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식물성의 스쿠알란, 수소 첨가한 스쿠알란 등의 식물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실록산 결합 (Siloxane bond, Si-O-Si)을 갖는 오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Dimethicone), 디메치콘올 (Dimethiconol), 페닐트리메치콘 (Phenyl Trimethicone), 디실록산 (Disiloxane), 시클로메치콘 (Cyclomethicone), 시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시클로헥사실록산 (Cyclohexa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얻은 오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로즈힙열매오일, 아보카도오일, 동백오일, 사과씨오일, 포도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피마자유, 호호바씨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글리세롤에 3분자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성 겔화제 (gelling agent)는 유상을 가교, 응고 등에 의해 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성 겔화제는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 소듐스테아레이트, 및 미립자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전분 유래의 덱스트린과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라우레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 겔화제를 사용하여 얻은 겔 상태의 유상은 투명한 겔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성 겔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증점제는 오일의 점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엘리스토머나 실리콘레진, 왁스, 탄화수소계 폴리머 등의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유성 성분들끼리 응집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 또는 분산하여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90 중량%, 35 내지 90 중량%, 40 내지 90 중량%, 45 내지 90 중량%, 30 내지 85 중량%, 35 내지 80 중량%, 45 내지 85 중량% 또는 4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일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 5 내지 65 중량%, 5 내지 60 중량%, 7 내지 60 중량%, 10 내지 6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파우더상이 일정한 형태의 덩어리, 즉 캡슐을 형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형성된 캡슐의 스웰링 현상이 일어나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바운더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파우더상 전체에 고르게 코팅되어 일정한 점도를 갖는 캡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캡슐"은 하나 이상의 파우더 혼합물을 일정한 형태의 덩어리가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오일바인더에 의해 상기 파우더 혼합물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파우더를 뭉쳐서 특정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재립기, 조립기, 환제조기, 압출기, 과립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수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성된 캡슐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20 내지 90℃에서 5 내지 3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 내지 30℃에서 12 내지 28시간 동안, 30 내지 55℃에서 6 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또는 60 내지 8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건조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장시간 건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바인더의 성분에 따라 변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캡슐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표면 경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는 캡슐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수분의 함량이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성분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수성 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수성 성분은 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성분은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정제수 또는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은 1 분자 내에 다수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다가 알코올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글리세롤류, 또는 프로판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용해도 계수는 9 내지 2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9 내지 24, 9 내지 23.5, 10 내지 24, 15 내지 24, 또는 20 내지 24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친수성인 다가 알코올과 소수성인 오일의 반발력(repulsion)에 의한 용해도를 증가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성 증점제는 수상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수성 즘정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잔탄검, 젤라틴, 구아검, 카시아검, 젤란검, 캐럽콩검, 한천, 알진, 만난, 펙틴,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수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을 오일바인더에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후, 상기 파우더상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오일바인더 및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연속상인 수상에 파우더상이 불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제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상은 오일 바인더에 의해 캡슐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형은 연속상인 수상에 불연속상인 파우더상이 0.01 내지 5 mm, 0.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5 mm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캡슐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캡슐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평균입경(50% diameter of particle, D50)"이란 입도분포곡선에서 중량 백분율의 50%에 해당하는 입경, 즉, 통과질량 백분율이 50%가 되는 입경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외관 유지를 위해 오일 성분의 첨가가 불가능할 수 있다. 오일 성분을 첨가하기 위해 수중유형 에멀젼 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제형이 투명하지 않고 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 구체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연속상인 수상에 불연속상인 유상이 투명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 성분 함유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과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 모두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파우더 혼합물이 수상 내에 부동(不動)한 위치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 형태의 파우더 혼합물이 수상 내에 분포되어 있어 외관상 차별화가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용 개선의 용도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또는 피부 미용 개선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항 주름, 피부 미백, 피부 장벽 강화, 또는 피부 보습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 등의 표현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about 5)"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감과 색상을 나타내는 입자를 포함하는 바, 투명한 외관에 형태가 일정한 알갱이가 불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심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습, 주름 개선 등과 같이 피부 미용 개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파우더 과립을 경화시키지 않고 오일 바인더에 의해 파우더 과립을 안정화 시킴으로써 일정한 형태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혼합에도 부서짐이나 스웰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분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를 완전히 경화시키지 않아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색소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투명한 외관에 일정한 캡슐이 보여지는 심미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6. 오일 바인딩 캡슐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 바인딩 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우더를 혼합한 후, 캡슐화기기(encapsulator)를 사용하여 혼합된 파우더와 유상을 캡슐화(encapsulation) 하였다. 이때, 제조예 2의 경우, 제조예 1, 3, 4 및 5와 달리 유상의 전체 용해도 계수를 9 이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구분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7 제조예 8 제조예 9
파우더상 파우더 65.00 65.00 65.00 66.60 88.00 50.00 70.00 68.00 67.00
유상 오일 30.00 30.00 25.00 31.20 10.00 43.00 25.00 25.00 25.00
오일증점제 3.00 3.00 8.00 0.20 1.00 4.00 3.00 3.00 3.00
첨가제 2.00 2.00 2.00 2.00 1.00 3.00 2.00 2.00 3.00
휘발성용제 - - - - - - 적량 - -
수상 - - - - - - - 적량 적량
수성증점제 - - - - - - - 2.00 2.00
그 결과, 제조예 5의 경우, 캡슐화 과정에서 캡슐이 형성되지 않았고, 제조예 6의 경우 유동성이 너무 높고 끈적거려 캡슐로 성형이 불가능하였다.
제조예 7. 오일 바인딩 캡슐의 제조
상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 바인딩 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우더를 혼합한 후, 캡슐화기기를 사용하여 혼합된 파우더와 유상을 캡슐화하였다. 이후, 캡슐을 70℃ 이상의 고온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물 및 휘발성 용제를 제거하였다.
제조예 8. 오일 바인딩 캡슐의 제조
상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 바인딩 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우더를 혼합한 후, 혼합된 파우더와 유상을 분산시켰다. 이후, 캡슐화기기를 사용하여 분산된 파우더와 유상을 혼합한 후, 수상을 혼합하여 캡슐화 하였다. 이후, 캡슐을 상온에서 하루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조예 9. 오일 바인딩 캡슐의 제조
상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오일 바인딩 캡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우더를 혼합한 후, 캡슐화기기를 사용하여 혼합된 파우더에 유상과 수상을 유화시킨 유화액(emulsion)을 캡슐화 하였다. 이후, 캡슐을 50℃ 내외의 온도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의 캡슐과 수상부를 혼합하여 오일 바인딩 캡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아지믹서를 800~1500 rpm으로 하여 하기 표 2의 정제수와 점도 조절제, 기타 첨가제를 20분 동안 교반하고 호모게나이저를 1500~2200rpm으로 하여 나머지 성분을 약 10분 동안 완전히 혼합하여 증점된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후, 수상에 상기 제조예의 캡슐을 넣고 패들믹서를 사용하여 5~35rpm에서 모든 성분들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섞어주었다. 이때, 실시예 1은 수상에 포함된 기타 첨가제 및 다가알코올을 용해도 계수 9에 가까운 성분들로 구성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수상 정제수 64.00 64.00 64.00 64.00
다가알코올 6.00 6.00 6.00 6.00
점도 조절제 1.50 1.50 1.50 1.50
기타 첨가제 3.50 3.50 3.50 3.50
캡슐 제조예 1 25.00 - - -
제조예 7 - 25.00 - -
제조예 8 - - 25.00 -
제조예 9 - - - 25.00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에 유효성분이 혼합된 파우더가 입자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제형을 가졌으며, 수상이 투명함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기존 원료인 캡슐을 사용하지 않고도 알갱이가 형성되어 마치 캡슐 원료를 혼합한 것과 같은 외관을 나타내었으며 캡슐에 색소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투명한 외관에 일정한 알갱이가 보여지는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유상에 오일증점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부드러운 알갱이가 형성되어 수상과의 물리적 혼합에도 불구하고 부서짐 없이 입자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비교예 1~5.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수상에 제조예 3의 캡슐을 넣고 약하게 흔들어 혼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하였다. 이때, 비교예 2는 수상에 포함된 기타 첨가제 및 다가알코올을 용해도 계수 9에 가까운 성분들로 구성하였다.
구분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수상 정제수 64.00 60.00 64.00 64.00 56.00
다가알코올 6.00 10.00 6.00 6.00 14.00
점도 조절제 1.50 1.50 1.50 1.50 1.50
기타 첨가제 3.50 3.50 3.50 3.50 3.50
캡슐 일반 막제캡슐 25.00 - - - -
제조예 2 - 25.00 - - -
제조예 3 - - 25.00 - -
제조예 4 - - - 25.00 -
오일비함유
파우더 캡슐
- - - - 25.00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4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에 유효성분이 혼합된 파우더가 입자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제형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 및 4의 경우, 실시예 2에 비해 입자 형태가 불분명 하였다. 비교예 4에서 수상에 제조예 4의 캡슐을 넣고 기기로 혼합하였을 경우, 입자 형태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고, 캡슐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한 채 수상 내에 유화되어 불투명한 크림 제형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 손으로 약하게 혼합한 경우에도 입자 형태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고 상 분리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제형 외관 및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제형 외관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형화가 잘 이루어졌는지 여부(제형 완성도)와 투명도 및 제형안정도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7일이 경과된 후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7일 동안 보관한 후, 상기 평가를 실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제형 완성도 O O O O O Δ O X O
투명도 O O O O O Δ O X Δ
제형 안정도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안정 불안정 안정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3 및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조 후 7일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상 내 입자 형태가 분포되어 있어 제형 완성도가 우수하였으며 투명한 수분산에 불연속적인 캡슐이 분포된 것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캡슐의 형태적 부서짐이나 스웰링(swelling)의 문제가 없이 분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제형안정도가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의 경우, 수상의 용해도 계수를 물에 가깝게 하고, 캡슐 내 구성 성분은 파우더를 제외하고 물의 용해도 계수와 유사하게 하여 제형화에 어려움이 다소 있었으며, 불투명한 크림 제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캡슐이 스웰링되어 제형이 불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 수상과 캡슐을 혼합할 때 캡슐의 형태가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지 못하고 부서짐이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 4는 수상에 제조예 3의 캡슐을 넣고 약하게 흔들어 혼합하였음에도 투명도가 감소하고 침전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일 증점제가 소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제조예 3의 캡슐의 경우, 오일이 특정 함량 이상으로 충분히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우더 간의 부착력이 떨어지므로 캡슐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투명도가 감소하고 침전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습력, 색상 표현력 및 롤링감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3, 5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력, 색상 표현력 및 롤링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3, 5의 화장료 조성물 제품을 25세~37세 사이의 여성 10명에게 각각 사용하도록 한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보습력, 색상 표현력 및 롤링감의 측정을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평가 정도는 우수-보통-부족-매우 부족으로 표기하였고 롤링감의 경우, 사용감을 양호 또는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관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5
보습감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보통 우수 매우
부족
색상표현력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매우 부족 부족 우수
롤링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이물감 있음 캡슐 섞임이 약함 양호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감 및 색상표현력이 비교적 우수하고, 롤링감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일반 막제캡슐을 사용한 경우, 보습감 및 색상표현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피부에 롤링하여 도포시 이물감이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과 같이 캡슐에 오일증점제를 다량 함유한 경우에는 캡슐 자체가 경화되어 피부에 롤링하여 도포시에 캡슐과 수상이 잘 혼합되지 않고 발림성이 나빴으며 이에 따라 색상 표현이 어려웠다. 또한, 오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파우더 캡슐을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보습 효과가 있는 다가알코올을 추가로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보습감이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증점제를 일정 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파우더 혼합물을 바인딩(binding)할 수 있는바, 캡슐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파우더를 혼합하여 파우더상을 제조하는 단계;
    오일 및 오일 증점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혼합하여 오일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 또는 분산하여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 및 상기 형성된 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수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인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캡슐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상 및 오일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수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상을 오일바인더에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후, 상기 파우더상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한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6.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연속상인 수상에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이 불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제형을 가지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15519A 2020-09-09 2020-09-09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3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19A KR20220033294A (ko) 2020-09-09 2020-09-09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19A KR20220033294A (ko) 2020-09-09 2020-09-09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294A true KR20220033294A (ko) 2022-03-16

Family

ID=8093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19A KR20220033294A (ko) 2020-09-09 2020-09-09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2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US6280746B1 (en) Dry emollient compositions
JP4660196B2 (ja) 食物、化粧料、製薬および他の用途に用いる密度制御された粒子懸濁液
US20180071205A1 (en) Stable Vitamin C System
KR101384999B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WO2001051558A1 (fr) Microgels et preparations d'application externe contenant ces microgels
KR102375282B1 (ko)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040091435A1 (en)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controlled release system
CN112656729A (zh) 一种控油隔离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4149469A1 (en) Cosmetic formulation incorporating a uv-triggered self-healing material
CN110772442B (zh) 包含低共熔混合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931920B1 (ko) 데이노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8B1 (ko)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2130298B1 (ko)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3294A (ko) 오일을 바인더로 하는 파우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4307A (ko) 기능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화장료 조성물
KR102076302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KR101999973B1 (ko)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1456B1 (ko) 수중유 형태의 오르가노겔 조성물
JP2011207849A (ja) 口唇用化粧料
USRE38141E1 (en) Dry emolli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