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752A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Google Patents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2752A KR20140062752A KR1020120129516A KR20120129516A KR20140062752A KR 20140062752 A KR20140062752 A KR 20140062752A KR 1020120129516 A KR1020120129516 A KR 1020120129516A KR 20120129516 A KR20120129516 A KR 20120129516A KR 20140062752 A KR20140062752 A KR 20140062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wheelchair
- floor panel
- sides
- bum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stored under the loading floor when not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used for more than one height of loading flo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차량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후방을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 후 안전장치와 편의장치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까지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와 관련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vehicle configured to allow a user of a wheelchair to ride inside a vehicle together with a wheelchai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vehicle that allows a user of a wheelchair to ride safely and easily with a wheelch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automobi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and safely moved to a desired destination through a device and a convenience device.
일반적으로 움직임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경우 장거리 이동시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가 함께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a user who uses a wheelchair because of uncomfortable movement will use the car when traveling for a long distance. At this time, the user of the wheelchair moves to a state where the wheelchair is aboard the car together.
그러나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로 자동차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박스카(Box-car) 형태의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passenger car, it is difficult for a wheelchair user to ride in a wheelchair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so a wheelchair user uses a box-car type car to ride in a wheelchair .
여기서 박스카라 함은 자동차 외형이 네모 반듯한 상자를 쌓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박스카라고 불리우며, 일반 승용차 대비 전고가 높고 탑승 공간과 트렁크가 분리되어 있지 않아 실내 공간이 넓고 개방성이 좋다. Here, the box car is called a box car because the car looks like a box with a square shape. It has a high height compared to a passenger car, and the space for the passenger and the trunk are not separated.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박스카 형태의 자동차 후방에 리프트를 장착하여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09545 "장애인용 차량" 을 통해 이미 제시된 바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lift is mounted on the rear of such a boxcar type car so that a wheelchair user is developed to be able to ride in a car while sitting on a wheelchair. Such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09545 "Has already been presented.
그러나 이와 같은 리프트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차량에 탑승하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manner in which a wheelchair user rides on a vehicle with a wheelchair through such a lift.
즉, 자동차의 후방도어가 열리고, 내부에 위치하던 리프트가 자동차의 외부로 나온 상태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리프트에 올라타게 되며, 이후 휠체어와 함께 리프트가 자동차의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자동차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ear door of the automobile is opened, and the wheelchair user rides on the lift together with the wheelchair user in the state that the lift which is located inside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ar. Then, as the lift moves with the wheelchair into the inside of the car, It is possible to ride inside a car with a wheelchair.
그러나 이와 같은 리프트의 작동과정을 보면 리프트가 자동차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온 후 지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후 리프트에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올라타면 리프트는 다시 수직 상방으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이용자로서는 추락의 불안함을 느끼게 되어 편안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lift is oper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lift is lowered vertically down to the ground. When the wheelchair user rides with the wheelchair in the lif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comfortably because it feels anxiety of a fall.
또한 리프트의 동작이 유압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차 내부에 별도의 유압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이러한 유압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lift is performed by the hydraulic pressure, a separate hydraulic system must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is narrowed by the hydraulic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플로어패널의 후방에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며, 그 상면에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구비된 바닥패널을 형성하고, 후방범퍼에는 후방범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회전 가능한 가동범퍼를 구성하며, 그러한 가동범퍼에는 지면으로 연장되어 전개되는 탑승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탑승수단을 통해 자동차 내부에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는 것이며, 탑승 후 휠체어 고정수단을 통해 휠체어 이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wheelchair fixing means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rider is able to ride on the wheelchair together with the wheelchair safely and easily through the riding means by installing the riding means extending from the ground to the riding bum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vehic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safely protected by a wheelchair fixing means after boar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며, 그 절개된 하단은 후방범퍼의 하단과 회전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후방범퍼의 절개부를 개폐해주는 가동범퍼와;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과;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과 관련된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by a rotating means. 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rotating means to open and close a cut portion of the rear bumper, Wow; A floor panel having a sloped bottom end sloping downwardly from the rear of the floor panel of the automobile and having a plurality of wheelchair holding means formed on the sloped bottom surface thereof; Wherein a first plate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are hinged by hinge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arranged in a line, The lower both side bottom surfac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both side bottom surfaces of the third plat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the first hinge member, upper surfaces on both upper ends of the first plate are connected to upper surfaces on both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late arranged in a line,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is curved down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panel.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회전수단으로 바닥패널의 끝단 저면 양측에 회전부를 가지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단은 가동범퍼의 내부프레임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A pair of hinge brackets each having a rotation part on both sides of the bottom end of the bottom panel of the floor panel are installed by the rotation unit, on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frame of the movable bumper, So that the movable bumper can be rotated up and down around the rotating par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 중 지면과 닿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것과 관련된다.And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are formed 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상기 완충부재를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에 나사결합시켜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바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Wherein the buffer member is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so that the height from the outer surface can be adjusted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범퍼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cision portion, strikers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umper are constituted by a lock devic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trik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바닥패널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을 바닥패널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에 의해 휠체어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이 당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The wheelchair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floor panel may be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loor panel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wheelchair can be pulled and fixed by the wheelchair fixing means.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은 수회 감겨진 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도록 내재된 하우징과, 상기 벨트의 끝단에 설치된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The wheelchair fixing means includes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wound belts to be pulled out or rewound while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ring provided at an end of the bel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바닥패널에 놓여지는 휠체어 바퀴와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바닥패널 상면 양측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And a non-slip pa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of the floor panel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friction with the wheel wheel placed on the floor panel.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바닥패널의 전방 중앙에는 휠체어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휠체어의 하부에는 상기 휠체어 잠금장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A wheelchair lock device is install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floor panel and a strike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to be fixed to the wheelchair lock devic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탑승수단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휠체어 바퀴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는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The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oar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non-slip pad which can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contact between the wheelchair wheel and the wheel.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탑승수단의 제3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과 관련된다.And a handl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plate and the first plate of the boarding means.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탑승수단의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oarding means.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단면에는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접혀지는 제2플레이트의 제3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상측 방향으로 융기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A protrud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on a facing end 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hinge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hird plate of the second plate folded by the first hinge member So that it can be fold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의 저면중 전방 양측은 플로어패널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힌지결합시키고, 후방시트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하여,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 상면에 구비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In order to secure the space of the floor panel,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is hinged to a hinge portion provided on the floor panel, and strikers are provided on both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So as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rear seat lock device provided.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수평한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스트라이커 형성하여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스트라이커를 구속시켜 상기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A table formed of a horizontal flat plate, leg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oot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leg, and a strik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And restricting the striker to use the tabl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자동차 실내 천정의 후방 한쪽에는 내부에 수회 감겨진 안전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 끝단에는 텅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시트용 버클에 상기 텅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A fixing devic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or rewound in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rear portion of a ceiling of a vehicle, and a tongue plat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afety belt of the fixing device to fix the fixing And the tongue plate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buckle for the rear seat located diagonally from the apparatus.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는 고정장치로부터 급격히 인출될 때 안전벨트의 인출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The safety belt of the securing device is associated with a safety device for forcibly stopping the withdrawal of the seat belt when it is suddenly withdrawn from the securing devic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상기 후방도어의 내면중 상측과 하측에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And an upper support frame and a lower support frame which connec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door with each other.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휠체어에 착석해 있는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뒷면을 보호해주는 머리쿠션 부재가 구비되고, 하측 프레임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등을 보호해주는 등쿠션 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head 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backside of the head of a wheelchair user who is seated on the wheelchair, and the lower frame is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back of the wheelchair user.
본 발명은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방을 통해 내부로 휠체어가 탑승될 수 있도록 자동차에 플로어패널로부터 연장되는 하향 경사진 바닥패널과, 후방범퍼로부터 일부 절개되어 상하 회전되는 가동범퍼와, 그러한 가동범퍼에 접철 되면서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펼쳐지는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에는 휠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와 함께 승강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는 것이며, 탑승된 휠체어는 다수의 휠체어 고정수단을 통해 유동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휠체어 이용자 또한 원하는 목적지 까지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automobile which is easy to ride on a wheelchair and includes a downwardly sloping floor panel extending from a floor panel of a vehicle so that a wheelchair can be loaded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rear of the vehicle, The floor pane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chair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wheelchair, so that the wheelchair user can move up and down along with the wheelchair together with the wheelchair.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securely fixed without flowing through a plurality of wheelchair fastening means and the user of the wheelchair can move safely and comfortably to a desired destin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를 예시한 요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다른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a, 3b, 3c 3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탑승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후방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의 휠체어 탑승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lfare automobi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boar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welfare automobi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boar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and 3C 3d are cross-sectional side views illustrating, in steps,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boarding means of a welfare vehic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boar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view of a welfare vehic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ist portion illustrating a wheelchair-mounted state of a welfare vehicle in which a wheelchair can be easily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은 휠체어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탑승시킬 수 있는 복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후방범퍼(200)의 중앙 일부분으로부터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위를 회전식으로 개폐해 주는 가동범퍼(100)와, 플로어패널(400)의 후방 일부분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킨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로부터 지면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탑승수단(500)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도 1 과 도 2 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automobile which can safely and easily ride a wheelch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fare automobile which is cut from a central portion of a
가동범퍼(100)는,The movable bumper (100)
후방범퍼(200)의 중앙부위 일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후방범퍼(20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후방범퍼(200)의 하단과 가동범퍼(100)의 하단은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시켜 구성한 것이다. The lower end of the
이때 절개범위는 후방범퍼(200)의 중심선에서 양쪽으로 일정한 폭을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휠체어(600)가 여유를 가지고 진입할 수 있는 폭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절개에 따라 후방범퍼(200)의 중앙부에는 "└┘" 형태의 절개부(210)가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cision area has a constant width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of the
그리고 후방범퍼(200)로부터 가동범퍼(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수단(220)으로는 바닥패널(300) 중 후방범퍼(200)를 향하는 후방 끝단 하부 양측에 회전부(222)를 가지는 힌지브라켓(221)이 설치되고,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에는 연결브라켓(223)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연결브라켓(223)의 타단은 가동범퍼(100)의 전방에 고정되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연결브라켓(223)의 타단을 가동범퍼(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프레임(120)과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rotating means 220 for rotating the
따라서 가동범퍼(100)를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시키면 후방범퍼(200)로부터 가동범퍼(100)가 분리되면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은 지면에 닿게 되고, 이때 절개부(210)는 개방되는 것이며,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가동범퍼(100)를 다시 상향 회전시키면 후방범퍼(200)의 절개부(210)는 가동범퍼(100)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여기서 가동범퍼(100)를 절개부(210)에 개폐함에 있어서, 가동범퍼(100)의 전체적인 무게에 따라 가동범퍼(100)의 상하 회전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0) 축상에 코일스프링(도면중 미도시)을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힌지브라켓(221)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연결브라켓(223)에 고정시킴에 따라 가동범퍼(100)를 절개부(210)로부터 개방시키면 가동범퍼(100)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은 비틀려 압축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보다 가동범퍼(100)의 하중이 더 무겁기 때문에 가동범퍼(100)가 자체적으로 상향 회전될 수는 없는 것이다.Since the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범퍼(100)를 살짝 들어주어야만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범퍼(100)가 상향 회전되면서 절개부(210)가 폐쇄되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user barely holds the
또한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를 폐쇄할 때 그 폐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절개부(210)의 양측면 상부에 안쪽을 향하는 스트라이커(211)를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가동범퍼(100)의 하부 양측면에는 잠금장치(110)를 설치함으로써, 가동범퍼(100)를 회전시켜 절개부(210)를 폐쇄시킬 때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에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가 결합되면서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는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여기서 전술한 잠금장치(110)와 후술 되는 휠체어 잠금장치(330),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라 함은 도면을 통해 내부 구성을 자세히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의 트렁크나 도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잠금장치로서,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전되는 후크와 그러한 후크를 제어하는 걸쇠로 구성되어 있어 스트라이커가 잠금장치의 끼워지면 후크가 회전되어 잠금장치에 끼워진 스트라이커를 고정하게 되며, 와이어 등에 연결되는 후크를 동작시키면 후크가 역회전 되어 잠금장치로부터 스트라이커가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한편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개방될 경우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이 지면과 닿게 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이 손상되고,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복수개의 완충부재(130)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로부터 개방되어 하향 회전될 때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먼저 닿게 되면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소음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아울러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완충부재(130)는 가동범퍼(100)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완충부재(130)와 함께 가동범퍼(100)가 지면에 닿아 있을 때 완충부재(13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의 가동범퍼(100)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데, 이는 완충부재(130)의 높이조절에 따라 가동범퍼(100)와 연결되는 탑승수단(500)의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의 상태에 따라 탑승수단(50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탑승수단(500)을 통해 자동차의 후방으로 진입하는 휠체어(60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The cushioning
바닥패널(300)은,The floor panel (300)
탑승수단(500)을 통해 자동차의 후방으로부터 진입하는 휠체어(600)가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바닥패널(300)은 휠체어(600)의 전후방 및 좌우의 폭과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동차의 플로어패널(400) 중 후방 쪽 일부분을 함몰시키되 후방도어(90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성한 것이다.The
이때 바닥패널(300)은 플로어패널(400)과 일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플로어패널(400)의 후방부위를 제거한 후 경사진 바닥패널(300)을 직접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바닥패널(300) 중 후방도어(900)를 향하는 하단은 절개부(210)의 내부 저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수단(500)을 거쳐 절개부(210)를 통해 이동되는 휠체어(600)가 바닥패널(300)로 부드럽게 진입하여 바닥패널(3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또한 바닥패널(300)의 양측으로는 기존 플로어패널(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턱부(410)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단턱부(410)는 바닥패널(300)에 위치하는 휠체어의 불필요한 좌우 이동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tepped
아울러 바닥패널(300)의 상면에는 바닥패널(300)에 놓여 지는 휠체어(600)가 불필요하게 전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바닥패널(300)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사방으로 각각 구비되어 바닥패널(300)에 놓여지는 휠체어(600)를 사방에서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부 양측의 휠체어 고정수단(310)의 간격보다 하부 양측의 휠체어 고정수단(310)의 간격을 좁게 구성한 것인데, 이는 휠체어(600)를 사방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지만 바닥패널(300)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와의 간섭이 없어 휠체어(6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지만 바닥패널(30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단턱부로 인하여 휠체어(6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Preferably, the interval between the wheelchair fixing means 310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wheelchair fixing means 310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lthough it may be stable to fix the
따라서 바닥패널(300)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 바퀴의 이동경로에 놓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휠체어(600) 바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휠체어(600) 바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이다.The wheelchair fixing means 3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여기서 전술한 휠체어 고정수단(310)은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11)과, 그러한 하우징(311)의 내부에 수회로 감겨져 있으며, 하우징(311)으로부터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는 벨트(312)와, 그러한 벨트(312)의 끝단에 구비되어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에 고정되는 고리(313)로서 구성된 것이며, 이때 휠체어 고정수단(310)에는 필요에 따라 벨트(312)의 움직임 방지할 수 있는 방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The wheelchair fixing means 310 described above may be constructed by various mean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or wheels of the
또한 바닥패널(300)의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휠체어(600) 바퀴와의 마찰력을 높여 바닥패널(300)에 놓여진 휠체어(600) 바퀴가 불필요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패드(320)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바닥패널(300)에 놓여지는 휠체어(600)의 움직임을 더욱 구속하여 휠체어 이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패널(300)의 상부쪽 중앙에 휠체어 잠금장치(330)를 설치하고, 휠체어(600)에는 전면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610)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재(610)의 전면으로 스트라이커(611)를 설치함으로써, 휠체어(600)를 바닥패널(3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방쪽으로 더욱 밀어주게 되면 휠체어(600)의 연장부재(610)에 구비된 스트라이커(611)가 자동적으로 휠체어 잠금장치(330)에 고정됨에 따라 바닥패널(300)의 사방에 설치된 휠체어 고정수단(310)과 함께 휠체어 잠금장치(330)로 인해 바닥패널(300)에 안착된 휠체어(60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The
탑승수단(500)은,The boarding means (500)
가동범퍼(100)로부터 지면까지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동범퍼(100)의 내부 상면에 가동범퍼(100)의 상면 크기와 상응한 크기를 가지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는 사각형태의 제1플레이트(510)와, 그러한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520)와, 그러한 제2플레이트(520)의 하단에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530)와,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과 바닥패널(300)을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540)로 구성된 것이다.The
이때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 양측에는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힌지부재(511)가 형성되고, 그러한 힌지부재(511)에는 제2플레이트(520)의 상단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이며, 제2플레이트(520)의 하단과 제3플레이트(530)의 상단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저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1경첩부재(52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다.At this time, a
그리고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과 연결플레이트(540)의 하단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2경첩부재(53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며, 연결플레이트(540)의 상단은 일부분이 하측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바닥패널(300)의 상면에 접면되어 바닥패널(300)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가동범퍼(100)가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장치(110)로부터 스트라이커(211)가 풀리고 가동범퍼(100)가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 연결플레이트(540)의 하단으로부터 제1플레이트(510)의 상단이 제2경첩부재(531)의 도움을 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510)와 가동범퍼(100)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연결플레이트(540)의 상단은 바닥패널(300)의 상면으로부터 후방도어(900)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닿게 되면 제1플레이트(510)는 하향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고, 이후 제1플레이트(510)와 연결된 제2플레이트(520)가 힌지부재(511)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며, 제2플레이트(520)와 연결된 제3플레이트(530) 또한 제1경첩부재(521)의 회전에 따라 하향 회전되면서 연결플레이트(540)와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가 동일선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때 가동범퍼(100)의 회전범위가 절개부(210)를 폐쇄하고 있던 수직방향에서 90°이상 둔각의 범위로 회전되어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게 됨에 따라 제1플레이트(51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 또한 제1플레이트(510)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게 되면서 제3플레이트(530)의 하단이 지면과 닿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ushioning
그리고 이러한 탑승수단(500)의 경사도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므로서, 전체적인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clination of the boarding means 5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한편, 이와 같이 경사도를 가지면서 펼쳐진 탑승수단(500)이 접힐 때에는 도 3a 와 3b 와 3c 와 3d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경첩부재(521)의 도움을 받아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상측으로 융기되도록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바깥면이 서로 접면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힌지부재(511)의 도움을 받아 접혀진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를 제1플레이트(510) 쪽으로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520)의 내면이 제1플레이트(510)의 내면에 접면되도록 접은 다음 힌지브라켓(221)의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 및 제1플레이트(510)가 가동범퍼(100)와 함께 상향 회전되어 절개부(210)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3A and 3B and 3C and 3D, the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수단(500)을 접을 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플레이트(530)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533)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손잡이부(533)를 파지한 상태에서 탑승수단(500)의 펼침과 접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when folding the boarding means 500 as described above, a
아울러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상면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550)를 설치하므로서, 탑승수단(500)을 따라 이동되는 휠체어(600)의 바퀴가 탑승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522)(532)를 구비함에 따라 탑승수단(500)을 통해 이동되는 휠체어(600)의 바퀴가 탑승수단(500)의 바깥쪽으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The
또한 휠체어(600)가 탑승수단(500)의 상면을 타고 오르거나 내려감에 있어서, 휠체어(600) 및 휠체어 이용자의 무게에 의해 탑승수단(500)의 연결부위가 눌리면서 탑승수단(500)의 전체적인 경사도가 완만함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의 연결부위 및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2플레이트(520) 후방과 제3플레이트(530)의 전방의 마주하는 단면에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514)를 각각 형성함에 따라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에 수직 하방으로 중력이 작용할 경우 제2플레이트(520) 후방과 제3플레이트(530) 전방의 마주하는 단면에 구비된 돌부(514)가 서로 지탱을 하게 되어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의 연결부위가 함몰되는 형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또한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를 힌지부재(511)로 연결함에 있어서, 제1플레이트(510)의 하단 일부 상면에 제2플레이트(520)의 상단 일부 저면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1플레이트(510)와 제2플레이트(520)의 연결부위 또한 함몰되는 형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한편, 자동차에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와 탑승수단(500)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통해 내부로 휠체어(600)가 탑승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 후방 쪽 내부 공간이 충분한 형태의 차량인 경우 후방시트(700)의 조절 없이도 바닥패널(300)과 가동범퍼(100)와 탑승수단(500)을 구비하여 휠체어(600)가 자동차의 후방 내부에 탑승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작은 크기의 박스카 타입 자동차인 경우 자동차의 후방 쪽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후방시트(700)를 제거한 후 휠체어(600)가 탑승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어야 한다.In the meantime, whe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그러나 후방시트(700)를 제거하는 경우 휠체어(600)의 탑승은 용이하나 휠체어(600)가 탑승되지 않을 때에는 승차정원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서 자동차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게 되고, 자동차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However,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후방시트(700)의 저면을 플로어패널(400)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플로어패널(400)에 힌지부(720)를 구성한 후 그러한 힌지부(720)에 후방시트(700)의 저면 중 전방 양측을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하고, 후방시트(700)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730)를 설치하며, 바닥패널(300) 양측에 위치한 단턱부(410) 상면에는 각각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설치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후방시트(700)의 스트라이커(730)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고정시켜 후방시트(700)로 사용하다가 휠체어(600)를 탑승시킬 경우에는 후방시트(700)의 등받이(710)를 접은 상태에서 후방시트(700)의 스트라이커(730)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로부터 분리시킨 후 힌지부(720)를 중심으로 등받이(710)와 후방시트(700)를 함께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여 바닥패널(30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휠체어(600)를 효과적으로 탑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후방시트(700)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대응하는 플로어패널(400)의 사방에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설치하고, 후방시트(700)의 저면 사방에는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트라이커(730)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휠체어(600)의 크기에 따라 후방시트(700) 전체를 플로어패널(400)로부터 분리시켜 후방의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A rear
따라서 후방시트(700)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후방의 공간을 가변조절할 수 있어 자동차의 공간효율성을 높이고, 자동차의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아울러 후방시트(700)와 등받이(710)를 함께 전방으로 회전시켜 바닥패널(30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상태에서 단턱부(410)에 위치한 후방시트 잠금장치(420)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평상태의 사각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평판과, 그러한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 하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와, 그러한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받침판으로 테이블을 구성하고, 그러한 테이블의 받침판 저면에는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A means for effectively utilizing the rear
따라서 차량 내부에 휠체어(600)와 함께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간단한 업무나 식사 등을 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필요로 하는 경우 테이블의 받침판에 구비된 스트라이커를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각각 결합시켜 휠체어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a wheelchair user who is aboard a
또한 자동차의 내부 후방에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한 경우 휠체어 이용자의 후방에는 후방도어(900)가 바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충돌이나 추돌 등과 같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가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되거나 후방도어(900)와 직접 부딪치는 경우 부상을 크게 입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wheelchair is aboard the inner rear of the automobile with the
따라서 자동차 실내 천정에 고정장치(810)를 설치하되, 그 고정장치(810)는 내부에 안전벨트(811)가 수회 감져진 상태에서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하고, 그러한 안전벨트(811)의 끝단에는 텅플레이트(812)가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refore, the fixing
이때 실내 천정(800)에 설치되는 고정장치(810)의 위치는 바닥패널(300)에 안착된 후 휠체어 고정수단(310) 및 후방시트 잠금장치(420)에 의해 고정된 휠체어(600)에 착석하게 되는 휠체어 이용자 머리의 수직 상방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그 후방에서도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부위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xing
이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고정장치(810)의 안전벨트(811)를 잡아당겨 고정장치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기존 후방시트용 버클(813)에 안전벨트(811)의 텅플레이트(812)를 결합시키게 되면 안전벨트(811)가 휠체어 이용자의 가슴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속해주게 되므로 차량의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되면서 전방의 물체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user of the wheelchair pulls the
여기서 고정장치(810)의 내부에는 안전벨트(811)가 급격히 당겨질 때 안전벨트(811)의 움직임을 바로 멈출 수 있는 안전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safety means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또한 후방도어(900)의 내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측과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다른 차량의 후방 추돌에 의해 후방도어(900)가 실내로 밀려 들어올 때 후방도어(900)의 내면에 설치된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이 후방도어(900)의 강성을 최대한 보강해줌에 따라 후방 추돌에 의한 후방도어(900)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후방 추돌에 의해 후방도어(900) 안쪽에 위치하는 휠체어 이용자가 크게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lthough the
아울러 전술한 상측 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의 위치를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후방 및 등 후방에 위치시켜 구성하고,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의 전면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머리쿠션 부재와 등쿠션 부재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자동차의 충격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와 등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도어(900)가 휠체어 이용자 쪽으로 밀려 들어올 때 상측 프레임의 머리쿠션 부재와 하측 프레임의 등쿠션 부재가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와 등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above-mentioned upper and lower frames are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head and back of the user of the wheelchair. A head cushion member and a back cushion memb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lleviating an impact on the upper frame and the entire lower frame, When the head and the back of the wheelchair user are pushed backward by the impact of the automobile or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휠체어가 탑승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loading the wheelchair by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즉, 자동차의 내부에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할 경우 휠체어 이용자를 도와주는 도우미가 후방도어(900)를 열고,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로부터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부(222)를 중심으로 가동범퍼(100)를 하향 회전시켜 가동범퍼(100)의 바깥면에 구비된 완충부재(130)가 지면에 닿도록 하면 절개부(210)는 개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wheelchair user rides with the
이후 가동범퍼(100)의 제1플레이트(510)쪽으로 접혀져 있던 제2플레이트(520)와 제3플레이트(530)를 순차적으로 펼쳐 탑승수단(500)이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한 다음 그러한 경사도를 가지는 탑승수단(500)을 거쳐 절개부(210)를 통해 휠체어(600)와 함께 휠체어 이용자를 이동시킴으로써 휠체어(600) 및 휠체어 이용자를 자동차 내부의 바닥패널(300)에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이후 도우미는 휠체어(600)의 전방에 구비된 스트라이커(611)를 바닥패널(300) 전방 중앙에 위치한 휠체어 잠금장치(330)에 결합시킨 다음 휠체어 고정수단(310)에 구비된 벨트(312)를 연장시켜 그 끝단에 구비된 고리(313)를 휠체어(600)의 프레임 또는 바퀴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휠체어(600)가 바닥패널(3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helper then connects the
그리고 천정(80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장치(810)의 안전벨트(811)를 잡아당겨 그 안전벨트(811)에 연결된 텅플레이트(812)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후방시트용 버클(813)에 고정시킴으로써 안전벨트(811)에 의해 휠체어 이용자의 급격한 전방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The
이후 도우미는 손잡이부(533)를 이용하여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를 접은 후 그 접혀진 제3플레이트(530)와 제2플레이트(520)를 제1플레이트(510)쪽으로 다시 접은 상태에서 가동범퍼(100)를 상향 회전시켜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에 결합시키므로서, 개방되어 있던 절개부(210)가 가동범퍼(10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The helper folds the
그리고 열려져 있던 후방도어(900)를 닫은 다음 자동차를 주행하여 휠체어 이용자와 함께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n, after the
이와 같이 자동차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차로부터 하차할 경우에는 가동범퍼(100)의 잠금장치(110)를 절개부(210)의 스트라이커(211)로부터 분리시킨 후 가동범퍼(100)를 하향 회전시킨 다음 접혀져 있던 탑승수단(500)을 경사지게 펼치고,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를 구속하고 있는 휠체어 고정수단(310)과 휠체어 잠금장치(330)와 안전벨트(811)를 제거한 상태에서 탑승수단(500)을 이용해 휠체어(600)와 휠체어 이용자를 안전하게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가동범퍼 110 : 잠금장치
120 : 내부프레임 130 : 완충부재
200 : 후방범퍼 210 : 절개부
211 : 스트라이커 220 : 회전수단
221 : 힌지브라켓 222 : 회전부
223 : 연결브라켓 300 : 바닥패널
310 : 휠체어 고정수단 311 : 하우징
312 : 벨트 313 : 고리
320 : 미끄럼방지패드 330 : 휠체어 잠금장치
400 : 플로어패널 410 : 단턱부
420 : 후방시트 잠금장치 500 : 탑승수단
510 : 제1플레이트 511 : 힌지부재
514 : 돌부 520 : 제2플레이트
521 : 제1경첩부재 522 : 날개부
530 : 제3플레이트 531 : 제2경첩부재
532 : 날개부 533 : 손잡이부
540 : 연결플레이트 550 : 미끄럼방지패드
600 : 휠체어 610 : 연장부재
611 : 스트라이커 700 : 후방시트
710 : 등받이 720 : 힌지부
730 : 스트라이커 800 : 천정
810 : 고정장치 811 : 안전벨트
812 : 텅플레이트 813 : 후방시트용 버클
900 : 후방도어100: movable bumper 110: locking device
120: inner frame 130: buffer member
200: rear bumper 210:
211: striker 220: rotating means
221: Hinge bracket 222:
223: connection bracket 300: floor panel
310: wheelchair fixing means 311: housing
312: Belt 313: Ring
320: non-slip pad 330: wheelchair lock
400: Floor panel 410: Step jaw
420: rear seat locking device 500: boarding means
510: first plate 511: hinge member
514: protrusion 520: second plate
521: first hinge member 522:
530: third plate 531: second hinge member
532: wing portion 533: handle portion
540: connecting plate 550: non-slip pad
600: wheelchair 610: extension member
611: striker 700: rear seat
710: backrest 720: hinge portion
730: Stryker 800: Ceiling
810: Locking device 811: Seat belt
812: Tongue plate 813: Buckle for rear seat
900: Rear door
Claims (21)
후방범퍼의 중앙부위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며, 그 절개된 하단은 후방범퍼의 하단과 회전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상기 절개에 의해 만들어진 후방범퍼의 절개부를 개폐해주는 가동범퍼;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후방을 하향 경사지게 함몰시켜 경사진 끝단이 상기 절개부의 저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경사면에는 다수개의 휠체어 고정수단이 형성된 바닥패널; 및
상기 가동범퍼의 내부 상면에는 수평상태로 제1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단 양측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의 상단 양측과 힌지부재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저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저면과 제1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단 양측 상면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연결플레이트의 하단 양측 상면과 제2경첩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단은 하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바닥패널과 접면되도록 구성된 탑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A welfare automobile in which a rear door of a car is opened and a wheelchair user is allowed to ride inside a car together with a wheelchair,
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by a rotating means. The lower end of the rear bumper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rotating means to open and close a cut portion of the rear bumper, ;
A floor panel in which a rear portion of a floor panel of an automobile is depressed downwardly so that an inclined end thereof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of the incision and a plurality of wheelchair securing means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Wherein a first plate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are hinged by hinge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arranged in a line, The lower both side bottom surfac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both side bottom surfaces of the third plat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the first hinge member, upper surfaces on both upper ends of the first plate are connected to upper surfaces on both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late arranged in a line, And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late is curved down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panel.
상기 회전수단은,
바닥패널의 끝단 저면 양측에 회전부를 가지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연결브라켓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단은 가동범퍼의 내부프레임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hinge brackets each having a rotating part on both sides of the bottom end of the floor panel are installed,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frame of the moving bumper, And the movable bumper can be rotated up and down.
상기 회전부의 축상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힌지브라켓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연결브라켓에 고정시켜 회전부를 중심으로 가동범퍼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il spring is mounted on the axis of the rotary part and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hinge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racket so that the movable bumper can be rotated up and down with elasticity around the rotary part. A welfare car that makes it easy to board a wheelchair.
상기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 중 지면과 닿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ushioning members are formed 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상기 완충부재는,
가동범퍼의 바깥 표면에 나사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바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shioning member,
Wherein the movable bumper is screw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bumper so that the height from the outer surface can be adjusted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범퍼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riker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ut-out por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locking device is selective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umper to engage with the striker.
상기 바닥패널에 구비되는 휠체어 고정수단은,
바닥패널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에 의해 휠체어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이 당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chair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floor panel includes: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wheelchair can be pulled and fixed by the wheelchair fixing means.
상기 휠체어 고정수단은,
수회 감겨진 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인출 또는 되감겨지도록 내재된 하우징과, 상기 벨트의 끝단에 설치된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heelchair fixing means comprises: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wound belts are drawn out or rewound while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ring provided at an end of the belt.
상기 바닥패널에 놓여지는 휠체어 바퀴와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바닥패널 상면 양측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on-slip pa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anel to increase contact friction with the wheelchair wheel placed on the floor panel.
상기 바닥패널의 전방 중앙에는 휠체어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휠체어의 하부에는 상기 휠체어 잠금장치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heelchair lock device is installed at a front center of the floor panel and a strik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to be able to be hooked to the wheelchair lock device.
상기 탑승수단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표면에는 휠체어 바퀴와의 접촉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는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oarding means is provided with a non-slip pad capable of increasing frictional force of contact between the wheelchair wheel and the wheelchair wheel.
상기 탑승수단의 제3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plate and the first plate of the boarding means.
상기 탑승수단의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of the boarding means.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단면에는 서로 대향되어 접면되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경첩부재에 의해 접혀지는 제2플레이트의 제3플레이트의 연결부위가 상측 방향으로 융기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d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on a facing end face of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hinge member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hird plate of the second plate folded by the first hinge member Wherein the wrist can be folded upward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의 저면중 전방 양측은 플로어패널에 구비되는 힌지부에 힌지결합시키고, 후방시트의 저면중 후방 양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하여,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 상면에 구비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secure the space of the floor panel,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is hinged to a hinge portion provided on the floor panel, and strikers are provided on both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And a rear seat locking device provided on the rear seat so as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rear seat locking device.
상기 바닥패널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방시트 저면의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시트 저면과 대응되는 플로어패널의 양측과 바닥패널의 양측 단턱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후방시트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riker is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so as to secure the space of the floor panel and the striker is selectively restrained on both sides of the floor panel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eat, And a rear seat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rear seat.
수평한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저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끝단에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는 스트라이커 형성하여 상기 후방시트 잠금장치에 구속시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A table formed of a horizontal flat plate, leg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plat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oot plate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leg, and a strik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So as to be able to use the table.
자동차 실내 천정의 후방 한쪽에는 내부에 수회 감겨진 안전벨트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되감겨지도록 구성된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 끝단에는 텅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시트용 버클에 상기 텅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devic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or rewound in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rear portion of a ceiling of a vehicle, and a tongue plat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afety belt of the fixing device to fix the fixing And the tongue plate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buckle for the rear seat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apparatus.
상기 고정장치의 안전벨트는 고정장치로부터 급격히 인출될 때 안전벨트의 인출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afety belt of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for forcibly stopping the withdrawing of the seat belt when the seat belt is rapidly drawn out from the fixing device.
상기 후방도어의 내면중 상측과 하측에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측 지지프레임과 하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pport frame and a lower support frame are provided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door to each other.
상기 상측 프레임에는 휠체어에 착석해 있는 휠체어 이용자의 머리 뒷면을 보호해주는 머리쿠션 부재가 구비되고, 하측 프레임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등을 보호해주는 등쿠션 부재가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복지 자동차.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head 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backside of the head of the wheelchair user seated on the wheelchair and the lower frame is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back of the wheelchair user. Welfare ca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en) | 2012-11-15 | 2012-11-15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en) | 2012-11-15 | 2012-11-15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2752A true KR20140062752A (en) | 2014-05-26 |
KR101409349B1 KR101409349B1 (en) | 2014-06-20 |
Family
ID=5089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9516A KR101409349B1 (en) | 2012-11-15 | 2012-11-15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34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044A (en) * | 2019-12-11 | 2021-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holding wheel chair on vehicle |
GB2598335A (en) * | 2020-08-26 | 2022-03-02 | S G Technical Systems Ltd | Vehicle ramp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9507B1 (en) * | 2017-05-11 | 2018-05-21 | 주식회사이지무브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heelchair ramp of vehicle |
KR102459388B1 (en) * | 2020-12-28 | 2022-10-27 |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 Rear center bumper for disabled and elderly pers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46140B2 (en) | 2004-11-12 | 2009-04-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slope structure |
KR100794551B1 (en) | 2007-04-09 | 2008-01-17 | 주식회사 오텍 | Welfare vehicle with wheel chair safty holder |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8-03-18 | 주식회사 오텍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KR100968741B1 (en) | 2009-11-19 | 2010-07-08 | 주식회사 오텍 | Disabilities vehicle with sliding lift |
-
2012
- 2012-11-15 KR KR1020120129516A patent/KR10140934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4044A (en) * | 2019-12-11 | 2021-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holding wheel chair on vehicle |
GB2598335A (en) * | 2020-08-26 | 2022-03-02 | S G Technical Systems Ltd | Vehicle ramp assembly |
GB2598335B (en) * | 2020-08-26 | 2023-12-13 | S G Technical Systems Ltd | Vehicle ramp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9349B1 (en) | 2014-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274944B2 (en) | Emergency vehicle patient transport systems | |
KR101289000B1 (en) | On-vehicle stretcher and stretcher fixture | |
KR101409349B1 (en)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
US8845021B2 (en) | Adjustment mechanism for positioning a headrest in an infant car seat | |
US20110062751A1 (en) | Reconfigurable Seating Arrangement | |
JP2017148445A (en) | Wheelchair fixing device | |
KR20160037509A (en) | Bus for a handicapped person with a wheelchair lift | |
KR101526393B1 (en) | Seat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CN207345560U (en) | A kind of folding type safety seat for children | |
KR100349783B1 (en) | Multi-use box for child of automobile | |
KR19980055794U (en) | Child protection device of vehicle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