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684B1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Google Patents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4684B1 KR100814684B1 KR1020070069652A KR20070069652A KR100814684B1 KR 100814684 B1 KR100814684 B1 KR 100814684B1 KR 1020070069652 A KR1020070069652 A KR 1020070069652A KR 20070069652 A KR20070069652 A KR 20070069652A KR 100814684 B1 KR100814684 B1 KR 100814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lope
- wheelchair
- stage plate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도어 안쪽에 수동식 전동 슬로프가 장착되어 승차 및 하차 시에 슬로프를 펼쳐 휠체어를 탄 상태로 안전하게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nd in particular, a manual electric slope is mounted inside the rear door to expand the slope at the time of riding and getting off and configured to safely ride or get off the wheelchair.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장거리를 이동할 경우에 차량을 이용하는데, 휠체어를 이용하여 차량까지 이동한 후 휠체어에서 차량으로 옮겨 타고서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목적지에서 장애인은 차량으로 실고 온 휠체어로 옮겨 탄 후에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한다.Whe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not comfortable with mobility, travel by car, they use a wheelchair to move the vehicle and then move from the wheelchair to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At the destination,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is transported to a wheelchair loaded in the vehicle, and then to the final destination.
하지만 일반 차량은 휠체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휠체어를 실고 장거리 이동할 경우 장애인용 차량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이 편리하다.But ordinary cars don't have enough space for wheelchairs.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a vehicle for the disabled when traveling long distances in wheelchairs.
종래의 장애인용 차량은 열린 승차 도어를 통해 리프터가 차량 밖으로 나오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로 차량 밖으로 나온 리프터에 옮겨 탄 후 리프터의 작동에 의해 차량 내부로 이동해 들어가 승차한다. In the conventional vehicle for the disabled, the lifter comes out of the vehicle through an open riding door, and a disabled person moves into th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er after riding the lifter out of the vehicle in a wheelchair.
하지만 이와 같이 리프터를 이용함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in using the lifter in this way.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보면, 승차 시에 수직으로 상향이동한 후에 회전하여 차량 내부로 들어가고, 반대로 하차 시에는 회전하여 차량 밖으로 나온 후에 지면까지 하향 이동한다. 이와 같은 리프터의 작동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급격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수직 이동과 회전 이동이 상호 전환되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이 있어 안심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의 경우에는 극히 불안을 느낀다.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fter, the vehicle moves up vertically while riding and then rotates to enter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the operation of such a lifter is rapidly rising or fa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risk of falling because there is a risk of falling because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rotational movement is mutually disadvantageous. In particular, the elderly are extremely anxious.
또한, 리프터는 유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유압시스템을 구비한 키트 박스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키트 박스가 차량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차량 내부공간이 협소해져 답답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er operates hydraulically, a kit box equipped with a hydraulic system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kit box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thus,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narrowed and is stuffy.
또한, 리프터는 차량 원래의 바닥 샤시에 장착되기 때문에 휠체어의 고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시야가 차량 측면 샤시에 가려 시야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er is mounted on the vehicle's original floor chassis, the height of the wheelchair becomes high, and thus, the vision of the disabled person who sits in the wheelchair is hidden by the vehicle side chassi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the field of view.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완만한 경사각을 가진 수동식 슬로프가 차량의 후미와 지면을 연결하고 슬로프를 따라 승차 또는 하차함으로써, 갑작스런 방향 전환이 없어 장애인이 보다 안전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anual slope having a gentle inclination angle connects the rear and the ground of the vehicle and ride or get off along the slope, there is no sudden direction chan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for the disabled with a manual slope configured to feel more sec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승차한 장애인의 후미에 장착되며, 또한 차량의 원래 바닥 샤시를 낮게 개조함으로써 장애인의 전방 및 측방의 시야 확보가 양호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a passive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front and side of the disabled by modifying the original bottom chassis of the vehicle 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보조자에 의해 슬로프가 펼쳐지거나 접이됨으로써, 슬로프의 구성이 단순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없고, 또한 제작비용이 저렴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a manual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ing or folding the slope by the assistant, the configuration of the slope is simple, there is no generation of troub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열린 리어 도어를 통해 지면까지 경사지게 펼쳐지거나 또는 차량 내부로 접히는 수동식 슬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passive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ual slope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be inclined to the ground or folded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open rear door.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동식 슬로프는, 펼쳐졌 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어 차량 안쪽으로 또는 차량 바깥쪽으로 선회하고,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레일에 상기 1단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상기 1단 플레이트가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2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al slope, the first stage plate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unfolded, and one side end is hingedly coupled to the vehicle, turning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an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stage plate is coupled to the formed rail and includes a second stage plate supporting the first stage plate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단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3단 플레이트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2단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차량의 바닥과 상기 2단 플레이트의 사이 틈을 폐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econd stage plate is hinged to the third stage plate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stage plate when the second stage plate is unfolded or fol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플레이트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age plate is formed with a hand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플레이트와 상기 2단 플레이트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pad is attached to the first stage plate and the second stag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 플레이트와 상기 2단 플레이트에는 장공들이 형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stage plate and the second stag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과 상기 2단 플레이트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로프를 펼쳤을 때에 상기 체인이 긴장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n and the two-stage plate are connected by a chain and the chain is tensioned when the slope is unfol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내부에는 휠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기에서 벨트를 풀어 상기 벨트 끝에 고정된 후크로 상기 휠체어의 앞쪽을 고정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wheelchair, by fixing the front of the wheelchair with a hook fixed to the end of the belt by releasing the belt from the fix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동식 슬로프의 측면에는 잠금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수동식 슬로프가 접혔을 때에 삽입된 상기 잠금돌기를 잠금하는 잠금기가 차량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기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해제버튼이 형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manual slope, and a lock for locking the locking protrusion inserted when the manual slope is folded is fixed inside the vehicle. An unlock button for unlocking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후미의 바닥 샤시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가 탈장착되며, 상기 슬롯에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의 벨트가 풀려 상기 벨트 끝에 고정된 후크로 상기 휠체어의 뒤쪽을 고정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chassis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is formed with a slot, the removable wheelchair fixing device is mounted on the slot, the removable wheelchair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the mounting of the fixed A belt is released to secure the back of the wheelchair with a hook fixed to the end of the bel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바닥에는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손잡이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so that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can safely grab 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휠체어가 탑승된 공간의 바닥을 차량의 바닥보다 낮게 구성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of the space in which the wheelchair is boarded is configured lower than the floor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내측벽에는 예비 타이어가 세워져 고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re tire is erected and fixed on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함에 있어서, 완만한 슬로프를 따라 승차 또는 하차함으로써 급격한 방향 전환이 없어 리프터 보다 안전하며 장애인 또한 승하차 시에 보다 안심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프터는 기계장치에 의해 작동하지만,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를 따라 승하차함으로써, 기계 오작동에 따른 추락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 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when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rides or disembarks a vehicle for a handicapped person having a manual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sudden change of direction by riding or getting off along a gentle slope, which is safer than a lifter, and also a person with disabiliti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feel more secure in the city. In addition, the lifter is operated by a mechanical device, but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a manual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t on and off along the slop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falling due to mechanical mal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를 통해 승차 및 하차함에 있어 휠체어고정기를 구비하고 있어 보조자가 자칫 실수를 하더라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a passive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even if the assistant makes a mistake because the wheelchair is fixed to the riding and getting off through the slope.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차량의 바닥 샤시를 원래 차량 샤시보다 낮게 개조함으로써, 차량의 전방과 측방의 창문을 통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 vehicle for a handicapped person having a passive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cured to a sufficient view through the front and side windows of the vehicle by modifying the bottom chassis of the vehicle lower than the original vehicle chassis.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은 슬로프가 보조자에 의해 수동으로 펼쳐지고 접히기 때문에, 고장이 없으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a passive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fail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ecause the slope is unfolded and folded manually by the assista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person with the manual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with a manual s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리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슬로프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1단 플레이트가 미끄러져 2단 플레이트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1단 플레이트와 2단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2단 플레이트가 선회하여 차량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차량 내부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체어고정기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rear view showing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with a manual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when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shown in FIG. 3A and 3B are rear an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nual slope shown in FIG. 2 is unfolded. 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age plate shown in FIG. 3A slips into the second stage plate,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age plate and the second stage plate illustrated in FIG. 4A,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plate illustrated in FIG. 4A pivots and enters a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wheelchair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hown in Figure 3a,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owing the wheelchair using the wheelchair lock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100)은, 수동식 슬로프(이하 '슬로프'라고 함)(110)가 차량 내부 후단에 리어 도어(101)와 대응하게 접힌 상태로 세워져 위치하고, 승차 및 하차 시에는 리어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접혀진 슬로프(110)가 펼쳐져 차량 후미와 지면에 걸쳐 경사지게 위치한다.1 and 2, a
그리고 휠체어(1)가 위치하는 차량 내부공간에 있어서, 전방 쪽에는 휠체어고정기(150S)가 고정되어 슬로프(110)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 시에 실수로 휠체어(1)가 미끄러져 슬로프(1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휠체어고정기(150S)는 탑승된 휠체어(1)가 차량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한다.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wheelchair 1 is locate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승차할 경우에 보조자는 리어 도어(101)를 열고 슬로프(110)를 펼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고정기(150S)의 후크(155)를 당겨 휠체어 프레임(3)에 걸고, 보조자가 슬로프(110)를 따라 휠체어(1)를 밀어 승차시 킨다. 그리고 탑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개방된 리어 도어(101) 안쪽으로 슬로프(110)를 접고, 접혀진 슬로프(110)를 잠금한 상태에서 리어 도어(101)를 닫는다.Looking at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ssistant opens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having a manual slop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10)는, 펼쳐졌을 때에 지면에 접하는 1단 플레이트(111)와, 1단 플레이트(111)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 저면에 힌지(131) 결합되어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2단 플레이트(112) 및, 2단 플레이트(112)에 힌지 결합되며 2단 플레이트(112)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에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와 2단 플레이트(112)의 사이 틈을 폐쇄하는 3단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플레이트(112)의 양측면에는 레일(133)이 2단 플레이트(1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133)에 결합된 1단 플레이트(111)는 레일(133)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한다. 즉 1단 플레이트(111)가 2단 플레이트(112)의 길이를 따라 밖으로 미끄러져 이동하여 펼쳐지고, 1단 플레이트(111)가 2단 플레이트(112)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여 상호 포개진 상태에서 접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A and 4B,
그리고 레일(133)에 결합된 1단 플레이트(111)의 양측단은 수직 상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펼쳐진 상태에서, 1단 플레이트(111)를 따라 승차하거나 하차하는 휠체어(1)가 1단 플레이트(11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2단 플레이트(112)는 레일(133) 자체가 휠체어(1)의 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한다.And both ends of the first-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단 플레이트(112)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지면 1단 플레이트(111)는 레일(133)을 따라 2단 플레이트(112) 안쪽으로 미끄러져 2단 플레이트(112)와 상호 겹쳐 위치하지만, 3단 플레이트(113)는 2단 플레이트(112)와 수직하게 위치하여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와 2단 플레이트(11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폐쇄한다. 그리고 2단 플레이트(112)가 하향으로 선회하면 2단 플레이트(112)의 안쪽에 위치한 1단 플레이트(111)가 2단 플레이트(112)의 길이 바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지면에 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슬로프(110)에 있어서, 1단 플레이트(111)의 상면 중앙에 손잡이(121)가 형성된다. 보조자는 손잡이(121)를 파지한 상태에서 1단 플레이트(111)를 2단 플레이트(112)의 안쪽으로 이동시켜 1단 플레이트(111)와 2단 플레이트(112)를 상호 겹치게 한 후 2단 플레이트(112)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차량(10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In the
반대로 차량(100) 내부로 접혀져 들어간 슬로프(110)를 펼칠 때에는, 2단 플레이트(112)를 하향으로 선회시키는 중에 1단 플레이트(111)의 손잡이(121)를 파지하고, 손잡이(121)를 끌어 1단 플레이트(111)를 2단 플레이트(112)의 길이 바깥쪽으로 펼친다.On the contrary, when unfolding the
한편, 슬로프(110)가 접혔을 때에, 보조자가 최종적으로 슬로프(110)를 차량 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2단 플레이트(112)의 레일(133) 양 바깥측에 돌출된 잠금돌기(135)가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에 고정된 잠금기(140)가 삽입되어 잠금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슬로프(110)를 통해 탑승된 휠체어(1)는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차량(100)의 바닥 샤시(103)는 원래 차량의 바닥 샤시보다 낮게 개조하여 휠체어(1)에 탄 장애인이 차량(100)의 창문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바닥이 낮아짐으로써, 예비 타이어(10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측벽에 세워져 고정된다. 또한 개조된 바닥 샤시(103)의 중간은 상면으로 돌출부(104)를 형성하여 바닥 샤시(103)를 보강한다.Meanwhile, the wheelchair 1 boarded through the
또한 바닥 샤시(103)의 전방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휠체어고정기(150S)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휠체어고정기(150S)는 이미 상용화된 장치들로서, 벨트(153)의 단부에는 후크(155)가 고정되고, 벨트(153)가 휠체어고정기(150S)에 감긴 상태로 보조자가 후크(155)를 당기면 감긴 벨트(153)가 풀리고, 반대로 후크(155)를 놓으면 벨트(153)가 감기며, 갑작스럽게 벨트(153)를 당기면 벨트(153)가 풀리지 않고 멈추는 기능을 갖는다.
바닥 샤시(103) 전방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150S)는 전동식이며, 리어 도어(101) 쪽에 위치한 잠금기(140)에는 전환스위치(151)가 '안전모드' 또는 '승차모드'로 전환되면서 휠체어고정기(150S)를 제어하는데, 전환스위치(151)를 '안전모드'로 전환하면 휠체어고정기(150S)의 벨트(153)는 풀리지 않게 되고, '승차모드'로 전환하면 벨트(153)가 서서히 풀리게 된다.The
한편, 바닥 샤시(103)에는 휠체어고정기(150S)의 후크(155)가 걸쳐지도록 돌기(106)가 형성된다. 돌기(106)를 형성한 이유는 보조자가 리어 도어(101)를 열고 휠체어고정기(150S)의 후크(155)를 당기기 위해서는 휠체어고정기(150S)가 고정된 차량(100) 내부 전방까지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바닥 샤시(103) 후미에 돌기(106)를 형성하고, 돌기(106)에 휠체어고정기(150S)의 후크(155)를 걸어 둠으로써, 보조자는 리어 도어(101)를 열고 도 2에 보이듯이, 바로 돌기(106)에 걸린 후크(155)를 당겨 휠체어 프레임(3)에 걸 수 있다. 이때 전환스위치(151)는 '승차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차량의 내부 후미에는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가 장착된다. 차량 바닥 샤시(103)에는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를 장착할 수 있게 슬롯(108)이 2개 형성되며,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를 상기 슬롯(108)에 각각 장착하거나 또는 장착된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를 탈착할 수 있다.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는 전환스위치가 레버(157) 형태로 휠체어고정기에 형성된 수동식 휠체어고정기로서, 고정식 휠체어고정기(150S)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removable wheelchair fixing device (150F). The
그리고 2단 플레이트(112)의 양측면에 돌출된 잠금돌기(135)는 슬로프(110)가 접힌 상태에서 보조자가 최종적으로 접힌 슬로프(110)를 잠금기(140) 쪽으로 밀었을 때에 잠금돌기(135)가 잠금기(140)에 삽입되어 잠금되고, 잠금해제를 위해서는 잠금기(140)에 설치된 잠금해제버튼(141)을 누르면 잠금해제되어 슬로프(110)가 펼쳐질 수 있다. 잠금해제버튼(141)의 옆에는 전환스위치(151)가 나란히 위치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또한 리어 도어(101) 안쪽면에는 조명등(102)이 장착되어 야간에도 안전하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잠금돌기(135)가 잠금기(140)에 잠금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어 도어(101)를 닫았을 경우에 경고음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의 작동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with such a manual slope.
장애인이 승차할 경우, 보조자는 하차하여 리어 도어(101)를 개방하고,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버튼(141)을 눌러 슬로프(110)가 펼쳐질 수 있게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2단 플레이트(112)를 차량 밖으로 선회하도록 당긴다. 2단 플레이트(112)가 어느 정도 선회하여 1단 플레이트(111)의 손잡이(121)가 노출되면, 보조자는 손잡이(121)를 파지한 후 당겨 1단 플레이트(111)를 2단 플레이트(112)의 바깥으로 끌어낸다. 이때 1단 플레이트(111)는 2단 플레이트(112)의 레일(133)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한다. When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rides, the assistant gets off, opens the
이와 같이 1단 플레이트(111)가 2단 플레이트(112)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 1단 플레이트(111)가 지면에 접하도록 2단 플레이트(112)를 선회시킨다. 1단 플레이트(111)가 지면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선회하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조자는 돌기(106)에 걸쳐진 후크(155)를 당겨 휠체어(1)의 프레임(3) 전방에 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그리고 전환스위치(151)를 '안전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휠체어고정기(150S)에서 더 이상 벨트(153)가 풀리지 않고 감기게 됨으로써, 펼쳐진 슬로프(110)를 따라 휠체어(1)를 밀고 올라가는 중에 보조자가 휠체어(1)를 놓치더라도 휠체어(1)가 슬로프(110)를 따라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Then, the
전환스위치(151)가 '안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휠체어(1)를 밀어 탑승시키고, 차량의 바닥 샤시(103)에 형성된 2개의 슬롯(108)에 탈장착식 휠체어고정 기(150F)를 장착하고,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에서 후크(155)를 당겨 탑승된 휠체어(1)의 프레임(3) 후단에 장착한다. 그리고 레버(157)를 조작하여 '안전모드'로 전환한다.Push the wheelchair 1 in the state that the
이 상태에서 보조자는 1단 플레이트(111)의 손잡이(121)를 파지하고, 1단 플레이트(111)를 2단 플레이트(112) 안쪽으로 밀어 넣은 후에, 2단 플레이트(112)를 상향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2단 플레이트(112)의 양측에 형성된 잠금돌기(135)가 잠금기(140)에 삽입되어 잠금되도록 2단 플레이트(112)를 차량(100)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In this state, the assistant grips the
잠금돌기(135)가 잠금기(140)에 잠금되면, 보조자는 리어 도어(101)를 닫고 출발한다.When the locking
반대로, 탑승된 휠체어(1)를 하차하기 위해서는 리어 도어(101)를 열고, 잠금기(140)의 잠금해제버튼(141)을 눌러 잠금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자는 슬로프(110)를 펼치고, 탈장착식 휠체어고정기(150F)를 바닥 샤시(103)의 슬롯(108)에서 탈착한 후, 전환스위치(151)를 '승차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탑승된 휠체어(1)를 서서히 밀어 슬로프(110)를 따라 지면으로 이동시킨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get off the wheelchair 1, the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플레이트(111) 및 2단 플레이트(112)에는 미끄럼방지패드(123)가 부착되어 휠체어(1)가 승하차 시에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1단 플레이트(111) 및 2단 플레이트(112)에는 전체적으로 평행한 장공(125)들이 형성되어 플레이트(111, 112)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체인(127)이 바닥 샤시(103)와 2단 플레이트(112)의 측면을 연결하며, 슬로프(110)를 펼쳤을 때에 체인(127)은 긴장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 샤시(103)에는 휠체어(1)에 탄 장애인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을 나타낸 배면도이고,1 is a rear view showing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with a manual s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리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를 나타낸 배면도이며,FIG. 2 is a rear view of the vehicle when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 1 is opened;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수동식 슬로프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및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rear an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nual slope shown in FIG. 2 is unfolded.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1단 플레이트가 미끄러져 2단 플레이트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4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age plate illustrated in FIG. 3A slips and enters the second stage plate,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1단 플레이트와 2단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age plate and the second stage plate illustrated in FIG. 4A;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2단 플레이트가 선회하여 차량 내부로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plate illustrated in FIG. 4A pivots and enters a vehicle interior.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차량 내부에 고정된 휠체어고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wheelchair stabilizer fixed inside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 3A.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체어고정기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owing a wheelchair using the wheelchair lock illustrated in FIG. 6.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휠체어 3 : 프레임1: wheelchair 3: frame
100 : 차량 101 : 리어 도어100: vehicle 101: rear door
102 : 조명등 103 : 바닥 샤시102: lighting 103: floor chassis
104 : 돌출부 106 : 돌기104: protrusion 106: protrusion
108 : 슬롯108: slot
110 : 슬로프 111 : 1단 플레이트110: slope 111: one-stage plate
112 : 2단 플레이트 113 : 3단 플레이트112: two-stage plate 113: three-stage plate
121 : 손잡이 125 : 장공121: 125 handles
127 : 체인 131 : 힌지127: chain 131: hinge
133 : 레일 135 : 잠금돌기133: rail 135: locking projection
140 : 잠금기 141 : 잠금해제버튼140: locker 141: lock release button
150S : 휠체어고정기 150F : 휠체어고정기150S:
151 : 전환스위치 153 : 벨트 151: switch 153: belt
155 : 후크 157 : 레버155: hook 157: lever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652A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7-07-11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9652A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7-07-11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4684B1 true KR100814684B1 (en) | 2008-03-18 |
Family
ID=3941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9652A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7-07-11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468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390B1 (en) | 2008-07-14 | 2009-05-18 | 창림정공(주) | Vehicle for mounting a wheel chair |
KR101409349B1 (en) | 2012-11-15 | 2014-06-20 | 세화자동차주식회사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KR101466629B1 (en) * | 2013-04-12 | 2014-12-01 | 주식회사 오텍 | Disabilities Vehicle With Slope |
CN104386505A (en) * | 2014-10-17 | 2015-03-04 |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卫生装备研究所 | Rescue robot accommodating system |
KR101558224B1 (en) | 2014-05-03 | 2015-10-13 | 박택주 | wheelchair ramp slop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62120U (en) * | 1987-10-16 | 1989-04-20 | ||
JPH11113966A (en) | 1997-10-13 | 1999-04-27 | Marubishi Company:Kk | Wheelchair fixing apparatus |
JP2001047927A (en) | 1999-08-05 | 2001-02-20 | Mazda Motor Corp | Rear car body structure of vehicle |
JP2001212179A (en) | 2000-02-03 | 2001-08-07 | Ankura Japan Kk | Wheelchair locking device |
JP2004168115A (en) | 2002-11-18 | 2004-06-17 | Kanto Auto Works Ltd | Welfare vehicle |
JP2006137321A (en) | 2004-11-12 | 2006-06-01 | Honda Motor Co Ltd | Slope structure of vehicle |
-
2007
- 2007-07-11 KR KR1020070069652A patent/KR1008146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62120U (en) * | 1987-10-16 | 1989-04-20 | ||
JPH11113966A (en) | 1997-10-13 | 1999-04-27 | Marubishi Company:Kk | Wheelchair fixing apparatus |
JP2001047927A (en) | 1999-08-05 | 2001-02-20 | Mazda Motor Corp | Rear car body structure of vehicle |
JP2001212179A (en) | 2000-02-03 | 2001-08-07 | Ankura Japan Kk | Wheelchair locking device |
JP2004168115A (en) | 2002-11-18 | 2004-06-17 | Kanto Auto Works Ltd | Welfare vehicle |
JP2006137321A (en) | 2004-11-12 | 2006-06-01 | Honda Motor Co Ltd | Slope structure of vehicl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390B1 (en) | 2008-07-14 | 2009-05-18 | 창림정공(주) | Vehicle for mounting a wheel chair |
KR101409349B1 (en) | 2012-11-15 | 2014-06-20 | 세화자동차주식회사 | Welfare cars for wheelchair boarding |
KR101466629B1 (en) * | 2013-04-12 | 2014-12-01 | 주식회사 오텍 | Disabilities Vehicle With Slope |
KR101558224B1 (en) | 2014-05-03 | 2015-10-13 | 박택주 | wheelchair ramp slope |
CN104386505A (en) * | 2014-10-17 | 2015-03-04 |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卫生装备研究所 | Rescue robot accommodat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4551B1 (en) | Welfare vehicle with wheel chair safty holder | |
JP3156996B2 (en) | Compact type movable ramp assembly | |
JP5113898B2 (en) | In-vehicle stretcher fixture | |
KR100814684B1 (en) | Welfare vehicle with a slope | |
AU2003202922B2 (en) | Safety belt system for wheelchair lifts | |
KR101507429B1 (en) | Emergency escape ramp for railway vehicles | |
JP2000140041A (en) | Movable lift | |
KR101023520B1 (en) | Car for physcially handicapped person | |
KR101465532B1 (en) | Emergency ladder for railway vechicles | |
KR102249325B1 (en) | Wheel chair lift for vehicle | |
KR101424388B1 (en) | Lifting equipment for disabilities vehicle | |
KR100788747B1 (en) | Welfare vehicle with a electromotion type of slope | |
JP3894319B2 (en) | Emergency ladder for railway vehicles | |
KR100992943B1 (en) | Vehicle for Handicapped Person Having a Wheelchair Passage | |
KR100969560B1 (en) | The railway car wheel chair getting on and off device for custody and use are easy | |
KR100932840B1 (en) | Walking aid | |
KR102104278B1 (en) | Bus equipped with convenience for the old and the infirm | |
KR200406016Y1 (en) | Portable wheelchair | |
KR101023519B1 (en) | Car for physcially handicapped person | |
JP2003199793A (en) | Re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KR100345927B1 (en) | Automatic wheel Chair lifter for Railway Vehicle | |
JP2005329215A (en) | Wheelchair | |
KR20240131707A (en) | Disabled vehicles with wheelchair boarding plates | |
JP3664329B2 (en) | Vehicle entry / exit devices | |
KR20100125839A (en) | Auxiliary scaffold driving device for v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