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317A -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317A
KR20140062317A KR1020120128884A KR20120128884A KR20140062317A KR 20140062317 A KR20140062317 A KR 20140062317A KR 1020120128884 A KR1020120128884 A KR 1020120128884A KR 20120128884 A KR20120128884 A KR 20120128884A KR 20140062317 A KR20140062317 A KR 2014006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uide
support panel
screen device
proje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김고현
김학영
허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2317A/ko
Priority to US13/927,837 priority patent/US20140132846A1/en
Publication of KR2014006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크린 장치는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및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지지패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SCREEN APPARATUS AND PRO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장치로 이미지를 프로젝팅하기 위한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영상투사유닛과 투사된 영상을 비추는 스크린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영상투사유닛과 스크린이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스크린은 액자형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벽에 매달리거나 또는 별도의 수납가구 등에 고정되며, 영상투사유닛은 스크린 전방에 별도의 수납장치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의 상하 및 좌우 단부를 베젤 내측에 탄력적으로 고정하였다. 이를 위해, 다수의 코일 스프링의 일측을 스크린의 상하 및 좌우 단부를 따라 설치하고, 각 코일 스프링의 타측을 베젤에 고정시킨 구조를 채택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수의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평탄화시키는 종래의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됨에 따라 스크린의 평탄도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베젤의 경우,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 강도를 만족하는 두께로 제작해야 하므로 베젤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었고, 베젤의 대형화는 스크린 장치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베젤의 크기를 임의로 줄일 수 없었으며 이는 스크린 장치를 슬림화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더욱이, 대화면 프로젝션 장치는 스크린과 영상투사유닛 간 얼라인 정도에 따라 화면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영상투사유닛의 광학계의 투사각도가 다르거나 미러 각도가 틀어져 광로가 변화되어 생기는 키스톤(Keystone)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스크린과 영상투사유닛 간의 거리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포커스가 맞지 않아 흐릿하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대화면 프로젝션 장치는 상기와 같은 키스톤 현상을 해소하고 포커스 설정을 위한 별도의 조정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구비하고 있더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적은 스크린의 평탄화를 유지하면서 베젤 크기를 최소화하고 스크린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스크린 장치를 만곡 형성하여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스톤 현상을 해소하고 포커스 설정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서포팅유닛을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및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지지패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린의 부착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라미네이팅 방식을 통해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이나,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다수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다수의 지지패널유닛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는 지지패널유닛을 구비한 스크린 장치; 상기 스크린 장치를 지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서포팅유닛이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영상투사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스크린 장치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크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지지패널유닛의 후면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스크린장치의 지지패널유닛에 결합되는 스크린 홀더; 상기 스크린 홀더가 가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린 홀더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를 지지하여 상기 스크린장치의 좌우 높이 및 좌우 중심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메인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접착수단 또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는 동일 높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의 간격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관통한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린 홀더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제1 내지 제3 지점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은 동일 높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3 지점은 제1 및 제2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점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지점에는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체결하는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간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린 홀더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서로 대칭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후면에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 각각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돌기 및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제1 가이드면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면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면과 상기 제3 가이드면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4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가이드면 및 제2 가이드면에 가이드되고, 상기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제3 가이드면 및 제4 가이드면에 각각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은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션 장치의 하우징 및 커버 프레임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의 베젤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패널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강도보강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강도보강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를 만곡 형성시킨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서포팅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크린 홀더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서포팅유닛이 스크린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의 좌우측 키스톤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의 상하측 키스톤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하우징(30), 영상투사유닛(50), 커버 프레임(70), 스크린장치(100), 서포팅유닛(200) 및 베이스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31)와 상기 바닥부(31)로부터 상향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33)를 포함한다. 바닥부(31)에는 베이스 프레임(300)이 고정 설치되며, 수직부(33)는 서포팅유닛(200)의 후방을 커버한다. 이 경우 수직부(33)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포팅유닛(200)의 일부분 즉,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가 설치된 서포팅유닛(200)의 후면의 소정 영역이 노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30)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을 분리하지 않고 상기 수직부(33)의 구멍을 통해 간편하게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영상투사유닛(50)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린 장치(100)의 스크린(130)으로 영상을 투사한다. 이와 같은 영상투사유닛(50)은 광학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러한 광학시스템은, 조명유닛(미도시), 영상형성유닛(미도시), 투사렌즈유닛(51), 및 비구면 미러(53)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유닛은 영상 형상에 사용될 광을 생성한다. 이에 조명유닛은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각각 생성하는 레드(R)-LED, 블루(B)-LED 및 그린(G)-LED를 광원으로서 구비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조명유닛은 광원으로서 3개의 LED들을 구비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조명유닛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예로써, 아크 램프, 할로겐 램프 등)와 같은 다른 유형의 광원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형성유닛은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패널로 구비된다. DMD 패널은 수많은 마이크로 미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마이크로 미러는 각각의 영상 화소(image pixel)에 대응한다. 영상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 미러들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조명유닛이 생성한 광으로부터 영상이 형성된다. 영상투사유닛(50)은 조명유닛이 생성한 백색광을 영상형성유닛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미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투사렌즈유닛(51)은 영상형성유닛이 형성한 영상을 비구면 미러(53)를 향해 확대 투사한다. 그리고 투사렌즈유닛(150) 내에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한 다수의 투사렌즈들(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비구면 미러(53)는 투사렌즈유닛(150)에 의해 확대 투사된 영상을 커버 프레임(70)에 구비된 개구(71)를 통해 스크린(130) 상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투사유닛(50)은 비구면 미러(51)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크린(130)과의 거리가 훨씬 가까워질 수 있다.
커버 프레임(70)은 베이스 프레임(300)을 덮으며, 베이스 프레임(300)과 함께 프로젝션 장치(1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70)에는 영상투사유닛(50)으로부터의 영상이 스크린 장치(100)의 스크린(130)으로 투사될 수 있게 개구(71)가 형성된다.
도 2는 프로젝션 장치(10)의 하우징(30) 및 커버 프레임(70)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스크린 장치(100)의 베젤(110)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지지패널유닛(150)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장치(100)는 베젤(110), 스크린(130) 및 지지패널유닛(150)을 포함한다.
베젤(110)은 스크린(130) 및 지지패널유닛(150)의 외곽을 둘러싸며, 다수의 체결수단(볼트 또는 리벳 등)(111)을 통해 지지패널유닛(150)에 고정 설치된다. 이 경우 베젤(110)은 스크린(130)이 지지패널유닛(15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스크린(13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역할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외장을 위한 최소한의 두께 및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스크린 장치(100)의 크기 및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130)은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스크린(130)을 통해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스크린(130)은 파이버 글라스 섬유, PE 필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30)은 3D 영상 구현을 위해 표면에 특수 엠보싱 처리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130)은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평평한 지지패널유닛(150)의 일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130)의 접착 방식은 라미네이팅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130)의 접착은 스크린(130)이 지지패널유닛(150)의 일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접착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00)는 종래기술과 같이 장력을 이용하여 스크린(130)의 네 변을 잡아 당겨 스크린(130)을 평평하게 유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패널유닛(150)은 제1 플레이트(151), 제2 플레이트(153) 및 강도보강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는 강도보강부재(155)와 함께 결합되며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강도를 가지는 금속재(금속 합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를 이루는 금속재는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는 금속재에 한정되지 않고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소정 강도를 가지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재(153)는 지지패널유닛(150)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면서 지지패널유닛(15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지지패널유닛(150)의 평탄도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도보강부재(155)를 통해, 스크린(130)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지지패널유닛(150)에 부착되는 스크린(130)의 평탄도 또한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도보강부재(155)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강도보강부재(155)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에 부착되며, 접착제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재(155)는 다수의 셀들(155a)을 가지며, 각각의 셀(155a)은 육각기둥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강도보강부재(155)는 전체적으로 볼 때 벌집(허니컴)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강도보강부재(155)의 셀(155a)은 벌집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들로 변경될 수 있다. 즉, 각 셀(155a)은 사각 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또는 타원기둥 형상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재(155)는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강도보강부재(155)는 다른 금속 물질들 또는 비금속 물질들(예로써 플라스틱)로 제조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재(266) 이외에도, 스크린 부착부(260)를 이루는 전방 플레이트(262) 및 후방 플레이트(264) 역시 강도가 뛰어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처럼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155)가 지지패널유닛(15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3) 사이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지지패널유닛(15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자중, 외력, 열에 의한 지지패널유닛(150)의 변형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패널유닛(150)이 양호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패널유닛(150)의 변형으로 인해 스크린(130)에 굴곡이 생겨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유닛(150)은 벌집 형상을 가진 강도보강부재(155)로 인해 지지패널유닛(15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린 장치(100)의 베젤(110)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고, 스크린 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는 스크린 장치(100)의 얇은 베젤 두께 및 경량화를 통해 가볍고 슬림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벌집 형상으로 이루어진 강도보강부재(155)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강도보강부재(157)는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157)는 볼록부(157a)와 오목부(157b)가 번갈아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볼록부(157a) 및 오목부(157b)는 강도보강부재(157)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즉, 두 개의 볼록부(157a) 사이에 하나의 오목부(157b)가 배치되고 두 개의 오목부(157b) 사이에 하나의 볼록부(157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벌집 형상으로 이루어진 강도보강부재(155)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강도보강부재(159)는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계란판(egg 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도보강부재(159)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볼록부(159a) 및 다수의 오목부(159b)를 포함하며, 4개의 볼록부(159a) 사이에 1개의 오목부(159b)가 배치되고 4개의 오목부(159b) 사이에 1개의 볼록부(159a)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 단지 세 가지 강도보강부재(155, 157, 159)를 소개하지만, 스크린 장치(100)의 강도 향상 및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의 강도보강부재가 또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스크린 장치(100)를 만곡 형성시킨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크린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스크린 장치(100a)가 곡면 만곡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 시청 시 영상(특히, 3차원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면 스크린 장치(100a)는 좌우 방향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하 방향에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 스크린 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우 및 상하 방향 모두에서 만곡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린은 표면이 구면 형태로 나타나며,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몰입감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패널유닛(150)을 여러 장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복수의 지지패널유닛(150)에 단일 스크린(130)을 결합함으로써 초대형 스크린 장치(100)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스크린(130)은 단일 스크린으로 제작하지 않고 각 지지패널유닛(150)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크린(130)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10)의 서포팅유닛(2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스크린 홀더(21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서포팅유닛(200)이 스크린 장치(100)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200)은 스크린 장치(100)의 키스톤 현상을 적절히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 장치(100)가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동시에 스크린 장치(100)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서포팅유닛(200)은 스크린 홀더(210), 제1 메인 브라켓(231), 제2 메인 브라켓(233), 가이드 브라켓(250) 및 결합 플레이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홀더(210)는 지지패널유닛(150)의 후면을 이루는 제2 플레이트(153)에 결합된다. 이 경우 스크린 홀더(210)는 접착제(미도시) 또는 접착부재(양면 접착테이프)(미도시)를 통해 제2 플레이트(153)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 홀더(210)는 몸체부(211), 제1 내지 제3 전방가이드돌기(212a,212b,212c),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15a,215b) 및 제1 및 제2 가이드부(216,21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전면에는 제1 내지 제3 전방가이드돌기(212a,212b,212c)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15a,215b) 및 제1 및 제2 가이드부(216,217)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전방가이드돌기(212a,212b,212c)는 지지패널유닛(150)의 제2 플레이트(15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가이드구멍(152a,152b,152c)에 각각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가이드구멍(152a,152b,152c)은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1 내지 제3 전방가이드돌기(212a,212b,212c)는 각각 제1 내지 제3 가이드구멍(152a,152b,152c)에 삽입됨에 따라 스크린 홀더(210)를 제2 플레이트(153) 상에 미리 설정된 설치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공차를 고려하여 도 9와 같이, 제2 및 제3 전방가이드구멍(152b,152c)은 각각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는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측 및 상하측으로 발생하는 키스톤을 해소하기 위한 3지점이 된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는 몸체부(211) 후면에 대략 이등변 역삼각형의 각 꼭짓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 체결돌기(213a,213b)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제3 체결돌기(213c)는 제1 및 제2 돌기(213a,213b)와 각각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제1 및 제2 체결돌기(213a,213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는 각각 제1 내지 제3 코일스프링(S1,S2,S3)이 결합되며, 제1 내지 제3 코일스프링(S1,S2,S3)은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에 의해 스크린 홀더(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27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는 결합 플레이트(270)의 제1 내지 제3 관통구멍(273a,273b,273c)에 삽입된 후,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의 체결구멍(214a,241b,214c)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린 홀더(210)와 결합 플레이트(27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15a,215b)는 스크린 홀더(210)와 결합 플레이트(27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결합 플레이트(270)의 제4 및 제5 관통구멍(271a,27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15a,215b)는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를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213a,213b,213c)의 체결구멍(214a,241b,214c)에 체결하기 전에 제4 및 제5 관통구멍(271a,271b)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15a,215b)는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 조정 시 스크린 홀더(210)가 결합 플레이트(270)로부터 이격되거나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크린 홀더(210)를 가이드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는 스크린 홀더(210)의 몸체부(211) 후방에 좌우 대칭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직선부(216,217)는 서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직선부(216a,217a)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는 제1 및 제2 직선부(216a,217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 직선부(216a,217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및 제4 직선부(216b,217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는 후술하는 가이드 브라켓(250)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 높이 및 좌우 중심이 가이드된다.
제1 및 제2 메인 브라켓(231,233)은 베이스 프레임(3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메인 브라켓(231,233)은 베이스 프레임(300)과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통상의 체결수단(미도시) 또는 용접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00)에 고정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브라켓(231,233)은 다수의 체결볼트(277a,277b,277c,277d)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250) 및 결합 플레이트(27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250) 및 결합 플레이트(270)는 제1 및 제2 메인 브라켓(231,233)과 함께 고정되는 반면, 스크린 홀더(210)와 스크린 장치(100)는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소정 각도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250)은 중앙의 홈(250a)을 기준으로 좌우에 서로 대칭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251) 및 제2 가이드부(253)를 구비한다. 이 경우, 홈(250a)은 제1 및 제2 후방가이드돌기(251a,251b)와 제3 체결돌기(213c)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251)는 제1 가이드면(251a)과, 제1 가이드면(251a)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면(251b)을 가지며, 제2 가이드부(253)는 제1 가이드면(251a)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면(253a)과 제3 가이드면(253a)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4 가이드면(253b)을 가진다.
이 경우, 스크린 홀더(210)의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251,253)에 각각 가이드된다. 즉,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의 제1 및 제3 직선부(216a,217a)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251,253)의 제1 및 제3 가이드면(251a,253a)에 안착된 상태로 각각 가이드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16,217)의 제2 및 제4 직선부(216b,217b)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251,253)의 제2 및 제4 가이드면(251b,253b)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 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합 플레이트(270)는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메인브라켓(231,233)과 가이드 브라켓(250)에 체결되며, 동시에 가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스크린 홀더(210)와 탄력적으로 체결된다.
도 11은 서포팅유닛(200)이 스크린 장치(100)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2는 스크린 장치(100)의 좌우측 키스톤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3은 스크린 장치(100)의 상하측 키스톤 조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서포팅유닛(200)은 도 11과 같이 스크린 장치(100)의 후면(구체적으로는 지지패널유닛(150)의 후면 하측)에 배치되며,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크린 장치(100)의 스크린(130)에 발생하는 키스톤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크린 장치(100)에 발생하는 좌우측 키스톤을 조정하는 경우, 제3 조정볼트(CB3)를 기준으로 제1 및/또는 제2 조정볼트(CB1,CB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도 12와 같이 스크린 장치(100)를 Y축을 중심으로 기울기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스크린 장치(100)에 발생하는 상하측 키스톤을 조정하는 경우, 제1 및 제2 조정볼트(CB1,CB2)를 기준으로 제3 조정볼트(CB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도 13과 같이 스크린 장치(100)를 X축을 중심으로 기울기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포커스가 맞지 않아 스크린(130)에 표시되는 영상이 흐릿할 경우,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를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린 장치(100)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CB1,CB2,CB3)의 조작을 통해 스크린 장치의 기울기를 조정하거나 및 전후 이동시킴에 따라, 영상투사유닛(50)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스크린(130)의 위치 또는 방향이 서로 어긋남에 따라 나타나는 키스톤 및 포커스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50: 영상투사유닛
70: 커버 프레임 100,100a: 스크린 장치
110: 베젤 130: 스크린
150: 지지패널유닛 151: 제1 플레이트
153: 제2 플레이트 155,157,159: 강도보강부재
200: 서포팅유닛 210: 스크린 홀더
213a,213b,213c: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
216: 제1 가이드돌기 217: 제2 가이드돌기
231: 제1 메인 브라켓 233: 제2 메인 브라켓
250: 가이드 브라켓 251: 제1 가이드부
253: 제2 가이드부 270: 결합 플레이트
300: 베이스 프레임
CB1,CB2,CB3: 제1 내지 제3 조정볼트

Claims (27)

  1.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및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지지패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라미네이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벌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다수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다수의 지지패널유닛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8.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이 결합되는 지지패널유닛을 구비한 스크린 장치;
    상기 스크린 장치를 지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서포팅유닛이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영상투사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한 쌍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라미네이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벌집 구조, 물결형상, 및 다수의 홈이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는 측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스크린 장치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크린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지지패널유닛의 후면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유닛은,
    상기 스크린장치의 지지패널유닛에 결합되는 스크린 홀더;
    상기 스크린 홀더가 가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크린 홀더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를 지지하여 상기 스크린장치의 좌우 높이 및 좌우 중심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메인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지지패널유닛은 접착수단 또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탄성부재는 상기 스크린 홀더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는 동일 높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와의 간격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돌기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관통한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린 홀더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체결돌기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제1 내지 제3 지점에서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은 동일 높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제3 지점은 제1 및 제2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점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지점에는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체결하는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조정수단은 상기 스크린 홀더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간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스크린 홀더 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서로 대칭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후면에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 각각 가이드되는 제1 가이드돌기 및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면과 상기 제1 가이드면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면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면과 상기 제3 가이드면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4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제1 가이드면 및 제2 가이드면에 가이드되고, 상기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제3 가이드면 및 제4 가이드면에 각각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120128884A 2012-11-14 2012-11-14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KR20140062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84A KR20140062317A (ko) 2012-11-14 2012-11-14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US13/927,837 US20140132846A1 (en) 2012-11-14 2013-06-26 Screen device and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 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884A KR20140062317A (ko) 2012-11-14 2012-11-14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17A true KR20140062317A (ko) 2014-05-23

Family

ID=5068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884A KR20140062317A (ko) 2012-11-14 2012-11-14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32846A1 (ko)
KR (1) KR2014006231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9859A (en) * 1948-07-23 1950-03-07 Opti Phonetics Inc Collapsible screen
US3851950A (en) * 1973-06-18 1974-12-03 Washington Scient Ind Inc Projection screen
JP2000321672A (ja) * 1999-05-14 2000-11-24 Seiko Epson Corp スタンド型スクリーン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US7290888B2 (en) * 2004-05-17 2007-11-06 Technological Systems Sales, Inc. Projection system
BE1016057A3 (nl) * 2004-05-27 2006-02-07 Polyvision Nv Verbeterd visueel communicatie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ervan.
GB0919714D0 (en) * 2009-11-11 2009-12-30 Gamesman Ltd Topper for an entertainment machine
KR20140021788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2846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1803A (ko) 프로젝션 장치
US7314281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79849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699472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ing single projection lens unit
KR101846730B1 (ko) 영상표시장치 마운팅 구조
JP5349010B2 (ja) 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TW200405955A (en) Rear projection display
JP2004012712A (ja)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EP3301510B1 (en) Projection system
KR20140062317A (ko)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KR20140021788A (ko) 프로젝션 장치
JP5622498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187280A (ja) マルチビジョンディスプレイ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CN103869583A (zh) 投影装置及其积分柱定位结构
KR20130087325A (ko)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3501788B2 (ja) 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
WO2005067631A2 (en) Fresnel lens having reduced distortions
JP3332129B2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CN115145013B (zh) 附属光学系统以及投影显示系统
JP2013061375A (ja) 画像表示装置
JPH05157988A (ja) 背面型液晶カラー投射装置
JPH0638538Y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2006337802A (ja)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の映像歪補正機構
JPH04362622A (ja) 背面型4面マルチ液晶投射装置
JPH07209753A (ja) マルチビジョンの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