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984A -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984A
KR20140061984A KR1020137009240A KR20137009240A KR20140061984A KR 20140061984 A KR20140061984 A KR 20140061984A KR 1020137009240 A KR1020137009240 A KR 1020137009240A KR 20137009240 A KR20137009240 A KR 20137009240A KR 20140061984 A KR20140061984 A KR 20140061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needle
chamber
pass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100B1 (ko
Inventor
마사토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140061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7/00Needle- or looper- threa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05B69/125Arrangement of clutch-brake construct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7/00Use of special elements
    • D05D2207/02Pneumatic or hydraulic devices
    • D05D2207/04Suction or blow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과제:원터치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때에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한다.
해결수단:미싱 모터(M)로부터의 동력을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7, 8, 9)를 포함하는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구동하는 구동축(5) 또는 루퍼 실 통과 시에는 기체 공급 펌프(41)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60)와, 루퍼 실통과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여 기체 공급 펌프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클러치를 전환하기 위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와,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기 위한 전환 금지 기구(16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GAS-CONVEYED THREA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감치기 미싱, 이중 환봉 미싱, 편평봉 미싱 등의 루퍼(looper)에 가압 기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실을 통과시키기 위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휘감치기 미싱, 이중 환봉 미싱, 편평봉 미싱 등에 있어서, 루퍼 실을 넣는 실도입부로부터 루퍼날의 루퍼 실안내 출구까지를 연통하는 중공의 루퍼 실안내에 의해 연결하고, 중공의 루퍼 실안내로 공급되는 가압 기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루퍼 실을 이송하는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해 복잡한 실걸기가 필요 없고, 양호한 조작성으로 실을 통과시킬 수 있고, 때문에 실을 잘못 통과시키거나 도중에서 루퍼 실이 비어져 나오고, 삽입 통과된 루퍼 실이 다른 실과 얽히거나 하지 않아,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단번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체 반송 실통과 구조에서는, 실통과를 위한 경로가 매우 단순해지고 실통과 작업이 용이해져 실얽힘이나 실끊김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체 반송 실통과 구조에서는, 한쪽 손으로 스토퍼(위치 결정 핀)을 고정 위치 결정판에 대해 가압하면서, 다른쪽 손으로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바늘땀 형성 장치를 잠금과 함께, 실통과 연결 장치를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미싱에 정통하지 않은 미숙련 조작자에게 있어서, 이 실통과 장치의 사용법을 조작자가 이해하기 어렵고,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행하는 루퍼 실의 삽입 통과 작업은 매우 번거로워 이를 위한 트레이닝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루퍼 실을 기체 반송하기 위한 가압 기체를, 바늘땀 형성 장치를 구동하는 미싱 모터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기체 공급 펌프로 생성하여, 원터치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제4741701호
그러나, 이 기체 반송 실통과 구조는,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중은,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가 루퍼 실통과 상태로부터 바늘땀 형성 상태로 천이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클러치 전환 제한기구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클러치 전환 제한기구는 기체 공급 펌프로부터 기체 공급되는 공압 액추에이터(에어 덤퍼)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첫째, 구성상 부품수가 많아져 구조가 번잡해지고, 둘째, 품질상 공압 액추에이터의 끼워 맞춤 정밀도, 리타더의 공기 누출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루퍼 실을 기체 반송하기 위한 가압 기체를, 바늘땀 형성 장치를 구동하는 미싱 모터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기체 공급 펌프로 생성하여, 원터치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이 한쪽 손으로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가 간소화되고, 고품질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는, 루퍼 실입구로부터 루퍼날 실출구까지 중공 구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루퍼와, 루퍼로 유도되는 루퍼 실을 넣는 루퍼 실도입 기구와, 루퍼 실도입 기구로부터 루퍼 실입구까지 연장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를 가지는 중공 루퍼 실안내와, 루퍼 실을 루퍼 실도입 기구로부터 중공 루퍼 실안내를 통과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로 기체 반송에 의해 루퍼 실을 통과시키는 기체 공급 펌프와, 미싱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를 포함한 바늘땀 형성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으로 루퍼 실 통과 시에는 기체 공급 펌프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와, 루퍼 실통과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여 기체 공급 펌프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클러치를 전환하기 위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와,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기 위한 전환 금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는 미싱의 앞커버로 개폐 가능하게 은폐되고,
루퍼 실통과 시에는 앞커버를 개방하여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루퍼 실통과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에, 앞커버를 닫아 바늘땀 형성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전환 금지 기구는, 서브 프레임에 피벗 장착되고 앞커버의 개폐를 검출하여 전면 커버에 형성되는 피벗축에 피벗 장착되는 앞커버 개폐 검출편과, 서브 프레임에 고정된 금지 능동암 장착대에 스프링의 탄발에 저항하여 피벗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커버 개폐 검출편의 피벗 이동에 따라 피벗 이동되는 금지 능동암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에 고정되고, 금지 능동암의 피벗 이동에 따라 앞커버가 열렸을 때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異常) 전환을 금지하는 금지 종동암으로 구성되고,
루퍼 실통과 시에는 앞커버가 열리고, 앞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단의 가압 해제에 의해 앞커버 개폐 검출편이 금지 능동암의 가압을 해제하고, 금지 능동암이 스프링으로 피벗 이동되어 금지 종동암의 설편(舌片)이 금지 능동암의 선단 평면부에 걸려 정지되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가 루퍼 실통과 상태로 전환 조작되어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바늘땀 형성 장치를 잠금과 함께 실통과 연결 장치를 작동시키고, 금지 종동암이 금지 능동암의 선단 평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려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에, 앞커버를 닫아 앞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단의 가압에 의해 피벗 이동되는 앞커버 개폐 검출편이 피벗 이동되고 금지 능동암이 피벗 이동되며 금지 종동암이 금지 능동암의 측면부로부터 선단 평면부 상에 해방되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전환을 능동으로 하여, 바늘땀 형성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클러치는,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 구동체와,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바늘땀 형성 구동체의 일측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따라 클러치 전환 스프링에 의해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됨과 함께 그 접속 및 분리 상태가 유지되어 미싱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있는 클러치 슬라이더를 갖는 핀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 실입구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는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 실입구가 수평 방향으로 매칭(整致)했을 때 중공 루퍼 실안내의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의 루퍼 실입구를 접속하는 위치 결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는, 루퍼 실통과 시에,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를 전환하는 수단과, 중공 루퍼 실안내의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의 루퍼 실입구를 접속하는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결정을 준비하고,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의 연결을 준비하고,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는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장치가 작동하여 바늘땀 형성 장치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실통과 연결 장치가 작동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 실입구가 연결되는 수단을 가지고, 바늘땀 형성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클러치를 전환하는 수단과,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고, 실통과 연결 장치의 연결을 해제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 실입구가 이격되는 수단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위치 결정 장치는, 구동축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루퍼 실안내 출구, 루퍼 실채기에 형성된 실채기 구멍 및 루퍼 실입구가 수평 방향으로 매칭하는 둘레방향 정지 위치에 노치를 갖는 정지 위치 결정판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루퍼 실통과 측으로 전환 수동 조작한 루퍼 실통과 시에, 풀리를 수동 회전시켜 노치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 핀을 가진다.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루퍼 실을 기체 반송하기 위한 가압 기체를, 바늘땀 형성 장치를 구동하는 미싱 모터를 전환하여 동작하는 기체 공급 펌프로 생성하여, 원터치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이 한쪽 손으로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구조가 간소화되고, 고품질의 기체 반송 실통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를 적용한 3본침 6본사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이중환봉 미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를 적용한 3본침 6본사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이중환봉 미싱)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 중공 루퍼 실안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로서,(a)는 실통과 준비 상태,(b)는 실통과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 중공 루퍼 실안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a)는 바늘땀 형성 상태,(b)는 실통과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 중공 루퍼 실안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위치 결정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루퍼 실도입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기체 공급 펌프 및 이 기체 공급 펌프에 의해 기체 공급되는 루퍼 실도입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클러치와, 클러치를 통해 구동되는 기체 공급 펌프와, 기체 공급 펌프에 의해 기체 공급되는 루퍼 실도입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기체 공급 펌프에서 사용되는 체크밸브의 설명도이다.
도 9(a),(b)는 각각 바늘땀 형성 시, 루퍼 실통과 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클러치 및 위치 결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b)는 각각 바늘땀 형성 시, 루퍼 실통과 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 및 클러치 전환 전달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b)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에서 사용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클러치 및 위치 결정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b),(c)는 각각 바늘땀 형성 시, 루퍼 실통과 준비 상태 시, 루퍼 실통과 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 및 위치 결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환 금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b)는 각각 앞커버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경우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 전환 금지 기구 및 안전 스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a),(b)는 각각 앞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루퍼 실통과 상태로 전환 조작한 경우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 전환 금지 기구 및 안전 스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며,(b)는(a)상태로부터 풀리를 수동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a),(b)는 각각 앞커버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경우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 전환 금지 기구 및 안전 스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를 3본침 6본사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이중환봉 미싱)에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15(a), 도 15(b) ~ 도 1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록 미싱(1)은 베드와 암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2)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2)은 서브 프레임(2a-2b)을 가지고 있다.
오버록 미싱(1)은, 그 전면에 있어서 앞커버(161)가 메인 프레임(2)에 고착되는 전면 커버(171)의 하단에 개폐 가능하게 피벗 장착되어 있다.
미싱 모터(M)는 서브 프레임(2b)에 장착되고, 구동축(5)은 메인 프레임(2)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도 2, 도 7 ~ 도 9(a),(b), 도 12 ~ 도 13(a),(b),(c)). 구동축(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싱 모터(M)에 의해 타이밍 벨트(MB)에 의해 클러치(60)를 개입시켜 회전 구동된다(도 9(a),(b)).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록 미싱(1)은, 구동축(5)과 동기하여 상하 운동하는 바늘 클램프(11)에 고정되고, 바늘판(3)을 관통하여 상하 운동하는 바늘(11a, 11b, 11c), 이 바늘(11a, 11b, 11c)을 구동하는 바늘 구동기구(12), 바늘판(3) 상에서 천(25)을 누르는 천 누름 기구(19), 바늘판(3)의 하측에서 바늘(11a, 11b, 11c)의 궤적과 교차하도록 원호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는 하부 루퍼(8), 바늘판(3)의 측방에서 하부 루퍼(8)의 궤적과 교차함과 함께 바늘판(3)의 상측에서 바늘(11a, 11b, 11c)의 궤적과 교차하도록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는 상부 루퍼(7), 이중환 루퍼(9), 천(25)을 1 코씩 전진시키는 천 이송 기구(4)로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및 이중환 루퍼(9)는 각각 루퍼 구동 기구(10)에 의해 구동된다.
바늘땀 형성 장치(30)의 바늘 구동기구(12), 천 이송 기구(4) 및 루퍼 구동 기구(10)는 구동축(5)에 의해 구동되지만, 그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공지 또는 주지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본침 6본사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에 의하면, 바늘(11a, 11b)에 삽입 통과되는 바느실(17a, 17b)과, 하부 루퍼(8)에 삽통된 하부 루퍼 실(16b)과, 상부 루퍼(7)에 삽통된 상부 루퍼 실(16a)을 교차하여 천(25)에 오버록 봉제를 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환 루퍼(9)는 거기에 삽입 통과된 이중환 루퍼 실(16c)과 바늘(11c)에 삽입 통과되는 바느실(17c)을 교차하여 천(25)에 이중환 봉제를 하여, 소위 인터록 봉제를 행하는 것이다.
이 오버록 미싱(1)에 있어서, 각 루퍼 실(16a, 16b, 16c)을 실 정렬기(18)를 통해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에 기체 반송에 의해 루퍼 실을 통과시킬 때,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는, 루퍼 실입구(7a, 8a, 9a)로부터 루퍼날 실출구(7b, 8b, 9b)까지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도 4(a),(b), 도 5(A)). 여기서, 「중공 구조」란 루퍼 자체를 루퍼 실입구(7a, 8a, 9a)로부터 루퍼날 실출구(7b, 8b, 9b)까지 중공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루퍼에 루퍼 실입구(7a, 8a, 9a)로부터 루퍼날 실출구(7b, 8b, 9b)까지 홈을 형성하여, 거기에 중공 파이프를 매립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구조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이어도 좋고, 그 일부가 파인, 예를 들면 단면 "C"자형이어도 좋다.
이 목적을 위해, 오버록 미싱(1)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로 유도되는 각 루퍼 실을 넣는 루퍼 실도입 기구(110)와, 루퍼 실도입 기구(110)로부터 루퍼 실입구(7a, 8a, 9a)까지 연장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를 가지는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와, 각 루퍼 실을 루퍼 실도입 기구(110)로부터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를 통해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로 기체 반송에 의해 루퍼 실을 통과시키는 기체 공급원(40)을 구비하고 있다(도 1, 도 3(a),(b), 도 4(a),(b), 도 6, 도 7, 도 8).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 실도입 기구(110)는, 각 루퍼 실을 넣는 입구가 넓은 루퍼 실 삽입구(113a, 113b, 113c) 및 입구가 넓은 루퍼 실 삽입구(113a, 113b, 113c)에 연통하는 루퍼 실 흡입 영역(114)과, 기체 공급원(40)으로부터 가압 기체가 공급되는 기체 버퍼 영역(115)과, 루퍼 실 흡입 영역(114)에 일단부(116a)가 끼워 맞춰지고, 타단부(116b)가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에 접속되는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를 가지고 있다.
루퍼 실 흡입 영역(114)과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는, 기체 버퍼 영역(115)과 연통하여 루퍼 실 흡입 영역(114)의 하류부에 제트 기류를 생성하는 통기 협애 영역(114a)을 형성하고 있다.
루퍼 실 흡입 영역(114)의 루퍼 실안내 출구단(114b)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통기 협애 영역(114a)의 하류측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통기 협애 영역(114a)의 하류에서 루퍼 실 흡입 영역(114)에 인접하는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 내에 조르기(116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조르기(116c)의 하류측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통기 협애 영역(114a)에 있어서의 기체의 흐름을 촉진시키고, 동시에 루퍼 실 흡입 영역(114)에 부압을 발생시켜 루퍼 실을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에 흡입시키며,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를 통해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날 실출구(7b, 8b, 9b)로 기체 반송할 수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 실도입 기구(110)는 루퍼 실도입대(112)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 루퍼 실도입대(112)에는 실통과 버튼(117)이 형성되어 있다. 실 삽입판(111)에는 입구가 넓은 루퍼 실 삽입구(113a, 113b, 113c) 및 실 통과버튼(117)이 면하는 루퍼 실 삽입구(111a, 111b, 111c) 및 실 통과버튼 구멍(111d)이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2)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실 삽입판 씰(Seal)(111`)이 접착되어 있다.
실통과 버튼(117)의 가압에 의해 동작하는 실통과 스위치(119b)가 후술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91)의 조작으로 동작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변환 스위치(119a)와 함께 루퍼 실도입대(112) 및 장착암(118) 위에 설치되어 있다(도 7, 도 8).
후술하는 바와 같이,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루퍼 실입구(7a, 8a, 9a)는, 루퍼 실통과 시 및 미싱 봉제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은, 상기의 루퍼 실입구(7a, 8a, 9a)로부터 루퍼날 실출구(7b, 8b, 9b)까지 중공 구조로 된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로 유도되는 루퍼 실을 넣는 루퍼 실도입 기구(110)와, 루퍼 실도입 기구(110)로부터 루퍼 실입구(7a, 8a, 9a)까지 연장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를 가지는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루퍼 실 통과 및 미싱 봉제를 행하는 것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은, 각 루퍼 실을 루퍼 실도입 기구(110)로부터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를 통해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로 기체 반송에 의해 루퍼 실을 통과시키는 기체 공급원(40)인 기체 공급 펌프(41)와, 미싱 모터(M)로부터의 동력을 바늘땀 형성 시에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를 포함하는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구동하는 구동축(5) 또는 루퍼 실통과 시에 기체 공급 펌프(41)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60)와, 루퍼 실통과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3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기체 공급 펌프(41)로 동력을 전달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 바늘땀 형성 장치(30)로 동력을 전달하여 기체 공급 펌프(41)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클러치(60)를 전환하기 위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공급 펌프(41)는, 루퍼 실통과 시에, 클러치(60)(도 7, 도 9, 도 12)의 펌프 구동체(61)로 회전되는 펌프 구동(편심) 캠(42)으로 펌프 구동 로드(43)가 왕복 운동하고, 메인 프레임(2)에 고정되는 지축(56)으로 담지(擔持)된 펌프 구동암(44)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48), 피스톤 캡(49)과, 이것이 기밀 슬라이딩하는 펌프 실린더(50)와, 그 체크밸브(51)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장착부(50a)는 실린더 장착핀(52)으로 요동을 허용하도록 펌프 장착대(53)로 서브 프레임(2b)에 설치되어 있다.
펌프 구동 스프링(46)(도 8(a))을 펌프 구동암(44)의 스프링 걸개(47)와 클러치 전환대(73)의 스프링 걸개(73d)(도 10(a),(b), 도 11)에 설치함으로써, 기체 공급 펌프(41)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했을 때, 펌프 구동(편심) 캠(42)이 상시 회전하고 있는 회전 구동체(23)와의 마찰로 공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피스톤(48)을 가압(포워드) 공정 시에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스톤(48)은 피스톤축(48a)에 설치되어 토출 방향을 향해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씰재인 피스톤 캡(49)은 피스톤 헤드 상부(48b)에 고정되어 있다.
체크밸브(51)는 펌프 실린더(50)와 송출구(50b)에 접속되는 밸브 하우징(50c)에, 스프링(51b)과, 스프링(51b)으로 가압되는 역지볼(51a)과, 밸브 하우징(50c)에 나사 결합되어 리턴(흡입)공정 시에 스프링(51b)으로 가압되어 역지볼(51a)이 착석하여 밸브가 닫히고, 가압(포워드) 공정 시에 송출 가압 공기로 역지볼(51a)이 떠서 밸브가 열리는 밸브 시트(51c)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 공급 펌프(41)의 작동에 있어서, 피스톤(48)의 포워드 공정에서는 피스톤 캡(49)이 펌프 실린더(50)의 내벽면에 기밀적으로 접합되고, 공기는 압축되어 송출구(50b)로부터 파이프(54)를 경유하여 루퍼 실도입 기구(110)의 흡입구(112a)(도 6, 도 8)에 압축 공기로서 가압 주입되고, 한편 피스톤(48)의 리턴(흡입) 공정에서는 피스톤 캡(49)이 펌프 실린더(50)의 내벽면에 기밀적으로 접합되지 않게 되므로, 공기는 피스톤(48) 및 피스톤 캡(49)의 외주를 경유하여 흡입되고, 또 송출구(50b)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체크밸브(51)의 역지볼(51a)로 역류가 저지된다.
도 1, 도 2,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60)는, 기체 공급 펌프(41)로 동력 전달하는 펌프 구동체(61)와, 구동축(5)의 일단에 고착되어 바늘땀 형성 장치(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와의 일측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의 수동 조작에 따라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을 통해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되고, 동시에 그 접속 및 분리 상태가 유지되어 미싱 모터(M)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고 있는 클러치 슬라이더(62)를 가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러치(60)는, 소위 핀 클러치로 구성되고, 구동축(5)의 축선상에, 미싱 모터(M)로부터의 동력이 타이밍 벨트(MB)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축 풀리(21), 구동축 풀리 보스(22), 펌프 구동(편심) 캠(42), 펌프 구동체(61), 회전 구동체(23), 클러치 연결핀(63)이 동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된 클러치 슬라이더(62), 바늘땀 형성 구동체(64), 풀리(6)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60)의 작동에 있어서, 루퍼 실통과 시에는, 클러치 슬라이더(62)는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에 의해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에 연결하고, 펌프 구동(편심) 캠(42)으로 펌프 구동 로드(43)에 의해 기체 공급 펌프(41)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도 9(b)).
바늘땀 형성 시에는, 클러치 슬라이더(62)는 풀리(6)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에 의해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의 연결핀 구멍에 연결되어 구동축(5)을 회전 가능하게 한다(도 9(a)).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에 있어서, 도 10(a),(b), 도 11(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는, 루퍼 실통과 시에, 기체 공급 펌프(41)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클러치(60)를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전달자(70), 즉,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에 의해 회동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의 클러치 전환 연결암(94b)에 일단이 피벗 장착되어 왕복이동하는 클러치 전환 링크(72), 클러치 전환 링크(72)의 타단이 코킹단 핀(69a)으로 접착(蝶着)됨으로써 요동하는 클러치 전환 레버(69), 클러치 전환 레버(69)의 전환 스프링 구동암(69c)과 클러치 전환암(65)의 전환 스프링 구동암(65c) 사이에 걸리는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에 의해 구동축(5)의 축방향으로 요동하는 클러치 전환암(65), 클러치 전환암(65)에 고정되고, 클러치 슬라이더(62)의 슬라이더 제어홈(62c)에 끼워 결합되고, 클러치 전환암(65)의 요동에 의해 클러치 슬라이더(62)를 구동축(5)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클러치(60)를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핀(65a)을 가진다.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는 서브 프레임(2a)과 전환 캠 베어링판(93)에 피벗 장착된 전환 캠축(92)의 일단부에서 회전 평탄부(92b)에서 회전을 멈추고 나사로 나사구멍(92c)에 결합되어 있다.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은 전환 캠축(92)의 핀 구멍(92a)에 핀(95)을 끼워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전환 레버(69)는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대(71)의 클러치 전환 레버 설치암(1a) 에 걸쳐 클러치 전환 레버축(68)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이 클러치 전환 레버(69)의 클러치 전환 레버 스프링 걸개(69c)와 클러치 전환암(65)의 클러치 전환암 스프링 걸개(65c)간에 걸려있다.
클러치 전환암(65)에는 클러치(60)를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핀(65a)이 설치되어 있다 있다.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대(71)는 메인 프레임(2)에 고착된 클러치 전환대(73)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전환암(65)은 그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65b)이 클러치 전환대(73)의 클러치 전환암 지지대(73a)의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73b)에 클러치 전환 레버축(66)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전환대(73)에는 클러치 전환암(65)의 요동에 따라 클러치 전환 핀(65a)이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유동(游動)하는 관통구멍(7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방향(B)(루퍼 실통과측)으로 회동시키면, 클러치 전환 링크(72)에 의해 구동되어 클러치 전환 레버(69)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전환암(65)이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에 의해 탄발(인장)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하나의 안정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클러치 전환 핀(65a)이 슬라이더 제어홈(62c)에 끼워져 클러치 슬라이더(62)가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의 구동홈(23a)을 슬라이딩하여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에 연결되고, 기체 공급 펌프(41)를 작동 가능하게 하여, 루퍼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도 9(b), 도 10(b)). 또, 이 클러치의 루퍼 실통과 준비 상태가 보관 유지된다.
한편,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반대방향(A)(바늘땀 형성측)으로 회동하여 되돌리면, 클러치 전환 링크(72)에 구동되어 클러치 전환 레버(69)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전환암(65)가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에 의해 탄발(인장)되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다른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으로 클러치 전환 핀(65a)이 슬라이더 제어홈(62c)에 끼워져 클러치 슬라이더(62)가 바늘땀 형성 구동체(64)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의 구동홈(23a)을 슬라이딩하여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의 연결핀 구멍(64a)에 연결되어, 구동축(5)을 회전 가능하게 하여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도 9(a), 도 10(a)). 또 이 클러치의 바늘땀 형성 준비 상태가 유지된다. 즉,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은, 기체 공급 펌프(41)로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 구동체(61)와, 구동축(5)의 일단에 고착되어 바늘땀 형성 장치(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와의 일측에, 클러치 슬라이더(62)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의 수동 조작에 따라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되고, 동시에 그 접속 및 분리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은, 후술하는 위치 결정 핀을 정지 위치 결정판(81)에 대해서 전진 또는 후퇴시키며, 동시에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를 연결시키기 위한 핀 진퇴 캠(94d)과, 실통과 연결 장치(120)를 해제시켜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루퍼 실입구(7a, 8a, 9a)를 이격시키기 위한 해제 캠(94c)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도 3(a),(b), 도 5(A),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은,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루퍼 실입구(7a, 8a, 9a)가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91)의 수동 조작에 따라,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를 구비하고 있다.
실통과 연결 장치(120)에 있어서,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 136)과, 루퍼 실안내 출구 지지대(131, 139)와, 루퍼 실채기 실안내(133, 139b)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은 서브 프레임(2a)에 고착되어 있다.
루퍼 실도입 기구(110)(도 6)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중공 루퍼 실안내(130)의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는 각각 지지구멍(131b, 135a), 지지구멍(121i, 136c), 스프링 수용홈(121j, 136d), 지지구멍(131a, 139a), 실채기 실안내(133a, 139b)를 경유하여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에 중첩식으로 삽입되어 루퍼 실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구멍(121i, 136c)과 스프링 수용홈(121j, 136d) 사이에는 팽창압 스프링(137)이 설치되고, 스냅 링으로 스프링 수용홈(121j, 136d)에 걸려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를 루퍼 측으로 탄발하고 있다. 따라서,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는 각각 스프링 수용홈(121j, 136d), 지지구멍(131a, 139a)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 실입구(7a, 8a, 9a)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루퍼 실안내 연결판(121, 136)을 지지하는 연결판 안내봉(132, 138)이 설치되어 있다.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스프링 걸개(121k)와 루퍼 실안내 출구 지지대(131)의 스프링 걸개(131c) 사이에는 스프링(134)이 걸리고, 이것에 의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방향(B)(루퍼 실통과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해제 캠(94c)이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캠 팔로워(121g)를 통해 루퍼 실 통로 이격상태를 해제하여 실통과 연결 장치(120)를 연결시켰을 때,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를 루퍼 측으로 탄발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루퍼 실입구(7a, 8a, 9a)를 실 통로로 연결시킨다.
또, 도 2, 도 3(a), (b), 도 4(a), (b), 도 9(a), (b), 도 12, 도 13(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감치기 오버록 미싱(1)은, 안전 장치로서 기능하는 위치 결정 장치(80)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장치(80)는, 구동축(5)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 및 루퍼 실입구(7a, 8a, 9a)가 도 3(a),(b), 도 4(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매칭하는 둘레방향 정지 위치에 노치부(81a)를 가지는 정지 위치 결정판(81)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루퍼 실통과 측으로 전환하여 수동 조작한 루퍼 실통과 시에, 풀리(6)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노치(81a)에 끼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120)를 연결시키는 위치 결정 핀(82)(도 5(A), 도 5(B))을 가진다.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의 핀 진퇴 캠(94d)에 걸려 결합하는 팔로워 핀단(84a)을 가지는 팔로워 핀(84)과, 팔로워 핀(84)이 팔로워 핀 스프링(83)을 통해 끼워지는 위치 결정 핀(82)을 구비하고 있다. 팔로워 핀(84)은 팔로워 핀 스프링(83)을 통해 가이드 핀(85)에 의해 장공(82b)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82)은 위치 결정 핀 복원 스프링(86)이 가이드 핀(85)과 서브 프레임(2a)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 핀(82)을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을 향해 탄발하고 있다.
위치 결정 핀(82)은 위치 결정 핀 슬라이드 구멍(2aa)을 관통하여 위치 결정판(81)을 향해 연장하고 있다. 팔로워 핀(84)과, 이것이 끼워 결합되는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 통로 이격상태에서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장공(121b)과 이어지는 축공(121a)에 끼워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는, 도 1, 도 10 ~ 도 11, 도 14 ~ 도 1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공급원(40)(기체 공급 펌프(41))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기 위한 전환 금지 기구(1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는, 미싱의 앞커버(161)(도 1, 도 10, 15(a),(b) ~ 도 17(a),(b))로 개폐 가능하게 은폐되고, 루퍼 실통과 시에는 앞커버(161)를 열어(D방향, 도 10, 15(a),(b) ~ 도 17(a),(b))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루퍼 실통과 상태(시계 방향(B), 도 10)로 전환 조작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 반대방향(A), 도 10)로 전환 조작한 후에, 앞커버(161)를 닫고(C방향, 도 10, 15(a),(b) ~ 도 17(a),(b))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있어서, 전환 금지 기구(160)는, 메인 프레임(2)에 고착되는 전면 커버(171)(도 14 ~ 도 17)의 하단에 피벗 장착되고, 앞커버(161)의 개폐를 앞커버(161)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단(161a)의 가압에 의해 검출하여 스프링(169)의 탄발에 저항해 피벗 이동되고, 전면 커버(171)에 형성한 피벗축(172)에 피벗 장착되는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과, 서브 프레임(2b)에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대(71)를 통해 고정된 금지 능동암 장착대(164)에 스프링(169)의 탄발에 저항해 단(段)핀(167)으로 피벗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의 피벗 이동에 따라 피벗 이동되는 금지 능동암(168)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에 고정되고, 금지 능동암(168)의 피벗 이동에 따라 앞커버가 열렸을 때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는 금지 종동암(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의 일단(162b)은 안전 스위치(163)의 액추에이터를 겸하고 있고, 앞커버(161)가 닫혀있을 때는 가압단(161a)의 가압에 의해 앞커버(161)의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을 도 1, 도 14, 도 15(a), 도 17(b)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시켜 안전 스위치(163)를 통해 미싱 모터(M)를 ON 가능 상태로 하고, 앞커버(161)가 열렸을 때는 앞커버(161)의 가압단(161a)의 가압 해제에 의해 안전 스위치(163)를 통해 미싱 모터(M)를 OFF시켜,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을 도 1, 도 14, 도 15(b), 도 16(a),(b), 도 17(a)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시계 방향으로 피벗 이동한다.
스프링(169)은, 금지 능동암 장착대(164)의 스프링 걸개(164a)와 금지 능동암(168)의 스프링 걸개(168a)의 사이에 걸리고, 금지 능동암(168)을 항상 도 1, 도 14, 도 15 ~ 도 17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되도록 탄발시키고, 금지 능동암(168)의 핀(168f)이 금지 능동암 장착대(164)의 창(窓)(164b)의 상단 스토퍼(164c)에 맞닿게 걸려 정지되어 있다.
금지 종동암(170)은 나사(170c)에 의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 및 클러치 전환 전달자(70)의 클러치 전환암(65)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환 금지 기구(160)에 의해, 루퍼 실통과 시에는 앞커버(161)가 열리고, 앞커버(161)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단(161a)의 가압 해제에 의해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이 자유롭게 시계 방향으로 피벗 이동되고, 금지 능동암(168)이 스프링(169)의 탄발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되고,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이 금지 능동암(168)의 선단 평면부(168b)에 걸려 정지되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가 루퍼 실통과 상태(시계 방향(B))로 전환 조작되고, 풀리(6)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잠금과 함께,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를 작동시키고,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이 금지 능동암(168)의 선단 평면부(168b)로부터 측면부(168c)에 걸려 정지되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한다.
한편, 바늘땀 형성 시에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반대방향a)로 전환 조작한 후에, 앞커버(161)을 닫고, 가압단(161a)의 가압에 의해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이 피벗 이동되고, 그 가압 돌기(162a)에 의해 금지 능동암(168)의 피가압 돌기(168d)가 가압되고, 금지 능동암(168)이 스프링(169)의 탄발에 저항해 시계 방향으로 피벗 이동되고, 금지 종동암(170)의 종동자(170a)가 금지 능동암(168)의 측면부(168c)로부터 선단 평면부(168b)상에 해방되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반대방향(A))로의 전환을 능동으로 하여,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의 동작에 대해 더 상세하게 순서대로 설명한다.
현재, 루퍼 실을 통과시킬 때는, 앞커버(161)을 열고, 앞커버(161)의 내면에 형성된 가압단(161a)의 가압 해제에 의해 전환 금지 기구(160)의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을 도 1, 도 10, 도 14, 도 15 ~ 도 17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시계 방향으로 피벗 이동하고(도 10(b), 도 15(b)),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의 일단(162b)의 가압 해제에 의해 안전 스위치(163)로 미싱 모터(M)가 OFF되고, 금지 능동암(168)이 스프링(169)에 의해 피벗 이동되어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이 금지 능동암(168)의 선단 평면부(168b)에 걸려 정지되어 걸쳐있는 상태로 된다.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방향(B)(루퍼 실통과측)으로 회동시킨다(도 10(b), 도 13(b), 도 16(a)).
이 상태는, 후술하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는 준비 단계이다.
동시에, 클러치 전환 전달자(70)에 있어서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의 회동각이 레버 우측 회전 스토퍼(94f)로 억제되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은 전환 캠축(92)을 회전축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전환 연결암(94b)에 피벗 장착된 클러치 전환 링크(72)를 밀어낸다(도 10(b)).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대(71)의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암(71a)에 설치한 클러치 전환 레버 장착구멍(71b)에 클러치 전환 레버축(68)으로 설치된 클러치 전환 레버(69)는, 클러치 전환 링크(72)의 압출로 코킹단 핀(69a)의 피벗 장착점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요동된다.
클러치 전환대(73)의 클러치 전환암 지지대(73a)에 설치한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73b)에 클러치 전환암 축(66)으로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65b)이 연결되어 설치된 클러치 전환암(65)은,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을 통해, 시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경우, 클러치 전환 핀(65a)은 클러치 전환암 지지대(73a)에 설치한 관통구멍(73c)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좌단에 위치한다(도 9(b)).
이 결과, 클러치 전환 핀(65a)이 슬라이더 제어홈(62c)에 끼워 결합되어 클러치(60)의 클러치 슬라이더(62)가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바늘땀 형성 장치(3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고,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의 구동홈(23a)을 슬라이딩하여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에 연결 가능한 상태로 된다. 펌프 구동(편심) 캠(42)으로 펌프 구동 로드(43), 펌프 구동암(44)에 의해 기체 공급 펌프(41)의 피스톤(48)을 왕복 구동 가능하게 한다(도 7, 도 8(a), 도 9(b), 도 12).
클러치 전환 핀(65a)은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에 의해, 클러치 슬라이더(62)가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접촉하고, 그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루퍼 실을 통과시키기 위한 기체 공급 펌프(41)를 구동 가능하게 하여 펌프 구동 준비 상태가 된다. 즉, 클러치(60)는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의 탄성에 의해 하나의 클러치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클러치(60)는 핀 클러치이며,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를 개입시켜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에 용이하게 끼워지므로, 약한 측압력으로 슬리핑없이 클러치를 전환할 수 있다.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방향(B)(루퍼 실통과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클러치(60)의 전환과 동시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에 설치한 해제 캠(94c)(도 11(b))이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캠 팔로워(121g)와의 걸림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팔로워 핀(84)과 이것이 끼워진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축공(121a)에 끼워 결합되어 있고(도 3(a)),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을 루퍼 측으로 탄발하고 있는 상태에서, 핀 진퇴 캠(94d)으로 팔로워 핀(84)의 팔로워 핀단(84a)을 가압하므로, 위치 결정 핀 슬라이드 구멍(2aa)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있는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 결정 핀(82)은 진행하여 팔로워 핀 스프링(83), 위치 결정 핀 복원 스프링(86)에 의해 위치 결정판(81)의 외주면에 압접(壓接)된다(도 13(b)).
이상의 동작에 의해 루퍼 실통과 시에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의 연결 및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 결정이 준비된다.
이러한 클러치(60)의 전환 및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의 연결 및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 결정이 준비된 상태에서, 구동축(5)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는 풀리(6)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 및 루퍼 실입구(7a, 8a, 9a), 루퍼 실채기(14, 13, 15)의 실채기 구멍(14a, 13a, 15a)이 수평 방향으로 매칭하는 둘레방향 정지위치(도 3(b), 도 4(b))에서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 결정판(81)의 노치(81a)에 끼워넣고, 이 매칭위치에서 구동축(5)은 그 회전이 위치 결정 핀(82)으로 잠금된다(도 13(c), 도 9(b)).
위치 결정 장치(80)는 위치 결정판(81)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5)은 그 회전이 잠금되므로, 루퍼 실통과 시에 안전 장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처음으로, 클러치 슬라이더(62)가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슬라이딩하므로, 클러치 연결핀(63)이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면에 당접하여 연결 가능 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입구가 넓은 루퍼 실 삽입구(113a, 113b, 113c)에 루퍼 실(16)을 삽입하고, 실통과 버튼(117)을 눌러 미싱 모터(M)가 ON 되면, 미싱 모터(M)로부터의 동력이 타이밍 벨트(MB)에 의해 전달되는 구동축 풀리(21), 구동축 풀리 보스(22)를 통해 고착되는 회전 구동체(23)가 회전함으로써 클러치 연결핀(63)이 펌프 구동체(61)의 연결핀 구멍(61a)에 일치하게 끼워져 완전히 연결되고, 클러치 슬라이더(62)가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더욱 슬라이딩하므로, 클러치 전환 핀(65a)도 이에 수반하여 펌프 구동체(61) 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클러치 전환 핀(65a)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전환암(65)의 이동과 함께 전환 금지 기구(160)에 있어서의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이 스프링(169)으로 상방향으로 탄발되어 있는 금지 능동암(168)의 선단 평면부(168b) 위를 슬라이딩하여 그 선단 평면부(168b)로부터 측면부(168c)에 걸려 정지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한다(도 17(a),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반대방향(A)으로 조작한 후의 조작 상태로 도시함).
또, 위치 결정 핀(82)이 위치 결정판(81)의 노치(81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가 작동하여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축공(121a)으로부터 이탈하여, 스프링(134)의 탄성에 의해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이 루퍼 측으로 탄발되고,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장공(121b)은 팔로워 핀(84)을 슬라이딩시킨다. 이 경우, 위치 결정 핀 복원 스프링(83)에 의해 팔로워 핀(84)은 장공(121b)에 끼워져 결합된다.
동시에, 스프링(134)의 탄성에 의해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 136), 따라서 중공 루퍼 실안내(130)의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와 중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는 지지구멍(131a, 139a), 실채기 안내(133a, 139b)를 경유하여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 측으로 이동하고,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루퍼 실입구(7a, 8a, 9a)가 연결된다. 이 경우, 스프링(137)은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의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 실입구(7a, 8a, 9a)가 연결될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루퍼 실안내 연결판(121)이 루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루퍼 실안내 연결판(121)의 스위치 작동부(121h)에 의해 전환되어 있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변환 스위치(119a)가 해방되어 모터 콘트롤러(MC)를 OFF하여 실통과 버튼(117)을 ON으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의 중공 루퍼 실안내(130)는 연결 준비로부터 연결 상태로 된다(도 3(b), 도 4(b)).
실통과 연결 장치(120)(도 1 ~ 도 5)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필요한 각각의 루퍼 실의 약 5 ~ 6 mm(1/4inch)를 루퍼 실도입 기구(110)의 입구가 넓은 루퍼 실 삽입구(113a, 113b, 113c)(도 1, 도 6, 도 8)에 삽입하고, 동시에, 루퍼 실도입대(112)의 실통과 버튼(117)을 누르면, 실통과 스위치(119b)가 ON되어, 미싱 모터(M)가 정속 회전 제어되고, 타이밍 벨트(MB)로 구동축 풀리(21), 구동축 풀리 보스(22), 클러치(60)의 회전 구동체(23)로부터 펌프 구동체(61), 펌프 구동 캠(42), 펌프 구동 로드(43), 펌프 구동암(44)에 의해 기체 공급 펌프(41)의 피스톤(48)을 왕복 이동 구동 가능하게 한다(도 7, 도 8, 도 9(b)). 기체 공급 펌프(41)의 작동에 있어서, 피스톤(48)의 포워드 공정에서는 피스톤 캡(49)이 펌프 실린더(50)의 내벽면에 기밀적으로 접합되고, 공기는 압축되어 송출구(50b)로부터 파이프(54)를 경유하여 루퍼 실도입 기구(110)의 흡입구(112a)(도 6, 도 8)에 압축 공기로서 가압 주입되며, 한편 피스톤(48)의 리턴(흡입) 공정에서는 피스톤 캡(49)이 펌프 실린더(50)의 내벽면에 기밀적으로 접합되는 일이 없이 열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기는 피스톤(48) 및 피스톤 캡(49)의 외주를 경유하여 흡입되고, 또 송출구(50b)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체크밸브(51)의 역지볼(51a)에 의해 역류가 저지된다.
기체 공급 펌프(41)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송출구(50b)로부터 파이프(54)를 경유하여 루퍼 실도입 기구(110)의 흡입구(112a)(도 6, 도 8(a))에 가압 주입되고, 기체 버퍼 영역(115)으로부터 통기 협애 영역(114a)를 통과해 제트 기류를 생성한다.
각 루퍼 실은, 이 제트 기류에 끌려 루퍼 실 흡입 영역(114)으로부터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에 흡입되고, 중공 루퍼 실안내(130)의 중공 루퍼 실안내(7e, 8e, 9e), 실통과 연결 장치(120)의 중공 루퍼 실안내(7f, 8f, 9f)의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를 통과하여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날 실출구(7b, 8b, 9b)로 기체 반송될 수 있다.
루퍼 실 흡입 영역(114)의 루퍼 실안내 출구단(114b)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통기 협애 영역(114a)의 하류측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통기 협애 영역(114a)의 하류에서 루퍼 실 흡입 영역(114)에 인접하는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 내에 조르기(116c)가 형성되고 있고, 이 때문에 조르기(116c)의 하류측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통기 협애 영역(114a)에서의 기체의 흐름을 촉진함과 함께 루퍼 실 흡입 영역(114)에 부압을 발생시켜 루퍼 실을 루퍼 실 도입 파이프(116)에 흡입시킨다.
이러한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의 루퍼 실도입 기구(110)에 의하면, 루퍼 실을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에 삽입 통과하는 작업을 할 경우,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을 실도입부로부터 넣을 때에, 루퍼 실도입 기구(110)에 의해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의 실도입을 강력하면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를 기체 반송하기 위한 가압 기체를 미싱 모터(M)로 동작하는 기체 공급 펌프(41)로 생성하고, 원터치로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에 의해 한쪽 손만으로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의 칼날 실출구(7b, 8b, 9b)로부터 실을 넣는 실도입부까지를 연통하는 중공의 실안내(7e, 8e, 9e),(7f, 8f, 9f)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실걸기가 필요없고, 양호한 조작성으로 실을 통과시킬 수 있고, 실을 잘못 통과시키거나 도중에서 루퍼 실이 비어져 나오거나, 삽입 통과된 상부 루퍼 실(16a), 하부 루퍼 실(16b), 이중환 루퍼 실(16c)이 다른 실과 얽히거나 하지 않으며, 동시에, 중공의 실안내 수단에 공급되는 가압 기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실을 보내도록 하였으므로,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단번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환 금지 기구(160)의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의 측면(170b)이 금지 능동암(168)의 측면부(168c)에 걸려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반대방향a)로 전환 조작해도, 클러치 전환 핀(65a), 따라서 클러치 전환암(65)이 바늘땀 형성 구동체(64) 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해 지기 때문에,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반대방향(A))로의 특수한 전환 조작에 의한 이상 전환은 금지된다(도 17(a),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반대방향(A)으로 조작한 후의 조작 상태로 도시).
다음에, 바늘땀을 형성할 때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 반대방향(A)(바늘땀 형성측)으로 회동시켜 되돌린 후(도 10(a), 도 13(a), 도 17(a)), 앞커버(161)를 닫으면, 앞커버(161)의 가압단(161)의 가압에 의해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을 도 1, 도 14, 도 15(a), 도 17(b)에서 보아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벗 이동되어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의 일단(162b)이 안전 스위치(163)를 작동시켜 미싱 모터(M)를 ON시키며, 앞커버 개폐 검출편(162)의 가압 돌기(162a)에 의해 금지 능동암(168)의 피가압 돌기(168d)가 피벗 이동되어 선단 평면부(168b)를 하강시킨다. 금지 종동암(170)의 설편(170a)이 금지 능동암(168)의 측면부(168c)로부터 선단 평면부(168b) 상에 해방되므로, 후술 하는 바와 같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반대방향(A))로의 전환을 능동으로 하여,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도 17(b)).
동시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의 회동각이 레버 좌회전 스토퍼(94e)로 억제되어 클러치 전환 전달자(70)가 상기와는 반대로 작동하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은 전환 캠축(92)을 회전축으로서 회동하며, 클러치 전환 연결암(94b)에 피벗 장착된 클러치 전환 링크(72)를 끌어들인다(도 10(a)).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대(71)의 클러치 전환 레버 지지암(71a)에 설치한 클러치 전환 레버 장착구멍(71b)에 클러치 전환 레버축(68)으로 설치된 클러치 전환 레버(69)는, 클러치 전환 링크(72)의 인입으로 코킹단 핀(69a)의 피벗 장착점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요동된다.
클러치 전환대(73)의 클러치 전환암 지지대(73a)에 설치한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73b)에 클러치 전환암축(66)으로 클러치 전환암 장착구멍(65b)이 연결되어 설치된 클러치 전환암(65)은,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을 통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경우, 클러치 전환 핀(65a)은 클러치 전환암 지지대(73a)에 설치한 관통구멍(73c) 내를 슬라이딩하여 우측단에 위치한다(도 9(a)).
이 결과, 클러치 전환 핀(65a)은 클러치(60)의 클러치 슬라이더(62)가 바늘땀 형성 구동체(64) 측으로 슬라이딩하고, 펌프 구동체(61)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클러치 연결핀(63)이 회전 구동체(23)로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의 연결핀 구멍(64a)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축(5)에 동력이 전달되고 바늘땀 형성 장치(30)를 구동 가능하게 한다(도 9(a), 도 10(a), 도 12).
이 경우, 클러치(60)는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의 탄성으로 다른 클러치의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 즉, 클러치 전환 스프링(67)은,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의 수동 조작에 따라 구동축(5)의 일단에 고착되어 바늘땀 형성 장치(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에 클러치 슬라이더(62)를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시킴과 함께 그 접촉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싱 모터(M)로부터 타이밍 벨트(MB)로 구동축 풀리(21), 구동축 풀리 보스(22), 클러치(60)의 회전 구동체(23)로부터 바늘땀 형성 구동체(64)에 의해 구동축(5)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한다.
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시계반대방향(A)(바늘땀 형성측)으로 회동하여 되돌림으로써,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에 설치한 해제 캠(94c)(도 11(b))이 루퍼 실안내 연결판(121)의 캠 팔로워(121g)와 걸려 결합되고, 루퍼 측과 반대 방향(도 5(A)에서는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루퍼 실안내 연결판(121)의 스위치 작동부(121h)로 루퍼 실통/바늘땀 형성 변환 스위치(119a)가 작동되어, 실통과 버튼(117) 회로가 OFF하여 모터 콘트롤러(풋 콘트롤러)(MC)가 ON 되고, 모터 콘트롤러(풋 콘트롤러)(MC)를 통해 미싱 모터(M)는 가변 회전 제어된다.
구동축(5)의 회전에 의해, 바늘땀 형성 장치(30)의 바늘 구동기구(12), 천 이송 기구(4) 및 루퍼 구동 기구(10)가 구동되고, 바늘판(3) 위에서 천 누름 기구(19)에 의해 눌려진 천(25) 위에 바늘(11a, 11b, 11c), 상기와 같이 루퍼 실이 통과되어 있는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에 의해 휘감치기 봉제 및/또는 이중환 봉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 장치(80)는, 상기와는 반대로 작동하여,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캠(94)에 설치한 핀 진퇴 캠(94d)으로 팔로워 핀(84)의 팔로워 핀단(84a)을 가압하는 것이 해제되기 때문에 위치 결정 핀(82)은 위치 결정판(81)의 노치(81a)로부터 이반(離反)함과 함께, 해제 캠(94c)(도 11(b))이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캠 팔로워(121g)에 걸려 결합하여 루퍼 측과 반대 방향(도 5(A)에서는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므로, 팔로워 핀(84)과, 이것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장공(121b)으로부터 위치 결정 핀(82)은 루퍼 실통과 연결판(121)의 축공(121a)에 끼워 결합된다. 이 때문에 실통과 연결 장치(120)는, 중공의 실안내(7e, 8e, 9e)의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 실입구(7a, 8a, 9a)가 이반된다. 중공의 실안내(7e, 8e, 9e)의 루퍼 실안내 출구(7d, 8d, 9d)와 상부 루퍼(7), 하부 루퍼(8), 이중환 루퍼(9)의 루퍼 실입구(7a, 8a, 9a)가 이반되고 있으므로, 그 사이에 루퍼 실채기(14, 13, 15)의 실채기 구멍(14a, 13a, 15a)이 루퍼 실 통로로서 개재됨으로써, 루퍼 실입구(7a, 8a, 9a)와 실채기실통과(133a, 139b) 사이에서 루퍼 실채기 기능이 실행되고, 이 루퍼 실 통로 이격상태에서 바늘땀 형성 장치(30)에 의해 휘감치기 봉제 및/또는 이중환 봉제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서는,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90)의 바늘땀 형성 상태(시계 반대방향(A))로의 특수 전환 조작에 의한 이상 전환은 금지된다.
이러한 이상 전환 금지로서 한쪽 손으로 실통과 버튼(117)을 누르면서, 루퍼 실통과 완료 시에 실통과 버튼(117)으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다른쪽 손으로 조작하여 시계 반대방향(A)(바늘땀 형성측)으로 회동시켜 되돌린다고 하는 특수한 조작을 실행했을 때에도, 이러한 이상 전환은 금지된다.
더욱이, 루퍼 실통과 시에 실통과 버튼(117)을 누르고, 또 루퍼 실통과 완료 시에 실통과 버튼(117)으로부터 손을 뗀 직후, 즉석에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91)를 조작하여 시계 반대방향(A)(바늘땀 형성측)으로 회동시켜 되돌린다고 하는 특수한 조작을 실행했을 때에도, 이러한 이상 전환은 금지된다.
이러한 특수한 조작을 실행하였다고 하면,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 결정 핀(82)이 위치 결정판(81)의 노치(81a)에 끼워진 상태에서 미싱 모터(M)가 구동되고, 또는 관성으로 계속 구동되어 구동축(5)이 강제적으로 회전되게 되며, 그 결과, 위치 결정 장치(80)의 위치가 틀어져 루퍼 실입구(7a, 8a, 9a)와 루퍼 실채기에 형성된 실채기 구멍이 루퍼 실안내 출구로 수평 방향으로 매칭하지 않는다 사태를 야기할 우려가 있지만, 이러한 이상 전환은 금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사태를 야기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 바,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루퍼 실을, 기체 반송하기 위한 가압 기체를 미싱 모터로 동작하는 기체 공급 펌프로 생성하여,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에 의한 원터치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에 의해 한쪽 손으로 루퍼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실을 넣는 실도입부로부터 루퍼날의 실출구까지를 연통하는 중공의 실안내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실기가 필요없고, 양호한 조작성으로 실을 통과시킬 수 있고, 실을 잘못 통과시키거나 도중에서 루퍼 실이 비어져 나오거나, 삽입 통과된 루퍼 실이 다른 실과 얽히거나 하지 않으며, 동시에, 중공의 실안내 수단에 공급되는 가압 기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실을 보내도록 하였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단번에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에 의하면, 특정 전환 금지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루퍼 실통과 상태로부터 바늘땀 형성 상태로 특수 전환 조작은 실행되는 일이 없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이 금지되기 때문에, 루퍼 실통과 상태로부터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정상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는, 루퍼에 가압 기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실을 통과시키는 휘감치기 미싱, 이중환봉 미싱, 편평봉 미싱등의 환봉 미싱에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M 미싱모터
2b 서브 프레임
5 구동축
6 풀리
7a, 8a, 9a 루퍼 실입구
8b, 8b, 9b 루퍼날 실출구
7, 8, 9 루퍼
16a, 16b, 16c 루퍼 실
7d, 8d, 9d 루퍼 실안내 출구
30 바늘땀 형성 장치
40 기체 공급원(41 기체 공급 펌프)
60 클러치
90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
91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레버)
110 루퍼 실도입 기구
120 실통과 연결 장치
130 중공 루퍼 실안내
(7e, 8e, 9e, 7f, 8f, 9f 중공 루퍼 실안내)
160 전환 금지 기구
161 앞커버
161a 가압단
162 앞커버 개폐 검출편
164 금지 능동암 장착대
168 금지 능동암
168b 선단 평면부
168c 측면부
169 스프링
170 금지 능동암
170a 설편
171 전면 커버
172 피벗축

Claims (8)

  1. 루퍼 실입구로부터 루퍼날 실출구까지 중공 구조로 된 적어도 하나의 루퍼와, 상기 루퍼로 유도되는 루퍼 실을 넣는 루퍼 실도입 기구와, 상기 루퍼 실도입 기구로부터 루퍼 실입구까지 연장하여 루퍼 실안내 출구를 가지는 중공 루퍼 실안내와, 상기 루퍼 실을 루퍼 실도입 기구로부터 상기 중공 루퍼 실안내를 통과하여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로 기체 반송에 의해 루퍼 실을 통과시키는 기체 공급 펌프와, 미싱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바늘땀 형성 시에는 상기 루퍼를 포함하는 바늘땀 형성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축으로 루퍼 실 통과 시에는 상기 기체 공급 펌프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와, 루퍼 실통과 시에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상기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고, 바늘땀 형성 시에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기체 공급 펌프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전환하기 위한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와, 상기 기체 공급 펌프의 기체 공급 동작 중에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기 위한 전환 금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는 미싱의 앞커버로 개폐 가능하게 은폐되고,
    상기 루퍼 실통과 시에는 상기 앞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루퍼 실통과 상태로 전환 조작하고,
    상기 바늘땀 형성 시에는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에, 상기 앞커버를 닫아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금지 기구는, 서브 프레임에 피벗 장착되고, 앞커버의 개폐를 검출하여 상기 전면 커버에 형성되는 피벗축에 피벗 장착되는 앞커버 개폐 검출편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고정된 금지 능동암 장착대에 스프링의 탄발에 저항하여 피벗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앞커버 개폐 검출편의 피벗 이동에 따라 피벗 이동되는 금지 능동암과,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에 고정되고, 상기 금지 능동암의 피벗 이동에 따라 상기 앞커버가 열렸을 때에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異常) 전환을 금지하는 금지 종동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루퍼 실통과 시에는 상기 앞커버가 열리고, 상기 앞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압단의 가압 해제에 의해 상기 앞커버 개폐 검출편이 상기 금지 능동암의 가압을 해제하고, 상기 금지 능동암이 스프링으로 피벗 이동되어 상기 금지 종동암의 설편(舌片)이 상기 금지 능동암의 선단 평면부에 걸려 정지되고,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가 루퍼 실통과 상태로 전환 조작되어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를 잠금과 함께 실통과 연결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금지 종동암이 상기 금지 능동암의 선단 평면부로부터 측면부에 걸려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이상 전환을 금지하고,
    상기 바늘땀 형성 시에는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바늘땀 형성 상태로 전환 조작한 후에, 상기 앞커버를 닫아 상기 앞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단의 가압에 의해 피벗 이동되는 상기 앞커버 개폐 검출편이 피벗 이동되고, 상기 금지 능동암이 피벗 이동되며 상기 금지 종동암이 상기 금지 능동암의 상기 측면부로부터 선단 평면부 상에 해방되어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의 바늘땀 형성 상태로의 전환을 능동으로 하여,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 구동체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바늘땀 형성 구동체의 일측에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따라 클러치 전환 스프링에 의해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이동됨과 함께 그 접속 및 분리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미싱 모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있는 클러치 슬라이더를 갖는 핀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루퍼 실입구는,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는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상기 루퍼 실입구가 수평 방향으로 매칭되었을 때 상기 중공 루퍼 실안내의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상기 루퍼의 상기 루퍼 실입구를 접속하는 위치 결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기구는, 루퍼 실통과 시에, 상기 기체 공급 펌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전환하는 수단과, 상기 중공 루퍼 실안내의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상기 루퍼의 상기 루퍼 실입구를 접속하는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결정을 준비하고, 루퍼 실통과 시 및 바늘땀 형성 시에 각각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통과 연결 장치의 연결을 준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는 풀리를 수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실통과 연결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상기 루퍼 실입구가 연결되는 수단을 가지고, 바늘땀 형성 시에, 상기 바늘땀 형성 장치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전환하는 수단과, 상기 위치 결정 장치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고, 상기 실통과 연결 장치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와 상기 루퍼 실입구가 이격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구동축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루퍼 실안내 출구, 루퍼 실채기에 형성된 실채기 구멍 및 상기 루퍼 실입구가 수평 방향으로 매칭하는 둘레방향 정지 위치에 노치를 갖는 정지 위치 결정판과, 루퍼 실통과/바늘땀 형성 전환 수동 조작부를 루퍼 실통과 측으로 전환 수동 조작한 루퍼 실통과 시에, 상기 풀리를 수동 회전시켜 노치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KR1020137009240A 2011-09-20 2011-11-10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KR101844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4753A JP5974214B2 (ja) 2011-09-20 2011-09-20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JPJP-P-2011-204753 2011-09-20
PCT/JP2011/075976 WO2013042277A1 (ja) 2011-09-20 2011-11-10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984A true KR20140061984A (ko) 2014-05-22
KR101844100B1 KR101844100B1 (ko) 2018-03-30

Family

ID=4791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240A KR101844100B1 (ko) 2011-09-20 2011-11-10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90872B2 (ko)
EP (1) EP2762627B1 (ko)
JP (1) JP5974214B2 (ko)
KR (1) KR101844100B1 (ko)
CN (1) CN103249885B (ko)
TW (1) TWI525232B (ko)
WO (1) WO2013042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4779B2 (ja) * 2014-03-18 2018-05-16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
JP6324780B2 (ja) * 2014-03-18 2018-05-16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
TWI598486B (zh) * 2014-04-08 2017-09-11 曾賢長 具有送線供氣導引選擇機構之縫紉機結構
JP6374274B2 (ja) * 2014-09-04 2018-08-15 国立大学法人長岡技術科学大学 制御装置及び減速機システム
JP6401035B2 (ja) * 2014-12-05 2018-10-0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
JP6433315B2 (ja) 2015-01-26 2018-12-0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
JP6866968B2 (ja) * 2016-02-10 2021-04-28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6702824B2 (ja) 2016-08-12 2020-06-0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ロックミシン
JP7016268B2 (ja) * 2018-01-30 2022-02-04 株式会社ジャノメ ロック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915A (en) * 1978-10-05 1980-04-22 The Singer Company Vacuum-type pneumatic needle threading assist
JP2865470B2 (ja) * 1992-02-24 1999-03-08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糸通し装置
TW533252B (en) * 2000-07-07 2003-05-21 Suzuki Mfg Looper and trimmer driv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
JP2008036341A (ja) * 2006-08-10 2008-02-21 Juki Corp ミシン
JP2008104719A (ja) * 2006-10-26 2008-05-08 Juki Corp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8119361A (ja) * 2006-11-15 2008-05-29 Juki Corp ミシン
JP2008237551A (ja) * 2007-03-27 2008-10-09 Juki Corp ミシン
KR101364557B1 (ko) * 2007-06-07 2014-02-19 주식회사 썬스타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JP4741701B2 (ja) * 2009-08-17 2011-08-10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JP5935073B2 (ja) * 2011-06-16 2016-06-15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9885B (zh) 2015-09-09
EP2762627A1 (en) 2014-08-06
TWI525232B (zh) 2016-03-11
CN103249885A (zh) 2013-08-14
KR101844100B1 (ko) 2018-03-30
US20140190383A1 (en) 2014-07-10
EP2762627B1 (en) 2016-08-10
US9290872B2 (en) 2016-03-22
JP5974214B2 (ja) 2016-08-23
TW201313979A (zh) 2013-04-01
JP2013063221A (ja) 2013-04-11
EP2762627A4 (en) 2015-04-22
WO2013042277A1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100B1 (ko)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KR101662870B1 (ko) 미싱의 기체 반송 실통과 장치
JP6078736B2 (ja)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JP5935073B2 (ja) ミシンの気体搬送糸通し装置
JP3950758B2 (ja) 上糸クランプ・カッターを有するミシン
CZ2007755A3 (cs) Šicí stroj na knoflíkové dírky
KR20180106848A (ko) 재봉틀의 실 통과 장치
JP4355737B2 (ja)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JP4309441B2 (ja)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JP2007313341A (ja)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JP2007325938A (ja) ミシンの縫目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