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653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653A
KR20140060653A KR1020120127207A KR20120127207A KR20140060653A KR 20140060653 A KR20140060653 A KR 20140060653A KR 1020120127207 A KR1020120127207 A KR 1020120127207A KR 20120127207 A KR20120127207 A KR 20120127207A KR 20140060653 A KR20140060653 A KR 2014006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item
mobile terminal
touch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60B1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60B1/ko
Priority to US14/067,781 priority patent/US10025405B2/en
Priority to EP13191691.8A priority patent/EP2731003B1/en
Priority to CN201310560008.9A priority patent/CN103810234B/zh
Publication of KR2014006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모 모드에서 동작 중일 때,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아이템과 연동함으로써, 메모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 모드에서 생성되는 메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메모 모드에서 생성되는 메모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연동하여 저장함으로써, 생성된 메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 상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메모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생성된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그룹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는 아이템 그룹, 초기화 상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 그룹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메모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메모와 상기 아이템을 연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메모 및 상기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맵(map), 메신저(messenger), 캘린더(calendar), 계산기, 음악 파일, 콜(call) 기능, 무선 인터넷 설정 기능 및 상기 메모에 추가된 아이템을 추천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 파일을 실행에 따라 메모 및 상기 메모와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 상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메모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메모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모 파일의 실행에 따라 메모 및 상기 메모와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와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장된 메모를 실행할 때, 상기 연동된 아이템을 함께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메모에 기초하여 상기 연동된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장된 메모를 공유함으로써, 공유 상대방은 공유된 메모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연동된 아이템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에 연동함으로써, 메모의 활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메모에 길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메모에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메모를 통해 메모 수신자에게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기 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함 도면이다.
도 17은 메모에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메모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메모에 소정의 전화 번호를 기재한 경우, 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메모에 소정의 음악 파일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일, 일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포인트(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포인트(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드래그(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100).
도 3은 S100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미도시)에 포함되어 있는 하드 키(hard key) 또는 터치 스크린(151)의 특정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소프트 키(soft key)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은 전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현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CI)를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함으로써,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캡쳐 이미지에 필기 입력 형태(M)로 메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모드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레이어(layer)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고, 상기 레이어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메모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메모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영역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 모드에서는 현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대한 캡쳐 이미지(CI)를 메모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CI)는, 상기 메모 모드에 진입하기 직전에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아이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에 입력되는 필기 입력(M)을 사용자의 메모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S110),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120).
도 4 및 도 5는 각각 S110 및 S12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path)를 따라 상기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그룹은, 미리 정해진 크기의 레이어(layer)(B)에 포함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의 레이어(B)는 상기 슬라이딩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151)과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레이어(B)는 터치 스크린(151)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51)의 새로 길이에 대응하는 경계 영역에서 터치 스크린(151)의 중앙으로 슬라이딩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슬라이딩 입력을 따라 상기 레이어(B)가 상기 터치 스크린(151)으로 드러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은 슬라이딩 입력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아이템 그룹을 메모 화면상에 표시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A는, 메모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입력의 패턴, 형상, 특징, 저장, 삭제 등의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아이템 그룹 및 상기 아이템 그룹 중 특정 아이템을 메모에 연동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템 그룹은, 예를 들어, 제1 아이템 그룹(1), 제2 아이템 그룹(2), 제3 아이템 그룹(3), 제4 아이템 그룹(4)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아이템 그룹(1)을 대표하는 식별 아이콘을 상기 레이어(B)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아이템 그룹에 대해서도 각 아이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아이콘을 상기 레이어(B)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 그룹(1,2,3,4)을 포함하는 레이어(B)를 터치 스크린(151)에 드러나도록 하는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레이어(B)를 터치 스크린(151)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레이어(B)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템 그룹(1,2,3,4)개수가 도 5에 도시된 개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레이어(B)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레이어(B)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는 예를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레이어(B)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메모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음성 입력을 통해 상기 레이어(B)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 모드에서 메모장으로 사용되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객체를 롱 터치 하는 경우, 상기 객체와 연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레이어(B)가 슬라이딩되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상기 레이어(B)에 포함된 아이템의 종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아이템 그룹은, 소정의 분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아이템 그룹(1)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아이템 그룹(1)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SNS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레이어(B)에 표시된 제1 아이템 그룹(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제1 아이템 그룹의 팝업창(IG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이템 그룹의 팝업창(IG1)은 복수의 아이템(I11,I12,I13,I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I11,I12,I13,I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템을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이템 그룹(1)에 포함되는 복수의 아이템(I11,I12,I13,I14)은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드 받은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도 1의 160)에 저장된 아이템들 중 메모 모드에서 메모에 연동하고자 하는 아이템들을 상기 제1 아이템 그룹(1)으로 선택하여 그루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아이템 그룹(2)은 이동 단말기(100)의 초기 상태에 메모리(도 1의 160)에 설치되어 있는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아이템 그룹의 팝업 창(IG2) 및 상기 팝업 창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I21,I22,I23,I24)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I21,I22,I23,I24)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아이템을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아이템 그룹(3)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예를 들어, 통신 연결 상태, 무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항목은 WiFi On/Off, Blue Tooth On/Off, Airplane Mode On/Off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아이템 그룹의 팝업 창(IG3) 및 상기 팝업 창(IG3)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I31,I32,I33,I34)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메모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레이어(B)를 통해 제공되어 작성된 메모와 연동 가능한 아이템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메모 모드에서 생성된 메모가 특정 아이템과 연동되는 과정, 특정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실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입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바디의 하드 키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151)상의 소프트 키 입력)을 통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S200).
제어부(180)는 캡쳐 이미지 상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210).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화면 캡쳐 이미지를 메모장으로 인식하는 방법 외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메모장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장으로 인식되는 대상의 종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장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20). 제어부(180)는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230). 상기 아이템 그룹은 레이어(B)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 그룹 중 특정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로 드래그 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40).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을 상기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S250).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상에 필기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아이템 그룹 중 특정 아이템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향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생성된 메모를 아이템의 실행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메모에 길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맵(201)을 캡쳐하고, 캡쳐된 맵(201) 상에 필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맵 상에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맵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메모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성된 메모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맵 상에 표시된 맵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11,12,13,14)을 포함하는 레이어(B)를 터치 스크린(151)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아이템 그룹(11) 중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을 상기 메모로 인식된 맵 이미지(201) 상에 연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이 상기 맵 이미지(201)에 표시되어, 메모에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이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는 맵 이미지(201)에 대응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메모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의한 메모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중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메모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입력 또한 메모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특정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메모리(도 1의 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13)를 다른 메모(10,11,12)와 구별하기 위하여 소정의 식별자(30)를 메모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식별자(30)는 연동된 아이템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에 연동된 아이템이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내비게이션 형상의 GUI를 상기 메모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재차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를 실행하면, 상기 메모(201)에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시에 저장했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이 연동된 메모를 외부 기기와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이 연동된 메모를 수신한 측에서, 상기 메모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메모 및 상기 메모와 연동된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21)이 상기 수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메모를 저장한 당시의 송신측 단말기의 위치까지의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메모에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일기 예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02))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02)을 메모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메모장에 대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메모)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아이템 그룹(30) 중 캘린더 애플리케이션(31)을 상기 메모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케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HI)을 상기 메모(2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의 스케쥴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스케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31)이 연동된 메모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메모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를 실행하면, 상기 캘린더 애플리케이션(31)에 저장된 스케쥴 정보가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캘린더에도 추가된다.
도 16은 메모를 통해 메모 수신자에게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기 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함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모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공유함으로써, 공유 상대방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기 위한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작성된 메모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app2, app4)을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app2, app4)이 하나의 폴더에 포함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작성된 메모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된 메모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에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이 공유 상대방의 기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상대방 기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메모에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이 메모(203)에 연동되어 저장된 예를 도시한다. 계산기 애플리케이션(41)을 실행하면, 계산기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2)를 상기 메모(20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작성된 메모에 소정의 아이템을 연동하여 저장한 경우, 상기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를 종료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메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메모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메모(204) 상에 소정의 웹 페이지 주소를 입력한 경우, 와이 파이 설정과 관련된 제어 항목을 상기 메모(204)에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와이 파이 설정을 위한 아이콘(42)을 상기 메모(204)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와이 파이 설정을 위한 아이콘(42)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화면은, 상기 메모(204)와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를 실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인터넷 설정을 모니터링하고, 와이 파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와이 파이 설정 화면을 상기 메모와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메모에 소정의 전화 번호를 기재한 경우, 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필기 입력을 위한 메모장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장에 대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HI)으로 구성되는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180)는, 콜 기능 아이템(43)이 상기 메모에 연동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콜 기능 아이템(43)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필기 입력(HI: 전화번호)에 대하여 소정의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전화번호)를 통화 호 연결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모에 연동 가능한 아이템은 전술한 콜 기능 아이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에 연동 가능한 아이템은 전술한 콜 기능 아이템 외에 문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전자 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메모에 소정의 음악 파일을 연동시킨 경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메모에 소정의 배경 음악이 연동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메모리(도 1의 160)에 저장된 음악 파일(44)을 메모에 연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음악 파일(44)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음악 파일을 실행하고, 상기 음악 파일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볼륨 제어창(50)을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작성된 메모에 소정의 아이템을 연동하고, 상기 작성된 메모를 연동된 메모의 실행에 적용함으로써, 메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51: 터치 스크린
180: 제어부

Claims (11)

  1.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 상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메모 모드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생성된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를 따라 상기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그룹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는 아이템 그룹, 초기화 상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아이템 그룹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아이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메모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메모와 상기 아이템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메모 및 상기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맵(map), 메신저(messenger), 캘린더(calendar), 계산기, 음악 파일, 콜(call) 기능, 무선 인터넷 설정 기능 및 상기 메모에 추가된 아이템을 추천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무선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메모 파일을 실행에 따라 메모 및 상기 메모와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맵(map), 메신저(messenger), 캘린더(calendar), 계산기, 음악 파일, 콜(call) 기능, 무선 인터넷 설정 기능 및 상기 메모에 추가된 아이템을 추천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 이미지 상에 필기 입력이 가능한 메모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메모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경계 영역에서 시작되는 슬라이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입력의 경로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그룹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슬라이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메모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입력이 수신된 아이템을 생성된 메모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연동된 메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모 파일의 실행에 따라 메모 및 상기 메모와 연동된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을 상기 메모와 연관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127207A 2012-11-12 2012-11-1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44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07A KR102044460B1 (ko) 2012-11-12 2012-11-1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4/067,781 US10025405B2 (en) 2012-11-12 2013-10-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linking information with a memo
EP13191691.8A EP2731003B1 (en) 2012-11-12 2013-11-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560008.9A CN103810234B (zh) 2012-11-12 2013-11-12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07A KR102044460B1 (ko) 2012-11-12 2012-11-1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53A true KR20140060653A (ko) 2014-05-21
KR102044460B1 KR102044460B1 (ko) 2019-11-13

Family

ID=4955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07A KR102044460B1 (ko) 2012-11-12 2012-11-1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5405B2 (ko)
EP (1) EP2731003B1 (ko)
KR (1) KR102044460B1 (ko)
CN (1) CN10381023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39A1 (ko) * 2014-11-25 2016-06-02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5160A1 (ko) * 2015-06-01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0081187A1 (en) * 2018-10-15 2020-04-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pplications to a compu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834B1 (ko) * 2013-07-10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392095B2 (en) 2014-04-03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4123338B (zh) * 2014-06-23 2019-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推荐方法和装置
KR102215816B1 (ko) * 2014-07-09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24291B2 (en) 2014-07-31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US20160048319A1 (en) * 2014-08-18 2016-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based Access to a Mix View
KR102411890B1 (ko) 2014-09-02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1958790B1 (ko) 2014-11-14 2019-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2490A (ko) * 2015-08-20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474737A (zh) * 2018-09-19 2019-03-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备忘方法及终端设备
CN112879776A (zh) * 2021-02-13 2021-06-01 北京泽桥传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的内容推荐展示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119A (ja) * 2009-01-14 2010-07-29 Sharp Corp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064947A1 (en) * 2010-09-09 2012-03-15 Ilbyoung Yi Mobile terminal and memo management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481B1 (en) * 1999-04-19 2002-05-28 Ecri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handwriting capture
US7224991B1 (en) * 2000-09-12 2007-05-29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JP2005202483A (ja) 2004-01-13 2005-07-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297442B2 (ja) * 2004-11-30 2009-07-15 富士通株式会社 手書き情報入力装置
US20080090609A1 (en) * 2006-10-13 2008-04-17 At&T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mos
US8031184B2 (en) * 2007-01-19 2011-10-04 Lg Electronics Inc.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KR20080073872A (ko)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정보 입력 방법
KR101387527B1 (ko) *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US8525802B2 (en) * 2008-03-31 2013-09-0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8166119B2 (en) * 2008-04-25 2012-04-24 T-Mobile Usa, Inc. Messaging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to recipients based on availability and preferences of recipients
KR101071843B1 (ko) * 2009-06-12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67765B1 (ko) * 2009-11-06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데이터를 이용한 필기 메시지 재생 장치 및 방법
EP2431870B1 (en) *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5845A (ko)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CN102855079B (zh) * 2011-05-24 2016-06-08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KR101862123B1 (ko) * 2011-08-31 2018-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59102B1 (ko) * 2011-09-16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315957B1 (ko) * 2012-05-2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5480B1 (ko) * 2012-06-01 2014-05-14 주식회사 팬택 필기 입력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CN102830904B (zh) * 2012-06-29 2016-08-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图片插入方法
EP2872981A4 (en) * 2012-07-13 2016-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1992192B1 (ko) * 2012-11-02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119A (ja) * 2009-01-14 2010-07-29 Sharp Corp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064947A1 (en) * 2010-09-09 2012-03-15 Ilbyoung Yi Mobile terminal and memo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39A1 (ko) * 2014-11-25 2016-06-02 엘지전자(주)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5160A1 (ko) * 2015-06-01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141458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03350B2 (en) 2015-06-01 2019-12-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809874B2 (en) 2015-06-01 2020-10-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073961B2 (en) 2015-06-01 2021-07-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934625B2 (en) 2015-06-01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20081187A1 (en) * 2018-10-15 2020-04-2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pplications to a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5405B2 (en) 2018-07-17
KR102044460B1 (ko) 2019-11-13
US20140132535A1 (en) 2014-05-15
EP2731003B1 (en) 2019-06-05
CN103810234A (zh) 2014-05-21
EP2731003A3 (en) 2017-11-15
CN103810234B (zh) 2018-07-03
EP2731003A2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59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096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521244B2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groups for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vents
KR201400450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064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010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6346A (ko) 다중 창 화면 캡쳐 처리를 위한 단말기
KR2013000677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952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64523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0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8220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3437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126542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4280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464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675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8947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500207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212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38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700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