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790B1 -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790B1
KR101958790B1 KR1020177015790A KR20177015790A KR101958790B1 KR 101958790 B1 KR101958790 B1 KR 101958790B1 KR 1020177015790 A KR1020177015790 A KR 1020177015790A KR 20177015790 A KR20177015790 A KR 20177015790A KR 101958790 B1 KR101958790 B1 KR 10195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emo
touch
screen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107A (ko
Inventor
황지운
임채성
강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or artist information, time, location or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5/23267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의 녹화 도중 메모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의 터치경로를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필기 메모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디바이스이다. 다양한 기능들은 데이터, 음성 통신,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캡쳐링, 오디오 녹음, 음악 파일을 재생하기, 스피커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을 출력하기, 디스플레이 위에 이미지와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등을 포함한다. 어떤 이동 단말기들은 다른 단말기들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서 설정되는 동안, 게임 재생을 지원하는 추가 기능을 포함한다. 더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들은 비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컨텐트 시청을 허용하는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성의 존재 및 비존재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들은 휴대성에 따라서, 손에 들고 다니는 단말기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다.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보조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 구성의 변화와 향상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성능 향상을 포함한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하게 방대해 짐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도 따라서 급증하였으며,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한걸음 더 다가왔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중에서, 일상 생활과 가장 밀접한 기능은 메모 기능으로써, 이러한 메모 기능에 손쉽게 접근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특히,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메모를 입력하고, 재생되는 동영상과 연관지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메모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의 터치경로를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필기 메모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단계; 상기 녹화 시,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의 터치경로를 필기 메모로 저장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동영상 녹화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편리한 메모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동영상 녹화 프리뷰 화면과 연계된 메모를 입력할 수 있어서,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시 편리하게 연계되는 메모를 열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도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에 포함되고,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고,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함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컨텐츠의 메모 메모 녹화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 녹화 모드에서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도를 예시로, 메모 녹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도를 예시로, 메모 재생 모드에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 시 프리뷰 화면의 예시 및 그 녹화에 의한 프레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녹화 도중 메모 녹화를 활성화시켜 필기 메모와 함께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의 녹화 도중 메모 녹화가 활성화된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녹화 도중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메모 녹화를 활성화 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녹화되는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시켜 필기 메모를 저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필기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음성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와 연관되어 저장된 필기 메모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와 연관되어 저장된 음성 메모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시 필기 메모가 표시되는 경우, 재생되는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필기 메모의 출력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이 소정 시간 경과함에 따라 재개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리킹 제스처를 이용하여 필기 메모 간에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의 썸네일 리스트 중, 메모가 포함된 프레임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화면 상에서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동영상에 포함된 메모를 종합하여 보여주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유닛(부)", 및 "파트"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고, 모듈, 유닛(부), 파트는 함께 또는 교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a는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차례로 설명한다.
우선,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a를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서,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의 슬리이딩 포션이 개방 인지 폐쇄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은 센싱부(140)가 전원부(190)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17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커플링 또는 다른 연결이 존재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햅팁 모듈(154), 프로젝터 모듈(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들은 투명, 광학적 전송 타입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고 명명된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OLED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의 후면은 광학적 전송 타입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바디에 의하여 점유된 지역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바디의 후면의 오브젝트를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터치 센서로 입력되는 경우, 터치에 대응하는 신호가 터치 컨트롤러로 전송된다. 터치 컨트롤러는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프로세싱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기설정된 부분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 주변에 의하여 둘러싸인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기설정된 감지 표면에 근접하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 또는 기계적 접촉 없이 적외선, 자기장의 세기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 주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를 디텍팅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근접 센서(141)는 접촉 방식의 센서보다 더 내구성이 길고, 접촉 방식의 센서보다 더 넓은 활용도를 갖고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된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한다. 특정 이벤트들은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콜,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한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오디오 신호 뿐만 아니라, 진동 방식으로 이벤트 신호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또는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음향 출력부(152)는 알람부(153)의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54)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외부에서 수신된 메모리(160)에 저장된, 프로젝팅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는 다른 방향들에서 프로젝트 이미지들을 투영하기 위하여, 회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의 부분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서 개별적으로 터치 스크린 위에 실행된 글씨 입력 및 그림 입력을 인식하는 인식 프로세스 패턴 또는 이미지를 실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설정에서,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s), 프로세서, 제어부,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등과 다른 전자 유닛들은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다른 실시 예들은 또한 제어부(1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설정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 예들은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실행될 수 있다.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프로시져, 여기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함수와 작동을 실행하는 각각의 함수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실시될 수 있고, 메모리(160)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80)와 같은 컨트롤러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전면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 본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다른 설정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설정의 실시 예들은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회전 타입, 스윙 타입,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보다 명확하게, 다음에 기술할 내용들은 주로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들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유심카드,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 1b,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 130 (131, 132, 133),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케이스(101, 1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는 디스플레이부(151) 끝 단 중 하나에 인접한 지역에 장착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로폰(122)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끝 부분에 인접한 다른 지역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는 전면 케이스(101)와 후면 케이스(102)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된다. 추가적으로,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부(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1, 132, 133)는 조작부로 통칭될 수 있고,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 1 조작부(131) 또는 제 2 조작부(132)에 의한 컨텐트 입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어들은 제 1 조작부(131)에 입력될 수 있다. 추자적으로, 음향 출력부(152)로부터의 출력된 사운드의 볼륨 조절 명령어 등과 같은 명령어들은 제 2 조작부(132)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모드를 터치 인식 모드로 스위칭하는 명령어 등과 같은 명령어들은 제 3 조작부(133)에 입력될 수 있다.
도 1c는 도 3에 도시한 단말기의 후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카메라(121')는 도 1b에 도시된 제 1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 2 카메라(121')는 제 1 카메라(121)와 다른 픽셀수 또는 다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21)는 화성 전화시 사용자의 얼굴을 캡쳐하고 전송할 정도의 낮은 픽셀수(low pixels)를 갖고, 반면에, 제 2 카메라(121')는 피사체를 캡쳐하고 전송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진 촬영을 위한 피사체를 캡쳐하는 높은 픽셀수(high pixels)를 가질 수 있다.
플래쉬(123)와 거울(124)는 제 2 카메라(121')에 인접하게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제 2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사용자가 제 2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려고 시도한 경우(셀프 촬영), 거울(124)은 사용자로 하여금 거울(124)에 반사된 그들의 열굴을 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 후면에는 제 2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는 도 1b에 도시된 제 1 음향 출력부(152)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6)는 추가적으로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가이드 컨텐츠의 메모 녹화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면의 명료성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고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표시되는 상태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메모 녹화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녹화 아이콘(203)은, 도 2 (b)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센터(202) 화면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컨트롤 센터(202)란,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각종 설정을 조작할 수 있는 설정화면으로써, 컨트롤 센터(202)는 인디케이터 영역(201)에 대한 터치드래그 입력(100a)(예를 들어서, 인디케이터 영역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의 터치드래그 입력)을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종 설정이란, 블루투스 기능의 온오프, 와이파이 기능의 온오프, 소리 크기 조절 또는 화면 밝기 조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인디케이터 영역(201)이란 전체화면을 사용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때를 제외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정 영역에 항상 표시되어 이동 단말기의 각종 동작 상태(현재 시간, 배터리 상태, 무선 신호 수신 강도 등)를 소정 형태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녹화 아이콘(203)이 선택되는 입력(1000b)을 수신하면, 도 2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메모 녹화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하, "메모 녹화 모드"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 녹화 모드에서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메모 녹화 모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컨텐츠는, 녹화하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서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아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면서 터치 제스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필기 메모는, 마치 상기 터치스크린(151)을 종이와 같이 사용하여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글씨 등을 쓰는 입력을 말할 수 있다.
도 3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한 터치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필기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필기 입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필기 입력이 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필기 아이콘(301)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touch"라는 필기 메모(이하, 제 1 필기 메모라고 함, 300a)를 입력하고 있으며, 제어부(180)는 입력된 필기 메모(300a)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필기 메모(300a)는, 메모 재생 모드에서 마찬가지로 터치스크린(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필기 메모를 입력한 후, 소정 어플리케이션 아이콘(601)을 터치하는 이벤트를 저장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필기 입력이 비활성화된 상태(도 3 (d)에서와 같이 필기 아이콘(301)이 사라진 상태)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 아이콘(601)이 터치(1000c)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서 동시에 해당 터치(1000c)의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으로, 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 대한 녹화 모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도를 예시로, 메모 녹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a) 내지 (d)를 참조하면, 상기 도 3 (d)에서 이루어진 터치(1000c)에 따라 실행된 메시지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에서 진입한 메모 녹화 모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이다.
도 4 (a)에서는 필기 입력이 활성화된 상태(필기 아이콘(30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디케이터를 따라서 누르세요"라는 필기 메모(이하, 제 2 필기 메모라고 함, 300b)가 수신된다. 즉, 가이드 컨텐츠를 녹화하는 사용자는, 가이드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을 안내해 줄 수 있는 메모를 녹화하고자 한다.
도 4 (b) 내지 (d)에서는 필기 입력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하므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터치(100d 내지 1000f)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면서 그 터치에 대한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송신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가상 키패드(403)이 출력된다. 상기 가상 키패드(403)을 통하여 메시지를 타이핑하기 위한 입력(1000d)이 수신되면, 도 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타이핑 된 문자를 송신 메시지 입력창(40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핑된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터치 입력(1000f)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터치 입력(1000f)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저장된 필기 메모 및 터치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메모를 재생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도를 예시로, 메모 재생 모드에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5 (a)를 참조하면, 도 3을 통하여 저장한 가이드 컨텐츠의 재생을 설명한다. 도 5 (a) 내지 (c)에서 제어부(180)는 상술한 제 1 필기 메모(300a)를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기 메모(300a)의 출력은, 입력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기 메모(300a)가 출력된 후, 도 3에서의 터치(1000c) 이벤트에 대응하는 안내 인디케이터(501a)가 출력된다. 도 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인디케이터(501a)는, 상기 터치(1000c)가 이루어진 터치스크린(151) 상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안내 인디케이터(501a)는 상기 가이드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에게 터치(1000c)와 동일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안내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소정 어플리케이션 아이콘(601) 상에 출력되는 상기 안내 인디케이터(501a)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1001a)가 수신되면,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에 따른 실행 상태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실행 상태도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하여 이어서 설명한다.
도 6 (a) 내지 (d)는 메모 재생 모드에서 메모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6 (a)에서, 제어부(180)는 메모 녹화 모드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 2 필기 메모(300b)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 녹화 모드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1000d)에 대응하는 안내 인디케이터(501b)를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키패드의 문자 "H"에 출력되는 상기 안내 인디케이터(501b)가 터치(1001b)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송신 메시지 입력창(402)에 문자 "H"를 입력하면서, 다음 안내 인디케이터(501c)를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하여 안내 인디케이터(501c) 상에 터치되는 입력을 수신할 경우, 제어부(180)는 순차적으로 그 다음 안내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적으로 출력되는 안내 인디케이터를 따라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도 6 (d)에 도시된 상태도와 같이 송신 메시지 입력창(402)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가이드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는, 출력되는 필기 메모와 안내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문자 송수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하는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실행 상태도 상에서 수신되는 메모 입력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프리뷰 화면 상에서 메모 입력을 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메모는,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시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의 녹화 당시에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동기화되어, 동영상의 재생 시에도 대응되는 시점에 표시되도록 제안한다. 즉, 동영상 녹화 시 제 1 시점에 입력된 필기 메모는, 동영상 재생 시에도 제 1 시점에 대응되는 시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 시 프리뷰 화면의 예시 및 그 녹화에 의한 프레임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동영상 녹화 상태도를 도시한다. 상기 동영상 녹화 상태도에서는, 사용자에게 녹화되는 동영상의 프리뷰 화면(70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프리뷰 화면(700)에는 녹화 중임을 알리는 녹화 인디케이터(702)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동영상의 저장은,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을 시간 순으로 저장하여 이루어진다.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레임의 예시로, 제 1 프레임(701A) 내지 제 4 프레임(701D)을 도시한다. 이하, 후술하는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시된 프레임들을 참조하는 예시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의 녹화 도중 메모 녹화를 활성화시켜 필기 메모와 함께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의 녹화 도중 메모 녹화가 활성화된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801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동영상 녹화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9 (a)를 참조하면,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 녹화 모드에서 동영상의 프리뷰 화면(700) 및 녹화 인디케이터(702)를 출력하고 있다. 메모 녹화를 활성화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녹화를 유지하면서, 또는 동영상의 녹화를 일시 정지하면서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녹화를 활성화(802 단계)시킬 수 있다. 이 메모 녹화의 활성화란,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가 사용자로부터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900) 등을 통하여) 필기 메모(300c)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모 녹화 활성화 명령의 예시로, 두 가지 방법을 들고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의 수신이 감지(803 단계와 같이)되면, 추가적인 입력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메모 녹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 소정 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메모 녹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된다.
803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300c)를 입력 받는다. 이와 같이 입력 받은 필기 메모는 녹화되는 동영상에 대응되어 저장(804 단계)될 수 있으며, 해당 동영상의 재생 시 대응되어 저장된 필기 메모(300c)가 함께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동영상의 재생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녹화 프리뷰 화면(700) 상에서 필기 메모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동영상의 녹화 도중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를 입력 받게 되면, 동영상을 녹화하는 화면이 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가 수신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프리뷰 화면을 일시 정지(804 단계)시키고, 떨림 보정 기능을 실행(805 단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하는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가 수신되는 것이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프리뷰 화면(700)을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메모 입력 전에 사용자에 의해서 일시 정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프리뷰 화면(700)을 일시 정지시킨 후 필기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일시 정지 명령이 수신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프리뷰 화면(700)이 일시 정지된다고 하더라도, 카메라(121)를 통하여 동영상의 녹화는 정지되지 않고 계속될 수 있다.
8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의 입력이 계속되는지 판단하고, 계속된다면 803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만약 계속 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추가적인 필기 메모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메모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9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7 단계로 진행하여, 프리뷰 화면(700)의 일시 정지를 해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9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고 있던 필기 메모(300c)의 표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녹화 도중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메모 녹화를 활성화 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a)는, 활성화된 카메라(121)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도에서는 카메라(121)에 대한 프리뷰 화면(700)과 함께 녹화 인디케이터(702)의 출력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도 10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모 녹화 활성화 아이콘(100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 녹화 활성화 아이콘(1001)이 터치(1000g)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메모 녹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모 녹화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리뷰 화면(700)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300c)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300c)의 수신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필기 메모를 저장한 후 프리뷰 화면(700)을 다시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300c)의 수신이 완료되는 시점을 적절히 결정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1) 사용자로부터 필기 메모(300c)의 수신이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은 경우 (2) 완료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필기 메모(300c)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 (c)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상기 (2)의 완료 명령의 예시로, 메모 녹화 활성화 아이콘(1001)이 다시 터치(1000h)되는 입력을 들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메모는, 녹화되는 동영상에 포함된 소정 객체를 인식하여 해당 객체에 대응시켜 저장하도록 제안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람이나 특정 동물에 필기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녹화되는 동영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응시켜 필기 메모를 저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객체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두 가지 방법을 예시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 프리뷰 화면(700) 상에 수신되는 터치 드래그(1000j)에 의해서 폐곡선이 이루어진다면, 해당 폐곡선 내에 존재하는 객체(1101)를 특정할 수 있다(도 11 (a) 참조). 두 번째 방법으로, 터치 후 소정 시간 이상 홀드(1000k)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대응하는 객체(1101)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1101)가 특정되면, 제어부(180)는 메모 타입을 선택 받기 위한 메모 타입 팝업창(1102)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필기 메모 또는 음성 메모를 입력하도록 제안한다. 메모 타입 팝업창(1102)을 통하여 필기 메모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필기 메모를 그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 타입 팝업창(1102)을 통하여 음성 메모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메모를 그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필기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a)는 활성화된 카메라(121)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도에서는 카메라(121)에 대한 프리뷰 화면(700)과 함께 녹화 인디케이터(702)의 출력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하는 필기 메모(300d)가 수신된다. 도 12 (b)에서와 같이 저장 아이콘(1201)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하여 상기 필기 메모(300d)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음성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a)는 활성화된 카메라(121)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도에서는 카메라(121)에 대한 프리뷰 화면(700)과 함께 녹화 인디케이터(702)의 출력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시켜 저장할 음성 메모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 멘트(1301)가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프리뷰 화면(700) 상에 표시되는 특정된 객체(1101)에 근접하게 음성 메모 아이콘(1303)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음성 메모(1302)가 수신되고 저장 아이콘(1201)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된 음성 메모(1302)를 상기 특정된 객체 (1101)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5를 참조하여, 특정된 객체와 연관되어 저장된 메모의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와 연관되어 저장된 필기 메모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a) 내지 (c)는, 녹화된 동영상에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프레임들을 나타내며, 녹화된 시간 순서로 나열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녹화된 동영상을 재생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 상에 입력된 메모(필기 메모 및/또는 음성 메모)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14a (a)를 참조하면, 녹화 시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기 메모(300d)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재생되는 동영상 상에서 상기 특정된 객체(1101)가 이동하는 경우, 필기 메모(300d)의 위치도 그 이동에 대응되도록 이동하도록 제안한다.
도 14a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된 객체(1101)는 대각선 우측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재생 화면(1600)을 벗어나고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객체(1101)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되는 필기 메모(300d)의 표시 위치도 도 14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음성 메모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14a와 관련된 실시 예에서, 필기 메모(300d)가 출력되는 경우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출력된 필기 메모(300d)를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도 14b 및 도 14c는, 녹화된 동영상의 정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생 중에도 적용 가능하다.
동영상의 재생 도중 일시 정지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을 정지하고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정지 화면(160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정지 화면(1601) 상에 입력된 메모(300d, 필기 메모)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화면(1601)을 확대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되는 정지 화면(1601)을 확대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지 화면(1601)이 확대되면, 함께 표시되는 메모(300d) 또한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화면(1601)을 확대하는 명령의 일례로, 터치스크린(151)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1000u)를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확대 제어에 의해서, 상기 확대된 메모(300d)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상기 메모(300d)의 크기를 자동으로 축소 제어하도록 제안한다(도 14b (c) 참조). 상기 메모(300d)의 크기가 너무 커질 경우, 사용자가 메모(300d)를 열람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동영상의 재생 도중 일시 정지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을 정지하고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정지 화면(160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정지 화면(1601) 상에 입력된 메모(300d, 필기 메모)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화면(1601)을 축소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되는 정지 화면(1601)을 축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정지 화면(1601)이 축소되면, 함께 표시되는 메모(300d) 또한 축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지 화면(1601)을 축소하는 명령의 일례로, 터치스크린(151)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제스처(1000t)를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축소 제어에 의해서, 상기 확대된 메모(300d)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하로 작아지게 되면, 상기 메모(300d)의 크기를 자동으로 확대 제어하도록 제안한다(도 14c (c) 참조). 상기 메모(300d)의 크기가 너무 작아질 경우, 사용자가 메모(300d)를 열람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된 객체와 연관되어 저장된 음성 메모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a) 내지 (c)는, 도 14a에서와 마찬가지로, 녹화된 동영상에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프레임들을 나타내며, 녹화된 시간 순서로 나열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녹화된 동영상을 재생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 상에 음성 메모 아이콘(1303)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15 (a)를 참조하면, 녹화 시 특정된 객체(1101)에 대응되어 저장된 음성 메모에 대한 음성 메모 아이콘(1303)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되는 음성 메모 아이콘(1303)이 선택(1000h)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저장된 음성 메모를 음향 출력부(152)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재생되는 동영상 상에서 상기 특정된 객체(1101)가 이동하는 경우, 음성 메모 아이콘(1303)의 위치도 그 이동에 대응되도록 이동하도록 제안한다.
도 15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상기 특정된 객체(1101)는 대각선 우측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재생 화면(1600)을 벗어나고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객체(1101)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되는 메모 아이콘(1303)의 표시 위치도 도 15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재생 시 필기 메모 또는 음성 메모가 표시되더라도 동영상 재생을 정지시키지 않았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는, 필기 메모 또는 음성 메모가 표시되는 시점에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시 필기 메모가 표시되는 경우, 재생되는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필기 메모(300e)가 포함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1600)이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출력된다. 재생 도중, 필기 메모(300e)가 표시되면, 제어부(180)는 재생되고 있던 동영상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도 16 (b) 참조).
이후, 사용자에 의해서 동영상 재개 명령(1000p)이 수신(도 16 (c) 참조)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하면서 도 16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된 필기 메모(300e)의 표시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6을 통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필기 메모가 표시되면 자동으로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된 후 사용자의 재개 명령에 의해서 동영상의 재생이 재개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동영상의 재생이 재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필기 메모의 출력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이 소정 시간 경과함에 따라 재개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a)를 참조하면, 도 1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 도중 재생 화면(1600) 상에 필기 메모(300e)가 출력됨에 따라 일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이 필기 메모(300e)에 의해서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경우 다시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하도록 제안한다.
즉, 상기 필기 메모(300e)가 출력되어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도 1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을 다시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개 시점을 알리기 위한 동영상 재개 타이머(1701)를 터치스크린(151)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된 동영상 재개 타이머(1701)의 카운팅이 완료될 경우,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표시된 필기 메모(300e)간에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플리킹 제스처를 이용하여 필기 메모 간에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1600) 상에 제 1 필기 메모(300e)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필기 메모(300e)가 출력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소정 터치 제스처(예를 들면 플리킹 입력 1000q와 1000r)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필기 메모(300f)가 포함된 동영상 재생 화면(160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 필기 메모나 음성 메모가 입력된 프레임 간에 손쉽게 점프하기 위한 제어 방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입력된 메모를 좀 더 손쉽게 관리하기 위하여,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의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고, 출력된 썸네일 리스트 상에서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관련된 썸네일 항목은 식별하여 표시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들의 썸네일 리스트 중, 메모가 포함된 프레임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썸네일 리스트의 출력 명령(예를 들어 소정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썸네일 리스트는, 소정 시간 간격을 가지는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시에서, 썸네일 리스트의 각 항목은 1 내지 18로 넘버링되어 있고, 이 넘버링은 시간 순서대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가정한다.
동영상의 녹화 도중 7번 프레임 및 14번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점에 메모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출력되는 썸네일 리스트 상에서 7번 및 14번 프레임 항목 상에 메모 시작 인디케이터(1901a)를 출력할 수 있다. 계속하여 8번 프레임에서부터 12번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점까지 메모가 진행되면, 제어부(180)는 8번에서부터 12번 프레임까지를 포괄하는 메모 입력 인디케이터(1901b)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15번 프레임에서부터 16번 프레임에 대응하는 시점까지 메모가 진행되면, 제어부(180)는 15번에서부터 16번 프레임까지를 포괄하는 메모 입력 인디케이터(1901b)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출력되는 썸네일 리스트를 열람하여, 어느 프레임 상에서 메모가 이루어졌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재생 화면상에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화면상에서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 (a)를 참조하면, 동영상의 재생 화면(1600)이 출력되고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 화면(1600) 상의 일부 영역에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고 있다. 상기 썸네일 리스트는, 동영상에 포함된 전체 프레임 중에서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프레임에 대한 썸네일 리스트일 수 있다.
상기 썸네일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이 선택되는 입력(1000s)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2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프레임으로 바로 이동하여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메모(300g)를 바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되는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2000) 상에서, 메모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들에 메모 시점 인디케이터(2001a 내지 2001d)를 표시하도록 제안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모 시점 인디케이터(2001a 내지 2001d)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동영상 재생 화면(1600)이 대응하는 시점의 프레임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내에 포함된 메모를 종합하여 보여줄 수 있는 제어 방법을 더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동영상에 포함된 메모를 종합하여 보여주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 (a)를 참조하면, 녹화된 동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중에서 필기 메모가 입력된 프레임의 예시가 도시된다. 사용자의 소정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도 21 (a)에 표시된 프레임들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합성(도 21 (b) 참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형태의 실시 예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의 터치경로를 상기 녹화되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필기 메모로 저장하고,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되는 제 1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상기 필기 메모를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명령은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를 포함시키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터치 드래그 입력인,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에 떨림 보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이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시 정지한 프리뷰 화면을 재개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 메모를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음성 메모로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재생 화면 상에 상기 특정된 객체가 표시되면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를 상기 표시된 객체에 인접하여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가 출력되면,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필기 메모를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메모가 입력된 시점과 대응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11. 카메라를 통하여 동영상을 녹화하는 단계;
    상기 녹화 시,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프리뷰 화면의 출력을 일시 정지하고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의 터치경로를 필기 메모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되는 제 1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된 객체에 대응하여 상기 필기 메모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명령은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소정 객체를 포함시키는 폐곡선을 형성하는 터치 드래그 입력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 상에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을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에 떨림 보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touch and drag)이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일시 정지한 프리뷰 화면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 메모를 상기 동영상에 포함되는 음성 메모로 더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화면 상에 상기 특정된 객체가 표시되면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를 상기 표시된 객체에 인접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가 출력되면,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필기 메모를 터치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일시 정지된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메모가 입력된 시점과 대응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필기 메모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77015790A 2014-11-14 2014-11-14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964 WO2016076464A1 (en) 2014-11-14 2014-11-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107A KR20170083107A (ko) 2017-07-17
KR101958790B1 true KR101958790B1 (ko) 2019-03-15

Family

ID=5595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790A KR101958790B1 (ko) 2014-11-14 2014-11-14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02086B2 (ko)
EP (2) EP3218790B1 (ko)
KR (1) KR101958790B1 (ko)
WO (1) WO2016076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4447B2 (en) * 2016-01-08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versal inking support
KR102594106B1 (ko) * 2017-12-28 2023-10-25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데이터 기록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한 기록 매체
USD916720S1 (en) * 2018-02-22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58363B1 (ko) 2018-08-08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D1000461S1 (en) * 2021-12-29 2023-10-03 Cvrx, In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669A1 (en) * 2001-05-18 2002-11-21 Gavriel Meron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on on a moving image
WO2014033729A2 (en) 2012-07-05 2014-03-06 Apte Prashant A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embedding video feeds captured during a surgery, with multimedia data, in real-time
US20140164889A1 (en) * 2006-11-21 2014-06-1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ata and handwriting screen capture and forward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3670B2 (ja) * 1998-09-30 2006-05-10 株式会社東芝 情報呈示方法および情報呈示装置および記録媒体
GB2432140A (en) * 2005-11-15 2007-05-16 Latchways Plc Fall arrest safety device
US9390169B2 (en) * 2008-06-28 2016-07-12 Apple Inc. Annotation of movies
DE102009060325A1 (de) * 2009-12-23 2011-06-30 Airbus Operations GmbH, 21129 Hochauftriebssystem für ein Flugzeug
GB201006046D0 (en) * 2010-04-12 2010-05-26 Ge Healthcare Uk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tion of a biological object
KR20120075845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DE102011014965B4 (de) * 2011-03-24 2014-11-13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KR101303166B1 (ko) 2012-01-26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진 검색방법
KR102042265B1 (ko) * 2012-03-3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73761B1 (ko) 2012-04-20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23367B2 (en) * 2012-06-22 2016-04-26 Smart Technologies Ulc Automatic annotation de-emphasis
KR20140001265A (ko) * 2012-06-22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US9168004B2 (en) * 2012-08-20 2015-10-27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achine learning in determining catheter electrode contact
US9113033B2 (en) * 2012-08-28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video conferencing with digital annotation
US8762895B2 (en) * 2012-10-28 2014-06-24 Google Inc. Camera zoom indicator in mobile devices
KR102044460B1 (ko) * 2012-11-12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40226953A1 (en) * 2013-02-14 2014-08-14 Rply, Inc. Facilitating user input during playback of content
KR20140109166A (ko) * 2013-03-05 2014-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TWI549500B (zh) * 2014-09-12 2016-09-11 聚晶半導體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方法及使用此方法之影像擷取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669A1 (en) * 2001-05-18 2002-11-21 Gavriel Meron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on on a moving image
US20140164889A1 (en) * 2006-11-21 2014-06-1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ata and handwriting screen capture and forwarding
WO2014033729A2 (en) 2012-07-05 2014-03-06 Apte Prashant A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embedding video feeds captured during a surgery, with multimedia data, in real-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2086B2 (en) 2019-09-03
WO2016076464A1 (en) 2016-05-19
EP3218790B1 (en) 2020-04-01
US20170329508A1 (en) 2017-11-16
EP3218790A1 (en) 2017-09-20
EP3712757B1 (en) 2023-05-31
KR20170083107A (ko) 2017-07-17
EP3712757A1 (en) 2020-09-23
EP3218790A4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59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043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162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154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72509B1 (ko)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700104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01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372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25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0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21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87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1915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13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56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763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62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89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78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제공방법
KR201501458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64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