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957A -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957A
KR20140059957A KR1020120126454A KR20120126454A KR20140059957A KR 20140059957 A KR20140059957 A KR 20140059957A KR 1020120126454 A KR1020120126454 A KR 1020120126454A KR 20120126454 A KR20120126454 A KR 20120126454A KR 20140059957 A KR20140059957 A KR 2014005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extract
obesity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선길
신은주
유신애
정가영
남정범
오미선
정하늘
선병윤
김철환
송관필
송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to KR102012012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957A/ko
Publication of KR2014005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BESITY TREATMENT AND IMPROVEMENT WHICH CONTAINS EXTRACT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섭취한 지방 또는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 내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최근 과도한 영양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비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비만을 개선, 치료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2012-0022764호에는 포유류의 위장관 내에서 서식할 수 있고 자유지방산 흡수능이 있는 유산균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또다른 한국공개특허2012-0016960호에는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비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과도한 지방의 섭취로, 섭취된 지방은 pancreatic liapse에 의하여 분해된 후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adipocyte differentiation)을 통하여 지방 세포내에 축적되게 된다. 그러므로 pancreatic lipase의 저해를 통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는 것이 비만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방향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방 흡수 저해능을 갖는 성분을 연구하던 중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저해를 통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의 체내 흡수를 저해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이는 대조군을 100으로 한 상대적 활성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꾸지뽕나무 열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는 일반적인 꾸지뽕나무 열매이면 되고, 그 산지 등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는 건조된 것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생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여 제조한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1,3 프로판디올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 할라이드는 메틸 클로라이드, 에틸 클로라이드, 프로필 클로라이드, 메틸 브로마이드, 에틸 브로마이드, 프로필 브로마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기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기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를 1 : 0.5 ~ 1.5 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비만 치료, 개선 및 예방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의 치료, 개선 및 예방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의 체내 흡수를 저해함으로서 비만을 치료,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내장비만, 복부비만, 고지혈증, 지방간 및 비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외에도 혈중 지질 농도 증가, 중성지방 축적 등과 관련된 질환에 복합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란 셀룰라이트의 부피가 작아지는 것, 셀루라이트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 셀룰라이트가 제거되는 것, 셀룰라이트 및 그 주위가 편평하여지는 것 등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가 매끈하여지는 효과가 있다. 이는 피하의 지방세포 및 그 주위의 노폐물, 수분 등이 뭉쳐 피부가 울퉁불퉁하여지는 것을 저해, 방지하는데 따른 효과이며, 이로써 셀룰라이트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디 슬리밍 효과가 있다. 바디 슬리밍이란 지방이 피하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울퉁불퉁하게 보이는 바디 라인에 있어, 지방이 고르게 재분포되도록 촉진하는 것,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붓기를 제거하여 결과적으로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국소비만 상태의 개선, 지방 세포 내의 지방을 분해하여 배출시켜 주는 것, 지방 세포 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체액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남성용 화장료 또는 여성용 화장료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셀룰라이트가 여성에게 잘 생기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성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임신부의 호르몬 변화로 인한 셀룰라이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효과적인 경피 흡수를 위하여 피부 침투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침투 촉진제는 당 업계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피부 침투 촉진제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피부 침투 촉진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oleic acid 등 지방산/에스테르 화합물, 리모넨(limonene)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 시에는 충격파, 이온삼투요법, 전기침공법, 미세침요법 등 물리적 방법을 병용하여 경피 흡수를 촉진할 수도 있다.
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배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 외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과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시,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총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의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 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체중 관리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고도 비만 등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 또는 가금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가축 또는 가금은 소, 돼지, 닭, 말, 양, 당나귀, 노새, 멧돼지, 토끼, 메추라기, 집오리, 장닭, 투계용 닭, 비둘기, 칠면조, 개, 고양이, 원숭이, 햄스터, 생쥐, 래트, 구관조, 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등이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 내에서 사육 가능한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 또는 조류이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대상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시중에서 판매하는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꾸지뽕나무 열매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상기 꾸지뽕나무 열매 분말 20g을 고속 추출기용 100 ml cell에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은 80 ℃에서 40분간 고속추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으로 수득된 최종 추출물은 5.84g이었다.
<실험예 1>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상기 수득한 농축된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시료로 이용하여, lipase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시험하였다. 먼저, Porcine pancreatlic lipase를 0.1 M tris-HCl buffer에 100 μg/ml의 농도로 준비한 후 시료와 함께 1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기질인 4-nitrophenyl butyrate (4-NPB)를 최종농도 0.5 mM이 되도록 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다.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생성된 p-nitrophenol의 양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의 저해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였다. 이 때, 기질인 4-NPB는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반응액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료의 pancreatic lipase의 저해 정도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pancreatic lipase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Claims (12)

  1.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 수 5 이하의 알코올 및 탄소 수 3 이하의 알킬 할라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꾸지뽕나무 열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120126454A 2012-11-09 2012-11-09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4005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54A KR20140059957A (ko) 2012-11-09 2012-11-09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454A KR20140059957A (ko) 2012-11-09 2012-11-09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957A true KR20140059957A (ko) 2014-05-19

Family

ID=5088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454A KR20140059957A (ko) 2012-11-09 2012-11-09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0B1 (ko) * 2019-11-07 2021-05-1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꾸지뽕나무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80B1 (ko) * 2019-11-07 2021-05-1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꾸지뽕나무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3097B2 (ja) 糖尿病および糖尿病合併症の治療・改善方法
US20080188546A1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decubitus
JP2014015430A (ja) 深部体温上昇剤
JP6294710B2 (ja) 糖代謝改善剤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40059958A (ko) 양하 꽃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CN1850065A (zh) 口服共轭亚油酸及其衍生物用于增肌健体与皮肤美容的用途
EP2765869B1 (en) Egg preparation with regenerating, analgesic and/or anti-inflammatory properties
JP5819209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20090124815A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148479A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およびカフェインを含む抗肥満組成物
KR20140070687A (ko) 남가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40059957A (ko)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JP4325908B2 (ja) 脂肪分解促進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および飲食物
JP2011037811A (ja) 脂肪低減用組成物
KR20140059959A (ko) 정금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200703130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及び代謝異常症候群予防剤
KR20140070688A (ko) 산괴불주머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JP2012067082A (ja) 経口組成物
CN104262302A (zh) L-抗坏血酸-6-(e-2-癸烯酸)酯或其衍生物以及它们的应用
JP2007051084A (ja) 皮膚改善剤
KR101610125B1 (ko)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582313B1 (ko) 반려견의 체지방감소를 통한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