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25B1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125B1 KR101610125B1 KR1020150132712A KR20150132712A KR101610125B1 KR 101610125 B1 KR101610125 B1 KR 101610125B1 KR 1020150132712 A KR1020150132712 A KR 1020150132712A KR 20150132712 A KR20150132712 A KR 20150132712A KR 101610125 B1 KR101610125 B1 KR 101610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fruit
- present
- composition
- obesity
- Prior art date
Links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10918 Cudrania tricuspidata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523380 Maclura tricuspidat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3
- 230000003579 anti-obesity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19104 Cucurbitaceae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102000019280 Pancreatic lip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1
- 108050006759 Pancreatic lip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1
- 229940116369 pancreatic lipase Drug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102000003425 Tyrosi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60008724 Tyros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XUMBMVFBXHLACL-UHFFFAOYSA-N Melanin Chemical compound O=C1C(=O)C(C2=CNC3=C(C(C(=O)C4=C32)=O)C)=C2C4=CNC2=C1C XUMBMVFBXHLA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IWZSHWBGHQBIML-ZGGLMWTQSA-N (3S,8S,10R,13S,14S,17S)-17-isoquinolin-7-yl-N,N,10,13-tetramethyl-2,3,4,7,8,9,11,12,14,15,16,17-do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3-amine Chemical compound CN(C)[C@H]1CC[C@]2(C)C3CC[C@@]4(C)[C@@H](CC[C@@H]4c4ccc5ccncc5c4)[C@@H]3CC=C2C1 IWZSHWBGHQBIML-ZGGLMWTQ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7
- PBCJIPOGFJYBJE-UHFFFAOYSA-N acetonitrile;hydrate Chemical compound O.CC#N PBCJIPOGFJYB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894 semi-preparative HPLC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20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LZGAJCZANUQH-UHFFFAOYSA-N methyl 1-acetylthieno[3,2-c]pyrazole-5-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O)N1N=CC2=C1C=C(C(=O)OC)S2 XELZGAJCZANU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7 dichloromethan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GLUMOCWFMKWIL-UHFFFAOYSA-N dichloromethane;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lCCl WGLUMOCWFMKW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8 ethyl acetat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791 glucosyl group Chemical group C1([C@H](O)[C@@H](O)[C@H](O)[C@H](O1)CO)*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52 mela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18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94 poultry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4611 Abdominal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KKJLVBELUTLKV-MZCSYVLQSA-N Deuterated methanol Chemical compound [2H]OC([2H])([2H])[2H] OKKJLVBELUTLKV-MZCSYVLQ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818 Disease progre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6209 Phasi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23 aqueous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4 butanolic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40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50 disease prog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30 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YLNYINCPYISS-UHFFFAOYSA-N ethyl acetate;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C)=O OAYLNYINCPYIS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4 hexane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14 high-resolution 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99 melanin 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441 mela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BMDVOWEEQVZKZ-UHFFFAOYSA-N methanol;hydrate Chemical compound O.OC GBMDVOWEEQVZ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01 m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956 methoxy group Chemical group [H]C([H])([H])O*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715 nutritional st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VDUMIQZEUTAGK-UHFFFAOYSA-N p-nitrophenyl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C1=CC=C([N+]([O-])=O)C=C1 DVDUMIQZEUTA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ILWMWFPHPYOR-KXEYIPSPSA-M 1-[6-[2-[3-[3-[3-[2-[2-[3-[[2-[2-[[(2r)-1-[[2-[[(2r)-1-[3-[2-[2-[3-[[2-(2-amino-2-oxoethoxy)acetyl]amino]propoxy]ethoxy]ethoxy]propylamino]-3-hydroxy-1-oxopropan-2-yl]amino]-2-oxoethyl]amino]-3-[(2r)-2,3-di(hexadecanoyloxy)propyl]sulfanyl-1-oxopropan-2-yl Chemical compound O=C1C(SCCC(=O)NCCCOCCOCCOCCCNC(=O)COCC(=O)N[C@@H](CSC[C@@H](COC(=O)C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CC)C(=O)NCC(=O)N[C@H](CO)C(=O)NCCCOCCOCCOCCCNC(=O)COCC(N)=O)CC(=O)N1CCNC(=O)CCCCCN\1C2=CC=C(S([O-])(=O)=O)C=C2CC/1=C/C=C/C=C/C1=[N+](CC)C2=CC=C(S([O-])(=O)=O)C=C2C1 UNILWMWFPHPYOR-KXEYIPSP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4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SUIQYOGTINQIN-UZFYAQMZSA-N 2-amino-9-[(1S,6R,8R,9S,10R,15R,17R,18R)-8-(6-aminopurin-9-yl)-9,18-difluoro-3,12-dihydroxy-3,12-bis(sulfanylidene)-2,4,7,11,13,16-hexaoxa-3lambda5,12lambda5-diphosphatricyclo[13.2.1.06,10]octadecan-17-yl]-1H-purin-6-one Chemical compound NC1=NC2=C(N=CN2[C@@H]2O[C@@H]3COP(S)(=O)O[C@@H]4[C@@H](COP(S)(=O)O[C@@H]2[C@@H]3F)O[C@H]([C@H]4F)N2C=NC3=C2N=CN=C3N)C(=O)N1 YSUIQYOGTINQIN-UZFYAQMZSA-N 0.000 description 1
- BTJIUGUIPKRLHP-UHFFFAOYSA-N 4-nitro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N+]([O-])=O)C=C1 BTJIUGUIPKRL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6096 Arating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3832 Broussone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5941 Central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201 Columb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800 Cricet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71 Cucumis prophe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7654 Cudrania tricuspi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HMIDUVKSGCHAU-UHFFFAOYSA-N Dopaquino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O)C(=O)C=C1 AHMIDUVKSGCH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31845 Equus asinus x cab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496 Gall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TDRDQBEARUVNC-LURJTMIESA-N L-DOPA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O)=C1 WTDRDQBEARUVNC-LURJTMIESA-N 0.000 description 1
- AHMIDUVKSGCHAU-LURJTMIESA-N L-dopaquinone Chemical compound [O-]C(=O)[C@@H]([NH3+])CC1=CC(=O)C(=O)C=C1 AHMIDUVKSGCHAU-LURJTMIE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530 Psittac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231 Ser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2 Sof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SCPPACGZOOCGX-WFGJKAKNSA-N acetone d6 Chemical compound [2H]C([2H])([2H])C(=O)C([2H])([2H])[2H] CSCPPACGZOOCGX-WFGJKAKN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2 brigh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245 cell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904 compound 1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73 compound 10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82 compound 2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898 compound 5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89 cyt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JNCICVKUHKIIV-UHFFFAOYSA-N dopachrome Chemical compound O=C1C(=O)C=C2NC(C(=O)O)CC2=C1 VJNCICVKUHKI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523 excessive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45 fruit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9 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her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70 heteronuclear single quantum coher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LVXBBHTMQJRSX-VMGNSXQWSA-N jdtic Chemical compound C1([C@]2(C)CCN(C[C@@H]2C)C[C@H](C(C)C)NC(=O)[C@@H]2NCC3=CC(O)=CC=C3C2)=CC=CC(O)=C1 ZLVXBBHTMQJRSX-VMGNSXQW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8 methanol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3 non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75 pann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4 subcutaneous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21 weight mana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23L1/300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유래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유래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섭취한 지방 또는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 내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최근 과도한 영양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비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비만을 개선, 치료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2012-0022764호에는 포유류의 위장관 내에서 서식할 수 있고 자유지방산 흡수능이 있는 유산균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또다른 한국공개특허2012-0016960호에는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비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과도한 지방의 섭취로, 섭취된 지방은 pancreatic liapse에 의하여 분해된 후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adipocyte differentiation)을 통하여 지방 세포내에 축적되게 된다. 그러므로 pancreatic lipase의 저해를 통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는 것이 비만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방향이 된다.
한편, 사람의 피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s)는 자외선, 방사선 등의 자극을 받게 되면서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가 되어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고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최종적으로 검은색 및 갈색의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멜라닌 생합성 과정은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멜라닌 생성 저해 물질을 이용한 치료제 및 미백용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제품(한국공개특허 10-2014-0144975호),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제품(한국공개특허 10-2014-0132805호)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방 흡수 저해능을 갖는 성분, 미백 활성을 갖는 성분들을 연구하던 중 꾸지뽕 (Cudrania tricuspidata) 미성숙 열매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들이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거나 또는 미백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저해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다.
도 1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A) 및 꾸지뽕 성숙 열매(B)의 사진이다.
도 2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A) 및 꾸지뽕 성숙 열매(B)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꾸지뽕 열매들로부터 분리한 성분들 중 화합물 1 내지 12, 화합물 13 내지 19, 화합물 20 내지 22 및 화합물 23 내지 30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A) 및 성숙 열매 추출물(B)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8은 화합물 1 내지 30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9는 화합물 19의 Lineweaver-Burk 분석 결과이다.
도 10은 화합물 7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A) 및 꾸지뽕 성숙 열매(B)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꾸지뽕 열매들로부터 분리한 성분들 중 화합물 1 내지 12, 화합물 13 내지 19, 화합물 20 내지 22 및 화합물 23 내지 30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A) 및 성숙 열매 추출물(B)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8은 화합물 1 내지 30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9는 화합물 19의 Lineweaver-Burk 분석 결과이다.
도 10은 화합물 7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2>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0은 OH이고 R11은 H인 본 발명의 화합물 19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탄소 수 3 이하의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메톡시인 본 발명의 화합물 7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 때,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열매가 맺히기 시작한 때부터 기산하여 3개월 이내의 열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 열매 전체가 빨갛게 익지 않고 초록색이 있는 상태의 열매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매 표면에서 빨간색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초록색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넓은 상태의 열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열매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값이 -1.00 인 열매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a* 값이 -2.00 이하인 열매이다.
상기 용매 추추물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로, 예컨대, 꾸지뽕 미성숙 열매를 건조하거나 건조하지 않고 분말화한 후 상기 분말을 용매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매는 물 또는 탄소 수 5 이하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 수 3 이하의 저가 알코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다.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0은 OH이고 R11은 H인 본 발명의 화합물 19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2>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탄소 수 3 이하의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메톡시인 본 발명의 화합물 7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6, 13 내지 15, 17 내지 19, 21, 22 또는 25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비만 치료, 개선 및 예방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의 치료, 개선 및 예방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다.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내장비만, 복부비만 및 비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배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 외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과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은 총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 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체중 관리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고도 비만 등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 또는 가금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가축 또는 가금은 소, 돼지, 닭, 말, 양, 당나귀, 노새, 멧돼지, 토끼, 메추라기, 집오리, 장닭, 투계용 닭, 비둘기, 칠면조, 개, 고양이, 원숭이, 햄스터, 생쥐, 래트, 구관조, 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등이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 내에서 사육 가능한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 또는 조류이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대상이라 할 것이다.
피부 미백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생성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 또는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능을 갖는다.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화이트닝), 피부 톤의 균일화, 잡티 완화, 브라이트닝 등의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멜라닌 이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꾸지뽕
열매
꾸지뽕열매는 2013년 충북대학교 약초원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꾸지뽕열매 미성숙과와 성숙과를 8월과 10월에 각각 채집하였으며 열매의 색에 따라 일차적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색의 차이를 구분하고 각각의 무게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육안으로 보기에 미성숙과는 녹색이며, 성숙과는 붉은색이었다(도 1, 표 1). 상기 꾸지뽕 열매들을 충북대학교 약초원 표본실에 보관하고, 이를 하기 시험들에서 사용하였다.
L* 은 밝기를 나타낸다(0은 불투명 또는 검정이고 100은 투명 또는 흰색이다).
a*는 빨강의 정도를 나타낸다(+a*는 빨강이고, -a*는 초록이다).
b*는 노랑의 정도를 나타낸다(+b*는 노랑이고 -b*는 파랑이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제조
꾸지뽕 미성숙 열매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분말을 얻었다.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 분말에 대하여 2 배 중량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꾸지뽕 성숙 열매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 및 분쇄, 메탄올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효능
판크레아틱(Pancreatic) 리파제(lipase) 저해효능은 porcine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nitrophenyl butyrate (p-NPB)를 기질로 하여 p-nitrophenol로 변화되는 것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 저해되는 것은 <식 1>의 상대적인 저해 효능으로 나타내었다.
<식 1>
판크레아틱 리파제의 상대적 활성(%) = [(기질을 갖는 시료의 활성 - 기질이 없는 시료의 활성)/(시료가 없는 기질의 활성 - 기질 및 시료가 없는 음성 대조군의 활성)] × 100
<실험예 1> 꾸지뽕 미성숙 및 성숙 열매의 HPLC 패턴 비교
꾸지뽕 미성숙 및 성숙 열매의 성분 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HPLC 분석은 Waters HPLC system (Waters 600 Q-pumps, a 996 photodiode array detector, and Waters Empower software)를 이용하여 Phenomenex Gemini-NX 3m C18 110A (150 x 4.60 mm) 컬럼으로 정량을 수행하였으며 이동상의 조건은 acetonitrile-water (60:40), 유속 1.0 mL/min, 측정파장은 254 nm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미성숙 열매(도 2A) 및 성숙 열매(도 2B)의 HPLC 패턴이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나, 양 열매의 성분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실험예 2> 꾸지뽕 열매의 성분 분석
<2-1> 꾸지뽕 미성숙 열매로부터 성분 분리
꾸지뽕 미성숙 열매(556.0 g)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총 메탄올 추출물 (20.4 g)을 얻었으며 이를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각각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CTUM, 3.3 g)을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Sephadex-LH 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CTUM1-CTUM4)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n-hexane-EtOAc (20:1)를 이동상으로 CTUM2를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수행하여 6개의 소분획 (CTUM2A-CTUM2F)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UM2B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14 (17.3 mg), 18 (6.6 mg), 21 (3.2 mg), 및 22 (2.8 mg)를 분리하였다. 또한 소분획 CTUM3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57:43)를 수행하여 화합물 13 (278.2 mg), 15 (2.6 mg), 17 (111.1 mg), 및 19 (2.2 mg)를 정제하였다. 미성숙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CTUE, 0.4 g)을 silica gel MPLC (CH2Cl2-MeOH 50:1)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CTUE1-CTUE5)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 CTUE2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20:80) 를 수행하여 화합물 6 (0.6 mg) 및 7 (0.9 mg)을 분리하였다.
<2-2> 꾸지뽕 성숙 열매로부터 성분 분리
꾸지뽕 성숙 열매 (600.0 g)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247.0 g)을 얻었으며 이를 분획하여 각각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을 얻었다.
상기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CTRM, 7.2g)을 MPLC (n-hexane-EtOAc 20:1)를 수행하여 12개 소분획(CTRM1-CTRM12)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RM6를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CH2Cl2-MeOH 1:1)를 수행하여 2개의 분획(CTRM6A-CTRM6B)으로 CTRM6B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3 (0.9 mg), 16 (1.6 mg), 및 20 (0.8 mg)을 정제하였다. 화합물 10 (525.7 mg) 및 11 (926.5 mg)은 소분획 CTRM8 및 CTRM7를 n-hexane-CH2Cl2 (1:1)로 각각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소분획 CTRM10은 Sephadex LH-20 (CH2Cl2-MeOH 1:1)을 수행하여 5개의 분획(CTRM10A-CTRM10E)으로 나누었으며 CTRM10D를 semi-preparative HPLC(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9 (1.8 mg) 및 12 (2.9 mg)를 얻었다. 소분획 CTRM11를 Sephadex LH-20(CH2Cl2-MeOH 1:1)를 통하여 화합물 1 (3.1 mg)을 정제하였다. 성숙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CTRE)을 RP-MPLC(MeOH-H2O 1:5)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 (CTRE1-CTRE5)으로 나누고 소분획 CTRE1는 다시 Sephadex LH-20 (MeOH)를 통하여 5개의 소분획 (CTRE1A-CTRE1E)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FE1B는 다시 RP-MPLC (MeOH-H2O 1:5)를 수행하여 3개의 소분획 (CTRE1B1-CTRE1B3)으로 나누었으며 소분획 CTRE1B1를 semi-preparative HPLC(MeCN-water 15:85)를 통하여 화합물 25 (31.2 mg)를 정제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20:80)를 수행하여 소분획 CTRE1B2로부터 화합물 4 (2.1 mg), 8 (4.8 mg) 및 30 (1.7 mg)를, 소분획 CTRE1B3로부터 화합물 26 (6.9 mg) 및 29 (1.9 mg)를, 소분획 CTRE1C로부터 화합물 5 (0.8 mg), 23 (10.8 mg), 24 (7.1 mg), 27 (5.1 mg), 및 28 (9.3 mg)를 얻었다. 화합물 2 (3.3 mg)는 소분획 CTRE1E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2-3> 꾸지뽕 열매로부터 분리한 성분의 구조 분석
상기 <2-1> 및 <2-2>에서 분리한 30개 성분들에 대하여 1H NMR, 13C NMR, HSQC 및 HMBC를 수행하여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MS와 HRESIMS를 통하여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28개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들로 확인되었다(표 2, 도 3 내지 도 6). 또한 화합물 14, 23 및 25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 및 성숙 열매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화합물 6, 7, 13, 15, 17 내지 19, 21 및 22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만 발견되었으며, 화합물 1 내지 5, 8 내지 12, 16, 20, 24, 26 내지 30은 꾸지뽕 성숙 열매에서만 발견되었다.
한편, 화합물 7 및 19의 분광학적 결과는 하기와 같으며, 이들은 신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7: Cudracusisoflavone A
갈색 무정형 검(gum); UV (MeOH) λmax 261 nm; IRmax 3298, 1415 cm-1; 1H NMR (CD3OD, 400MHz) δ 8.17 (1H, s, H-2), 7.27 (1H, d, J = 2.0 Hz, H-2'), 7.25 (1H, d, J = 8.4 Hz, H-5'), 7.10 (1H, dd, J = 8.4, 2.0 Hz, H-6'), 6.38 (1H, d, J = 2.0 Hz, H-8), 6.25 (1H, d, J = 2.0 Hz, H-6), 4.97 (1H, d, J = 6.8 Hz, H-1''), 3.93 (3H, s, OCH3), 3.75~3.44 (5H, m, H-2'', 3'', 4'', 5'', 6'') ppm; 13C NMR (CD3OD,125MHz) δ180.6 (C-4), 164.8 (C-5), 162.5 (C-7), 158.3 (C-8a), 154.0 (C-2), 149.2 (C-3'), 146.7 (C-4'), 125.8 (C-1'), 122.9 (C-3), 121.4 (C-6'), 116.5 (C-5'), 113.5 (C-2'), 104.9 (C-4a), 101.3 (C-1''), 98.9 (C-6), 93.5 (C-8), 76.9 (C-5''), 76.5 (C-3''), 73.5 (C-2''), 70.0 (C-4''), 61.1 (C-6''), 55.41 (OCH3) ppm; ESIMS (negativemode) m/z : 461 [M-H]-; HRESI-MS (positive mode) m/z: 485.1067 (calcd for C22H22NaO11 485.1060).
화합물 19: Cudracusisoflavone B
갈색 무정형 검(gum); UV (MeOH) λmax 269 nm; IRmax 3260,1647 cm-1; 1H NMR(acetone-d6, 400 MHz) δ 13.17 (1H, s, 5-OH), 8.25 (1H, s, H-2), 7.17 (1H, d, J = 2.0 Hz, H-2'), 6.97 (1H, dd, J = 8.4, 2.0 Hz, H-6'), 6.90 (1H, d, J = 8.0 Hz, H-5'), 6.74 (1H, d, J = 10.0 Hz, H-1''), 6.21 (1H, s, H-6), 5.77 (1H, d, J = 10.0 Hz, H-2''), 1.49 (6H, s, CH3-4'', 5'') ppm; 13CNMR(acetone-d6, 100 MHz) δ 181.0 (C-4), 162.4 (C-5), 159.4 (C-7), 153.5 (C-2), 152.1 (C-8a), 145.4 (C-4'), 144.7 (C-3'), 127.8 (C-2''), 123.4 (C-3), 122.6 (C-1'), 120.7 (C-6'), 116.4 (C-2'), 115.1 (C-5''), 114.2 (C-1''), 105.8 (C-4a), 101.0 (C-8), 99.5 (C-6), 78.1 (C-3''), 27.4 (C-4'', 5'') ppm; ESIMS (positive mode) m/z : 353 [M+H]+; HRESIMS (positive mode) m/z: 375.0850 (calcd for C20H16NaO6 375.0845).
<실험예 3> 항비만 활성 평가
<3-1>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pancreatic lipase 억제능 평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 및 성숙 열매 추출물에 대하여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보다 미성숙 열매 추출물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능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3-2> 꾸지뽕 열매 유래 화합물들의 pancreatic lipase 억제능 평가
상기 <실험예 2>에서 분리한 화합물 1 내지 30을 대상으로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4, 8, 18 및 25는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거의 없었으며, 그 외 화합물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19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9는 꾸지뽕 열매 자체의 추출물, 즉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 및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은 물론 꾸지뽕 열매로부터 분리된 다른 화합물들보다 현저히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뛰어났다(도 8).
<3-3> pancreatic lipase 억제의 작용 기전
상기 <3-2>에서 pancreatic lipase 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던 화합물 19에 대하여, pancreatic lipase 억제의 작용 기전을 분석하였다. 이는 Lineweaver-Burk 분석(Ahn JH, Liu Q, Lee C, Ahn MJ, Yoo HS, Hwang BY, Lee MK (2012) A new pancreatic lipase inhibitor from Broussonetia kanzinoki. Bioorg Med Chem Lett 22: 2760-2763)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9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y축은 증가하나 x축의 값은 변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화합물 19는 비경쟁적인 pancreatic lipase 저해제로 확인되었다(도 9).
<실험예 4> 미백 및 항산화 활성
<4-1> 미백 활성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7 및 19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화합물들의 처리량에 따른 미백 활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활성은 mushroom tyrosina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tyrosine을 기질로 하여 dopachrome으로 변화되는 것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 저해되는 정도를 하기 <식 2>의 상대적인 저해 효능으로 나타내었다. 즉,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0%로 하고 tyrosinase의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을 때를 100% 억제율로 하여 시료의 억제 정도를 상대적인 %로 나타내었다.
<식 2>
티로시나아제의 상대적 활성(%) = [(기질을 갖는 시료의 활성 - 기질이 없는 시료의 활성)/(시료가 없는 기질의 활성 - 기질 및 시료가 없는 음성 대조군의 활성)] × 100
그 결과, 화합물 7은 100μM에서 tyrosinase의 활성을 51.3%를 저해하였고, 300μM에서는 61.3%를 저해하였다. 화합물 19는 100μM에서 5.1%를 저해하였고, 300μM에서는 41.3%를 저해하였다. 그러므로 화합물 7은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유의하게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화합물 19는 100 μM에서는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거의 없었으며, 300 μM에서도 화합물 7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표 3).
<4-2> 항산화 활성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7 및 19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7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나, 화합물 19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데이터 도시하지 않음).
Claims (1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또는 탄소 수 5 이하의 저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 2015-09-18 | 2015-09-18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 2015-09-18 | 2015-09-18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125B1 true KR101610125B1 (ko) | 2016-04-11 |
Family
ID=5580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 2015-09-18 | 2015-09-18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1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7704A (ko) * | 2017-07-13 | 2019-01-23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2015
- 2015-09-18 KR KR1020150132712A patent/KR10161012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7704A (ko) * | 2017-07-13 | 2019-01-23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KR101971243B1 (ko) * | 2017-07-13 | 2019-04-2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9555B2 (ja) | 経口紫外線抵抗性向上剤 | |
JP2012036213A (ja) | セラミダーゼ阻害剤の製造方法 | |
KR101828584B1 (ko) |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 |
KR102126470B1 (ko) |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A2430346A1 (en) | Beautifying foods and drinks and peroral beautifying preparations | |
KR101591499B1 (ko) |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610125B1 (ko)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
KR101366372B1 (ko) | 피부미백, 항산화 및 ppar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 |
KR101592373B1 (ko) |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80045626A (ko) | 발레클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32962B1 (ko) |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 |
JP2020189816A (ja) | ビタミンc誘導体組成物 | |
KR100813638B1 (ko) | 아피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 |
KR101526435B1 (ko) |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
KR20130008761A (ko) |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 |
KR20170130278A (ko) | 디아세틸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 |
KR101070886B1 (ko) | 참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860147B1 (ko) | 시스-3-헥센알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 |
KR100831419B1 (ko) | 간후안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 |
KR101527100B1 (ko) |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 |
KR102700608B1 (ko) | 레마피크로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61193B1 (ko) | 덴시플로릭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 |
KR20140059957A (ko) |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
KR20140100667A (ko) |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 |
KR20210115279A (ko) |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