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25B1 -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125B1
KR101610125B1 KR1020150132712A KR20150132712A KR101610125B1 KR 101610125 B1 KR101610125 B1 KR 101610125B1 KR 1020150132712 A KR1020150132712 A KR 1020150132712A KR 20150132712 A KR20150132712 A KR 20150132712A KR 101610125 B1 KR101610125 B1 KR 10161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ruit
present
composition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선길
정가영
이미경
조양희
Original Assignee
(주)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베라 filed Critical (주)유니베라
Priority to KR102015013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유래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유래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COMPOUND FROM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섭취한 지방 또는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 내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최근 과도한 영양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비만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비만을 개선, 치료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2012-0022764호에는 포유류의 위장관 내에서 서식할 수 있고 자유지방산 흡수능이 있는 유산균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또다른 한국공개특허2012-0016960호에는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비만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과도한 지방의 섭취로, 섭취된 지방은 pancreatic liapse에 의하여 분해된 후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adipocyte differentiation)을 통하여 지방 세포내에 축적되게 된다. 그러므로 pancreatic lipase의 저해를 통하여 지방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는 것이 비만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방향이 된다.
한편, 사람의 피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s)는 자외선, 방사선 등의 자극을 받게 되면서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가 되어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고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최종적으로 검은색 및 갈색의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멜라닌 생합성 과정은 최근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고,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멜라닌 생성 저해 물질을 이용한 치료제 및 미백용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제품(한국공개특허 10-2014-0144975호),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제품(한국공개특허 10-2014-0132805호)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방 흡수 저해능을 갖는 성분, 미백 활성을 갖는 성분들을 연구하던 중 꾸지뽕 (Cudrania tricuspidata) 미성숙 열매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들이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거나 또는 미백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저해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다.
도 1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A) 및 꾸지뽕 성숙 열매(B)의 사진이다.
도 2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A) 및 꾸지뽕 성숙 열매(B)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꾸지뽕 열매들로부터 분리한 성분들 중 화합물 1 내지 12, 화합물 13 내지 19, 화합물 20 내지 22 및 화합물 23 내지 30의 화학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A) 및 성숙 열매 추출물(B)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8은 화합물 1 내지 30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9는 화합물 19의 Lineweaver-Burk 분석 결과이다.
도 10은 화합물 7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1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2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3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4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0은 OH이고 R11은 H인 본 발명의 화합물 19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5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탄소 수 3 이하의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메톡시인 본 발명의 화합물 7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 때,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열매가 맺히기 시작한 때부터 기산하여 3개월 이내의 열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육안으로 보았을 때, 열매 전체가 빨갛게 익지 않고 초록색이 있는 상태의 열매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매 표면에서 빨간색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초록색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넓은 상태의 열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열매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값이 -1.00 인 열매이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a* 값이 -2.00 이하인 열매이다.
상기 용매 추추물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로, 예컨대, 꾸지뽕 미성숙 열매를 건조하거나 건조하지 않고 분말화한 후 상기 분말을 용매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매는 물 또는 탄소 수 5 이하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 수 3 이하의 저가 알코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다.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6

이 때,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H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0은 OH이고 R11은 H인 본 발명의 화합물 19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7

이 때, R1 내지 R6은 독립적으로 H, 알콕시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탄소 수 3 이하의 알콕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4 내지 R6은 H이고, R2는 글루코스이고, R3는 메톡시인 본 발명의 화합물 7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물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유기합성된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꾸지뽕 유래의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6, 13 내지 15, 17 내지 19, 21, 22 또는 25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비만 치료, 개선 및 예방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의 치료, 개선 및 예방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여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을 치료, 개선 및 예방할 수 있다.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내장비만, 복부비만 및 비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료와 함께 배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 외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상적인 사료 조성물과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은 총 사료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 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체중 관리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고도 비만 등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 또는 가금을 대상으로 한다. 상기 가축 또는 가금은 소, 돼지, 닭, 말, 양, 당나귀, 노새, 멧돼지, 토끼, 메추라기, 집오리, 장닭, 투계용 닭, 비둘기, 칠면조, 개, 고양이, 원숭이, 햄스터, 생쥐, 래트, 구관조, 앵무새, 잉꼬, 카나리아 등이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 내에서 사육 가능한 인간 이외의 포유 동물 또는 조류이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대상이라 할 것이다.
피부 미백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생성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 또는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능을 갖는다.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화이트닝), 피부 톤의 균일화, 잡티 완화, 브라이트닝 등의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멜라닌 이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멜라닌 이상 과다에 의한 색소 질환 또는 멜라닌 세포 이상 증식에 의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약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식생활, 영양 상태, 병의 진행 정도, 비만의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 또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 당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10 mg 내지 5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꾸지뽕 열매
꾸지뽕열매는 2013년 충북대학교 약초원에서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꾸지뽕열매 미성숙과와 성숙과를 8월과 10월에 각각 채집하였으며 열매의 색에 따라 일차적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색의 차이를 구분하고 각각의 무게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육안으로 보기에 미성숙과는 녹색이며, 성숙과는 붉은색이었다(도 1, 표 1). 상기 꾸지뽕 열매들을 충북대학교 약초원 표본실에 보관하고, 이를 하기 시험들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8
L* 은 밝기를 나타낸다(0은 불투명 또는 검정이고 100은 투명 또는 흰색이다).
a*는 빨강의 정도를 나타낸다(+a*는 빨강이고, -a*는 초록이다).
b*는 노랑의 정도를 나타낸다(+b*는 노랑이고 -b*는 파랑이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제조
꾸지뽕 미성숙 열매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분말을 얻었다.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 분말에 대하여 2 배 중량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꾸지뽕 성숙 열매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 및 분쇄, 메탄올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효능
판크레아틱(Pancreatic) 리파제(lipase) 저해효능은 porcine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nitrophenyl butyrate (p-NPB)를 기질로 하여 p-nitrophenol로 변화되는 것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 저해되는 것은 <식 1>의 상대적인 저해 효능으로 나타내었다.
<식 1>
판크레아틱 리파제의 상대적 활성(%) = [(기질을 갖는 시료의 활성 - 기질이 없는 시료의 활성)/(시료가 없는 기질의 활성 - 기질 및 시료가 없는 음성 대조군의 활성)] × 100
<실험예 1> 꾸지뽕 미성숙 및 성숙 열매의 HPLC 패턴 비교
꾸지뽕 미성숙 및 성숙 열매의 성분 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HPLC 분석은 Waters HPLC system (Waters 600 Q-pumps, a 996 photodiode array detector, and Waters Empower software)를 이용하여 Phenomenex Gemini-NX 3m C18 110A (150 x 4.60 mm) 컬럼으로 정량을 수행하였으며 이동상의 조건은 acetonitrile-water (60:40), 유속 1.0 mL/min, 측정파장은 254 nm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미성숙 열매(도 2A) 및 성숙 열매(도 2B)의 HPLC 패턴이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나, 양 열매의 성분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실험예 2> 꾸지뽕 열매의 성분 분석
<2-1> 꾸지뽕 미성숙 열매로부터 성분 분리
꾸지뽕 미성숙 열매(556.0 g)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총 메탄올 추출물 (20.4 g)을 얻었으며 이를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각각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CTUM, 3.3 g)을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Sephadex-LH 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CTUM1-CTUM4)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n-hexane-EtOAc (20:1)를 이동상으로 CTUM2를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를 수행하여 6개의 소분획 (CTUM2A-CTUM2F)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UM2B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14 (17.3 mg), 18 (6.6 mg), 21 (3.2 mg), 및 22 (2.8 mg)를 분리하였다. 또한 소분획 CTUM3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57:43)를 수행하여 화합물 13 (278.2 mg), 15 (2.6 mg), 17 (111.1 mg), 및 19 (2.2 mg)를 정제하였다. 미성숙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CTUE, 0.4 g)을 silica gel MPLC (CH2Cl2-MeOH 50:1)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CTUE1-CTUE5)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 CTUE2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20:80) 를 수행하여 화합물 6 (0.6 mg) 및 7 (0.9 mg)을 분리하였다.
<2-2> 꾸지뽕 성숙 열매로부터 성분 분리
꾸지뽕 성숙 열매 (600.0 g)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247.0 g)을 얻었으며 이를 분획하여 각각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을 얻었다.
상기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CTRM, 7.2g)을 MPLC (n-hexane-EtOAc 20:1)를 수행하여 12개 소분획(CTRM1-CTRM12)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RM6를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CH2Cl2-MeOH 1:1)를 수행하여 2개의 분획(CTRM6A-CTRM6B)으로 CTRM6B를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3 (0.9 mg), 16 (1.6 mg), 및 20 (0.8 mg)을 정제하였다. 화합물 10 (525.7 mg) 및 11 (926.5 mg)은 소분획 CTRM8 및 CTRM7를 n-hexane-CH2Cl2 (1:1)로 각각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소분획 CTRM10은 Sephadex LH-20 (CH2Cl2-MeOH 1:1)을 수행하여 5개의 분획(CTRM10A-CTRM10E)으로 나누었으며 CTRM10D를 semi-preparative HPLC(MeCN-water 80:20)를 수행하여 화합물 9 (1.8 mg) 및 12 (2.9 mg)를 얻었다. 소분획 CTRM11를 Sephadex LH-20(CH2Cl2-MeOH 1:1)를 통하여 화합물 1 (3.1 mg)을 정제하였다. 성숙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CTRE)을 RP-MPLC(MeOH-H2O 1:5)를 수행하여 5개의 소분획 (CTRE1-CTRE5)으로 나누고 소분획 CTRE1는 다시 Sephadex LH-20 (MeOH)를 통하여 5개의 소분획 (CTRE1A-CTRE1E)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CTFE1B는 다시 RP-MPLC (MeOH-H2O 1:5)를 수행하여 3개의 소분획 (CTRE1B1-CTRE1B3)으로 나누었으며 소분획 CTRE1B1를 semi-preparative HPLC(MeCN-water 15:85)를 통하여 화합물 25 (31.2 mg)를 정제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semi-preparative HPLC (MeCN-water 20:80)를 수행하여 소분획 CTRE1B2로부터 화합물 4 (2.1 mg), 8 (4.8 mg) 및 30 (1.7 mg)를, 소분획 CTRE1B3로부터 화합물 26 (6.9 mg) 및 29 (1.9 mg)를, 소분획 CTRE1C로부터 화합물 5 (0.8 mg), 23 (10.8 mg), 24 (7.1 mg), 27 (5.1 mg), 및 28 (9.3 mg)를 얻었다. 화합물 2 (3.3 mg)는 소분획 CTRE1E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2-3> 꾸지뽕 열매로부터 분리한 성분의 구조 분석
상기 <2-1> 및 <2-2>에서 분리한 30개 성분들에 대하여 1H NMR, 13C NMR, HSQC 및 HMBC를 수행하여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MS와 HRESIMS를 통하여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28개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들로 확인되었다(표 2, 도 3 내지 도 6). 또한 화합물 14, 23 및 25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 및 성숙 열매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화합물 6, 7, 13, 15, 17 내지 19, 21 및 22는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만 발견되었으며, 화합물 1 내지 5, 8 내지 12, 16, 20, 24, 26 내지 30은 꾸지뽕 성숙 열매에서만 발견되었다.
Figure 112015091305581-pat00009
Figure 112015091305581-pat00010

한편, 화합물 7 및 19의 분광학적 결과는 하기와 같으며, 이들은 신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7: Cudracusisoflavone A
갈색 무정형 검(gum); UV (MeOH) λmax 261 nm; IRmax 3298, 1415 cm-1; 1H NMR (CD3OD, 400MHz) δ 8.17 (1H, s, H-2), 7.27 (1H, d, J = 2.0 Hz, H-2'), 7.25 (1H, d, J = 8.4 Hz, H-5'), 7.10 (1H, dd, J = 8.4, 2.0 Hz, H-6'), 6.38 (1H, d, J = 2.0 Hz, H-8), 6.25 (1H, d, J = 2.0 Hz, H-6), 4.97 (1H, d, J = 6.8 Hz, H-1''), 3.93 (3H, s, OCH3), 3.75~3.44 (5H, m, H-2'', 3'', 4'', 5'', 6'') ppm; 13C NMR (CD3OD,125MHz) δ180.6 (C-4), 164.8 (C-5), 162.5 (C-7), 158.3 (C-8a), 154.0 (C-2), 149.2 (C-3'), 146.7 (C-4'), 125.8 (C-1'), 122.9 (C-3), 121.4 (C-6'), 116.5 (C-5'), 113.5 (C-2'), 104.9 (C-4a), 101.3 (C-1''), 98.9 (C-6), 93.5 (C-8), 76.9 (C-5''), 76.5 (C-3''), 73.5 (C-2''), 70.0 (C-4''), 61.1 (C-6''), 55.41 (OCH3) ppm; ESIMS (negativemode) m/z : 461 [M-H]-; HRESI-MS (positive mode) m/z: 485.1067 (calcd for C22H22NaO11 485.1060).
화합물 19: Cudracusisoflavone B
갈색 무정형 검(gum); UV (MeOH) λmax 269 nm; IRmax 3260,1647 cm-1; 1H NMR(acetone-d6, 400 MHz) δ 13.17 (1H, s, 5-OH), 8.25 (1H, s, H-2), 7.17 (1H, d, J = 2.0 Hz, H-2'), 6.97 (1H, dd, J = 8.4, 2.0 Hz, H-6'), 6.90 (1H, d, J = 8.0 Hz, H-5'), 6.74 (1H, d, J = 10.0 Hz, H-1''), 6.21 (1H, s, H-6), 5.77 (1H, d, J = 10.0 Hz, H-2''), 1.49 (6H, s, CH3-4'', 5'') ppm; 13CNMR(acetone-d6, 100 MHz) δ 181.0 (C-4), 162.4 (C-5), 159.4 (C-7), 153.5 (C-2), 152.1 (C-8a), 145.4 (C-4'), 144.7 (C-3'), 127.8 (C-2''), 123.4 (C-3), 122.6 (C-1'), 120.7 (C-6'), 116.4 (C-2'), 115.1 (C-5''), 114.2 (C-1''), 105.8 (C-4a), 101.0 (C-8), 99.5 (C-6), 78.1 (C-3''), 27.4 (C-4'', 5'') ppm; ESIMS (positive mode) m/z : 353 [M+H]+; HRESIMS (positive mode) m/z: 375.0850 (calcd for C20H16NaO6 375.0845).
<실험예 3> 항비만 활성 평가
<3-1>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pancreatic lipase 억제능 평가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 및 성숙 열매 추출물에 대하여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보다 미성숙 열매 추출물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능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3-2> 꾸지뽕 열매 유래 화합물들의 pancreatic lipase 억제능 평가
상기 <실험예 2>에서 분리한 화합물 1 내지 30을 대상으로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4, 8, 18 및 25는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거의 없었으며, 그 외 화합물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19의 판크레아틱 리파제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9는 꾸지뽕 열매 자체의 추출물, 즉 꾸지뽕 미성숙 열매 추출물 및 꾸지뽕 성숙 열매 추출물은 물론 꾸지뽕 열매로부터 분리된 다른 화합물들보다 현저히 판크레아틱 리파제 저해능이 뛰어났다(도 8).
<3-3> pancreatic lipase 억제의 작용 기전
상기 <3-2>에서 pancreatic lipase 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던 화합물 19에 대하여, pancreatic lipase 억제의 작용 기전을 분석하였다. 이는 Lineweaver-Burk 분석(Ahn JH, Liu Q, Lee C, Ahn MJ, Yoo HS, Hwang BY, Lee MK (2012) A new pancreatic lipase inhibitor from Broussonetia kanzinoki. Bioorg Med Chem Lett 22: 2760-2763)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9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y축은 증가하나 x축의 값은 변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화합물 19는 비경쟁적인 pancreatic lipase 저해제로 확인되었다(도 9).
<실험예 4> 미백 및 항산화 활성
<4-1> 미백 활성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7 및 19에 대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화합물들의 처리량에 따른 미백 활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활성은 mushroom tyrosina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tyrosine을 기질로 하여 dopachrome으로 변화되는 것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 저해되는 정도를 하기 <식 2>의 상대적인 저해 효능으로 나타내었다. 즉,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0%로 하고 tyrosinase의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을 때를 100% 억제율로 하여 시료의 억제 정도를 상대적인 %로 나타내었다.
<식 2>
티로시나아제의 상대적 활성(%) = [(기질을 갖는 시료의 활성 - 기질이 없는 시료의 활성)/(시료가 없는 기질의 활성 - 기질 및 시료가 없는 음성 대조군의 활성)] × 100
그 결과, 화합물 7은 100μM에서 tyrosinase의 활성을 51.3%를 저해하였고, 300μM에서는 61.3%를 저해하였다. 화합물 19는 100μM에서 5.1%를 저해하였고, 300μM에서는 41.3%를 저해하였다. 그러므로 화합물 7은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유의하게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화합물 19는 100 μM에서는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거의 없었으며, 300 μM에서도 화합물 7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 표 3).
Figure 112015091305581-pat00011
<4-2> 항산화 활성
꾸지뽕 미성숙 열매에서 분리된 신규 화합물인 화합물 7 및 19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7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나, 화합물 19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데이터 도시하지 않음).

Claims (10)

  1. 꾸지뽕 유래의,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06737026-pat00012

    이 때, R10은 OH이고, R11은 H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꾸지뽕 유래의,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06737026-pat00013

    이 때, R10은 OH이고, R11은 H이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은 꾸지뽕 미성숙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6.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용매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06737026-pat00025

    이 때, R10은 OH이고, R11은 H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미성숙 열매는 색차계 (co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 시 a* 값이 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또는 탄소 수 5 이하의 저가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 및 예방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꾸지뽕 미성숙 열매의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용매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06737026-pat00026

    이 때, R10은 OH이고, R11은 H이다.

KR1020150132712A 2015-09-18 2015-09-18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1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2015-09-18 2015-09-18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2015-09-18 2015-09-18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125B1 true KR101610125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12A KR101610125B1 (ko) 2015-09-18 2015-09-18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04A (ko) * 2017-07-13 2019-0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04A (ko) * 2017-07-13 2019-0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1243B1 (ko) * 2017-07-13 2019-04-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JP6069555B2 (ja) 経口紫外線抵抗性向上剤
CA2430346A1 (en) Beautifying foods and drinks and peroral beautifying preparations
JP4870433B2 (ja) セラミダーゼ阻害剤
KR101787074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10125B1 (ko) 꾸지뽕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366372B1 (ko) 피부미백, 항산화 및 ppar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5626A (ko) 발레클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2962B1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JP2020189816A (ja) ビタミンc誘導体組成物
JP2009102289A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KR100542751B1 (ko)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13638B1 (ko) 아피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30008761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KR101070886B1 (ko) 참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52054B1 (ko) 시스-3-헥센알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KR100831419B1 (ko) 간후안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527100B1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0561193B1 (ko) 덴시플로릭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70025801A (ko) 갈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59957A (ko) 꾸지뽕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40100667A (ko)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20230035301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