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198A - 차량용 이동 루프랙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동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198A
KR20140059198A KR1020147004049A KR20147004049A KR20140059198A KR 20140059198 A KR20140059198 A KR 20140059198A KR 1020147004049 A KR1020147004049 A KR 1020147004049A KR 20147004049 A KR20147004049 A KR 20147004049A KR 20140059198 A KR20140059198 A KR 2014005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of
profile
support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016B1 (ko
Inventor
쎄르레 에스피그
Original Assignee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1110051891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1051891A1/d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화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송장치, 특히 루프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송장치를 구비하며, 또한 주행위치 및 적재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차량용 이동 루프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송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이 제공되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차량의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배치되도록 한 차량용 이동루프랙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동 루프랙{a moving roof 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차량용 이동루프랙, 특히 접이식 루프박스용 이동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차량루프에 장착되는 종래의 루프랙은 화물(짐, 수하물) 또는 루프박스를 차량루프에 올려져야 하고 거기에 고정되어야만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는 무거운 물건을 운반 할 때 특히 매우 피곤하고 힘이 드는 일이다. 따라서 차량루프로 쉽게 짐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설비를 갖는 루프랙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독일특허공개공보 DE 41 22 823 A1 과 독일 실용신안 DE 200 02 018 U1에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루프랙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가동형 즉, 이동 루프랙은 상당한 여분의 무게를 가지며, 차량의 차량루프에 추가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같이 하면 공기 저항 및 연료 소비가 증가 된다.
마찬가지로, 미국특허 5,154,563A 와 독일특허 DE 44 21 030 C1에는 차량 후방 또는 차량 측면 위의 차량의 차량루프로부터 차량 아래로 이동하는 레일시스템이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루프랙이 개시되어 있다. 루프박스 또는 다른 용기는 이 레일시스템을 따라 이동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상당한 공기 저항 및 연료 소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이 같은 루프랙에 장착된 레일 수하물 용기는 주행시 기울게 되어 수하물 용기에 구비되어 있는 수하물 내용물이 오염 및/또는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개선된 이동루프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은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송수단(수송장치) 특히 루프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송수단은 이동위치인 주행위치와 적재위치(로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차량용 이동 루프랙에 있어서, 상기 수송수단을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이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차량의 차량필라상에 배치되며, 상기 수송수단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어 차량용 이동루프랙에 의해 달성된다.
루프랙과 루프랙의 수송수단용으로 적어도 두 위치, 즉, 일측상의 주행위치와 타측상의 적재위치가 제공되며, 이들 위치 사이로 상기 수송수단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루프랙과 수송수단은 주행위치에서,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데, 그러한 구성에서만, 차량이 주행할 준비가 되기 때문이다. 적재위치는 높이면 에서 주행위치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게 되며, 루프랙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뒤 또는 앞의 옆에 배치된다. 특히, 루프랙은 차량의 높이의 최대 80%,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높이의 최대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높이의 최대 50%의 높이의, 적재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루프랙을 주행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목적은 사용자가 적재(로딩,적하) 및 하적(언로딩,짐부리기)를 위한 적재위치에 루프랙이 더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칙적으로 상기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위치가 제공될 수 있어서 루프랙 및 수송수단이 이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루프랙은 적재(로딩) 및 하적(언로딩)시 예를 들면, 다양한 신체 크기를 갖는 여러 다른 운전자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루프랙은 적어도 주행위치 및 적재위치에서, 또한 필요하다면 중간위치에서 소정의 위치에서만 주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적재(로딩) 및 하적(언로딩)을 위한 바람직한 위치가 각각의 운전자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 되도록 할 수 있지만, 대안으로, 이동성은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루프랙의 수송수단을 주행위치에서 적재위치로 또는 필요한 경우 중간 위치로 처리 또는 이동하기 위해, 상기 수송수단을 지지 및/또는 상기 수송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설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또한 상기 차량의 차량필라 상에 배치된다. 상기 차량필라는 차량본체베이스부로 차량루프에 동일하게 연결하는 필라로, 특히 승용차용이며, 차량방향과 관계없이 차량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속된 문자로 표시된다(예를 들면, A-필라, B-필라, C-필라 등).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현재 차량필라에 배치되는데 이는 지지프로파일로 유도된 힘을 차량필라를 통해 제거하도록 지지프로파일이 특히 차량필라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히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하게 차량필라와 지지프로파일 사이에 중간재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프로파일의 과제는 주로 이동시 적재위치에서 수송수단을 지지하고 정지시 적재위치에서 수송수단을 지지하고 상기 수송수단의 중량과 수송수단에 가해지는 하중 및 수송수단의 이동에 의해 유도된 힘을 제거하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상기 수송수단이 수송 또는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특히 주행위치에서 차량필라를 따라 연장하는 가늘고 긴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상기 차량필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주행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이동시, 차량필라로부터 적어도 일부는, 멀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송수단은 하중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이동 루프랙의 일부이다. 여기서, 수송수단에 적재를 직접 할 수 있거나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송수단은 운반될 물건(화물, 짐)을 수용하도록 되어있는 다른 설비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송수단은 루프박스, 특히 접이식 루프박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이송될 물체가 상기 루프박스(외부확장상태인 펼친 상태인 확장상태) 에 도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루프박스가 적재위치에 있는 수송장치와 함께 이동된다. 적재 또는 하적 후, 상기 루프박스는 수송장치에 의해 주행위치로 되돌아가게(즉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루프박스"는 문맥상 차량의 루프상에 제공된 공간, 즉 적어도 확장된 상태에서 물품의 배치나 저장할 수 있는 유용한 영역인 저장공간을 나타낸다고 이해된다. 그 내부는 루프박스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루프박스 내부의 저장 공간이다. 루프박스의 벽은 함께 여러 벽부재와 함께 구성된다. 이러한 벽 구성요소인 벽부재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바닥구성요소인 바닥부재), 데크부재(천정구성요소인 천정부재), 후벽 및/또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 할 수 있다. 용어 "차량"은 철도용 또는 트램용 보다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차량루프를 반드시 구비한 모터구동 차량을 의미한다. 특히, 이하 승용차, 트럭, 컨버터블(오픈카) 등이 포함된다.
특히 세장형(가늘고 긴 형상의)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편리하게도 제1단부와 그와 마주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수송장치인 수송수단으로 차량필라의 제1단부영역 및/또는 제 2단부영역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필라 및 운반장치와의 모두 연결하는 것은 관절방식연결(힌지방식)이 특별히 설계 될 수 있다. 그러한 관절연결과 관련하여, 특히 두 부분이 서로 피봇연결 되는 힌지축(피봇축)이 차량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그러나, 지지프로파일의 피봇연결의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프로파일이 형성되고 저장될 때 지지프로파일은 병진운동을 수행 할 수 있다. 특히, 지지프로파일의 하단부는 차량필라에 고정 연결되고, 필요한 경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마주하는 상단부는 수송수단과 함께 차량필라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공정시(이동프로세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하부연결부 주위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단부는 수송수단과 함께 차량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멀어지게 선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면, 루프랙은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수송수단의 이동과는 반대로 실질적으로 회전요소가 포함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병진운동 성분을 갖도록 구성된다. 공지의 종래기술의 시스템과 특히 공지의 레일시스템에서, 슬라이드로서 형성된 수송수단인 수송장치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적재위치와 주행위치간의 상기 수송장치의 이동은 회전부분을 갖고 있다. 이것은 수송수단이 기울어지고 경사지고 회동되고 또는 다른 어떤 방법으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수송장치에 고정된, 루프박스 같은 물품 또는 운반케이스가 상기 수송장치와 함께 회전, 선회, 또는 기울어지면, 차례로, 물품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루프박스에 느슨하게 배치되게 된다. 그것은 운전자로부터 안내된 저장상자내의 물품이 회전으로 인해 엉망이 되면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송수단은 전체 이동 공정 중에 실질적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경사지지 않고 회동되지 않고 또는 다른 어떤 방법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송수단은 주행위치에서 처음에는 수평 또는 횡방향 이동이 실질적으로 일어난다. 상기 수송수단이 차량루프 위에서 완전히 추가 이동하면, 다음 단계에서 상기 수송수단은 비틀거나 경사되지 않고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하강하는 것은 수직하방 또는 비스듬하게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물품의 손상이 방지되며, 이동중에 물품이 안정된 위치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루프랙이 차량에 대하여 차량상에 장착된 경우, 적재위치는 주행위치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수송수단의 수행 방법 중 한 핵심 포인트는 이동된 수하물을 차량루프로부터 하강 또는 횡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운전자가 상기 수송수단 또는 수송수단상에 배치된 적재 및 하적(언로딩) 하기 위한 적재용기에 쉽게 접근가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것은 차량에 대한 적재위치가 주행위치 쪽의 측면에 제공되며, 즉 상기 수송수단이 차량의 중심으로부터 측방으로 시작하여 운전자 또는 조수석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스테이션 웨건 또는 SUV 차량으로 디자인된 경우 특히 거꾸로의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수송수단의 측방향 이동중에, 주로 사용되는 모든 차량 모델에 대해 적재위치에서 수송수단에 더 편리한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또한 상기 수송수단이 운전자 측 및 조수석 측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루프랙이 형성되는 것이 한층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송수단은 동시에 심지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수송수단을 적재위치 및 차량의 각종 주차상황에서 이동 가능하며 가능한 한 루프랙의 쾌적처리를 운전자를 위해 보장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수단에 로딩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로딩장치인 화물적재장치(화물장치)는, 예를 들면 루프박스, 예컨대 자전거용, 스키용 등의 특수캐리어, 또는 격자 일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의 일부가 상기 로딩장치에 또 수송수단에 다른 상보부분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체결수단은 로딩장치에 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적용 상황에 따라, 체결수단(고정수단,고정장치)은 영구적 또는 탈착 가능한 부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루프랙은 로딩장치가 루프랙의 부분이 되도록 로딩장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랙은 차량본체에 일체로, 특히 차량루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본체에서 또는 차량루프에서 루프랙의 일체형 조립체는 상기 수송수단 및/또는 루프랙의 다른 구성 요소가, 외부로부터 별개의 것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분리되어 있지 않고), 특히 부수적으로 연속적으로 차량본체인 차체에 장착된 장치이며, 대신에 차체 또는 차량루프에 배치되며, 특히 차량의 외관적인 성능에서, 차량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루프랙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일체로 차량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차량본체나 차량루프에서 루프랙의 일체형 조립체를 통해, 운전자는 더 이상 조립 또는 분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오히려, 루프랙은 차량본체의 일체형 부분으로 남게 되어 항상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루프랙을 더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차체에 삽입된(수납된) 루프랙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이 상태는 특히 주행위치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후 감소 공기저항이 감소되며, 도로소음이 감소되고 또한 연료 소비가 감소되게 된다. 루프랙이 수납되면, 루프랙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거나 적어도 시각적으로 매우 눈에 띄지는 않는다. 차체에 또는 차량루프에 루프랙을 통합(일체화)함으로써, 차량에 루프랙이 수납된 경우, 루프랙 없는 차량에 비해 차량의 공기저항은 열화(나빠짐)하지 않거나 적어도 크게 나빠지지 않는다. 또한 루프랙상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과 타이트하게 고정되는 수하물용기, 예를 들면, 루프박스도 차체에 일체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이식 루프박스가 제공되는데 전체 장치가 주행위치에 통합되어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 루프박스는 차량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구성은 루프랙의 일체형 구성요소 또는 구성부분과 대응하는 오목부가 차체에 제공되어, 주행위치에서 루프랙 또는 그것과 관련된 구성요소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랙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루프랙은 적어도 하나의 루프가이드를 포함하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이 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필라의 상부로부터 차량루프상으로 또는 차량의 차량루프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수송수단은 상기 루프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수송수단의 일부만이 루프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루프가이드는 각각의 수송수단에 적합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응하는 차량루프의 오목부 및 요홈 또는 레일이 될 수 있으며, 이 오목부(요홈, 리세스)는 차량루프에 배치되고, 상기 수송수단과 결합되어 이들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루프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수송수단의 이동면은 상기 차량루프의 만곡에 의해 수평면으로부터 곳곳의 편차를 조정할 수 있는 장소에서 통상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 정렬된다. 따라서, 특히 루프가이드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그러나 루프가이드에 대해 횡방향이나 또는 수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수송수단이 상기 루프가이드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상기 수송장치인 수송수단이 루프가이드의 C-자형 레일에 결합하는 롤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루프가이드 또는 루프가이드부에 대응하는 수송수단의 부분에 대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다른 많은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루프가이드가 차량루프 위에서 차량루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차량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 상기 루프가이드는 차량필라의 제1상부로부터 이와 대향 배치되어 있는 차량필라의 제2상부까지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와 같은 2개의 루프가이드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2개의 대향하는 차량필라쌍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 루프가이드는 차량의 2개의 B-필라 사이 및/또는 후방 루프가이드는 차량의 C-필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송장치는 차량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항상 차량필라의 방향 따라서 지지프로파일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이동중에 상기 수송수단이 루프가이드를 완전히 떠나 종국에는 더 이상 지지되지 않지만 지지프로파일만이 배타적으로 지지될 때까지 차량루프 위에서 상기 수송수단의 밖으로(추가) 이동한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2개의 서로 대향 배치된 차량필라 사이에 루프가이드가 직선으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수송수단은 각각 루프가이드상에 위치하고 이들 루프가이드를 덮는 하나 이상의 횡바(횡방향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방루프가이드 및 후방루프가이드에 총 두 개의 횡방향레일이 제공될 경우, 또한 실질적으로 각각의 횡방향레일은 차량필라의 한 상부로 부터 대향배치된 차량필라의 상부로 진행하며, 차량루프로부터 루프가이드를 따라 횡방향으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프가이드는 두 개의 대향하는 차량필라의 상부사이에서 직선으로 진행하지 않지만 차량필라의 한 상부로부터 차량의 차량루프의 루프에지를 따라 대향 배치되어 있는 차량필라의 상부로 진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루프가이드가 전술한 방식에 따라 2개의 B-필라 사이 또는 2개의 C-필라 사이에서 루프 에지를 따라 진행된다. 이 경우 전방루프가이드는 처음에는 B-필라로 부터 전방으로 차량루프의 전면 주위로 진행하며, 루프에지를 따라 대향 배치된 B-필라쪽으로 되돌아 진행된다. 실질적으로 후방 루프가이드는 먼저 C-필라의 상부로부터 루프 에지를 따라 차량루프의 후면쪽으로 미러 이미지(앞뒤가 바뀐)로 진행하며, 후방 또는 차량루프의 후면 또는 후면에지에서 전면을 따라 또 전방으로 대향 배치된 C-필라 쪽으로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B-필라 및 C-필라 사이의 루프가이드도 루프에지를 따라 차량의 각 측면 또는 한 측면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송수단이 지지프로파일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로파일이 특히 루프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루프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치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상기 루프가이드를 따라 특히 편리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지지프로파일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는데, 필요한 경우 라운딩(필레팅)된 모서리를 적절히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주행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상기 루프가이드나 루프가이드들을 덮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루프가이드가 차량루프의 오목부에 구비되어, 평평한 면이 있고 루프랙의 상기 수송수단은 시각적으로 거의 두드러지지 않게 되도록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수송수단 또는 루프가이드상에 배치되는 루프프레임은 차량루프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외부로부터 차량필라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이 영역에서 차량차체의 최외곽의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지지프로파일상의 외측에 커버 등과 같은 또 다른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를 따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B-필라의 경우에는 종종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차체의 형상에 따라 지지프로파일은 위로부터 아래로 보면, 쿠페형과 같은 타입의 차량에서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C-필라의 경우에서는 종종 있는 것처럼, 예를 들어 수직축과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의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주행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적어도 일부분이 특히 지지프로파일의 그 하단부가 상기 차량필라에 부착되고 수송수단이 이동시 차량필라의 상단부와 함께 회동되면, 적재위치 및/또는 적재위치와 주행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차량필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지지프로파일의 하부에 지지프로파일조인트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 지지프로파일조인트에 의해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와 연결된다. 특히 차량도어의 고정영역에서 차량필라에 고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프로파일을 통해 전달된 힘이 안내될 수 있도록 통상 강화시트금속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회동은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의 피봇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피봇핀을 구비하는데 이 피봇핀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피봇핀은 실린더(원통)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직축에 경사지게 진행하는 예컨대 C-필라와 같은 차량필라의 경우, 피봇핀이 원통형(실린더형)은 아니지만 원추형일 경우가 유리하다. 상기 피봇핀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대응부는, 예컨대 슬리브는 적절하게 폐쇄형으로 원추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수직연장된 B-필라 또는 다른 차량필라에 대하여 C-필라의 다른 각도위치가 다른 각도위치와 밸런스를 이루게 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그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로 인해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길이가 상기 수송수단의 각각의 주행위치에 적합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길이변화는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차량필라 및 그 가이드의 높이와 관련하여 수송수단의 길이 또는 폭에 있어서의 편차는 지지프로파일의 길이 조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텔레스코핑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특히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특정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길이의 변화를 조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텔레스코핑암은 이중, 삼중 또는 사중 텔레스코핑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정 구성 및 차체 및 운송장치의 각각의 구성 및 크기에 특히 의존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상부는 이동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상기 수용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지지프로파일에 대해 또는 수용장치인 수송수단에 대해 또는 양쪽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이동부재는 일측의 지지프로파일과 타측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연결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용장치와 루프가이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동연결(이동가능한 연결)은 관절(링크,조인트,힌지)연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장치는 병진운동은 하지 않고 회전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프로파일의 수용장치에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병진운동도 가능한데 스토퍼 등에 의해 제한되게 선택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특히 레그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레그부재상에 상기 수송수단이 설치되고 이 레그부재에 의해 상기 수송수단은 루프가이드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절히 수용수단이 루프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재를 수용 또는 수납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용수단(수납수단)은 루프가이드에 연결된다. 수용장치(수납장치)에 이동부재를 수용한 후 병진운동은 가능하지 않거나 제한되게만 가능하다면, 상기 수송수단은 상기 수송장치가 차량에서 회동시 상기 지지프로파일과 함께 차량에서 멀어지게 이동된다. 그래서 상기 수송장치는 이동 작업중에 어떠한 회전운동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것은 지지프로파일이 차량에서 멀어지게 회동중에 수송장치가 측방으로만 이동되거나 하강되며, 회동되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그 길이가 점차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는 이 부재용으로 구비된 이동(구동)드라이브에 의해 이동 될 수 있다. 이 이동드라이브는 예컨대 윈치 또는 자기식 부양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구동 드라이브 대신에, 이동부재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등과 같은 형태로, 이동 드라이브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는 또한 상기 이동부재와 탈착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은 이동시 그 상부와 함께 차량으로부터 적재위치로 떨어져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부재는 상기 수용장치에 고정되게끔 편리하게 장착된다. 운반장치인 수송수단이 적재위치로 되돌아 가면, 이동부재가 루프가이드로 이동될 수 있고 수송수단이 적재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장치는 주어진 시간에 또는 지지프로파일 및/또는 수송수단의 소정 위치로 상기 이동부재를 릴리스 시켜야 한다. 적절하게도 상기 이동부재는 로킹장치를 구비하며, 이 로킹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는 릴리스되거나 수용장치에 고정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로킹장치인 래칭수단은 수송수단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하거나 릴리스시키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 될 수 있다. 수송수단과 지지프로파일 사이의 이동부재에 의해 링크(관절)연결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유리한데, 주행시 지지프로파일을 그 하부 단부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지지프로파일을 수송수단의 평면과 지지프로파일의 종축간의 각도를 변경하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며, 이 각도변경은 이동부재의 링크연결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수직방향에 경사지게 진행하는 차량필라의 경우, 상기 이동부재가 그 같이 경사지게 진행하는 차량필라의 지지프로파일에 배치된 지지프로파일의 수용장치에 틈새를 갖고 수용되거나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횡방향 또는 차량의 종방향에 대하여 클리어런스(틈새)를 포함 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소정의 길이까지 상기 방향들 중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진행하는 예컨대 B-필라와 같은 차량필라의 지지프로파일과 경사지게 진행하는 예컨대 C-필라와 같은 차량필라의 지지프로파일 사이의 다른 각도위치를 보상하는데 특히 필요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부재가 언제라도 수용장치에 머물 수 있고 이 장치에서 밖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하기 하기 위해 스토퍼 등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이 구비되는 차량필라는 차량필라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필라가이드는 수송수단이 상기 차량필라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특히 루프가이드에 각도를 두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리하게도 상기 차량필라가이드는 차량필라를 따라 연장된다. 특히 이는 차량필라가이드는 차량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장치의 이동시, 상기 지지프로파일이 차량필라로 부터 멀어지게 선회되면, 상기 차량필라가이드는 차량필라에 더 머물고,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멀어지는 선회를 통하여 릴리스 되거나 자유롭게 접근한다. 상기 차량필라가이드는 루프가이드에 연결되거나 루프가이드와 함께 커플링되므로, 특히 상기 이동부재는 루프가이드로부터 차량필라가이드로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수송수단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송수단은 차량필라가이드를 따라 루프가이드를 통해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된다. 또한, 특히 차량필라가이드의 하단부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수송수단이 이 스토퍼까지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격판필라가 제공된다. 격판필라는 특히 주행위치에서 특히 일체형 배치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가능한 루프랙을 형성하기 위해 차량의 본체(차체)가 외관적으로 닫힌 느낌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격판필라의 형상은 차량필라의 영역에서 차량의 본체에 적합하게 형성되어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특히, 격판필라는 주행위치 또는 다른 소정의 주행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 및/또는 차량필라가이드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필라는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판필라는, 회동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격판필라는 예를 들면 상기 수송수단이 주행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즉 이탈)시, 차량 또는 차량필라로 부터 멀어지게 회동되며 그에 따라 지지프로파일을 릴리스시키며 이후 다시 그 쪽에서 회동될 수 있다.
차량차량필라가이드 및/또는 루프가이드 및/또는 수송수단은 소정의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로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다. 특히, 차량차량필라가이드 및/또는 루프가이드 및/또는 수송수단은 이동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갖는 하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한다. 이 프로파일은 그 형상이 U-프로파일, L-프로파일, 반원형 프로파일, C-프로파일, T-프로파일 또는 파이핑-프로파일로서 특히,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프로파일의 형성은 이동부재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데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그것은 이동부재가 프로파일만을 따라 이동될 수 있지만 프로파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롤러가 특히 트렉(레일)의 프로파일에 형상에 꽉 맞게 결합할 할 수 있는 프로파일-대응부를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프로파일-대응부는 적절한 형상이나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이동부재의 대향하는 양단부 측에 프로파일-대응부가 배치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동부재는 각각의 프로파일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2개의 구성요소에서 각 프로파일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송수단과 루프가이드 및/또는 차량필라가이드 양쪽에 구비되는 경우 특히 유리할 수 있다.
프로파일-대응부를 이동부재의 양 단부에 배치한 실시예에서 이동부재의 양단부에 프로파일-대응부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은 그 중앙플레이트인 중앙연결부재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중앙연결부재는 불룩한 형태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이는 몇 개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주행위치에서 차량의 측방 루프바 영역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중앙연결부재는 그 불룩한 형태의 돌출부로 상기 루프바와 거의 형상에 꽉 맞게 감쌀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루프바는 종종 대칭단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불룩한 형태의 돌출부도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루프바의 형상은 최적화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이점은 특히 이동부재가 차량필라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대해, 중앙플레이트인 중앙연결부재의 불룩한 형태의 돌출부가 이동부재에 고정된 수송수단이 차량으로부터 최소거리를 가져 차량의 도료에 대한 손상등이 회피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는 다수의 부분으로 특히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2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이동부재 부분 각각에는 루프랙의 성분의 프로파일이 결합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대응부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로파일-대응부는 루프가이드에 다른 프로파일-대응부는 수송수단의 가이드에 결합 할 수 있다. 이동부재의 2개 부분은 또한 서로 이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2개 부분은 이 부분은 링크결합 및/또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루프랙의 각 부분 사이의 서로 다른 각도위치를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량필라가이드 및/또는 루프가이드 및/또는 수송수단에, 차량필라가이드를 따라 및/또는 루프가이드를 따라 및/또는 수송수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는 루프랙의 각 부품에 구비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이동부재와 유사하게 프로파일-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프로파일-대응부는 각각의 레일의 프로파일에 결합하며 각 레일을 따라 이동 또는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는 또한 상기 이동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수송수단, 루프가이드 또는 차량필라가이드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는 수송수단, 루프가이드 또는 차량필라가이드의 특정 레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의 변화가 생기면, 상기 레일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이 이어질 수 있고 이 레일에 슬라이드가 배치 된다. 상기 이동부재는 이후 특히 프로파일-대응부와 상기 슬라이드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는 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릴리스(해제)하고 이동부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상에 대응 로킹장치인 래칭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재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야만 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특히, 여러 형태의 프로파일 및/또는 이동방향에 적합한 여러 가지 가이드 또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가 그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후속 가이드부에서 이동방향이 변경되면, 그 자체를 위해 형성될 필요 없이 상기 슬라이드상에서 처리되고 슬라이드와 함께 새로운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차량의 본체에 및/또는 루프랙에 수용개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수단이 주행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수용개구에 수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상기 이동부재가 주행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 수송수단이 주행위치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부재는 루프가이드 또는 대응 가이드의 수용개구로부터 수송수단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수송수단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수용개구를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재는 주행위치에서 시각적으로 사라지게 되므로 루프랙의 통합적인 전체적 느낌으로 차량이 더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위치에서 수용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수단이 제공되면 한층 더 유리하다. 상기 밀폐수단은 플랩, 커버 또는 수용개구의 다른 폐쇄물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폐수단은 상기 수용개구를 방수형 밀폐하므로, 주행위치에서 빗물, 및/또는 튀는 물이 상기 수용개구로 유입될 수 없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도 도달될 수 없다. 실링수단인 밀폐수단을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한 액추에이팅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송수단이 주행위치에서 적재위치 또는 중간위치로 이동(즉, 이탈)되어야 하는 경우 개방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상기 수송수단이 주행위치로 이동(즉 복귀)되면 상기 수용개구가 밀폐수단으로 폐쇄된다. 액추에이팅수단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밀폐수단에는 로딩장치 특히 루프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밀폐수단은 특히 2중 기능을 행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수용개구의 실링 또는 폐쇄와 로딩장치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로딩장치가 일반적으로 수송수단에 고정되며 또 이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폐수단은 상기 수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적어도 일측상에 예를 들면 B-필라 및 C 필라에, 2개의 지지프로파일이 구비된다. 또한 이 2개의 지지프로파일은 안정화프로파일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안정화프로파일은 접이식 차량루프바 또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횡방향 안정성과 이동형 수송수단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로파일이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축 중심으로(주위로) 예컨대 하부영역에 배치된 지지프로파일링크 주위로 회동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횡방향 안정성이란 용어는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안정성이 주로 그 종방향축(길이방향축)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안정성으로 이해된다. 종종 횡방향은 실질적으로 차량의 종방향과 동일하다. 차량루프바는 주행위치에서 루프에지에 배치되며 차량루프의 전체적 이미지와 통합을 이룬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은 차량필라에서 멀어지게 회동되어 상기 차량바가 안정화프로파일과 함께 선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프로파일의 구성은 지지로드와 동일하며, 상기 지지로드는 차량루프 및/또는 차체에 대응하는 오목부의 주행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안정화프로파일은 사이 지지프로파일의 2개의 상부와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프로파일은 지지로드로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상기 2개의 지지프로파일을 넘어가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두 개의 자유단부는 특히 수송수단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송수단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되도록 수송수단에 연결되어, 특정 이동에 다음이다. 함께 상기 지지로드의 자유단부 영역은 수송수단의 요홈부 또는 오목부와 결합하고 상기 요홈부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송수단은 지지프로파일로서 설계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로드는 그 후 지지프로파일의 종방향 측과 평행한 수송프레임 평면에서 특히 이동가능 하다. 이는 지지프로파일의 상단부는 적재위치에서 지지프로파일의 최외각점과 결합되지 않고 차량의 더 근접하게 배치된 지점에, 예를 들면 지지프로파일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는 지지로드에 위치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적재위치의 수송수단의 하부로 대체로 수직하게 작용하는 중력을 상기 지지프로파일을 통해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지지프로파일 회동각도는 감소 된다. 특히 힘 제거에 필요한 지지프로파일의 횡단부는 감소될 수 있다.
통합된 실시예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의 차량루프는 수송수단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즉, 수용 및 가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루프홈부인 루프요홈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루프랙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선루프 등이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색상변화는 루프랙 또는 루프랙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상을 변화하기 위한 색상변화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색상변화수단을 이용하여 루프랙 또는 루프랙의 일부가 투명한 상태에서 컬러의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이 색상변화수단은 루프랙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색상변화도구는 열코팅이나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수송수단(수송장치)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수단의 이동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텔레스코핑식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드라이브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이 액추에이터는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필요한데, 루프랙의 이동 또는 루프랙의 다른 구성 요소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라이브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액추에이터는 공기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전기 모터, 중력식 드라이브, 윈치 및/또는 스프링에너지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드라이브는 다양한 개별 드라이브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는 루프랙 또는 차량루프 또는 차량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의 필요한 공급라인(전기, 압축공기, 기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또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구성품)으로 루프랙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라인들은 예를 들어 가이드, 특정하게는 루프가이드, 차량필라가이드, 수송수단(수송장치)으로서의 가이드들을 따라 구멍 또는 구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의 구성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루프랙을 내리는 수단처럼 루프지지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공급라인과 루프랙 로딩장치 상에 배치되는 에너지소비장치로서 특정하게는 루프박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루프박스를 자동연결 하거나 펼치기 위해 루프랙을 내리거나 구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도어트렁크 뚜껑 또는 차량후방의 공급라인과 연결될 수 있는 상기 공급라인은 뒤쪽 윈도우와이퍼 상에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차량의 A-필러를 따라서 엔진룸으로 유도되어 해당되는 장치로 연결된다. 도어 또는 후방와이퍼에 연결될 경우, 전력공급은 제거될 수 있다. 특히 트렁크 뚜껑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 및/또는 공압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제공되어 있어서 이 압력계통은 상기 영역으로부터 루프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좀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루프수송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차량바디, 특정하게는 작동할 수 있는 차량바디가 제공된다. 특히 적재위치 또는 다른 어느 중간위치에서 상기 수송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는 지지작용을 하는 지지면과 더불어 적합하게 작용되도록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경로는 차량루프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바디로 제공되며, 수송수단과 함께 지지체를 따라서 이동한다. 특히 지지체가 차량루프와 차량바디에 포함되거나 그렇게 함으로써 특히 주행위치에서 차량의 통합외형이 개선된 모양새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적재위치에서 특히 차량의 수송수단(수송장치)에 면하는 부분에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송수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지체의 해당지점이 지지점을 위해서 또는 수송수단 상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풀리게 하는 수송수단의 프로파일을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될 수 있는 지지체의 형태는 수송장치의 작동에 따라 지지체가 순조롭게 거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적당한 조인트 또는 다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뿐만 아니라 지지체에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서로에 대하여 2개의 구성품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만약에 로딩장치가 차량의 양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면 차량의 양쪽에서 차체를 따라 수송수단을 제공하는 것 또한 편리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의 지지체의 반대편으로 수송수단이 이동될 때 풀릴 수 있는 수송수단을 가지고 지지체의 연결수단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지체 및/또는 수송장치가 구동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수송수단의 풀릴 수 있는 연결수단을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 특별히 특징지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다른 연결부의 대응부를 맞물려 잡거나 풀을 수 있다. 이동경로는 지지체가 오로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해당가이드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스토퍼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이 더 구비된다.
게다가 다수 부품의 지지체 형태로 구성하는 것 또한 편리한 방법으로서 이점에 있어서 지지체의 개별 부품들과 연결되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특히 상기 지지체의 탄성변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체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개별 작동부품들의 복합체는 힌지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과 같은 연결수단의 작동역할을 하는 변형재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좀더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가 프로세스 제어 또는 루프랙의 횡단이동을 위해서 제공된다. 특히, 수송장치인 수송수단의 상기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은 주행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의 이동 또는 반대로 구현된다, 즉 이들위치사이에서 이탈(이동)과 복귀(이동)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상기 제어기가 루프랙의 여러 구성품 또는 부품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센서와 연동하여 작동하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되는 상기 제어장치는 루트랙의 개별 구성품의 위치와 관련된 최신 정보를 항상 가지고 있기 위하여 연결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저장되는 이미 설정된 이동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은 절차에 따라 루프랙의 개별 구성품 제어를 이루어내는 방법이다.
상기 제어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길이 변환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텔레스코핑방식으로 구성될 경우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는 상기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수송수단의 상기 개별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실시되는 상기 제어수단은 적시에 횡단프로세스에 있는 개별위치에 따라 이미 설정된 위치변수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의 길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상기 지지프로파일에 대한 개별 구성품의 임의 위치 및 특정하게는 임의 길이는 이미 설정된 시간의 기간과 상기 기간내의 임의시간 동안 횡단작동이 주행위치로부터 적재위치까지 이동(실시)되는 제어수단에 저장된다. 접이식 또는 포개지는 로딩장치는 상기 루프랙상에 있어야만 하며, 특히 구비할 수 있는 루프랙에 있어야 한다. 상기 제어기는 로딩장치의 접힘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목적는 소정의 움직이는 루프랙이 구비된 차량루프를 구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랙은 상기 차량루프에 체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량루프는 루프랙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를 갖추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루프의 오목부는 주행위치의 상기 루프랙이 상기 차량루프의 비오목부의 상단면과 같은 높이에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으로 해결하려는 문제는 이동하면서 벋어나지 않는 상기 루프랙 및/또는 이동루프랙을 구비한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도 1은 이동루프랙을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확장된 수평 횡방향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와 같이 완전히 확장된 횡방향레일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사시도는 완전히 확장된 상태의 수평위치와 하향 횡방향레일의 수직부를 묘사한다.
도 4는 부분 확장된 횡방향레일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주행위치에서 루프가이드와 함께 횡방향레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상기 횡방향레일이 주행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도시화하였다.
도 8은 상기 횡방향레일의 루프가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주행위치에서 이동루프랙의 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차량과 수송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도 9의 상기 루프랙의 부품도이다.
도 12는 사각수송프레임을 구비한 도 10의 상기 루프랙과 이동 중인 중간위치에서 도 9의 상기 루프랙을 도시하였다.
도 13은 적재위치에서 도 9의 루프랙으로써 상기 적재위치에서 접이식 루프박스를 구비한 이동루프랙의 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이동중인 중간위치에서 도14의 루프랙을 도시하였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다른 접힌 상태에서 도 14와 도 15로부터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17은 차량필라가이드로부터 이동부재를 구비한 지지프로파일이 이탈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루프박스가 배치된 루프랙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19는 루프박스가 없는 상태의 도 18를 보여주고 있다.
도 20은 이동 중인 중간위치 상태의 도 19를 보여주고 있다.
도 21은 적재위치 상태의 도 19를 보여주고 있다.
도 22는 루프박스가 구비된 루프랙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3은 루프박스가 없는 상태의 도 22를 보여주고 있다.
도 24는 이동중인 중간위치 상태의 도 23을 보여주고 있다.
도 25는 적재위치 상태의 도 23을 보여주고 있다.
도 26은 주행위치에서 이동루프랙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7은 세워진 사각수송프레임을 구비한 도 26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8은 떠 있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도 27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9는 이동중인 중간 위치에서 도 26의 루프랙을 보여주고 있다.
도 30은 적재위치에서 도 26의 루프랙을 보여주고 있다.
도 31은 두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이동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32는 루프가이드 부분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33은 루프가이드를 위한 슬라이드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34는 슬라이드와 이동부재를 구비한 도 32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5 상기 슬라이드 상에 이동부재가 배치된 도 34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6은 루프가이드, 차량필라가이드 및 지지프로파일의 부분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37은 또 다른 이동부재 위치에서 도 36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8은 또 다른 이동부재 위치에서 도 36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9는 또 다른 이동부재 위치에서 도 36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0은 또 다른 이동부재 위치에서 도 36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이동루프랙을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것은 특히 접이식 루프박스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수하물에도 적합하다(미도시). 도1을 살펴보면 전방 횡방향레일(104b)과 후방 횡방향레일(104a)이 루프랙의 수송수단(수송장치)으로 제공되며, 차량루프(230) 상에 배치되고, 또는 좌측 B-필라(101a)와 우측 B-필라(101b)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좌측 C-필라(102)의 상부로부터 우측 C-필라(102b)의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B-필라(101a, 101b)는 실제로 수직으로 나란히 연장되며 반면에 상기의 두 개의 C-필라 (102a, 102b)는 뒤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볼 때 비스듬하게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횡방향레일(104a)은 루프상의 짐 또는 루프박스(미도시)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다. 상기 두개의 횡방향레일(104a, 104b)의 끝단(단부)부에는 두개의 차량루프바(103a, 103b)가 차량루프(230)의 루프가장자리의 장축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은 주행위치에 있으며 차량루프(230)의 전체 루프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서 면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통합한 외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두개의 차량루프바(103a, 103b)는 상기 차량루프(230)와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의 전방 높이를 고려하여 구비되며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루프 가장자리로 상기 종단방향에서 가로질러 횡단가이드(180)가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차량루프(130) 주위로 상기 차량루프바(103a, 103b)와 횡단가이드(180)에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접이식 루프박스(미도시)가 배치된다. 여기서 루프박스는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에 연결되며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과 함께 작동된다. 상기 접이식 루프박스는 차량루프바(103a, 103b)와 횡단가이드(180)와 함께 같은 높이로 맞추어 지며 전체적으로 통합된 외형을 이룬다.
도 2는 상기 확장되는 수평 횡방향레일(104a, 104b)의 부품을 도시하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다시 말해서 주행위치로부터 적재위치까지 상기 수송수단(수송장치)의 프로세스 과정이 시작되고 진행중인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확장은 짐 또는 루프박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처음에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로 횡단방향으로 수평으로 움직이기 위해 이용된다. 여기서 차량루프바(103a)는 외측으로 선회하여 약 90도까지 확장될 수 있다.
도 3은 수평으로 완전히 확장되거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횡방향레일(104a, 104b)을 도시하는 도 1의 사시도이다.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을 움직여 확장함에 있어서 거의 U자 오목부형태의 루프가이드(114a, 114b)가 구비된다. 확장시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은 상기 루프가이드(114a, 114b)의 일단부(한쪽 끝단(단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다른 끝단(단부)부)는 지지프로파일(115, 116)에 연결되어 작동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은 상기 필라(101, 102)의 하단부에 한쪽은 힌지로 연결되며 다른 한쪽은 상기 횡방향레일(104)의 하단부에서 상기 횡방향레일(104)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B-필라(101)의 상기 지지프로파일(115)과 C-필라(102)의 상기 지지프로파일(116)은 차량루프바(103a)와 함께 분리가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의 차량루프바(103)는 상기 횡방향레일(104a, 104b)과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상단부와 함께 외부로 내려졌을 때 펼쳐진다. 상기 C-필라(102)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프로파일(116)의 상단부와 상기 횡방향레일(104a)의 외부 사이의 연결부는 간격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횡단이동 상태에서 B-필라(101)와 C-필라(102)의 다른 각도위치 또는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회동축 지지가 균형을 잡게 된다.
도 4는 수직으로 부분 하향위치를 포함하여 수평으로 완전히 확장된 횡방향레일(104)의 상세 사시도를 보여줍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처음에는 루프를 따라 옆으로 루프가이드(114)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 덮개(커버)(115, 116)는 상기 필라(101, 102)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텔레스코핑방식으로 길이방향으로 조절되며 특히 2단 텔레스코핑 암으로 구성된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은 횡방향레일(104)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펼쳐지는 동안 횡방향레일(104) 보다 더 길게 펼쳐진다.
상기의 수평 루프가이드(114)는 상기 차량필라(101, 102)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차량필라가이드(111, 112)를 통해 수직으로 굽어져 있다. 도10에서 B-차량필라가이드(111)는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처음에는 수평으로 상기 루프가이드(114)로 부터 구동되어 상기 차량루프바(103)와 함께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에서 수직하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횡방향레일(104)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루프랙은 차량의 어느 한쪽 사이드로 내려질 수 있고 수직으로 적재 또는 하적(언로딩)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루프(230)로부터 차량 옆으로 짐을 이동하여 내릴 수 있도록 편안하고 편리한 루프랙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수송수단의 적재위치에 적재(적하,로딩) 또는 하적(언로딩)후 프로세스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짐은 차량루프(230) 위로 이동된다. 간단한 실시 예로서 상기 이동프로세스는 수동으로 작동되며 차량의 뒷문처럼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좀더 복잡한 실시 예로서 프로세스의 이동수단으로는 전기, 공압 및/또는 유압구동 및 자동으로 작동되는 제어유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과 횡방향레일(104)이 전개 또는 확장되는 동안 다른 차량 또는 벽면에 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리센서가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거리센서는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5는 도 2에서 처럼 부분적으로 수평 확장된 횡방향레일(104)의 상세 사시도로서 상기 횡방향레일(104)의 끝단(단부)에 바닥이동수단(121)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은 이동수단(미도시), 바퀴 또는 롤러과 함께 상기 상단의 가이드(114) 내에서 미끄러져 이동된다. 도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레일(104)의 미확장 위치에서 바닥이동수단(121)은 차량루프바(103)의 수용개구(133) 안으로 안착된다. 이 위치에서 횡방향레일(104)의 밑면은 상기 루프레일(114)의 면에 멈추고 상기 수용개구(133)는 밀폐부재로서 밀폐수단(107)에 의해 닫혀진다. 밀폐수단(107)은 밀폐부재로서 목적(미도시)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이 상기 횡방향레일(104)과 비교하여 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확장하는 동안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들려져서 이동된다. 편향되어 확장되는 스프링(109)에 의해 들려짐에 따라 각도부재(108)는 확장시 밀폐수단(107) 아래쪽에 위치하고 밀폐수단(107)을 누르게 된다. 상기 밀폐수단(107)은 자전거 캐리어 또는 짐칸(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개구(124)를 구비한다.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구동되거나 당겨지며 여기서 단지 한가지 방법으로서 방향에 따라 두 개 케이블(105)의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105)은 수용개구(133)를 거쳐 지나간다. 상기 케이블(105)은 캐리어 구동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압 또는 유압호스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블(105)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전기를 통해 조명수단을 제공하는 전력선 이다.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차량의 다른 사이드로 내려질 수 있다. 단지 한쪽 측면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적재와 하적은 차량의 다른 측면에서 가능하다.
도 6은 바닥이동수단(121)를 구비한 횡방향레일(104)이 주행위치에서 이동부재(160)로 구성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과 함께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도5에서 도시된 횡방향레일과 유사하다. 도6을 살펴보면 상기 밀폐수단(107)과 수용개구(133)가 밀폐되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은 상기 수용개구(133)에 배치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루프(230)에 안착된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의 끝단(단부)에는 바퀴(122)가 구비된다. 이 바퀴(122)는 고정플레이트(123) 상에 지지되고 한편으로는 케이블(105)이 돌아서 안내되는 편향된 롤러(125)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105)은 밀폐수단(107)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05)을 당김으로서 바닥이동수단(121)의 바퀴(12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23)를 누르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3)는 수용개구(133)가 구비된 차량루프바(103)의 내부에 연결된다. 상기 바퀴(122)가 고정플레이트(123)로 누름에 따라 차량루프바(103)는 차량루프바힌지(181)를 중심점으로 외부로 회동한다(도 7). 이와 같은 회동운동은 상기 차량루프바힌지(181)에서 처럼 선택적으로 소형엔진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레일(104)은 차량루프(230)으로부터 들려진다. 도 6에서 도시되어 있는 주행위치에서 상기의 횡방향레일(104)은 아직 상기 차량루프(230) 위에 놓여있게 된다.
도 8은 떠있는 상태의 횡방향레일(104)과 바닥이동수단(121)이 배치되어 있는 정면도이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은 짧은 판부재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것은 상기 횡방향레일(104)과 함께 바닥이송수단조인트(126)에 의해 연결되어진다. 상기 바닥이동수단(121)의 끝단(단부)에는 바퀴(122)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의 바퀴(122)는 상부개구식 C-프로파일로 구성된 루프가이드(114)와 연결된다. 상기 바퀴(122)는 상기 루프가이드(114)의 바닥과 두 개의 짧은 날개로 둘러 싸여져 있는 개구부(1143)를 따라서 상기의 바닥이동수단(121)은 루프의 상부 루프가이드(114)를 이탈할 수 없고 단지 루프가이드(114)를 따라 이동된다.
도 9는 이동루프랙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차량의 사시도 이다. 상기 차량은 전형적인 전방B-필라(201), 후방C-필라(202) 및 차량루프(230)를 구비한 차량이다. 개략적으로 사각 수송프레임(250)으로 디자인된 상기 루프랙을 위하여 이동식으로 상기 차량루프(230) 위에 고정되고 루프박스 부착을 위한 적당한 수단을 갖춘 수송수단이 제공된다. 도9는 주행위치에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도시한다. 이 주행위치에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루프면과 같은 높이에 놓인다. 이를 위하여 적당한 형상의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이 상기 차량루프안착부(미도시)에 고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상기 차량루프(230)에 조립되어 시각적으로 현저한 오류가 없어야 한다. 적재 또는 하적을 위해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수평과 수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경우 가이드(214, 211, 212)를 도시하고 있으며 차량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명료하게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가이드(214, 211, 212)는 루프상의 안착면 또는 필라(201, 202)와 같이 요부면 내에서 레일 또는 트랙처럼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전방루프가이드(214a)와 후방루프가이드(214b)로 구성된 루프가이드(214)는 거의 루프에지(231)를 따라서 연장되어 제공된다. 상기 전방루프가이드(214a)의 양끝단(단부)은 B-필라(201)를 따라서 거의 수직하방으로 각도를 갖는 C-차량필라가이드(211)와 연결되고 상기 후방루프가이드(214b)는 위에서 아래로 봤을 때 후방으로 C-필라(202)를 따라서 경사진 C-차량필라가이드(212)와 연결된다.
도 11은 도 2에서 보여주고 있는 상기 가이드(214, 211, 212)와 함께 상기 가이드(214, 211, 212)위에 보이는 가동식인 이동식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루프의 지지부내에서 오목부 또는 레일 또는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는 안내홈부(251) 위에 구비된다. 또한 이음부재(221)로써 형성된 4개의 바닥이동수단(121)이 제공되는데, 이들 바닥이동수단(121)은 일측이 루프가이드(214)와 차량필라가이드(211, 212)에 타측이 프레임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의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상기 이음부재(221)에 의해 같은 방법으로 이동식 차량루프(230)와 연결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주행위치에서 상기 4개의 이음부재(221)는 도11과 같이 상기의 B-필라(201)와 C-필라(202) 부위에 위치한다.
만약에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이 이동될 수 있다면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이음부재(221)를 지지하는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에 의해 처음에는 살짝 들려져서 위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도 11에서는 이렇게 살짝 올려진 위치에 있는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이 도시되어 있다.
위로 들려진 후 상기 2개의 이음부재(221a)는 차량의 우측에 고정되고 나머지 2개의 이음부재(221b)는 좌측에 고정된다. 상기의 과정은 상기 2개의 이음부재(221a)가 우측에 고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음부재(221)가 지지프로파일(215, 216)과 함께 고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과정은 도12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전방루프가이드(214a)의 이음부재(221b)는 전방에서 이동되고 상기 후방루프가이드(214b)의 이음부재(221b)는 후방에서 이동된다. 상기 루프에지(231)와 루프가이드(214)로 구성되는 영역은 개략적으로 차량방향의 종단축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221b)는 상기 루프가이드(214a, 214b)의 곡률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그리고 차량의 종단축에 수직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음부재(221)의 이동은 예를 들어 서보모터 또는 로프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사각형의 루프가이드(214a, 214b)의 루프의 중앙부 가장자리로 돌아서 상기의 이음부재(221b)가 도달되면 전체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차량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도12에서 알 수 있다. 상기 이동은 필라(201, 202)의 하단부에 관절로 연결된 지지프로파일(215, 216)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상기 두개의 지지프로파일(215, 216)은 회동축으로 상단부에 두개의 이음부재(221a)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두개의 지지프로파일(215, 216)은 필라(201, 202)를 외부로 펼쳐지게 한다. 지지프로파일(215, 216)의 상기 이음부재(221a)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우측으로 루프에지(231)의 오른쪽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 수평하게 이동된다.
도 13에서는 상기 두개의 이음부재(221b)가 차량의 종단방향으로 루프를 따라 배치된 루프가이드(214)를 따라 안내되어 다시 필라(201, 202)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루프평면에서의 이러한 이동에 이어서 이음부재(221b)는 상기 두개의 차량필라가이드(211, 212)를 따라 이동되며 하향으로 기울어진 C-필라의 경우 수직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프로파일(215, 216)은 계속해서 접혀진다. 지지프로파일(215, 216)이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길이는 펼쳐지는 동안 더 길게 조절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적재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직하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처음에는 차량루프(230) 위에서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수납되어 있다가 수직방향으로 차량의 한쪽 사이드로 내려진다. 한편, 적당한 루프박스, 예를 들어 짐칸이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에 부착되거나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상기 루프랙은 차량의 한쪽 또는 다른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내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적재 또는 하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안하고 편리한 루프랙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루프(230)로부터 차량의 한쪽 사이드로 짐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적재 또는 하적 후에 상기의 프로세스는 반대로 진행될 수 있으며 짐은 상기 차량루프(230) 위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7은 지지프로파일(115)의 측면 사시도로서 이 지지프로파일(115)은 차량필라(101)로부터 회동하여 분리되고 조인트를 축으로 회동하는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가 지지프로파일(115)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은 3단 텔레스코핑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필라(101)와 차량필라가이드(111)가 제공되며 이것에는 좌우측 레일을 포함하고 있다. 확장상태의 지지프로파일(115)은 양쪽 사이드에 차량필라(111)의 두개의 측면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차량필라(101)로 회동하여 수용된다. 상기의 차량필라가이드(111)는 이것에 가로지르는 루프가이드(114)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와 루프가이드(114) 양쪽 모두는 각각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끝단(단부)에는 로킹장치(140)가 제공되며 이 로킹장치(140)는 이동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두개의 서로 평행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앙연결부재(16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횡방향바(161)를 구비한다. 상기 횡방향바(161)는 해당되는 프로파일, 특히 반원형 프로파일에 맞물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도시화된 루프가이드(114)는 해당되는 프로파일로서 구성된다. 상기 로킹장치(140)는 하단의 크로스바인 횡방향바횡방향바(161)가 맞물려 지는 돌기(141)를 포함한다. 특히, 두개의 돌기(141)는 서로 잘 맞추어져 있으며 중앙연결부재(162)와 이동부재(160)의 폭에 걸리도록 되어있으며, 지지프로파일(115)의 횡단방향에 있는 이동부재(160)가 로킹장치(140)와 함께 작동되도록 안착된다. 누가 봐도 알 수 있듯이 좌측의 안착부는 돌기(141)이며 그래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로킹장치(140)에 끼워지거나 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18에서부터 도 21에서는 상기 루프랙의 더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루프랙은 사각수송프레임(250)으로써 구성된 지지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상에 부착되는 루프박스(260)는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할 수도 있다.(도 18 참조) 도 19에서부터 도 21에서는 상기 루프박스(260)는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다. 상기 루프박스(260)는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끝단(단부)은 안정화프로파일로 구성된 지지로드(117)와 연결된다. 도 18과 도 19는 주행위치에서 비회동 상태의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이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의 우측 종단바(252)에 나있는 전용구멍 또는 오목부(미도시)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프로파일의 횡단바(253) 안쪽에는 안내홈부(251)가 제공되며 이 안내홈부(251)은 상기 종단바(252)의 종축단 인접부에서부터 횡단바(253)로 횡단바(253) 중간에 길게 뻗어나 있다. 상기 지지로드(117)는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끝단(단부)에 연결되는 지점을 지나 양쪽 사이드로 뻗어져 있으며 사각수송프레임(250)의 횡단바(253)의 안내홈부(251)에 있는 끝단(단부)면에 맞물린다.(도20과 도21 참조). 주행위치(도18과 도19 참조)와 적재위치(도21 참조)에서 횡단이동할때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상기 루프랙의 우측 사이드를 기준으로 처음에는 거의 수평을 이룬다. 측면으로 이동하는 이동동안 지지로드(117)은 안내홈부(251)과 안내홈부(251)의 끝단(단부)에 접하는 우측 종단바(252) 내에서 이동되며 거의 횡단바(253)의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로드(117)가 종단바(252)의 끝단(단부)에 도달되면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상기 차량루프(230)에서 측면으로 이동되고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160)는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내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부재(160)은 사각수송프레임(250)의 좌측 종단바(252)에 연결된다.
움직이는 지지로드(117)를 구비한 본 실시 예의 장점은 지지프로파일(115, 116)상에 배치되어 루프박스(260)에 작용하는 힘이 적재위치에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의 무게중심에 가깝게 작용하고 우측 종단바(252) 영역이 아니라 개략적으로 사각수송프레임(250)의 중간부분 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어서 차량루프(230) 위에 있는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루프가이드(114)를 통해 더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루프가이드(114)는 횡단가이드(180) 위로 돌출되는 전후방의 각각의 차량루프(230)의 트레이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의 루프가이드(114)에는 길게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루프가이드(114)는 사각수송프레임(250)의 횡단바(253) 각각의 외부에 배치되고 핀(254)과 맞물리게 된다.
도 22-25에서는 이동루프랙에 대하여 도 18~21에서 구성된 발명과 유사한 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8~21에서 구성된 발명과 달리 본 실시 예의 상기 루프랙은 추가로 지지부재(170)를 포함하여 도22~25에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170)는 다수의 개별조각(171)을 구비한 사각면으로 구성된다. 구부릴 수 있는 일단의 접촉면의 상기 개별조각(171)은 특히 회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며 함께 연결되어 트레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주행위치(도22와 도23 참조)에서 상기 지지부재(170)는 정확히 오목부(175)에 위치하며 횡단가이드(180)에 제공된다.
상기 오목부(175)는 상기의 지지부재(170)가 차량의 종단방향에 가로질러 횡단하여 이동됨에 따라 이동경로로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70)의 한쪽 끝단(단부)이 차량루프(230)의 한쪽 모서리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주행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170)는 차량루프(230)의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지지부재(170)의 바깥쪽 끝에 있는 개별조각(172)은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 상에 있는 구동수단(미도시)에 대한 정지수단(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정지수단과 구동수단에 대한 역배치는 누구나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부분(171)은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유연한 재료롤 만들어질 수 있어서, 추가적인 유연성이 제공되게 된다.
도 26~30은 루프랙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사각수송프레임(250)이 제공된다. 도 26에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주행위치에 있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은 격판필라(118)가 덮혀지는 것과 같이 차량조작에 의해 덮혀져 있다.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은 루프가이드(114) 위에 지지된다. 도27에서 이동부재(16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볼 수 있다. 이동부재(160)는 지지프로파일의 상단부에 각각 제공되며 4개의 이동부재(160)가 B-필라와 C-필라 2개 모두에 제공된다. 사각수송프레임(250)의 추가 이동시, 먼저 후방의 2개의 이동부재(160)가 루프가이드를 따라 이동된다. 도 28에서는 먼저 구동되는 차량루프의 전후방을 기준으로 차량 종축방향에 놓이는 2개의 후방 이동부재(160)를 볼 수 있으며 모서리부분의 곡률을 따라 이동되어 종축방향을 기준으로 횡축방향으로 전방 이동부재(160)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 후방 이동부재(160)가 루프가이드(114)의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의 중앙에 위치하는 지점을 통과할 때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상단부는 그와 각각 연결된 차량필라(101, 102)로부터 떨어져 회동하기 시작한다.(도29 참조)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과 사각수송프레임(250) 사이의 연결은 전방 이동부재(160)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30에서는 적재위치에서 상기 사각수송프레임(250)을 보여준다. 상기 후방 이동부재(160)는 이미 상기 루프가이드(114)로부터 떨어져 나와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에서 위에서 아래로 하단부로 차량필라가이드(111, 112)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116)의 텔레스코핑암은 이 지점에서 최대로 확장된다.
도 31은 도 22~30에서 처럼 본 실시 예의 이동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이송부재상부(163)와 이송부재하부(164)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이송부재상부와 이송부재하부(163, 164) 각각은 가로방향으로 뻗어진 횡방향바(161)를 구비하고 있다. 두개의 가로방향 횡방향바(161)의 직경은 가이드와 안내홈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로드로 연결되어 진다. 상기 횡방향바(161)에 연결된 중앙연결부재(162)는 2개의 부픔 이송부재상부와 하부(163, 164)로 구성되며 중앙연결부재(162)의 중간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중앙연결부재(162)는 힌지연결부(165a, 165b) 내부로 마감되어 있으며 이 힌지연결부(165a, 165b)는 이동부재(160)의 2개 부품 이송부재상부와 하부(163, 164) 사이에 힌지(165) 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힌지(165)은 회전고리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2개 부품의 이송부재상부와 하부(163, 164)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상기 이동부재가 휘어진 곡률부분, 모서리 등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다.
도 32~35는 루프가이드(114), 이동부재(160), 슬라이드(190)와 관련된 루프부의 상세도이다. 상기 루프가이드(114)는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와 루프가이드종단부(11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루프가이드종단부(1142)는 위로 개통되어 있는 원형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부와 하부 횡방향바(161)를 포함하고 있으며 2개의 횡방향바(161)는 중간판재(16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 횡방향바(161)는 종축의 루프가이드(114)에서 루프가이드종단부(1142)와 확실히 맞물릴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져 있다. 위로 개통되어 있는 프로파일에 의해 종축방향 가이드의 중간판재(166)는 루프가이드종단부(1142)로부터 위로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루프가이드종단부 (1142)를 따라서 하부 횡방향바(161)로 이동된다.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와 루프가이드종단부(1142) 사이에 교차점에는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의 수용개구(1143)가 제공된다. 루프가이드종단부(1142)의 이동부재(160)의 하부 횡방향바(161)는 루프가이드횡단부 (1141)에서 이 수용개구(1143)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U-프로파일과 함께 레일로서 형성된 상기 루프가이드종단부(1142)에는 슬라이드(190)가 배치된다. 도33에는 상기 슬라이드(190)에 대한 상세도를 보여준다. 상기 슬라이드(190)는 이동부재(160)의 하부 횡방향바(16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소켓을 구비한다. 소켓(191)의 양쪽 사이드에는 연결부재(192)가 면하고 있으며 연결부재(192) 끝단(단부)에는 바퀴(19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바퀴(193)로 슬라이드(190)는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35에서는 상기 슬라이드(190)에 맞물려 있는 이동부재(160)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시말해 상기 이동부재(160)의 하부 횡방향바(161)가 슬라이드(190)의 소켓(191)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슬라이드(19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루프가이드횡단부(1141)의 이동과 루프가이드종단부(1142)의 서로 다른 이동방향을 갖는 본 실시 예는 이동부재(16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쉬운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이동부재(160)는 간단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서로 회전할 수 있는 부품을 가지고 있는 2개의 부품구조가 아니다.
도 36~40에는 차량필라(101)의 상부가 지지프로파일(115)과 상기 차량필라(101)의 차량필라가이드(111)와 연속되어 있는 루프가이드(114)와 함께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2~35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의 상단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수용브라켓(113)과 함께 차량필라가이드(111)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160)를 도시하고 있다.(예로서 도 36, 도 37 및 도 39 참조) 상기 수용브라켓(113)은 상단부에서 승강실린더(1131)에 의해서 차량필라가이드(111)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로파일(115) 내부에는 수용장치(119)가 제공되며 이동부재(160)의 횡방향바(161)의 하부에 끼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수용브라켓(113)으로부터 상기 수용장치(119)로 갈아탈 수 있다.(도 37 참조) 상기 이동부재(160)가 수용장치(119)로 갈아탈 때, 상기 이동부재(160)는 기록장치(115)의 수용장치(119) 상에 확실하게 안착되어 지지프로파일(115)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는 요홈부를 구비하며(미도시), 이를 통해 이동부재의 하부 횡방향바(161)는 상기 지지프로파일(115)(도5 참조)의 회동에 의해 해제되며,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로 부터 외부로 도출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60)는 차량으로부터 지지프로파일(115)과 함께 회동된다. 게다가 이동부재(예로서 도39와 도40 참조)는 상기 수용브라켓(113)에 의해 받아진다. 그리고 차량필라가이드(111)를 따라서 차량필라가이드 하부로 이동된다. 이 경우가 적재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이다. 이로 인해  차량필라가이드(111)의 하부단부 쪽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60)가 주행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로파일(115)로부터 수용되는 이동부재(160)(도 38 참조)와 대향 배치된다.
101, 201 차량필라 (B-필라)
102, 202 차량필라 (C-필라)
103 차량루프바
104 횡방향레일
104a 전방횡방향레일
104b 후방횡방향레일
105 케이블
107 밀폐수단
108 각도부재
109 스프링
111 차량필라가이드
112 차량필라가이드
113 수용브라켓
1131 승강실린더
114 루프가이드
114a 후방루프가이드
114b 전방루프가이드
1141 루프가이드횡단부
1142 루트가이드종단부
1143 개구부
115 지지프로파일
116 지지프로파일
117 지지로드
118 격판필라
119, 140 수용장치
121 바닥이동수단
221, 221a, 221b 이음부재
122 바퀴
123 고정플레이트
124 개구부
125 롤러
126 바닥이송수단조인트
133 수용개구
141 돌기
160 이동부재
161 횡방향바
162 중앙연결부재
163 이송부재상부
164 이송부재하부
165 힌지
165a, 165b 힌지연결부
166 중간판재
170 지지부재
171 개별조각
172 끝단(단부)개별조각
175 오목부
180 횡단가이드
181 차량루프바힌지
190 슬라이드
191 소켓
192 연결부재
193 바퀴
200 차량
211 차량필라가이드
212 차량필라가이드
214 루프가이드
214a 전방루프가이드
214b 후방루프가이드
215 지지프로파일
216 지지프로파일
217 루프홈부
218 지지프로파일조인트
221 이음부재
230 차량루프
231 루프에지
250 사각수송프레임
251 안내홈부
252 종단바
253 횡단바
254 핀
260 루프박스

Claims (41)

  1. 화물을 수용하기 위해 특히 루프박스를 수용하기 위해 루프랙이 수송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수송장치는 주행위치 및 적재위치 사이에서 이동 할 수 있는 차량용 이동 루프랙에 있어서,
    상기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에서 상기 수송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이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차량의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배치되고 상기 수송장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제1 단부가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와 및/또는 제2 단부가 상기 수송장치와 특히, 링크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의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의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회전운동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200)에 대하여 상기 루프랙이 상기 차량(200)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위치는 주행위치보다 하부에 및/또는 상기 적재위치는 상기 주행위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은 차량(200)의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에 로딩장치, 특히 루프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수송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은 상기 수송장치가 차량(200)의 양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루프가이드(114, 214)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이 배치되어 있는 차량필라(101, 102, 201, 202)의 상부로부터 차량(200)의 차량루프(230)상에서 외부로 연장하며, 상기 수송장치 또는 상기 수송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루프가이드(114, 214)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이드(114, 214)는 전방루프가이드(114a, 214a) 및/또는 후방루프가이드(114b, 214b)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루프가이드(114a, 214a)는 차량(200)의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차량필라(101, 201), 특히, 2개의 B-필라의 2개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차량루프(230)상에서 차량(200)의 종방향축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며, 상기 후방루프가이드(114b, 214b)는 차량(200)의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차량필라(102, 202), 특히 2개의 C-필라의 2개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차량루프(230)상에서 차량(200)의 종방향축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이드(114, 214)는 전방루프가이드(114a, 214a) 및/또는 후방루프가이드(114b, 214b)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루프가이드(114a, 214a)는 차량(200)의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차량필라(101, 201), 특히 2개의 B-필라의 2개의 상부 사이에서 대략 상기 차량(200)의 차량루프(230)의 루프에지(231)를 따라 연장하며, 상기 후방 루프가이드(114b, 214b)는 차량(200)의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차량필라(102, 202), 특히 2개의 C-필라의 2개의 상부 사이에서 대략 상기 차량(200)의 차량루프(230)의 루프에지(231)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는 하나 이상의 횡방향레일(104), 하나 이상의 종방향레일 및/또는 하나의 사각수송프레임(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상에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그 길이가 특히 텔레스코핑식에 적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특히 텔레스코핑암으로, 바람직하게는 이중 텔레스코핑암, 삼중 텔레스코핑암 또는 사중 텔레스코핑암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하부에서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에 의해 특히 차량의 도어를 상기 차량필라에 고정되는 영역에서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는 피봇핀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핀은 특히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가 C-필라로 형성된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배치되는 경우,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의 상부는 이동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장치(119,14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상기 수송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수송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 사이를 링크식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제 1단부가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와, 및 또는 제 2단부가 상기 수송장치와 특히, 링크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119,140)는 로킹장치(119,140)를 포함하며, 이 로킹장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60)는 선택적으로 릴리즈되거나 상기 수용장치(119,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클리어런스(틈새)를 갖고 상기 수용장치(119,14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이 구비되는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는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가 구비되며, 이 차량필라가이드는 특히 각도를 두고 루프가이드(114,214)와 연결되며, 상기 수송장치는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특히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는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따라 연장하며, 차량필라커버가 구비되며, 이 차량필라커버는 적어도 소정의 이동위치, 특히 주행위치에서 적어도 한 개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 및/또는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를 덮으며, 차량(200)의 본체형태에 맞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1. 제8항 내지 제 20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 및/또는 루프가이드(114,214) 및/또는 상기 수송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프로파일은 특히 U-프로파일, L-프로파일, 반원형 프로파일, C-프로파일, T-프로파일 또는 파이핑-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수송장치 및/또는 차량필라가이드차량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 및/또는 루프가이드(114,214)와 연결되며, 상기 수송장치를 상기 프로파일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단부면에서 프로파일-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의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단부면은 중간판재(166)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대응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간판재는 복부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부형상의 돌기는 특히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이동부재부분(163,164)의 각각은 프로파일-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이동부재부분(163,164)은 링크식으로 및/또는 슬라이드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6. 제8항 내지 제 25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 및/또는 루프가이드(114,214) 및/또는 상기 수송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19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190)는 상기 차량필라가이드(111, 112, 211, 212)를 따라 및/또는 루프가이드(114,214)를 따라 및/또는 상기 수송장치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슬라이드(190)와 함께 이동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의 차량본체 및/또는 상기 루프랙에 이동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개구(133)가 주행위치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수용개구(133)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가 상기 주행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주행위치를 이탈할 때 또는 상기 주행위치에 복귀할 때 특히 상기 밀폐수단을 개방 및/또는 폐쇄 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부재에는 화물장치, 특히 루프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의 일 측에 2개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이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안정화프로파일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안정화프로파일은 접이식 차량루프바(103) 또는 지지로드(1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117)는 자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로드(117)가 상기 수송장치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 자유단부는 상기 수송장치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의 상기 차량루프(230)는 상기 루프랙을 수용 및 가이드를 위한 루프홈부(2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를 이동하기 위해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을 텔레스코핑식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드라이브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드라이버는 공압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전기모터, 중력식 드라이브, 윈치 및/또는 스프링에너지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너지소비장치에서 특히 구동드라이브에서 상기 루프랙에 공급하기 위해 및/또는 에너지소비장치에서 상기 루프랙상에 배치되어 있는 로딩장치, 특히 루프박스에 에너지 공급하기 위해, 상기 루프랙의 구성요소를 따라서 또는 상기 구성요소의 내부로 연장하는 공급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라인은 특히 도어의 공급라인, 트렁크커버, 후방윈도우에 배치된 와이퍼 또는 차량의 엔진룸의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200)의 상기 차량루프(230) 및/또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특히 지지부재(170)가 구비되며, 이 지지부재는 상기 수송장치를 적재위치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70)는 상기 차량(200)의 상기 차량루프(230) 및/또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수송장치와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70) 및/또는 상기 수송장치에는 상기 지지부재(170) 및/또는 상기 수송장치에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70)는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70)의 각 부분은 이동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170)는 상기 지지부재(170)를 변형시키기 위해 탄성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장치를 주행위치에서 적재위치로 또한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8. 제13항 및 제14항으로 돌아가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그 길이가 특히 텔레스코핑식에 적응되도록 형성되며, 즉 텔레스코핑식으로 적합하게 형성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하부에서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에 의해 특히 차량의 도어를 상기 차량필라에 고정되는 영역에서 상기 차량필라(101, 102, 201, 202)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상기 지지프로파일조인트(218)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의 상부는 이동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장치(119,14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은 상기 수송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의 이동 중에 상기 수송장치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의 길이의 조절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행위치와 적재위치 사이의 이동프로세스의 각 시점에 따라 소정의 위치변수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로파일(115, 116, 215, 216)의 길이의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루프랙.
  39. 차량의 루프에 있어서,
    루프(230)에는 특히 상기 루프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랙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230)는 상기 루프랙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1. 차량(200)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가능한 루프랙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및/또는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47004049A 2011-07-17 2012-07-17 차량용 이동 루프랙 KR102027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891.6 2011-07-17
DE201110051891 DE102011051891A1 (de) 2011-07-17 2011-07-17 Dachbox und verfahrbarer Dachgepäckträger für Kraftfahrzeuge
DE102011054802.5 2011-10-25
DE102011054802 2011-10-25
DE102011055543.9 2011-11-21
DE102011055543 2011-11-21
DE102011055848 2011-11-29
DE102011055847.0 2011-11-29
DE102011055847 2011-11-29
DE102011055848.9 2011-11-29
PCT/EP2012/064039 WO2013011042A1 (de) 2011-07-17 2012-07-17 Verfahrbarer dachgepäckträger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198A true KR20140059198A (ko) 2014-05-15
KR102027016B1 KR102027016B1 (ko) 2019-09-30

Family

ID=4658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049A KR102027016B1 (ko) 2011-07-17 2012-07-17 차량용 이동 루프랙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21719B2 (ko)
KR (1) KR102027016B1 (ko)
CN (1) CN103796876B (ko)
WO (1) WO2013011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684B3 (de) * 2015-07-07 2016-11-03 Süddeutsche Aluminium Manufaktur GmbH Dachreli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Dachreli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chreling
IL242779A0 (en) * 2015-11-25 2016-11-30 Israel Aerospace Ind Ltd A vehicle with a support mechanism for moving objects
WO2017134047A1 (de) * 2016-02-01 2017-08-10 SEs Solutions GmbH Faltbarer dach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CN105937309B (zh) * 2016-03-02 2018-07-13 浙江大学 基于公交车的公共自行车区间管理系统
US10780837B2 (en) * 2016-12-14 2020-09-22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ack with loading apparatus
US10131286B2 (en) * 2017-01-19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rack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1447074B2 (en) * 2018-08-21 2022-09-20 Noah MALGERI Laterally extensible accessible vehicle cargo rack
US11414020B2 (en) * 2019-05-22 2022-08-16 Ruck Manufacturing LLC Retractable load carrier system for a vehicle
CN113993745A (zh) * 2019-06-25 2022-01-28 尹南浩 车辆用多关节升降车顶行李架
CN114347912B (zh) * 2022-02-23 2024-01-26 湖南六九零六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皮划艇用车顶固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006A (en) * 1969-01-23 1970-09-29 Roy H Farchmin Cartop carrier
JP2003002126A (ja) * 2001-06-20 2003-01-08 Kayaba Ind Co Ltd キャリ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774A (en) * 1968-07-10 1970-07-28 Kenneth A Raypholtz Loading apparatus for vehicles
US3762587A (en) * 1972-05-18 1973-10-02 R Longee Boat loading carrier for pickup mounted campers
US4329100A (en) * 1978-07-21 1982-05-11 Golze Richard R Roof top carrier
US4339223A (en) * 1978-07-21 1982-07-13 Golze Richard R Roof top carrier
US4439086A (en) * 1982-07-01 1984-03-27 Thede Ralph W Boat loader
US4682719A (en) * 1984-01-30 1987-07-28 Pivot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top carrier
US5154563A (en) 1990-07-12 1992-10-13 Phillips J Rodney Wheel chair carrier
DE4122823C2 (de) * 1991-07-10 1995-05-24 Hs Tech & Design Hubvorrichtung zum Anheben und Absenken eines Fahrrades an einem Dachträger eines Kraftfahrzeugs
US5346355A (en) * 1991-12-02 1994-09-13 Edwin Riemer Roof top carrier
DE4407510A1 (de) * 1994-03-07 1995-09-14 Hymer Leichtmetallbau Fahrradträger zur Dachmontage auf Kraftfahrzeugen
DE4421030C1 (de) 1994-06-16 1995-07-13 Daimler Benz Ag Gepäckträger für ein mit einem Steilheck versehenes Kraftfahrzeug
US6308874B1 (en) * 1999-12-01 2001-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Roof rack assembly
DE20002018U1 (de) 2000-02-04 2000-05-11 Kreierhoff Bernhard Dachlastträger mit Hub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6338427B1 (en) * 2000-03-17 2002-01-15 Jac Products, Inc. Multi-position, articulating vehicle article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US6715652B2 (en) * 2000-03-17 2004-04-06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articles adjacent a liftgate of a vehicle
US6766928B2 (en) * 2000-03-17 2004-07-27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for supporting articles adjacent a liftgate of a vehicle
US20020084297A1 (en) * 2000-12-29 2002-07-04 Williams Bruce Preston Configurable roof rack system
US20040173651A1 (en) * 2001-09-25 2004-09-09 John Kim Configurable roof rack for automobiles
CA2447568C (en) * 2002-11-07 2011-07-12 Decoma International Inc. Side service storage apparatus
US6827244B1 (en) * 2003-01-07 2004-12-07 Sportrack Llc Extendable article carrier
SE531385C2 (sv) * 2005-06-03 2009-03-17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Lastbärare för fordonstak
US8322580B1 (en) * 2010-07-12 2012-12-04 Billy Hamilton Retractable cargo carrying device
EP2773533B1 (en) * 2011-11-02 2017-05-03 Paul Kevin Buller Load and lift roof r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006A (en) * 1969-01-23 1970-09-29 Roy H Farchmin Cartop carrier
JP2003002126A (ja) * 2001-06-20 2003-01-08 Kayaba Ind Co Ltd キャリ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1404A1 (en) 2014-05-15
CN103796876B (zh) 2018-04-10
US9821719B2 (en) 2017-11-21
KR102027016B1 (ko) 2019-09-30
WO2013011042A1 (de) 2013-01-24
CN103796876A (zh)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016B1 (ko) 차량용 이동 루프랙
US9193306B2 (en) Roof box, motor vehicle roof comprising a roof box,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a roof box
US6921492B2 (en)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cargo space door
US8474896B2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6641201B1 (en) Convertible bed cover for a vehicle
EP1882605B1 (en) Convertible vehicle body
US7568877B1 (en) Cargo handling apparatus
CN101516661B (zh) 具有支柱的可开车顶系统
US20060175368A1 (en) Modular roof cargo container movable to a rear loading position
US11951819B2 (en) Skeleton for truck bed and convertible top
EP0149648A1 (en) CONVERTIBLE CAR.
US8608219B1 (en) Power tailgate rack
US6427888B1 (en) Vehicle roof top luggage holder
US20020167193A1 (en) Sliding-bow folding up
RU2435679C2 (ru) Пере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крыши для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20050073167A1 (en) Motor vehicle with improved rear functionality
US6412847B2 (en) Motor vehicle with a displaceable cargo area
US11046159B2 (en) Skeleton for truck bed and convertible top
CN112141150B (zh) 车厢及具有其的车辆
US20090230720A1 (en) Openable roof system for a motor car
US20230303005A1 (en) Automated self-loading cargo carrier for vehicles
FI127146B (fi) Lavan suojapeitejärjestelmä
JP2000127766A (ja) トラック荷台の屋根装置
JP2006036000A (ja) 幌昇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幌付き車両
JPH0667490U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フォークリフト車両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