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853A -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853A
KR20140058853A KR1020120125200A KR20120125200A KR20140058853A KR 20140058853 A KR20140058853 A KR 20140058853A KR 1020120125200 A KR1020120125200 A KR 1020120125200A KR 20120125200 A KR20120125200 A KR 20120125200A KR 20140058853 A KR20140058853 A KR 2014005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guide groove
frame
lock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848B1 (ko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riority to KR102012012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CD, LED, PDP와 같은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어를 복수 개로 연결하여 대형 공연 내지 전시용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어를 지지할 뿐 아니라 복수 개의 행렬 구조로 디스플레이어를 접촉 배치시킬 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어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공차나 간극 없이 디스플레이어를 연결할 수 있고, 그 중 수리가 필요한 디스플레이어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 BRACKET FOR MULTI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CD, LED, PDP와 같은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어를 복수 개로 연결하여 대형 공연 내지 전시용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어를 지지할 뿐 아니라 복수 개의 행렬 구조로 디스플레이어를 접촉 배치시킬 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어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공차나 간극 없이 디스플레이어를 연결할 수 있고, 그 중 수리가 필요한 디스플레이어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어는 과거의 전자총 주사방식에 의한 CRT 형에서 기술의 꾸준한 발전에 힘을 입어 PDP, LCD, LED 패널을 이용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정에서는 스탠드 방식으로 거실장 등에 안착되어 설치가 되거나 아니면 벽에 걸어 벽걸이 방식으로 배치가 되고 있다.
그 중 공연 등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어는 대형 화면을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아직까지 60인치 이상의 대형 평면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어는 100인치 급까지 개발이 되어 있기는 하나 가격이 매우 비싸고 120인치 정도까지 개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대형화면을 이루기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이즈를 기본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행렬 구조, 즉 3*3, 4*4 등으로 배치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어를 무대, 공연장 등에 설치할 경우 기본 사이즈의 디스플레이어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없고,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교체하고자 할 때 주변 디스플레이어까지 떼어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교체 및 수선의 수고가 가중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197호가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설치물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일부재(60); 및 상기 레일부재(60)에 고정되고,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어(2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부재(26)가 설치부에 여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걸려지는 패널부재(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어(20)를 상기 레일부재(60) 및 패널부재(80)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중 중앙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어(20)를 분리하여 수리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와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어(20)를 밀어서 디스플레이어(20) 간의 간격을 넓힌 후, 그 사이를 통해 상기 패널부재(8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어(20)를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하나를 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어(20)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멀티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어도 디스플레이어와 디스플레이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장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어의 고장 시, 고장 난 디스플레이어를 원터치로 돌출시켜 분리할 수 있어 장착 및 수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디스플레이어의 타측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정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된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재와;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을 일정한 위치로 항시 복원되게 탄성력을 가해주는 지지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지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안내홈은, 시작점에서 제1방향전환점으로 연장형성된 제1안내홈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에서 상기 록킹점으로 연장형성된 제2안내홈과; 상기 록킹점에서 제2방향전환점으로 연장형성된 제3안내홈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에서 상기 시작점으로 연장형성된 제4안내홈;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안내홈, 상기 제2안내홈, 상기 제3안내홈, 상기 제4안내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되, 상기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전환점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시작점보다 먼 상기 안내부재의 외측방향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시작점보다 멀고,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 및 상기 제1방향전환점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시작점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내홈의 내면에 접하여 이동하되, 상기 제1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2안내홈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1안내홈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3안내홈과 상기 록킹점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2안내홈 및 상기 제1방향전환점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전환점의 깊이는, 상기 제3안내홈 및 상기 록킹점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4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제2방향전환점에서 상기 시작점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시작점의 깊이는, 상기 제4안내홈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홈의 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가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내면에 접하면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유지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지부재는 가스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스실린더;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어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일단보다 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스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가스실린더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와; 중간부분이 상기 제1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링크; 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성의 제1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성의 제2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 힌지 결합 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슬라이드공에 힌지 결합 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결합 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공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가압스프링과 상기 록킹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멀티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어도 디스플레이어와 디스플레이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어의 고장시, 고장 난 디스플레이어를 원터치로 돌출시켜 분리할 수 있어 장착 및 수리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가압스프링과 상기 록킹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멀티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어도 디스플레이어와 디스플레이어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어의 고장시, 고장 난 디스플레이어를 원터치로 돌출시켜 분리할 수 있어 수리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을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 및 분리가 유용하고, 고장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수리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걸림돌기, 상기 안내부재,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지지스프링의 의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원하는 상기 메인플레임만 원터치로 전방으로 돌출시키거나,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안내홈, 상기 제2안내홈, 상기 제3안내홈, 상기 제4안내홈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시작점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내홈의 내면에 접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 상기 록킹점, 상기 제2방향전환점 순으로 홈의 깊이가 깊어지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가 역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걸림돌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가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내면에 접하면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고정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과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안내홈의 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시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인프레임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경사진 벽면 또는 천장 등에 설치 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홈에서 이탈되지 않아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어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그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탈착하기 쉽고, 상기 디스플레이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가스실린더의 가스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스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가스실린더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스실린더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공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링크부재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가 어느 정도의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상관없이(경사진 벽면, 천장 등)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메인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메인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록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안내부재의 안내홈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B-B를 취해서 본 다단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가스실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가스실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메인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메인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록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안내부재의 안내홈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B-B를 취해서 본 다단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가스실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가스실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메인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링크부재(300), 가압스프링(400), 록킹부재(500), 회전부재(600) 및 유지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어(8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상의 제1슬라이드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상의 제2슬라이드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0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링크부재(300)의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링크부재(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하부로 처지지 않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310)와 제2링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3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320)는 중간부분이 상기 제1링크(310)의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310)와 상기 제2링크(320)의 중간부분이 서로 교차되게 장착되어 'X'자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X'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링크(310)와 상기 제2링크(320)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되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펴졌다 접어졌다 하여 벽체에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310)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형성된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에 슬라이드 되게 힌지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320)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에 슬라이드 되게 힌지 결합 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겹합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링크(310)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320)의 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에 슬라이드 되게 힌지결합됨으로써, 'X'자 형상으로 중간부분이 힌지결합된 상기 제1링크(310) 상기 제2링크(320)가 서로 펴졌다 접혔다 할 때, 즉,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링크(310)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320)의 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에 슬라이드 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링크부재(3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310)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320)의 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공(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210)에 슬라이드 되게 힌지 결합 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300)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00)가 어느 정도의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상관없이(경사진 벽면, 천장 등)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300)를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사면에 각각 장착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 부분에만 설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스프링(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스프링(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스프링(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링크부재(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상기 가압스프링(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만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사용상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스프링(400)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였다.
상기 록킹부재(5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재(5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 즉,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재(5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외력을 가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시키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외력을 다시 한 번 가하면 고정이 해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록킹부재(500)는 푸싱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5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디스플레이어(800) 중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에 외력을 가하면 고정이 해제되면서 상기 가압스프링(400)과 상기 링크부재(300)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시켜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만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분리하여 손쉽게 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재(500)는 도 7 및 도 8에 걸림돌기(510), 안내부재(520), 지지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51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일정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510)는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 좌우 어디로든 일정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안내부재(520)의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520)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부재(5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을 안내하는 안내홈(52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521)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했을 때,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삽입되어 안내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530)은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을 일정한 위치에 항시 복원되게 탄성력을 가해준다.
즉, 상기 지지스프링(53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일정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항시 일정한 위치로 복원되게 탄성력을 가해준다.
상기 지지스프링(5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5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거나 해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재(520)의 상기 안내홈(52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내홈(522), 제2안내홈(523), 제3안내홈(524), 제4안내홈(52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홈(522), 상기 제2안내홈(523), 상기 제3안내홈(524) 및 상기 제4안내홈(525)이 만나는 점은 시작점(P1), 제1방향전환점(P2), 록킹점(P3), 제2방향전환점(P4)이 된다.
상기 제1안내홈(522)은 상기 시작점(P1)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홈(523)은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에서 상기 록킹점(P3)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안내홈(524)은 상기 록킹점(P3)에서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안내홈(525)은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에서 상기 시작점(P1)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안내홈(522), 상기 제2안내홈(523), 상기 제3안내홈(524), 상기 제4안내홈(525)에는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스프링(530)의 탄성력 및 상기 가압스프링(400)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삽입되어 이동한다.
이때, 상기 시작점(P1)의 위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52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인접한 상기 안내부재(52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전환점(P2)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52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상기 시작점(P1)보다 먼 상기 안내부재(520)의 외측방향에 서로 대웅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방향전환점(P2)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은 상기 시작점(P1)을 기준으로 2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록킹점(P3)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520)를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상기 시작점(P1)보다 멀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P2) 및 상기 제2방향전환점(P4)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부재(520)의 안내홈(521)에는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시작점(P1)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이 해제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점(P3)이 상기 제1방향전환점(P2) 및 상기 제2방향전환점(P4)보다 상기 시작점(P1)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압스프링(400)을 가압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외력을 가해 상기 지지스프링(530)의 가압력을 극복시키지 않는 한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P3)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P2) 또는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시작점(P1)에 위치한 상태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을 걸어주는 것이 없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안내홈(522)의 깊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작점(P1)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홈(522)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1안내홈(522)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안내홈(524)과 상기 록킹점(P3)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1안내홈(522) 및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의 깊이는 상기 제3안내홈(524)과 상기 록킹점(P3)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안내홈(525)의 깊이는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에서 상기 시작점(P1)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작점(P1)의 깊이는 상기 제4안내홈(525)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방향전환점(P2), 상기 록킹점(P3), 상기 제2방향전환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상기 시작점(P1)의 깊이는 상기 제4안내홈(525)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522)은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상기 제4안내홈(525)은 상기 시작점(P1)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1안내홈(522)에서 상기 제4안내홈(525)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홈(521)에서 다른 안내홈(521)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면서 턱이 형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턱에 걸려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작점(P1)의 깊이는 상기 제4안내홈(525)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522)은 상기 제1방향전화점으로 상기 제4안내홈(525)은 상기 시작점(P1)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510) 타단은 깊이가 깊은 상기 제1안내홈(522)으로만 삽입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홈(521)에 따라 깊이를 다르게 하여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을 상기 안내홈(521)을 순차적으로 안내되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공지의 기술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을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520)는 상기 안내홈(521)의 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520)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외주면에 배면이 장착된다.
그리고 ㄷ'자 형상의 상기 걸림돌기(510)의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520)가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200)과 인접하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5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상기 걸림돌기(510)의 중간부분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ㄷ'자 형상의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부재(520)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521)의 내면에 접하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는 'ㄷ'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외주면에 상기 안내부재(520)의 배면이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록킹부재(500)를 손쉽게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10)의 일단과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부재(520)가 상기 안내홈(521)의 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을 따라 이동시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경사진 벽면 또는 천장 등에 설치 시) 상기 걸림돌기(510)가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지 않아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걸림돌기(510)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걸림돌기(510)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1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서, 상기 걸림돌기(510)가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스프링(400)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510)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와 상기 지지스프링(530)이 장착된 제1케이스(540)와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인출입되게 상기 안내부재(520)가 장착된 제2케이스(550)를 구성하여 상기 제1케이스(5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하고 상기 제2케이스(550)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록킹부재(500)를 장착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부재(500)는 상부에 두 개, 하부에 두 개를 장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보조프레임(81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위치에 상기 록킹부재(500)를 하나 이상 장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보조프레임(81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걸림돌기(510)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상기 안내부재(5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ㅈ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6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타측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상하 또는 전후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6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할 때, 상기 회전부재(600)를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타측을 힌지결합하여 힌지결합되지 않은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타측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배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배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상기 메인플레임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00)를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하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위치에 상기 회전부재(600)를 장착하여 상기 디스플레어의 일측을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하는 보조프레임(810)을 구성하였다.
이는 상기 보조프레임(8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어(800)를 상기 보조프레임(810)에 장착할 있게 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보조프레임(810)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케이스에 상기 회전부재(600)의 일부가 형성되게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케이스에 상기 회전부재(600)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케이스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810)을 구성하여 기존의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한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멀어진 상태일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즉,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플레이에 접한 상태일 때, 임의로 회전하여 벌어지지 못하게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벌어진 상태일 때, 임의 회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접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그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탈착하기 쉽고,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유지부재는 도 4,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스실린더(70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지부재는 내부에 내장된 가스에 의해 항시 길이가 길어지려고 하는 가압력이 있는 상기 가스실린더(7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60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600)에서 상기 일단보다 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실린더(70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00)가 상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전부재(600)를 기준으로 상기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장착된 상기 보조프레임(810)의 중간쯤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600)에서 상기 일단보다 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다.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이 상기 타단보다 상기 회전부재(600)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은,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작동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서로 접한 상태일 때,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와 결합된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된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200)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한 상태일 때,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력이 상기 고정프레임(200)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임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서로 접한 상태일 때,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길이가 길어지려고 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 방향 즉, 상기 고정프레임(200)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실린더(70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회전할 할 때에는 상기 가스실린더(700)가 길이가 천천히 늘어나기 때문에 부드럽게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가스실리더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 및 록킹부재(500)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록킹부재(500)의 작동과정에 대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작점(P1)을 통해 상기 제1안내홈(522)으로 삽입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홈(522)이 상기 시작점(P1)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가면서 깊이가 낮아지고, 상기 시작점(P1)의 깊이가 상기 제4안내홈(525)의 최소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제1안내홈(522)을 따라 이동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제1안내홈(522)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가압스프링(40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극복할 수 있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지지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원위치로 이동하려고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가압스프링(40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서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홈(523)으로 따라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홈(523)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의 깊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홈(522)의 최소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제1안내홈(522)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2안내홈(52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가압스프링(40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상기 록킹점(P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전환점(P2) 및 상기 제2방향전환점(P4)보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을 극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한다.
이러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제3안내홈(524)을 따라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점(P3)의 깊이와 상기 제3안내홈(524)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2안내홈(523)의 깊이보다 깊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록킹점(P3)에서 상기 제3안내홈(524)을 따라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점(P3)의 깊이와 상기 제2안내홈(523)의 깊이의 차이에 의해 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제2안내홈(523)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깊이가 같은 상기 제3안내홈(524)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시키고 나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는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을 받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의 상기 제4안내홈(525)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시작점(P1)을 지나 상기 안내홈(52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의 깊이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의 깊이가 상기 제3안내홈(524)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상기 제3안내홈(524)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4안내홈(525)으로 이동하여 상기 안내홈(521)을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부재(500)는 상기 걸림돌기(510)가 타단이 상기 안내홈(5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록킹부재(5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어(800) 장치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어(800) 사이의 간격은 최소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손가락 등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500)는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을 극복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즉,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P3)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어는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 중 하나가 고정이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외력에 의해 벽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전술한 바와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은 외력에 의해 극복되면서 상기 걸림돌기(510) 타단이 상기 제2방향전환점(P4)으로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에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돌기(510)는 상기 제4안내홈(525)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안내홈(521)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고장 난 디스플레이어(800)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링크부재(3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일정거리 즉,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다른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보다 전반으로 돌출될 정도만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밀어주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장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만 전방으로 간단하게 돌출시킬 수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어를 손쉽게 분리하여 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하부 즉, 상기 회전부재(6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가스실린더(700)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가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부드럽게 회전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프레임(81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분리한 후 고장 나지 않은 새 디스플레이어(800)를 장착하거나,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수리하게 된다.
이때, 간단한 고장이거나 전선 등의 접지 불량일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보조프레임(810)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볼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리가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의 일측을 외력에 의해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가압력을 극복하면서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하게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어(800)에 장착된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된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가스실린더(700)의 가압력이 상기 고정프레임(200)방향을 향하게 되면서 상기 디스프레이어의 일측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임의로 회전하여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어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한 상태가 되면, 사이 디스플레이를 벽체 즉, 상기 고정프레임(200)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어(800) 즉,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가압스프링(400)의 가압력을 극복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작점(P1)을 통해 상기 제1안내홈(5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방향전환점(P2)으로 이동한 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2안내홈(523)을 따라 록킹점(P3)에 위치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이 위치가 다른 상기 안내홈(521)을 따라 이동한 후에도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다시 시작점(P1)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안내홈(522)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지지스프링(530)이 상기 걸림돌기(510)의 타단을 탄성력으로 항시 원위치 즉, 상기 시작점(P1)에 삽입되는 위치로 복원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장 난 상기 디스플레이어(800)만 전방으로 돌출시켜 수리할 있게 되면서, 수리 작업이 쉽고, 다수의 디스플레이어(80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출력되는 영상이 일체로 출력되는 것처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메인프레임 110: 제1슬라이드공 200: 고정프레임
210: 제2슬라이드공 300: 링크부재 310: 제1링크
320: 제2링크 400: 가압스프링 500: 록킹부재
510: 걸림돌기 520: 안내부재 521: 안내홈
522: 제1안내홈 523: 제2안내홈 524: 제3안내홈
525: 제4안내홈 530: 지지스프링 540: 제1케이스
550: 제2케이스 600: 회전부재 700: 가스실린더
800: 디스플레이어 810: 보조프레임
P1: 시작점 P2: 제1방향전환점 P3: 록킹점
P4: 제2방향전환점

Claims (9)

  1.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2.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디스플레이어의 타측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근접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록킹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정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된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재와;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을 일정한 위치로 항시 복원되게 탄성력을 가해주는 지지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지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안내홈은,
    시작점에서 제1방향전환점으로 연장형성된 제1안내홈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에서 상기 록킹점으로 연장형성된 제2안내홈과;
    상기 록킹점에서 제2방향전환점으로 연장형성된 제3안내홈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에서 상기 시작점으로 연장형성된 제4안내홈;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안내홈, 상기 제2안내홈, 상기 제3안내홈, 상기 제4안내홈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되,
    상기 시작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방향전환점과 상기 제2방향전환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시작점보다 먼 상기 안내부재의 외측방향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록킹점의 위치는 상기 안내부재를 위에 보았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시작점보다 멀고,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 및 상기 제1방향전환점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록킹점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이 상기 시작점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내홈의 내면에 접하여 이동하되,
    상기 제1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제1방향전환점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고,
    상기 제2안내홈과 상기 제1방향전환점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1안내홈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3안내홈과 상기 록킹점의 깊이는 같고, 상기 제2안내홈 및 상기 제1방향전환점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전환점의 깊이는, 상기 제3안내홈 및 상기 록킹점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제4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제2방향전환점에서 상기 시작점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시작점의 깊이는, 상기 제4안내홈의 최소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홈의 방향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가 장착된 상기 고정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내면에 접하면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어의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유지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가스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스실린더; 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어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일단보다 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스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가스실린더의 타단보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와;
    중간부분이 상기 제1링크의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링크; 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성의 제1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성의 제2슬라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 힌지 결합 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슬라이드공에 힌지 결합 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 결합 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공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서 슬라이드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KR1020120125200A 2012-11-07 2012-11-07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KR10144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200A KR101448848B1 (ko) 2012-11-07 2012-11-07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200A KR101448848B1 (ko) 2012-11-07 2012-11-07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53A true KR20140058853A (ko) 2014-05-15
KR101448848B1 KR101448848B1 (ko) 2014-10-15

Family

ID=5088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200A KR101448848B1 (ko) 2012-11-07 2012-11-07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17A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9818A (ko) * 2018-12-07 2020-06-17 (주)미래티디에스 패널 인입출 멀티비전 시스템
WO2023113156A1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4553B2 (ja) * 2001-05-25 2010-12-08 日晴金属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取り付け金具
KR100849025B1 (ko) 2006-06-21 2008-07-29 주식회사 엔씨비네트웍스 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KR101076373B1 (ko) * 2010-02-08 2011-10-25 주식회사 한성전자에이알엠 디스플레이장치용 걸이장치
KR101240308B1 (ko) * 2010-09-17 2013-03-11 주식회사 뷰링크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117A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578900B2 (en) 2016-09-2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20200069818A (ko) * 2018-12-07 2020-06-17 (주)미래티디에스 패널 인입출 멀티비전 시스템
WO2023113156A1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48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7191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および引出機構
US7918428B2 (en)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TWM520666U (zh) 螢幕支撐裝置
KR20120024344A (ko) 끼움 지지 장치
KR101448848B1 (ko)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KR20130090588A (ko) 전자기기
KR10107637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걸이장치
KR101621892B1 (ko) 3d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모니터 거치브라켓
CN1959856B (zh) 壁装式显示设备
KR101002781B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KR20190052808A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671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2009150939A (ja) 薄型表示装置
KR100942310B1 (ko) 멀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용 브라켓 시스템
CN112306150B (zh) 人机界面装置以及切换器系统
KR20130004706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월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3677280A (zh) 键盘组件和电子设备
KR20100081182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101573078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KR200497077Y1 (ko) 조립의 편리성이 증대된 대형 전자칠판 조립대
KR20220161942A (ko) 월 마운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055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0714229B1 (ko) 패널디스플레이 슬라이딩 월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