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52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52B1
KR101400552B1 KR1020080056244A KR20080056244A KR101400552B1 KR 101400552 B1 KR101400552 B1 KR 101400552B1 KR 1020080056244 A KR1020080056244 A KR 1020080056244A KR 20080056244 A KR20080056244 A KR 20080056244A KR 101400552 B1 KR101400552 B1 KR 10140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ed
sliding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550A (ko
Inventor
김태균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552B1/ko
Priority to CN2008801298542A priority patent/CN102067588B/zh
Priority to PCT/KR2008/007807 priority patent/WO2009154337A1/en
Priority to EP08874719.1A priority patent/EP2292003B1/en
Priority to US12/350,018 priority patent/US7918428B2/en
Publication of KR2009013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유닛;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유닛; 상기 각 연결 유닛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가 포함된다.
지지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Moun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로서, 근래 들어서는 거의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평면구조로 제공될 뿐 아니라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벽에 거치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지지장치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와, 상기 고정부와 기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연결 유닛은 다수 개의 링크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링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벽면에 대해서 전후 이동 및 좌우 스위블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후 이동이 다수 개의 링크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각 링크의 힌지 축에 응력이 집중하게 되어 상기 지지 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링크가 포개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지지 장치의 전후 폭이 커지게 되고, 이는 벽면에서 디스플레이 기기까지의 거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제품 사이즈의 감소, 설치 위치의 무제약, 간단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유닛;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유닛; 상기 각 연결 유닛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는,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 장치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서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좁은 벽이나 실내 기둥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장치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가 전방 이동할 수 있므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대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힌지점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기 각 슬라이딩 부재로 분산되므로, 상기 지지장치의 파손의 염려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기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의 이동 최소 거리는 상기 프레임의 각 걸림홈 간의 간격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가 충족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1)에는, 벽면 등과 같은 거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유닛(20)과,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과,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에 대하여 상하 회전 운동이 수행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30)과 상기 기기 안착부(50) 사이에 개입되어 상하 틸팅 운동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틸팅 마찰부(40)가 포함된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은 상기 고정부(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은 각각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다수 개의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틸팅 마찰부(40)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30)과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각도에서 기기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프레임(14)과, 상기 프레임(14)의 상하 양측에 결합되며, 벽면 등에 고정되는 설치 브라켓(11)이 포함된다. 상기 각 설치 브라켓(11)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홀(12)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은, 상기 고정부(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 부재(21)와, 상기 이동 부재(21)의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부재(2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유닛(24)이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은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장치(1)의 전체 구조를 볼 때,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지지장치(1)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10)에 대해서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0)가 상기 지지 장치(1)의 중간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지지 장치(1)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좁은 벽이나 실내 기둥에 상기 고정부(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장치(1)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지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30)에는,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슬라이딩 부재(3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에는 상기 틸팅 마찰부(40)에 결합되기 위한 회전 가이드(3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314)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출입되면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가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 수용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수용부(332)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10)의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수용부(332)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부재(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가이드 부재(34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 개의 결합돌기(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는 상기 다수 개의 결합돌기(322)가 관통하는 돌기 관통홀(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의 타측면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32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32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 리브(32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2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340)에는 상기 각 가이드 리브(324)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리브 삽입홈(3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에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3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340)에 다수 개의 리브 삽입홈(34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에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324)가 형 성되면, 상기 각 가이드 리브(324)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20)에 다수 개의 리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340)에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324)가 형성된 제 1 가이드 부재(3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에 다수 개의 리브 삽입홈(342)이 형성된 제 2 가이드 부재(3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다수 개의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에 다수 개의 리브 삽입홈이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 및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와 마주보는 면(311)에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슬라이딩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한계 설정 가이드(317)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4) 및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일측면(311)에는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가 관통하기 위한 제 1 관통홀(315) 및 제 2 관통홀(3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에는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33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34)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가 상기 개구부(334)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는 상기 제 1 관통홀(315), 상기 개구부(334) 및 상기 제 2 관통홀(316)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홀(316)을 관통한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에는,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가 상기 각 관통홀(315, 316) 및 상기 개구부(3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318)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는 일 례로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 부재(318)는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는 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와 상기 고정 부재(318)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도 3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334)의 제 1 단부(334a)가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는 더이상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도 3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334)의 상기 제 2 단부(334b)가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330)는 상기 개구부(334)의 길이 만큼,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구부(334)에서 상기 한계 설정 가이드(317)의 좌우 폭을 뺀 길이만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개구부(33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방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가이드(350)는 상기 틸팅 마찰부(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350)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방 이동시 상기 틸팅 마찰부(40)가 상기 회전 가이드(350)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틸팅 마찰부(40)가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 간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350)에 대해서 상기 틸팅 마찰부(4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가 전후 이동되므로,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 사이의 좌우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렇게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 간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전후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틸팅 마찰부(40)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에 대해서 회전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마찰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마찰부(40)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아크부재(410)와,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체결되는 제 2 아크부재(420)가 포함된다.
상기 각 아크부재(410, 420)의 접촉면에는 특정 지점에서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아크 형상의 마찰홈(412, 42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아크부재(410, 420)의 마찰홈(412, 422)은 서로 대응 삽입된다. 즉, 상기 각 아크부재(410, 420)는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제 1 아크부재(410)의 돌기가 제 2 아크부재(420)의 홈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아크 부재(410)의 홈에 제 2 아크부재(420)의 돌기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단일의 아크 부재 각각에 다수 개의 대응되는 마찰홈(412, 422)이 제공됨으로서, 마찰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작은 부재로도 큰 힘의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지지장치의 구성부품의 크기를 줄이는데 있어서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각 아크부재(410, 420)는 일 례로 수지를 그 재질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재에 의해서 상기 각 마찰홈(412, 422)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마찰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크부재(42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체결되며, 상기 제 2 아크부재(420)에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4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 가이드(350)에는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틸팅 마찰부(40)의 회전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35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 안착부(50)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 1 아크부재(4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아크부재(410)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기 안착부(5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이동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고정 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부재(21)는 상기 프레임(14)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4)을 따라서 상하 슬라이딩 된다. 이 때, 상기 이동 부재(21)가 상기 프레임(14)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부재(21)는 상기 프레임(14)의 전면 전체와 적어도 상기 프레임(14)의 후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이동 부재(21)의 양측면과 후면은 상기 이동 부재(21)가 상기 고정부(10)의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거 방지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탈거 방지부는 상기 이동 부재(21)가 상기 프레임(14)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유닛(24)은 상기 이동 부재(21)의 내측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 부재(21)와 함께 상하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유닛(24)은 상기 이동 부재(21)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4)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부재(2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이동 부재(21)의 양측에는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21)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 유닛(24)이 상기 프레임(1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이동 부재(21)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유닛(2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 유닛(24)과 상기 프레임(14)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 유닛(24)이 상기 프레임(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유닛(24)이 상기 이동 부재(2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유닛(24)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고정 유닛(24)이 상기 프레임(14)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 유닛(24)은 한 쌍의 작동 레버(240)가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 레버(240)에는 제 1 작동 레버(240a)와 제 2 작동 레버(240b)가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 레버(24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4)의 양측에는 상기 작동 레버(2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가이드(14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결합 가이드(141)는 상기 프레임(14)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결합 가이드(14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 개의 걸림홈(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다수 개의 걸림홈(142) 중 일부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걸림 돌기(242)가 형성된다.
즉, 하나의 작동 레버(240)에 다수 개의 걸림 돌기(242)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걸림 돌기(242)가 상기 다수 개의 걸림홈(142) 중 일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걸림 돌기(242)가 상기 다수 개의 걸림홈(14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240)와 상기 프레임(14)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141)에 다수 개의 걸림홈(142)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240)에 다수 개의 걸림돌기(242)가 형성되나, 상기 각 걸림홈(142) 사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돌기(242)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결합 가이드(141) 및 상기 작동 레버(240)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작동 레버(240) 사이에는 탄성 부재(248)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 부재(248)의 일단은 제 1 작동 레버(240a)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작동 레버(240b)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48)는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걸림 돌기(242)가 상기 결합 가이드(141)의 걸림홈(14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상기 각 작동 레버(240)에 가한다.
그리고, 상기 각 작동 레버(240)에는 상기 이동 부재(21)에 형성된 힌지가 결합되기 위한 힌지 결합홀(2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작동 레버(2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각 작동 레버(240)에는 상기 이동 부재(21)의 체결홀(23)을 관통한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246)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의 작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작동 레버(240)에서 상기 힌지 결합홀(244)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 부재(248)가 결합되는 부분을 상측부라하고, 상기 걸림 돌기(242)가 형성되는 부분을 하측부라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 작동 레버(240)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다수의 걸림 돌기(242)는 상기 탄성 부재(248) 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수 개의 걸림홈(14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이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상측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 레버(240)를 작동시킨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작동 레버(240a)를 좌측으로 밀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작동 레버(240b)를 우측으로 밀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각 작동 레버(240)가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248)는 신장되고,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걸림 돌기(242) 들은 상기 다수의 걸림홈(142)에서 빠지게 되어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이 상기 고정부(10)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을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각 작동 레버(240)로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부재(248)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상측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각 작동 레버(240)의 다수 개의 걸림 돌기(242)가 상기 다수 개의 걸림홈(142)에 삽입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체결 부재를 상기 각 체결홀(23, 246)에 체결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지지장치의 전방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지지장치의 상하 틸 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지지장치의 상하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에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은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각 제 2 슬라이딩 부재(330)가 상기 각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에 대해서 슬라이딩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30)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일 기기 안착부에 연계된 슬라이딩 유닛에 의한 슬라이딩 길이는 타 기기 안착부에 연계된 슬라이딩 유닛에 의한 슬라이딩 길이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일 기기 안착부와 벽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타 기기 안착부와 벽면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기기 안착부(50)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틸팅 마찰부(40)는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슬라이딩 유닛(30)의 독립적인 동작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좌우 스위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유닛(30)에 의해서 기기 안착부(50)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도 1과 같이 기기 안착부(50)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장치의 전후 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310)의 내부 공간으로 제 2 슬라이딩 부재(330)가 인출입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장치의 전후 폭이 슬림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서 상기 기기 안착부(50)가 전방 이동 할 수 있므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이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대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의 힌지점에 작용하는 응력이 상기 각 슬라이딩 부재(310, 330)로 분산되므로, 상기 지지장치의 파손의 염려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기기 안착부(50)가 상기 고정부(10)의 양측에서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고정부(10)가 좌우 폭이 좁은 벽이나 기둥에도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설치 위치가 다양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기기 안착부(50)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30)에 대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틸팅된다. 일 례로 상기 기기 안착부(50)를 하측으로 틸팅시키게 되면, 상기 제 2 아크부재(420)가 상기 제 1 아크부재(4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회전된 각도는 상기 틸팅 마찰부(40)에 의해서 제공되는 마찰력, 즉, 상기 제 1 아크부재(410)와 상기 제 2 아크부재(420)의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가 가능하다.
이 때, 만약 처음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였더라면, 디스플레이 기기를 먼저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 되도록 한 다음에 상하 틸팅되도록 하여, 상하 틸팅 운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이 벽면에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은 도 1의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이 상기 고정부(10)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기기 안착부(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유닛(20)의 이동 최소 거리는 상기 프레임(14)의 각 걸림홈(142) 간의 간격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상하 틸팅, 좌우 스위블 및 전방 이동은 서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므로, 결국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상하 틸팅, 좌우 스위블, 전방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중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평면 디스플레이는 어느 위치 및 각도라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유닛이 제 1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제 2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세 개 이상의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례로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결합되고, 제 2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 3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 며, 상기 틸팅 마찰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유닛과 상기 기기 안착부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높이 조절 유닛과 상기 기기 안착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상기 기기 안착부와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유닛이라 이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마찰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상하 이동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고정 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지지장치의 전방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지지장치의 상하 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지지장치의 상하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2)

  1.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높이 조절 유닛;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유닛;
    상기 각 연결 유닛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는,
    상기 고정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 유닛에는 상기 결합 가이드와 결합되기 위한 요철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에는,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작동 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각 작동 레버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각 작동 레버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 및 상기 이동 부재 각각에는, 상기 고정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높이 조절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기기 안착부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기기 안착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해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마찰부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0.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안착되는 기기 안착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다수 개의 작동 레버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 개의 작동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어 상기 고정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부에서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거 방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20080056244A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40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44A KR101400552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N2008801298542A CN102067588B (zh) 2008-06-16 2008-12-30 显示装置的支承装置
PCT/KR2008/007807 WO2009154337A1 (en) 2008-06-16 2008-12-30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EP08874719.1A EP2292003B1 (en) 2008-06-16 2008-12-30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US12/350,018 US7918428B2 (en) 2008-06-16 2009-01-07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44A KR101400552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50A KR20090130550A (ko) 2009-12-24
KR101400552B1 true KR101400552B1 (ko) 2014-05-28

Family

ID=4168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244A KR101400552B1 (ko) 2008-06-16 2008-06-16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29B1 (ko) * 2020-01-31 2021-08-27 권진대 높이 조절용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795A1 (en) 2004-09-30 2006-03-30 Compx International Support for flat monitors
US20060261227A1 (en) 2005-04-28 2006-11-23 Bretford Manufacturing, Inc. Universal mounting system for a flat panel display
EP1832801A2 (en) * 2006-03-06 200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795A1 (en) 2004-09-30 2006-03-30 Compx International Support for flat monitors
US20060261227A1 (en) 2005-04-28 2006-11-23 Bretford Manufacturing, Inc. Universal mounting system for a flat panel display
EP1832801A2 (en) * 2006-03-06 200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50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428B2 (en) Suppor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10074374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JP3204051U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EP2111716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10145671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86884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8991927B2 (en) Holder for headrest
KR101998437B1 (ko) 통신용 단말기
KR20180036170A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26598B1 (ko) 벽걸이형 스피커 장치
KR10140055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008889B1 (ko) 암레스트 수평 이동 조절 장치
JP5279456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6636643B2 (ja) 受け具
JP2011522622A (ja) 優先制御機構
KR101448848B1 (ko)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KR101429707B1 (ko) 벽걸이 텔레비전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10135348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22117498A (ja) ビデオスクリーン据え付け台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KR100714229B1 (ko) 패널디스플레이 슬라이딩 월마운트
KR0173716B1 (ko) 평면형 화상표시장치의 시청각조정장치
KR100283961B1 (ko) Pdp 텔레비전의 화면부 높이조절장치
JP6975448B2 (ja) 回動支持装置並びに情報端末
KR20190079108A (ko) 차량 시트 슬라이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