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108A -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108A
KR20140058108A KR1020120124737A KR20120124737A KR20140058108A KR 20140058108 A KR20140058108 A KR 20140058108A KR 1020120124737 A KR1020120124737 A KR 1020120124737A KR 20120124737 A KR20120124737 A KR 20120124737A KR 20140058108 A KR20140058108 A KR 2014005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lfide
dry pit
dry
spray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067B1 (ko
Inventor
박재태
Original Assignee
(주)로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타 filed Critical (주)로타
Priority to KR102012012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0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3Removing sulf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선철을 생산하기 위한 제선공정 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드라이 피트에서 냉각수로 냉각할 때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원심력에 의한 무화 상태로 분사시켜 비산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화시켜 제거토록 함으로써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의 제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제철소의 제선공정 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드라이 피트에서 냉각수로 냉각시킬 때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도록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투입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드라이 피트;
상기 드라이 피트의 양측 벽면의 상단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송풍기를 이용한 분무방식에 의해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토록 하는 약품분무기; 및
상기 약품분무기에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약품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Apparatus of H2S Removal from Blast Furnace Dry pit Slag}
본 발명은 제철소의 선철을 생산하기 위한 제선 공정 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드라이 피트에서 냉각수로 냉각할 때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원심력에 의한 무화 상태로 분사시켜 비산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화, 산화 등의 화학적 작용을 분해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의 제거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철광석을 이용하여 선철을 생산하는 과정 중, 생산공정의 일부인 제선 공정에서는 부산물로 슬래그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슬래그는 드라이 피트(Dry pit)에서 냉각되어져 괴재슬래그로 변환된 후 반출된다.
선철을 생산하기 위한 철광석은 보통 30~70%의 철(Fe)을 함유한 광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철이 풍부하고 황(S), 인(P), 구리(Cu)와 같은 유해성분이 적으며, 크기가 일정하여야 하나, 원산지에 따라서는 품질, 성분 및 형상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그대로 고로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고로에 투입하기 전에 품질을 고르게 하고 철광석 가루를 일정한 크기로 만드는 소결공정이 먼저 시행되고, 이러한 소결공정이 이루어지면 다음으로 제선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선공정은 상기의 소결공정에서 철광석과 분광석을 사전 처리하여 만든 소결광과 코크스 공장에서 석탄을 건류하여 만든 코크스를 고로에 투입하고 열을 가하여 철광석을 녹이고 철광석 중의 산화철을 환원하여 선철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철광석(소결광), 코크스, 석회석은 고로 윗부분에 넣어져 서서히 아래로 하강시키고, 코크스는 고로 밑부분에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연소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가 철광석과 환원반응을 일으키면서 쇳물을 형성하게 된다. 즉, 코크스는 철광석을 녹이는 열원으로서의 역할과 산화철인 철광석에서 산소와 쇳물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환원된 철은 탄소를 흡수하여 선철이 되어 로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선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부산물로 슬래그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고온이기 때문에 이를 냉각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하여 급냉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냉각과정은 고로에서 발생된 용융상태의 고온 슬래그가 탕도를 통하여 드라이 피트로 투입되고, 투입된 슬래그는 1시간 정도 방치된 후 냉각수가 살포되면서 슬래그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져 괴재슬래그로 변환(응고)된 후 반출된다.
이때, 상기 슬래그 중에 존재하는 CaS 등의 황화합물이 살포되는 냉각수와 반응하여 황화수소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의 황화수소는 악취방지법에서도 규제하고 있는 악취성의 맹독가스이다.
상기 황화수소는 부식성이 강하여 설비를 조기 부식시킬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의 계란 썩은 냄새로 인하여 악취를 발생하므로 황화수소를 제거하여야 하며, 황화수소의 발생농도는 수백 ppm 에 달하여, 이를 저감하기 위한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상기의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중이며, 실제 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전무한 상태이다.
그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연구 개발되어 지는 방식은 드라이 피트의 양측 상단에 다수의 송풍팬을 설치하여 드라이 피트에서 고온의 슬래그를 냉각시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대기중으로 비산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비산시키는 방식임으로써 황화수소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가성소다 및 소석회를 냉각수에 투입하여 냉각수의 pH를 상승시켜 황화수소를 흡수하여 황화수소를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Na2S나 NaHS는 용해도가 매우 높아서 용액의 pH가 낮아지면 다시 황화수소로 전환되고,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다시 황화수소로 증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또한 부산물로 망초 등이 발생되어 설비에 부착되는 관계로 설비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상기한 가성소다 및 소석회 등을 냉각수와 함께 슬래그의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이 노즐을 이용한 노즐분사방식임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즐을 이용하여 냉각수와 혼합된 가성소다 및 소석회를 드라이 피트의 슬래그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임에 따라 분사입자가 굵고, 분사범위가 좁을 뿐만 아니라, 분사길이도 짧기 때문에 드라이 피트의 전체면에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좁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노즐이 쉽게 막히게 되어 고압펌프의 부하증가로 에너지의 과다사용과 더불어 고가의 장비가 망가지는 사례가 있었으며, 직사 방식으로 인하여 재료비 및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931230호 '우레아와 아민을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2)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9-54410호 '고로 드라이피트 슬라그 냉각방법 및 그의 노즐' (3)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57029호 '아민류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제거 장치 및 방법' (4) 한국 등록특허 제10-368827호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고로 슬라그 드라이 피트로부터의 악취제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철소의 드라이 피트에서 고온의 슬래그를 냉각수로 냉각 시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약품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면서도 상기 약품을 미세입자의 안개와 같이 무화 상태로 분무토록 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무토록 함으로써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황화수소를 차단과 동시에 중화하여 제거토록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라이 피트의 상단부에서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분무토록 하는 약품분무기의 분무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그의 조건이나 기상 상황 등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태의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드라이 피트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냉각 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약품을 사용하여 차단 및 제거하도록 하면서도 이의 약품을 안개와 같이 미세입자로 분무하여 드라이 피트로부터 비산되지 못하도록 차단한 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선철을 생산할 때 부산물로 발생되는 슬래그가 투입되는 드라이 피트;
상기 드라이 피트의 양측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면서도 공급되는 약품을 안개와 같은 미세입자로 고르게 분무하여 슬래그 냉각 시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비산을 차단토록 함과 동시에 중화하여 제거토록 하는 약품분무기;
상기 약품분무기로 황화수소를 중화하여 제거하도록, 약품과 물을 혼합하여 공급토록 하는 약품공급수단을 갖추어 드라이 피트에서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차단 및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 피트로 투입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냉각수로 냉각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약품을 무화 상태로 분무함으로써 비산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거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드라이 피트의 상부에서 다수의 약품분무기를 이용하여 약품을 안개와 같은 미세한 입자로 고르게 분무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 피트에서 대기 중으로 비산되는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최대한 차단함과 동시에 약품의 중화작용으로 즉시 제거토록 하여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합악취 및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약품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게 됨으로써 드라이 피트의 넓은 범위로 고르게 멀리 분사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재료비의 감소와 소비전력의 감소에 따른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방식이 아니라 원심 무화 방식임에 따라 노즐의 막힘 현상이나 장비의 고장율을 월등히 줄이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분무각도의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성 및 관리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드라이 피트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드라이 피트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약품분사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의 측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3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서 약품분사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요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7에서 분무판을 보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약품분사기의 각도조절을 위한 설명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드라이 피트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약품분무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의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제철소의 제선공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가 투입되어 적재되는 드라이 피트(100)와;
상기 드라이 피트(100)의 양측 벽면 상단부에 다수 개가 마주보게 나란히 설치되어 드라이 피트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의 비산을 차단 및 제거하기 위한 약품분무기(200)와;
상기 약품분무기로 중화약품과 물을 혼합한 것을 공급하도록 하는 약품공급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 피트(100)는 통상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콘크리트 벽면(11)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면서도 이들의 내부에는 제선공정 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가 투입되어 적재되는 적재공간(12)을 가진다.
또한, 드라이 피트(100)상에 설치되는 약품분무기(200)는 양측 콘크리트 벽면(11)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상호 마주보게 나란히 설치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3 이하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미세한 입자의 무화 상태로 분무토록 하는 바디(20)와, 이 바디(20)를 드라이 피트(100)의 콘크리트 벽면(11)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20)는 전,후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후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와 전면에는 약품을 분무시키도록 하는 약품토출구(22)를 갖추어 구성되고, 별도의 고정체(30)에 의해 드라이 피트(100)의 벽면(11)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바디(20)는 공기의 유입과 토출에 따른 공기흐름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후방보다는 전방의 내경이 다소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20)의 내부 후방에는 제1모터(2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송풍팬(24)이 후면 지지브라켓트(25)에 의해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입구(21)로 유입시켜 전방의 약품토출구(22)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반면에 바디(20)의 내부 전방에는 또 다른 제2모터(26)가 전면 지지브라켓트(27)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제2모터(26)의 회전축(28)에는 약품공급수단(300)으로 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분무시키는 분무체(40)가 설치된다.
상기 분무체(40)는 첨부된 도면의 도7 내지 도9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체로 형성되는 전,후 고정판(41)(42)과, 이 전,후 고정판(41)(42)의 사이에 다수 개가 나란히 밀착되게 체결되는 분무판(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무판(43)들은 내부에 원형의 중공부(44)가 형성되면서 일측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분사홈(45)들을 가지게 되고, 표면의 다수 곳에는 미도시된 보울트가 체결되는 보울트공(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무판(43)들은 전,후 양측에서 전,후 고정판(41)(42)이 밀착체결됨과 동시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보울트공(46)들을 통하여 미도시된 긴 보울트가 체결고정됨으로써 하나의 분무체(4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고정판(41)에는 제2모터(26)의 회전축(28)이 별도의 고정너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됨으로써 제2모터(26)의 회전동력에 의해 분무체(40)는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상기 분무체(40)의 내부에는 외부의 약품공급수단(300)과 연결되는 약품분사구(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즉 분무체(4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분무판(43)들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부(44)에 약품분사구(50)가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20)는 별도의 고정체(30)에 의해 드라이 피트(100)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의 고정체(30)는 양측으로 고정면(31)을 가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고정면(31)의 사이에는 고정축(32)으로서 바디(20)가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면(31)의 소정위치에는 바디(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고정체(30)의 양측 고정면(31)상에 각각 고정축(32)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만큼 원주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공(33)과, 슬라이드공(33)을 통하여 관통되게 체결되면서 바디(20)의 외주연에 고정된 지지봉(34)과, 상기 지지봉(34)의 끝단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너트체(35)로 구성된다.
즉, 바디(20)의 외주연상에는 양측으로 각각 나사를 가지는 지지봉(34)이 형성되고, 이 지지봉(34)은 고정체(30)의 고정면(31)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달형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33)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34)의 끝단에는 고정너트체(35)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바디(20)의 설치위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약품공급수단(300)는 도 1에서 보듯이 드라이 피트(100)와는 별도로 설치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통(310)과, 약품을 저장하는 약품저장통(320), 그리고 이들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과 약품을 혼합토록 하는 혼합통(3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통(330)은 역시 배관으로서 각 약품분무기(200)의 약품분사구(50)와 연결된다.
상기 물저장통(310), 약품저장통(320), 그리고 혼합통(330)들은 각각 배관으로 연결되면서도 미도시된 콘트롤러와 연결된 펌프(P)와 다수의 밸브(V) 등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적절하게 혼합된 약품을 각 약품분사구(50)로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약품공급수단(300)에서는 물저장통(310)과 약품저장통(320)으로부터 설정된 양의 물과 약품이 혼합통(330)으로 유입되어 충분히 혼합된 후, 배관을 통하여 다수 개로 설치되는 각 약품분무기(200)로 공급된다.
상기 각 약품분무기(200)로 공급되는 약품은 분무체(40)의 중공부(44)에 설치된 약품분사구(50)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와 동시에 미도시된 콘트롤러에 의해 각 약품분무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바디(2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모터(23)(26)가 작동되면서 송풍팬(24)과 분무체(40)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송풍팬(24)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후면의 공기유입구(21)를 통하여 바디(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전방의 약품토출구(22)를 통하여 토출됨과 동시에, 분무체(40)의 회전구동에 의해 약품분사구(50)로 분사되는 약품은 원심력을 가지면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는 약품은 겹겹히 체결된 분무판(43)들의 각 분사홈(45)들을 통하여 중심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확산되어 무화상태로 분사되는 것이며, 즉 분사홈(45)의 좁은 곳에서 넓은 곳으로 점차 확산되는 형태로 분사됨에 따라 안개와 같이 미세한 입자로 분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무판(43)들은 다수 개가 겹겹히 포개지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방사상으로 수많은 분사홈(45)들에 의해 무화가 촉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무화상태로 분무되는 약품은 바디(20)의 전면 약품토출구(22)를 통하여 드라이 피트(100)의 적재공간(12) 상부로 고르게 분무된다.
따라서 드라이 피트(100)내에서 고온의 슬래지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면서 발생되는 황화수소는 드라이 피트(100)의 상부로 분무되는 약품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 못하고 차단됨과 동시에, 약품의 중화작용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약품분무기(200)들은 드라이 피트(100)의 규모나 기상조건 등의 여러 가지 사정에 따라 분무되는 각도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즉, 고정너트체(35)를 풀어서 바디(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바디(20)는 고정체(30)에 축결합된 고정축(32)을 지지점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바디(20)에 고정된 지지봉(34)은 고정체(30)의 슬라이드공(33)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조절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너트체(35)를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드라이 피트 200 : 약품분무기
300 : 약품공급수단 11 : 벽면
12 : 적재공간 20 : 바디
21 : 고정체 21 : 공기유입구
22 : 약품토출구 23 : 제1모터
24 : 송풍팬 25 : 후면 지지브라켓트
26 : 제2모터 27 : 전면 지지브라켓트
28 : 회전축 30 : 고정체
31 : 고정면 32 : 고정축
33 : 슬라이드공 34 : 지지봉
35 : 고정너트체 40 : 분무체
41 : 전면 고정판 42 : 후면 고정판
43 : 분무판 44 : 중공부
45 : 분사홈 46 : 보울트공
50 : 약품분사구 310 : 물저장통
320 : 약품저장통 330 : 혼합통

Claims (4)

  1. 제철소의 제선공정 시 발생되는 고온의 슬래그를 드라이 피트에서 냉각수로 냉각시킬 때 발생되는 황화수소를 제거하도록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가 투입되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는 드라이 피트;
    상기 드라이 피트의 양측 벽면의 상단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송풍기를 이용한 분무방식에 의해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토록 하는 약품분무기; 및
    상기 약품분무기에 황화수소 제거약품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약품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분무기는 전,후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면에 공기유입구(21) 및 약품토출구(22)가 구성되고, 내부에는 제1모터(2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송풍팬(24) 및 제2모터(26)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공급되는 제거약품을 원심력에 의해 확산시켜 무화 상태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분무체(40)를 가지는 바디(20)와;
    상기 분무체(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품을 분사토록 하는 약품분사구(50): 및
    상기 바디(20)의 외주연상에 고정축(32)으로 축결합되어 바디(20)를 드라이 피트(100)의 벽면(11) 상단에 고정설치토록 하면서도 바디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가지는 고정체(3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체(40)는 제2모터(26)의 회전축(28)과 축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원판체로 형성되는 전,후 고정판(41)(42)과;
    상기 전,후 고정판의 사이에 다수 개가 나란히 일체형으로 밀착 체결되고, 일측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분사홈(45)들을 가지면서 표면의 다수 곳에 보울트공(46)이 형성되는 분무판(43)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고정체(30)의 양측 고정면(31)의 사이에 바디(20)가 고정축(32)으로서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토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면(31)에는 고정축(32)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만큼 원주를 이루면서 반달형으로 슬라이드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공(33)에는 바디(20)의 외주연에 고정된 지지봉(34)이 관통되게 체결되고, 상기 지지봉(34)의 끝단에는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너트체(35)가 나사체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KR1020120124737A 2012-11-06 2012-11-06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KR10140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37A KR101402067B1 (ko) 2012-11-06 2012-11-06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37A KR101402067B1 (ko) 2012-11-06 2012-11-06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08A true KR20140058108A (ko) 2014-05-14
KR101402067B1 KR101402067B1 (ko) 2014-06-02

Family

ID=5088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37A KR101402067B1 (ko) 2012-11-06 2012-11-06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8153A (zh) * 2020-03-09 2020-06-23 众升清源(天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湿式氧化法脱硫化氢控制系统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838A (ko) * 1997-12-20 1999-07-05 이구택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핏의 악취제거방법
KR100736892B1 (ko) 2006-08-21 2007-07-10 주식회사 포스코 황화수소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재 설비
KR100931230B1 (ko) * 2007-12-21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우레아와 아민을 이용한 고로 드라이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8153A (zh) * 2020-03-09 2020-06-23 众升清源(天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湿式氧化法脱硫化氢控制系统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067B1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880B2 (ja) スラグの冷却方法
JP5959683B2 (ja) セメントキルン排気ガス汚染の削減
CN103405982B (zh) 烟气净化装置
CN101706214A (zh) 高温金属化物料防氧化快速冷却装置及冷却方法
CN103757155A (zh) 一种干熄渣水雾粒化装置
TWI646200B (zh) 用於造粒裝置之蒸汽冷凝系統
CN101939081A (zh) 用于将氧化气体供应到湿式洗涤器的气体分布器
KR101402067B1 (ko)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JP2016077947A (ja) 粉粒体処理装置の付着物除去方法
CN110605021A (zh) 一种增湿活化的脱硫脱硝除尘系统及使用其的处理方法
CN203437031U (zh) 一种sncr脱硝双流体喷射装置
CN102465188A (zh) 罐式冶金熔渣处理装置
CN105737171B (zh) 一种高炉废油脂喷吹装置
KR20130110477A (ko) 용융 슬래그의 습식 처리 장치
CN217490362U (zh) 一种烟气脱硫用喷枪
KR100736892B1 (ko) 황화수소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재 설비
CN105032287B (zh) 一种高效湿法造粒机
TWM464806U (zh) 自動灑水裝置
CN112999838A (zh) 集成式脱硫反应器
JP7119729B2 (ja) 水砕製造設備および水砕製造設備の冷却塔内の水砕析出防止方法
CN204891795U (zh) 一种高效湿法造粒机
KR101586918B1 (ko) 슬래그 냉각 장치 및 방법
RU24597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аэрации жидкости или пульпы
CN104152683B (zh) 高温易氧化粉体的防氧化水冷装置和方法
KR101201223B1 (ko) 매립지 사전 안정화를 위한 수분공급용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