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09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095A
KR20140057095A KR1020120123774A KR20120123774A KR20140057095A KR 20140057095 A KR20140057095 A KR 20140057095A KR 1020120123774 A KR1020120123774 A KR 1020120123774A KR 20120123774 A KR20120123774 A KR 20120123774A KR 20140057095 A KR20140057095 A KR 2014005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input
cursor
operation stat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524B1 (ko
Inventor
김민형
이창수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524B1/ko
Priority to TW102137224A priority patent/TWI592857B/zh
Priority to US14/059,887 priority patent/US20140125589A1/en
Priority to JP2013225120A priority patent/JP2014093090A/ja
Priority to EP13191019.2A priority patent/EP2728452A3/en
Priority to EP17189295.3A priority patent/EP3276946A1/en
Priority to EP15155402.9A priority patent/EP2892224A1/en
Priority to EP20160736.3A priority patent/EP3681149A1/en
Priority to CN201310533765.7A priority patent/CN103813209A/zh
Priority to PCT/KR2013/009813 priority patent/WO2014069926A1/en
Publication of KR2014005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95A/ko
Priority to US14/661,395 priority patent/US94677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을 단절시키지 않으면서 입력결과를 즉각적으로 피드백하여, 사용자 입력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현 예시로는 TV 또는 모니터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으로 제공한다.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리모컨, 마우스, 키보드, 음성입력, 핸드 제스처 등의 다양한 입력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상의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인팅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상적으로 입력모드나 입력 커맨드 등과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모양의 포인팅 커서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입력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거나, 입력 결과를 피드백 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떨어뜨리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입력부의 입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드는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및 음성입력에 따른 복수의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및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았다.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는 롤오버, 누름, 웨이팅 및 로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입력 가능한 커맨드는 뒤로, 스크롤, 새로 고침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웹브라우저, 스마트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및 도움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되는 아이콘은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커서가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기본 커서에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입력부의 입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드는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및 음성입력에 따른 복수의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및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는 롤오버, 누름, 웨이팅 및 로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입력 가능한 커맨드는 뒤로, 스크롤, 새로 고침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웹브라우저, 스마트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및 도움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되는 아이콘은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커서가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기본 커서에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현재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현재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사용자 입력 위치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리모컨, 마우스, 키보드, 음성입력, 핸드 제스처 등 다양한 입력모드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생성된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표시되는 포인팅 커서(Pointing Cursor)(이하, 커서 라고도 한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스마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신호, 영상신호 등을 수신, 처리하는 제1블록과; 웹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기능,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롯폼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제2블록으로 기능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140)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는 OSD의 일례로서, 후술하는 사용자입력부(140)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cursor)를 표시한다. 여기서, 커서는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게 표시된다. 커서는 후술하는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을 포함하며, 아이콘은 그래픽과 텍스트를 포함하며, 텍스트는 숫자, 문자, 특수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커서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되는 리모컨(remote controller), 마우스, 키보드 및 음성취득장치, 또는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40)가 리모컨, 마우스, 키보드 또는 음성취득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40)가 제어부(160)에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유선통신은 시리얼, 이더넷(ethernet) 등을 포함하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으나, 사용자입력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유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으로 구현된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센서(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다양할 수 있으며, 탭(tap), 탭보다 강하게 터치하는 클릭(click), 더블 클릭, 드래그(drag), 슬라이드, 플리킹(flicking)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리모컨으로 구현된 사용자 입력부(140)는 모션감지센서가 탑재된 포인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를 포함한다. 리모컨은 모션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모션정보를 산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입력부(140)는 터치감지센서가 리모컨뿐 아니라, 키보드 또는 별도의 다른 장치나,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별도의 다른 장치에 구비된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감지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핸드 제스처의 강도는 손의 이동거리, 이동속도, 이동영역의 면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160)는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손의 각속도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핸드 제스처의 모션정보를 산출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보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소정 커맨드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취득장치로 구현된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폰으로 구현된 음성취득부, 입력된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취득장치는 리모컨,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별도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0)가 음성취득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이 변환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엔진엔진(도시 안됨)을 포함하며, 저장부(150)에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인식대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입력부(1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UI를 터치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있으며, UI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컨에 마련된 방향키(4방향 버튼), 터치감지센서, 마우스, 키보드, 핸드 제스처 등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UI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은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예 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입력에 의한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40)의 동작에 따라 복수의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며, 복수의 입력모드는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및 음성입력 각각에 따른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사용자입력부(14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커서가 애니메이션(animation) 효과를 나타내도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의 동작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커서를 표시하되, 점차적으로 커서의 크기가 커지도록 표시하고,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커서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되, 점차적으로 커서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입력부(140)의 입력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서 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해당 입력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function)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에 표시된 커서(20, 30)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모드에 따른 기능으로서 음성(Voice) 입력, 마우스(Mouse) 입력, 키보드(Keyboard) 입력 및 핸드 제스처 입력 기능을 가지는 것이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가 음성 입력모드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를 입력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20)는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기본 커서 아이콘(21)에 사용자입력부(140)의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 즉, 입력모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마이크를 형상화한 그래픽을 포함한 아이콘(22)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입력부(140)의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다양한 입력모드를 가지는 바, 커서(20)는 음성 입력모드 아이콘(22) 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마우스 입력모드 아이콘(23), 키보드 입력모드 아이콘(24), 핸드 제스처 입력모드 아이콘(25) 등 다양한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모드가 핸드 제스처 입력모드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20)는 기본 커서 아이콘(21)에 입력모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손을 형상화한 그래픽 아이콘(25)를 포함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아이콘(20)을 통해 입력모드를 피드백받아, 현재 조작중인 기기(입력장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채널 선택을 위한 입력창(35) 및 숫자 키패드(36)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커서(30)를 입력창(35)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도 4와 같이 커서(30)를 입력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가 마우스 입력모드인 경우, 커서는 입력모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마우스를 형상화한 그래픽을 포함한 아이콘(3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창(35)에 표시된 커서(30)를 통해 입력모드를 확인하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숫자 키패드(36)의 숫자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입력창(35)에 채널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입력부(140)의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다양한 입력모드를 가지는 바, 커서(30)는 마우스 입력모드 아이콘(31)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음성 입력모드 아이콘(32), 키보드 입력모드 아이콘(33), 핸드 제스처 입력모드 아이콘(34) 등 다양한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모드가 음성 입력모드인 경우, 입력창(35)에 위치한 커서(30)는 마이크를 형상화한 그래픽 아이콘(32)를 포함하도록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채널번호를 발화하여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채널번호를 입력받는 입력창(35)에 위치한 커서(30)가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채널번호뿐 아니라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입력창(예를 들어, 웹브라우저의 검색어 입력창 등)에 커서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현재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또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 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현재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입력부(140)를 조작하면, 제어부(160)는 이에 대응하여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가 리모컨 입력모드인 경우, 도 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항목(오브젝트(object)(41, 42, 43) 및 커서(기본커서)(44)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0)인 리모컨을 조작하여 중 복수의 항목(41, 42, 4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44) 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 위치가 소정 항목(42) 근처가 되면, 도 5의 (b)와 같이 커서(45) 내부의 이미지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 예를 들어 롤오버(Rollover)를 형상화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즉, 커서(45)는 현재 입력 상황에 맞는 메타포(Metaphor)로 시각화한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커서가 위치하는 항목(오브젝트)(42)는 하이라이트 등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커서 근처에 위치하는 항목이 사용자가 선택 불가능한 항목인 경우, 해당 항목이 디스에이블(Disable)함을 나타내도록 표시(예를 들어, 음영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항목(42)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도 5의 (c)와 같이 커서(46) 내부의 이미지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 즉, 누름(Pressed)을 형상화한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항목(42)의 선택은 리모컨에 구비된 키버튼, 터치패드 등의 조작하여 수행되며, 선택은 클릭(click),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롤오버 아이콘으로 표시된 커서(45)를 통해 해당 항목이 선택 가능함을, 누름 아이콘으로 표시된 커서(16)를 통해 해당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피드백받아, 별도의 다른 정보 없이도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기능)을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도 6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입력모드가 핸드 제스처 입력모드인 경우, 도 6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항목(51, 52, 53) 및 핸드 제스처 커서(54)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드 제스처 입력에 의해 복수의 항목(51, 52, 5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조작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54) 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 위치가 소정 항목(53) 근처가 되면, 도 6의 (b)와 같이 커서(55) 내부의 이미지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시각화한 롤오버(Rollover)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항목(53)는 하이라이트 등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항목(53)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도 6의 (c)와 같이 커서(56) 내부의 이미지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시각화한 누름(Pressed)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항목의 선택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 커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작 중이거나, 소정 데이터를 로딩 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7과 같이 커서 내부의 이미지를 현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의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입력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7의 (a)와 같이 커서를 웨이팅(Waiting)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입력 커맨드에 따라 소정 데이터(예를 들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영상수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 등)를 로딩 중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7의 (b)와 같이 커서를 로딩(Loading)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웨이팅 및 로딩 아이콘은 도 7과 같이 시간의 경과를 반영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에 표시된 커서를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웨이팅 또는 로딩 기능의 동작중임을 인지하고, 해당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현재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선택 가능하지 않은 영역(바탕영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오브젝트(71) 상으로 커서(72)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커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커서(72) 내부의 이미지를 동작작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을 형상화한 아이콘 즉, 해당 오브젝트(71)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 등을 이전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기능에 의한 뒤로(Back) 커맨드가 입력 가능한 오브젝트(71)에 커서(72)가 위치되면, 제어부(160)는 커서(72) 내부의 이미지를 뒤로(또는 리턴)(Return)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같은 방식으로, 도 9을 참조하면, 위/아래로 이동하는 기능인 스크롤 커맨드가 입력 가능한 오브젝트(73)에 커서(74)가 위치되면, 제어부(160)는 커서(74)를 스크롤(Scroll)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도 10와 같이 실시간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커맨드가 입력 가능한 오브젝트(75)에 커서(76)가 위치되면, 제어부(160)는 커서(76)를 새로 고침(또는 리프레시)(Refresh)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11과 같이 좌/우로 이동하는 커맨드가 입력 가능한 오브젝트(77)에 커서(78)가 위치되면, 제어부(160)는 커서(78)를 슬라이더(Slider)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 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function)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커서가 사용자 입력 위치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오브젝트(항목)(81, 82, 83, 84) 중에서 소정 컨텐츠(예를 들어, Burn Notice)에 해당하는 항목(83)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선택된 항목(오브젝트)(83)에 위치하는 커서(85)를 컨텐츠(Contents)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해당 항목(83)은 하이라이트 등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경 표시된 커서(85)를 통해 선택된 오브젝트가 컨텐츠에 대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에 따라 커서를 다양한 정보(기능을 포함)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커서를 웹브라우저(Web Browser), 스마트 가이드(Smart Guide), 어플리케이션(App),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도움말(Help)와 같이 다양한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40)를 통해 소정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01). 여기서, 사용자입력부(140)는 리모컨, 마우스, 키보드, 음성취득장치, 터치감지센서, 모션감지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구현 가능한 사용자입력부(140)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모드(예를 들어,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음성입력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커서가 단계 S301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03). 여기서,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40)의 입력모드,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현재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도 8 내지 도 11과 같은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 및 도 12 및 도 13와 같은 사용자 입력 위치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서 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해당 입력모드, 커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능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팅 커서가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 중인 인터랙션(interaction)을 단절시키지 않으면서 입력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입력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사용자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및 음성입력에 따른 복수의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는 롤오버, 누름, 웨이팅 및 로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가능한 커맨드는 뒤로, 스크롤, 새로 고침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웹브라우저, 스마트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및 도움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아이콘은 상기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형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기본 커서에 상기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커서를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리모컨입력, 마우스입력, 키보드입력, 제스처입력, 터치입력 및 음성입력에 따른 복수의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서 입력 가능한 커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커맨드에 따른 동작상태는 롤오버, 누름, 웨이팅 및 로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가능한 커맨드는 뒤로, 스크롤, 새로 고침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동작상태는 사용자 입력의 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웹브라우저, 스마트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및 도움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아이콘은 상기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형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강조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기본 커서에 상기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123774A 2012-11-02 2012-11-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74A KR101621524B1 (ko) 2012-11-02 2012-11-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102137224A TWI592857B (zh) 2012-11-02 2013-10-16 顯示系統與電視裝置
US14/059,887 US20140125589A1 (en) 2012-11-02 2013-10-2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 input
JP2013225120A JP2014093090A (ja) 2012-11-02 2013-10-30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13191019.2A EP2728452A3 (en) 2012-11-02 2013-10-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s input
EP17189295.3A EP3276946A1 (en) 2012-11-02 2013-10-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s input
EP15155402.9A EP2892224A1 (en) 2012-11-02 2013-10-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s input
EP20160736.3A EP3681149A1 (en) 2012-11-02 2013-10-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s input
CN201310533765.7A CN103813209A (zh) 2012-11-02 2013-11-01 用于显示用户输入的操作状态的显示装置和控制方法
PCT/KR2013/009813 WO2014069926A1 (en) 2012-11-02 2013-11-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s input
US14/661,395 US9467732B2 (en) 2012-11-02 2015-03-1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74A KR101621524B1 (ko) 2012-11-02 2012-11-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95A true KR20140057095A (ko) 2014-05-12
KR101621524B1 KR101621524B1 (ko) 2016-05-31

Family

ID=4964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74A KR101621524B1 (ko) 2012-11-02 2012-11-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40125589A1 (ko)
EP (4) EP2892224A1 (ko)
JP (1) JP2014093090A (ko)
KR (1) KR101621524B1 (ko)
CN (1) CN103813209A (ko)
TW (1) TWI592857B (ko)
WO (1) WO20140699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42A (ko) * 2015-12-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0209B1 (ko) * 2023-03-23 2023-09-20 주식회사 바이텔 터치 키보드와 터치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통합 리모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1550S1 (en) * 2013-01-04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con
USD731548S1 (en) * 2013-01-04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2077S1 (en) * 2013-01-04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con
USD732076S1 (en) * 2013-01-04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con
USD731549S1 (en) * 2013-01-04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AU350159S (en) * 2013-01-0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48136S1 (en) * 2013-02-23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7072S1 (en) * 2013-12-30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818S1 (en) * 2013-12-30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54703S1 (en) * 2014-01-07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69S1 (en) * 2014-02-11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47S1 (en) * 2014-07-11 2016-05-24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5916S1 (en) 2014-08-19 2017-08-29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8883S1 (en) * 2014-08-19 2017-10-03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display screens ha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20160062636A1 (en) * 2014-09-02 2016-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D791143S1 (en) * 2014-09-03 2017-07-0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7595S1 (en) * 2014-09-03 2016-09-2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9937S1 (en) * 2014-09-09 2016-10-25 Ge Intelligent Platform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alarm icon
USD786920S1 (en) * 2014-09-09 2017-05-16 Ge Intelligent Platforms,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alarm icon
KR20160035447A (ko) 2014-09-23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D765099S1 (en) * 2014-10-15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6063622A1 (ja) * 2014-10-24 2016-04-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キャプチャ装置、キャプチャ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D788788S1 (en) 2014-11-18 2017-06-06 Googl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417S1 (en) * 2014-12-22 2017-06-13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onent for a lock screen interface
USD770519S1 (en) * 2015-01-02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102329124B1 (ko) 2015-01-05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016146104A (ja) * 2015-02-09 2016-08-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入力システム、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D789393S1 (en) * 2015-02-20 2017-06-13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8168S1 (en) * 2015-02-27 2017-05-30 Zynga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088993B2 (en) 2015-04-01 2018-10-02 Ebay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data navigation
KR20160137362A (ko) * 2015-05-22 201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D780804S1 (en) * 2015-05-27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8157S1 (en) * 2015-08-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7549S1 (en) * 2015-08-12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55624B1 (ko) * 2015-09-11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81713B2 (en) 2015-10-28 2021-01-05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control with prompt and feedback
KR20170054866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48284B2 (en) * 2015-11-16 2019-04-02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control with prompt and feedback
USD778941S1 (en) 2016-01-08 2017-02-1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8942S1 (en) 2016-01-11 2017-02-1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7912S1 (en) * 2016-01-22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77569B2 (en) 2016-01-29 2018-05-22 Visual Supply Company Contextually changing omni-directional navigation mechanism
US9910563B2 (en) * 2016-01-29 2018-03-06 Visual Supply Company Contextually changing omni-directional navigation mechanism
KR102428934B1 (ko) * 2016-02-04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D810758S1 (en) * 2016-02-19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5649S1 (en) 2016-06-10 2018-04-1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8893S1 (en) 2016-06-11 2017-10-0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481863B2 (en) 2016-07-06 2019-11-19 Baidu U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user interface
USD812635S1 (en) * 2016-07-07 2018-03-13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7337S1 (en) * 2016-07-07 2018-05-08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5110S1 (en) * 2016-07-07 2018-04-10 Baidu Usa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0296S1 (en) * 2016-11-16 2018-06-12 Airbnb,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ost onboarding
USD845311S1 (en) * 2017-01-10 2019-04-09 Google Llc Compu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9295S1 (en) * 2017-03-24 2019-01-29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portio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8735S1 (en) * 2017-03-24 2019-01-2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portio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6579S1 (en) 2017-08-22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5648S1 (en) * 2017-11-01 2019-08-06 HumanCod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008873A (zh) * 2017-11-10 2018-05-08 亮风台(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设备的用户界面操作方法
CN108600796B (zh) 2018-03-09 2019-11-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智能电视的控制模式切换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442384A (zh) * 2018-05-02 2019-11-12 姚震 具有多操作模式切换的装置以及操作模式切换方法
USD877770S1 (en) * 2018-05-04 2020-03-10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753146B (zh) * 2018-05-11 2020-07-0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启动应用的方法及移动终端
CN110491377A (zh) * 2018-05-14 2019-11-22 成都野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
USD863337S1 (en) 2018-06-03 2019-10-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00830S1 (en) 2018-09-10 2020-1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37285S1 (en) * 2019-05-10 2021-1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817S1 (en) * 2019-06-28 2021-04-20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657556A (zh) * 2019-08-21 2020-01-0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遥控器的方法和遥控器
USD956775S1 (en) * 2019-10-02 2022-07-05 Meta Platforms,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3596531A (zh) * 2020-04-09 2021-11-0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KR102242031B1 (ko) 2020-04-09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115629A (zh) * 2020-08-26 2022-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设备
CN114201128A (zh) 2020-09-02 2022-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设备
USD942509S1 (en) * 2020-06-19 2022-02-0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782098A (zh) * 2020-07-02 2020-10-1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页面导航方法、装置和智能设备
USD971932S1 (en) * 2020-08-25 2022-12-06 Hih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087671B (zh) 2020-09-04 2022-06-1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输入法控件的操控提示信息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5600269A (zh) * 2021-07-08 2023-01-13 汽车成型工程有限公司(Ch) 用于在cae/cad系统中进行基于指针的用户交互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5093A (en) * 1992-03-06 1997-08-05 Borland International, Inc. Intelligent screen cursor
US6606101B1 (en) * 1993-10-25 2003-08-12 Microsoft Corporation Information pointers
US6097390A (en) * 1997-04-04 2000-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ess-indicating mouse pointer
US5966124A (en) * 1997-12-19 1999-10-12 Apple Computer, Inc. Method for adjusting image geometry in a video display monitor
EP0967540A3 (en) * 1998-06-26 2002-09-04 Wacom Co., Ltd. Digitizer system with cursor shape change
JP3817385B2 (ja) 1999-03-11 2006-09-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ウスポインタの表示方法
JP2001117686A (ja) * 1999-10-20 2001-04-27 Toshiba Corp ペン入力装置およびペン入力装置のポインティング処理方法
US6519566B1 (en) * 2000-03-01 2003-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hands-free operation of a pointer
KR20020057482A (ko) 2001-01-05 2002-07-11 구자홍 문서편집기의 커서 표시방법
US20090066648A1 (en) 2007-09-07 2009-03-12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US8184096B2 (en) * 2007-12-04 2012-05-22 Apple Inc. Cursor transitions
US20090319896A1 (en) * 2008-06-03 2009-12-24 The Directv Group, Inc. Visual indicators associated with a media presentation system
KR101498623B1 (ko)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6379B1 (ko) * 2009-05-07 201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11028366A (ja) * 2009-07-22 2011-02-10 Sony Corp 操作制御装置および操作制御方法
JP5343773B2 (ja) * 2009-09-04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32365A (ko) * 2009-09-22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 시스템 그 제어 방법
JP4929362B2 (ja) * 2010-02-12 2012-05-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110289461A1 (en) * 2010-05-20 2011-11-24 Joshua Morgan Jancourtz Method and sytem for rendering computer interface cursors
WO2012011263A1 (ja) * 2010-07-20 2012-0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ジェスチャ入力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方法
KR101789619B1 (ko) * 2010-11-22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음성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US9519357B2 (en) * 2011-01-30 2016-12-1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2D and 3D modes
US9030405B2 (en) * 2011-02-04 2015-05-12 Invensense, Inc. High fidelity remote controller device for digital living room
KR101842457B1 (ko) * 2011-03-09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KR101836403B1 (ko) * 2011-04-12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42A (ko) * 2015-12-18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778935B2 (en) 2015-12-1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05573B1 (en) 2015-12-18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80512B2 (en) 2015-12-18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17606B2 (en) 2015-12-18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89258B2 (en) 2015-12-18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23793B2 (en) 2015-12-18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588997B2 (en) 2015-12-18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56566B2 (en) 2015-12-18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80209B1 (ko) * 2023-03-23 2023-09-20 주식회사 바이텔 터치 키보드와 터치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통합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2857B (zh) 2017-07-21
EP2728452A3 (en) 2015-07-22
KR101621524B1 (ko) 2016-05-31
EP2728452A2 (en) 2014-05-07
US20150195607A1 (en) 2015-07-09
JP2014093090A (ja) 2014-05-19
EP2892224A1 (en) 2015-07-08
WO2014069926A1 (en) 2014-05-08
US9467732B2 (en) 2016-10-11
EP3681149A1 (en) 2020-07-15
TW201430679A (zh) 2014-08-01
CN103813209A (zh) 2014-05-21
EP3276946A1 (en) 2018-01-31
US20140125589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5634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13008089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42168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3419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103869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97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7028576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3008143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352299A (ja) A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含まれるディスプレイ機器側サブシステム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0393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