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06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060A
KR20140057060A KR1020120123704A KR20120123704A KR20140057060A KR 20140057060 A KR20140057060 A KR 20140057060A KR 1020120123704 A KR1020120123704 A KR 1020120123704A KR 20120123704 A KR20120123704 A KR 20120123704A KR 20140057060 A KR20140057060 A KR 20140057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oolant
heat exchang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488B1 (ko
Inventor
김홍성
이상열
천인범
이한춘
김주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488B1/ko
Priority to US14/064,459 priority patent/US20140123696A1/en
Publication of KR2014005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60A/ko
Priority to US15/150,804 priority patent/US100779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고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를 포함하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헤더 바디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간 하부로 안내하는 냉매입구관과; 공간의 냉매가 냉매 유로로 유출되는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에는 공간 하부의 액냉매를 안내하는 액냉매흡입관이 각각 연결되어, 팽창기구에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로 유동된 2상 냉매가 분배기 바디 내부에서 기액 분리되고, 액냉매와 분리된 후 냉매출구관로 흡입된 기상냉매와 기상 냉매와 분리된 후 액냉매흡입관로 흡입된 액냉매가 냉매출구관에서 다시 혼합되므로,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의 일부로 액냉매가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2상 냉매가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로 고르게 분배되는 것에 의해, 증발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팽창기구와 증발기 사이에 냉매를 증발기로 분배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냉매가 순차적으로 압축,응축,팽창,증발되고, 냉매가 기화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액화될 때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는 기상 냉매와 액냉매의 2상 냉매의 상태로 증발기로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는 하나의 냉매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냉매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증발기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갖을 수 있고, 팽창기구에서 유동된 2상 냉매는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분배되어 냉매 유로 각각에서 증발될 수 있고, 이후 압축기로 유동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 중 일부로 액냉매가 과다 유입될 수 있고, 복수개 냉매 유로 상호간의 액냉매량 편차로 인해 증발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 유로 중 일부로 액냉매가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증발기의 전체 효율이 높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고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헤더 바디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상기 공간 하부로 안내하는 냉매입구관과; 상기 공간의 냉매가 상기 냉매 유로로 유출되는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에는 상기 공간 하부의 액냉매를 안내하는 액냉매흡입관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냉매입구관은 출구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의 둘레부 내면 하부를 향할 수 있다.
상기 냉매입구관은 출구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의 하판 상면을 향할 수 이TEk.
상기 냉매입구관은 상기 분배기 바디 둘레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액냉매와 기상냉매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분배기 바디 내둘레면과 틈을 갖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틈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냉매입구관의 출구단 보다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은 최하측에 위치하는 냉매 출구관의 입구단이 상기 격벽 보다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은 상기 공간의 상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냉매출구관의 입구단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냉매출구관 보다 내부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하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단이 상기 냉매출구관 중 상기 분배기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일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 또는 상기 분배기 바디의 둘레부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타단이 상기 냉매출구관 중 상기 분배기 바디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팽창기구에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로 유동된 2상 냉매가 분배기 바디 내부에서 기액 분리되고, 액냉매와 분리된 후 냉매출구관로 흡입된 기상냉매와 기상 냉매와 분리된 후 액냉매흡입관로 흡입된 액냉매가 냉매출구관에서 다시 혼합되므로,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의 일부로 액냉매가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2상 냉매가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로 고르게 분배되는 것에 의해, 증발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매출구관과 액냉매흡입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1)와 제 1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와,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 전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거나, 냉매가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가 냉방 전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경우,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4)는 실외 공기 또는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될 수 있으며, 제 1 열교환기(2)는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 전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경우,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2)로 분배시킬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기상 냉매 및 액상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는 제 1 열교환기(2)와 압축기(1)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증발기인 제 1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에서 합쳐진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경우, 냉방 운전되거나 냉방 운전될 수 있다. 냉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실외 공기 또는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응축기가 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증발기가 될 수 있다. 난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2)와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2)는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응축기가 될 수 있으며, 제 2 열교환기(4)는 실외 공기 또는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증발기가 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냉방 운전시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2)로 분배시킬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냉방 운전시 기상 냉매 및 액상 냉매를 제 1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는 제 1 열교환기(2)와 압축기(1)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냉방 운전시 제 1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 유로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에서 합쳐진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난방 운전시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제 2 열교환기(4)로 분배시킬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난방 운전시 기상 냉매 및 액상 냉매를 제 2 열교환기(4)의 복수개 냉매 유로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는 제 2 열교환기(4)와 압축기(1)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냉방 운전시 제 2 열교환기(4)의 복수개 냉매 유로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에서 합쳐진 후 압축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 1 열교환기(2) 및 제 2 열교환기(4)의 각각이 복수개의 냉매유로를 갖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 설치됨과 아울러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의 사이에 각각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제 1 열교환기(2)가 복수개의 냉매유로를 갖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되고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의 사이에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설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제 2 열교환기(4)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를 갖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의 사이에 설치에 설치되고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에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설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인 히트 펌프로 구성되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되고,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시 냉매 유로를 절환하는 냉난방절환밸브(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1)는 일측에는 냉매가 압축기(1)로 흡입되는 압축기 흡입유로(1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압축기 토출유로(12)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 흡입유로(11)에는 액냉매가 담겨지고 기상냉매가 압축기 흡입유로(11)으로 안내되는 어큐물레이터(13)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 흡입유로(11)는 일단이 압축기(1)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난방절환밸브(7)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 토출유로(12)는 일단이 압축기(1)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난방절환밸브(7)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냉방 운전시,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후 증발기 입구 헤더(5)에 의해 고루 분배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될 수 있고, 난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실내팬(8)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고, 실내팬(8)과 함께 실내기(I)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나 판형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21)(22)(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는 냉방 운전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혼합된 2 상 냉매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21)(22)(23)(24)로 고르게 분산될 경우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이 높고, 복수개의 냉매 유로(21)(22)(23)(24) 중 일부로 액냉매가 집중될 경우 전체의 열교환 성능이 낮게 된다. 제 1 열교환기(2)는 복수개의 냉매유로(21)(22)(23)(24) 각각의 일단이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냉매유로(21)(22)(23)(24) 각각의 타단이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팽창기구 연결유로(51)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되는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는 냉난방 절환밸브(7)와 냉난방 절환밸브 연결 유로(61)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기구(3)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으로서, EEV나 LEV 등의 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구(3)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3)는 제 1 열교환기(2)와 제 2 열교환기(4) 각각이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와 연결될 경우, 제 1 열교환기(2)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제 2 열교환기(4)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냉방 운전시 제 2 열교환기(4)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4)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팽창기구(3)와, 제 1 열교환기(2)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제 1 열교환기(2)의 순서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에, 난방 운전시 제 1 열교환기(2)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2)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팽창기구(3)와, 제 2 열교환기(4)가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제 2 열교환기(4) 순서로 유동될 수 있다. 팽창기구(3)는 하나의 팽창기구가 실외기(O)와 실내기(I)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내기(I)에 실내팽창기구가 설치됨과 아울러 실외기(O)에 실외팽창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열교환기(4)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될 수 있고, 난방 운전시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후 증발기 입구 헤더(5)에 의해 고루 분배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실외팬(9)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랭식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냉각수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수냉식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열교환기(4)는 공랭식 열교환기로 구성될 경우, 핀-튜브형 열교환기나 판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수냉식 열교환기로 구성될 경우, 쉘-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압축기(1) 및 실외팬(9)과 함께 실외기(O)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복수개의 냉매 유로(41)(42)(4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는 난방 운전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혼합된 2 상 냉매가 복수개의 냉매 유로(41)(42)(43)(44)로 고르게 분산될 경우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이 높고, 복수개의 냉매 유로(41)(42)(43)(44) 중 일부로 액냉매가 집중될 경우 전체의 열교환 성능이 낮게 된다. 제 1 열교환기(4)는 복수개의 냉매유로(41)(42)(43)(44) 각각의 일단이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와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냉매유로(41)(42)(43)(44) 각각의 타단이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와 팽창기구 연결유로(52)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되는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는 냉난방 절환밸브(7)와 냉난방 절환밸브 연결 유로(62)로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는 팽창기구(3)에 의해 팽창된 2상 냉매를 그 내부에서 액냉매와 기상냉매를 분리할 수 있고, 기상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를 별도의 복수개 액냉매흡입관을 통해 복수개의 냉매토출관으로 고루 분배할 수 있다. 즉,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는 기액분리기 겸용 헤더 분배기가 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6')는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에서 증발된 냉매를 합친 후 압축기(1)측을 향해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6')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증발기의 냉매유로 각각과 냉매흡입관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기상 냉매는 하나의 냉매출구관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는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의 경우, 제 1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유로(21)(22)(23)(24)각각과 냉매흡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는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의 경우, 제 2 열교환기(4)의 복수개 냉매유로(41)(42)(43)(44)각각과 냉매흡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냉난방절환밸브(7)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난방절환밸브(7)는 냉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로 안내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에서 유동된 냉매를 압축기 흡입유로(11)로 안내할 수 있다. 냉난방절환밸브(7)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로 안내할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에서 유동된 냉매를 압축기 흡입유로(11)로 안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는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분배기 바디(60)와;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공간(S) 하부로 안내하는 냉매입구관(70)과, 공간(S)의 냉매가 증발기의 냉매 유로로 유출되는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에는 공간(S) 하부의 액냉매를 냉매출구관으로 안내하는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5')는 공간(S)에 설치되어 액냉매와 기상냉매를 분리하는 격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둘레부(61)와, 둘레부(61) 상단에 형성된 상판(62)과, 둘레부(61) 하단에 형성된 하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공기조화기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둘레부(6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61)는 중공 원통 형상 또는 중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냉매입구관(70)이 관통되는 냉매입구관 관통공(64)이 형성될 수 있고, 냉매출구관(80)(82)(84)(86)이 관통되는 냉매출구관 관통공(65)(66)(67)(68)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일 경우, 제 1 열교환기(2)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일 경우, 제 2 열교환기(4)의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는 도 1에 도시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6')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2) 및 제 2 열교환기(4) 각각은 분배기 바디(60)와 도 1에 도시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6')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1 열교환기(2)와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팽창기구 연결유로(51)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2 열교환기(4)와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팽창기구 연결유로(52)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분배기 바디(6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하나의 분배기 바디(60)에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단(71)이 분배기 바디(60)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냉매가 분배기 바디(60)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출구단(72)의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에 위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출구단(72)의 방향에 따라 냉매 주입 방향이 결정될 수 있고, 출구단(72)은 공간(S) 중 하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입구관(70)은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출구단(72)이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 내면 하부(61A)를 향하거나 분배기 바디(60)의 하판 상면(63A)을 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으로 안내된 기상 냉매와 액냉매는 공간(S)의 상부가 아닌 하부를 향해 유입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은 출구단(72)이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 내면 상부(61B)를 향하거나 분배기 바디(60)의 상판 하면(62A)을 향할 경우 기상 냉매와 액냉매를 공간(S)의 상부로 유입할 수 있는데, 냉매입구관(70)은 액냉매가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의 입구단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출구단(72)이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 내면 하부(61A)를 향하거나 분배기 바디(60)의 하판 상면(63A)을 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출구관(80)(82)(84)(86)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1 열교환기(2)와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인 경우, 제 1 열교환기(2)의 냉매 유로(21)(22)(23)(2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은 하나의 냉매출구관이 제 1 열교환기(2)의 하나의 냉매 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냉매출구관(80)(82)(84)(86)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가 제 2 열교환기(4)와 연결되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인 경우, 제 2 열교환기(4)의 냉매 유로(41)(42)(43)(4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하나의 냉매출구관이 제 2 열교환기(4)의 하나의 냉매 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은 분배기 바디(6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은 분배기 바디(60)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은 공간(S)의 상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은 그 각각의 입구단(88)이 공간(S)에 위치될 수 있고, 그 각각의 출구단(89)이 분배기 바디(6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냉매 출구관(86)의 입구단(88)이 격벽(110) 보다 분배기 바디(60) 하판(63)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냉매출구관(86)의 입구단(88)과 분배기 바디(60)의 하판(63) 사이의 높이(H1)는, 격벽(110)과 분배기 바디(60)의 하판(63) 사이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은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가 기액분리기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입구단(88)으로 기상냉매만 유입되거나 기상냉매가 주로 유입될 수 있고, 입구단(88)은 기상냉매 유입부가 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액냉매가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 하부에 쌓인 액냉매를 냉매출구관(80)(82)(84)(86)의 입구단(88) 이외로 안내할 수 있고,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냉매출구관(80)(82)(84)(86)의 입구단(88)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하단(107)이 분배기 바디(60) 하판(63)과 이격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상단(108)이 냉매출구관(80)(82)(84)(86) 중 분배기 바디(6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하나의 냉매출구관에 하나의 액냉매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냉매출구관에 복수개의 액냉매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 높이가 상이할 경우, 복수개의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그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격벽(110)은 냉매입구관(70)을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가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되게 하는 기액분리판이 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을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 중 격벽(110)에 부딪힌 액냉매는 격벽(110)에 막혀 공간(S)의 상측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공간(S)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을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 중 격벽(110)에 부딪힌 기상 냉매는 격벽(110)과 분배기 바디(60)의 사이 또는 격벽(110)을 통과하여 공간(S)의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격벽(110)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격벽(110)은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 내측을 액냉매와 기상냉매가 함께 위치하는 하측 공간(S1)과, 격벽(110)과 분배기 바디(60)의 사이 또는 격벽(110)을 통과한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상측 공간(S2)으로 구획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격벽(110)은 냉매 입구관(70)의 출구단(72) 보다 분배기 바디(60) 하판(63)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즉, 격벽(110)과 분배기 바디(60)의 하판(63) 사이의 높이(H2)는 냉매 입구관(70)의 출구단(72)과 분배기 바디(60)의 하판(63) 사이의 높이(H3) 보다 높을 수 있다.
격벽(110)은 분배기 바디(60) 내둘레면과 틈(112)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격벽(110)은 둘레부(61)의 수평방향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 판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틈(112)을 관통할 수 있다. 냉매입구관(70)을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는 틈(112)을 통과해 공간(S)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격벽(110)은 그 외둘레 전체가 분배기 바디(60)의 내둘레면과 밀착되고 기상 냉매가 통과하는 통공이나 액냉매 흡입관이 관통하는 통공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거나 기상 냉매가 통과하고 액냉매 흡입관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매출구관과 액냉매흡입관의 확대 단면도이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냉매출구관(80)(82)(84)(86) 보다 내부 단면적이 작을 수 있다. 즉,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의 단면적(D1)은 냉매출구관(80)(82)(84)(86)의 단면적(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2)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될 수 있으며, 팽창기구(3)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제 2 열교환기(4)의 복수개 냉매유로(41)(42)(43)(44)로 분배할 수 있으며, 제 2 열교환기(4)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될 수 있고, 압축기(1)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기(1)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토출될 수 있고,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응축기인 제 1 열교환기(2)에서 응축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3)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액냉매와 기상냉매의 혼합냉매는 증발기인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냉매 분배기(5)로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 입구 냉매 분배기(5)로 유동된 냉매는 냉매입구관(70)을 통해 분배기 바디(60)로 유입될 수 있고,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 하부로 유입된 냉매 중 액냉매는 공간(S) 상부로 상승되지 않고 공간(S) 하부에 쌓일 수 있고, 기상 냉매는 공간(S) 상부로 유동된 후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 각각의 입구단(88)으로 흡입되어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 하부에는 액냉매가 쌓이게 되고, 액냉매는 복수개의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분산되어 유입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유입된 액냉매는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을 따라 상승된 후 냉매출구관(80)(82)(84)(86)에 도달될 수 있고, 냉매출구관(80)(82)(84)(86)의 입구단(88)을 통해 흡입된 기상 냉매와 혼합될 수 있다. 냉매출구관(80)(82)(84)(86)은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과 합지되는 합지점 이후에 기상냉매와 액냉매가 혼합된 냉매가 유동되게 되고, 2상 냉매는 증발기의 복수개의 냉매유로(41)(42)(43)(44)로 고르게 분배되어 증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41)(42)(43)(44) 각각에서 증발된 냉매는 이후 증발기인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 내부에서 다시 혼합될 수 있다. 냉매는 이후 압축기(1)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는 증발기인 제 2 열교환기(4)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4)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될 수 있으며, 팽창기구(3)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5')는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2)의 복수개 냉매유로(21)(22)(23)(24)로 분배할 수 있으며, 제 1 열교환기(2)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가 될 수 있고, 압축기(1)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기(1)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토출될 수 있고,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응축기인 제 2 열교환기(4)에서 응축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4)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3)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액냉매와 기상냉매의 혼합냉매는 증발기인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냉매 분배기(5')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냉매 분배기(5')는 제 2 열교환기(4)에 연결된 증발기 입구 냉매 분배기(5)와 같이, 기상냉매와 액냉매를 분리한 후 기상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 각각의 입구단(88)으로 분산하고, 액냉매를 복수개의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분산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의 입구단(88)으로 흡입된 기상냉매와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흡입된 액냉매는 냉매출구관(80)(82)(84)(86)과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의 합지점에서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2상 냉매는 증발기의 복수개의 냉매유로(21)(22)(23)(24)로 고르게 분배되어 증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21)(22)(23)(24) 각각에서 증발된 냉매는 이후 증발기인 제 1 열교환기(2)에 연결된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6') 내부에서 다시 혼합될 수 있다. 냉매는 이후 압축기(1)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는 증발기인 제 1 열교환기(2)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분배기 바디(60) 외측에서 냉매출구관(80)(82)(84)(86)과 연결될 수 있고, 냉매출구관(80)(82)(84)(86) 및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일단(107')이 분배기 바디(60) 하판(63) 또는 분배기 바디(60)의 둘레부(61)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은 타단(108')이 냉매출구관(80)(82)(84)(86) 중 분배기 바디(6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팽창기구(3)에서 팽창된 후 냉매입구관(70)을 통해 분배기 바디(60) 내부로 유동된 2상 냉매가 분배기 바디(60) 내부에서 기상 냉매와 액냉매로 분리될 수 있고, 액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는 본 발명 일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 각각의 입구단(88)을 통해 복수개의 냉매출구관(80)(82)(84)(86)으로 분산 유동될 수 있다. 한편, 기상 냉매와 분리된 액냉매는 분배기 바디(60)의 공간(S) 하부에 쌓일 수 있고, 복수개의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분산 유동될 수 있다. 액냉매흡입관(100')(102')(104')(106')으로 유동된 액냉매는 분배기 바디(60) 외부에서 냉매출구관(80)(82)(84)(86)으로 유입될 수 있고, 냉매출구관((80)(82)(84)(86)으로 흡입된 기상 냉매와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된 2상 냉매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증발기의 복수개 냉매유로로 고루 분산되어 증발될 수 있고, 이후 압축기(1)에서 압축될 수 있다.
1: 압축기 2: 제 1 열교환기
3: 팽창기구 4: 제 2 열교환기
5,5':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 6,6': 증발기 출구 헤더 파이프
7: 냉난방 절환밸브 60: 분배기 바디
70: 냉매입구관 80,82,84,86: 냉매출구관
100,102,104,106: 액냉매흡입관 110: 격벽

Claims (15)

  1. 복수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고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상기 복수개의 냉매 유로로 분배시키는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입구 헤더 분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헤더 바디와;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상기 공간 하부로 안내하는 냉매입구관과;
    상기 공간의 냉매가 상기 냉매 유로로 유출되는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에는 상기 공간 하부의 액냉매를 안내하는 액냉매흡입관이 각각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입구관은 출구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의 둘레부 내면 하부를 향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입구관은 출구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의 하판 상면을 향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입구관은 상기 분배기 바디 둘레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액냉매와 기상냉매를 분리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분배기 바디 내둘레면과 틈을 갖게 배치되고,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틈을 관통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냉매입구관의 출구단 보다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공기조화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은 최하측에 위치하는 냉매 출구관의 입구단이 상기 격벽 보다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공기조화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냉매출구관은 상기 공간의 상부로 삽입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냉매출구관의 입구단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기 냉매출구관 보다 내부 단면적이 작은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하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과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상단이 상기 냉매출구관 중 상기 분배기 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일단이 상기 분배기 바디 하판 또는 상기 분배기 바디의 둘레부 하부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냉매흡입관은 타단이 상기 냉매출구관 중 상기 분배기 바디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123704A 2012-11-02 2012-11-02 공기조화기 KR10203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04A KR102039488B1 (ko) 2012-11-02 2012-11-02 공기조화기
US14/064,459 US20140123696A1 (en) 2012-11-02 2013-10-28 Air conditioner and evaporator inlet header distributor therefor
US15/150,804 US10077926B2 (en) 2012-11-02 2016-05-10 Air conditioner and evaporator inlet header distributo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04A KR102039488B1 (ko) 2012-11-02 2012-11-0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60A true KR20140057060A (ko) 2014-05-12
KR102039488B1 KR102039488B1 (ko) 2019-11-01

Family

ID=5088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04A KR102039488B1 (ko) 2012-11-02 2012-11-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4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49A (ko) * 2014-10-29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90096664A (ko) * 2018-02-0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7387254A (zh) * 2023-12-11 2024-01-12 江苏世林博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换热的蒸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984A (ja) * 2002-03-18 2003-09-24 Central Conveyor Kk 気液分離器
JP2005134009A (ja) * 2003-10-29 200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分配器
JP2008261538A (ja) * 2007-04-11 2008-10-30 Babcock Hitachi Kk 汽水分離器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ボイラ装置
JP2012137223A (ja) * 2010-12-27 2012-07-19 Hitachi Appliances Inc 熱交換器の分流器並びにその分流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984A (ja) * 2002-03-18 2003-09-24 Central Conveyor Kk 気液分離器
JP2005134009A (ja) * 2003-10-29 200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媒分配器
JP2008261538A (ja) * 2007-04-11 2008-10-30 Babcock Hitachi Kk 汽水分離器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ボイラ装置
JP2012137223A (ja) * 2010-12-27 2012-07-19 Hitachi Appliances Inc 熱交換器の分流器並びにその分流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49A (ko) * 2014-10-29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90096664A (ko) * 2018-02-09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7387254A (zh) * 2023-12-11 2024-01-12 江苏世林博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级换热的蒸发器
CN117387254B (zh) * 2023-12-11 2024-04-26 江苏世林博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蒸发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488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176B1 (ko) 열교환기
US10077926B2 (en) Air conditioner and evaporator inlet header distributor therefor
AU2014391505B2 (en) Air conditioner
US9897351B2 (en) Air conditioner
JP2013231535A (ja) 熱交換器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20160131577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EP2869000A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KR101647908B1 (ko) 공기 조화 장치
US20140124183A1 (en) Heat exchanger for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148724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CN112567193B (zh) 热交换器及空调装置
JP2018162900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975971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70031556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KR101837046B1 (ko) 열교환기
KR20140057060A (ko) 공기조화기
CN102455090B (zh) 一种过冷冷凝器
JP6169199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63630B1 (ko) 실외 열교환기
KR20140057059A (ko) 공기조화기
KR20170029317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JP201506856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利用側ユニット
KR102148722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WO2018061359A1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