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424A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6424A KR20140056424A KR1020120118889A KR20120118889A KR20140056424A KR 20140056424 A KR20140056424 A KR 20140056424A KR 1020120118889 A KR1020120118889 A KR 1020120118889A KR 20120118889 A KR20120118889 A KR 20120118889A KR 20140056424 A KR20140056424 A KR 201400564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tness
- physical
- physical fitness
- index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초 체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피트니스 지수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체력과 관련한 정보를 정리하여 지수로 모델링하여 지수를 보면 일반인도 손쉽게 자신의 체력 요소 별 기초체력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인바디와 같은 장비와의 데이터 연계를 통하여 측정 수치들을 종합하여 지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초 체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피트니스 지수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초체력의 측정은 인바디(InBody) 유타운(U-TOWN)과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만으로는 수치를 받아볼 수는 있어도 이러한 수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체력 평가 요소 중 어떠한 부분이 부족한지, 체력의 증진을 위해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등의 부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항상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기초 체력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스로 체력 측정 종목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통하여 기초 체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수의 측정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체 능력 정보는 상기 체력 요소에 따라 결정된 체력 측정 종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의 수행 능력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는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계단 오르기, 팔굽혀펴기, 스쿼트, 윗몸일으키기, 외발서기, 체전굴 및 BMI(Body Mass Inde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종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계단 오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근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팔굽혀펴기 또는 스쿼트(squa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근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윗몸일으크기 또는 팔굽혀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평형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외발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유연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체전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신체구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BMI(Body Mass Ind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비중은 2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근력 또는 근지구력인 경우 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비중은 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신체 능력 정보 입력부;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신체 능력 지수 변환부;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피트니스 지수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기초 체력과 관련한 정보를 정리하여 지수로 모델링하여 지수를 보면 일반인도 손쉽게 자신의 체력 요소 별 기초체력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인바디와 같은 장비와의 데이터 연계를 통하여 측정 수치들을 종합하여 지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체력 요소 별 신체 능력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체력 요소 별 신체 능력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기초 체력의 측정은 운동 시 건강 관련 체력 요소에 따른 항목별 평가치를 지수화 하는 것으로서, 건강 관련 체력 요소는 크게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신체구성과 같이 분류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신체 능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0),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하는 단계(S200),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0)는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다. 기초 체력의 측정은 운동 시 건강 관련 체력 요소에 따른 항목별 평가치를 지수화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기초 체력의 측정을 위한 체력 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폐지구력은 장시간 동안 대근군을 이용하여 동적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심폐지구력 수준이 높은 것은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가져오는 습관적인 신체활동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력은 순간적인 근 피로에 조달하기 전의 반복 수행을 말하며, 근지구력은 근피로에 이르기 전 지속적인 수축이나 반복을 수행하기 위한 근육의 능력을 의미한다. 근력과 근지구력은 골다골증과 관련이 있는 골질량, 당뇨병, 근육의 힘줄 유지, 일상생활의 활동수행 능력, 체중 조절과 관련 있는 제지방량과 안정 시 대사율 등과 같은 건강 관련 체력 요인이다.
평형성은 자세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평형성은 빠른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하며 일상 생활 수행 및 스포츠 활동에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유연성은 완전한 가동범위로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신체구성은 일반적으로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 등 신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 신체 구성은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도를 나타내는 신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통해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체 능력 정보는 상기 체력 요소에 따라 결정된 체력 측정 종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의 수행 능력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체력 측정 종목이 체력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은 상술한 체력요소에 따른 신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적합한 평가 종목을 선정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체력 측정 종목은 일정 시간 동안의 오른 계단수를 측정하는 계단 오르기, 일정 높이의 다리를 올린 채 또는 반복하여 수행되는 팔굽혀펴기,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를 측정하는 스쿼트(squat), 일정 시간 동안의 반복 수행 횟수를 측정하는 윗몸일으키기, 자세의 유지 시간을 측정하는 외발서기, 상체의 굽혀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체전굴 및 체질량 지수를 측정하는 BMI(Body Mass Index)측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종목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계단 오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심폐지구력의 측정 방식은 필드검사, 트레드밀 검사, 사이클 에르고미터 검사, 스텝 검사 등이다. 정해진 박자에 맞춰 스텝에 대한 심박수 반응을 측정하거나 정해진 스텝 높이에서 운동 직후 회복기 심박수를 측정하여 심폐지구력을 예측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단 오르기는 주변에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계단을 이용하여 기 정해진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60초 동안의 계단을 오른 횟수를 통해 심폐지구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체력 요소가 근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팔굽혀펴기 또는 스쿼트(squat)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인 스쿼트 자세인 맨손 스쿼트 자세로 30초 동안에 얼마나 많은 반복횟수에 따라 하지 근력을 평가할 수 있다. 팔굽혀펴기의 경우 다리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수행되며, 팔굽혀펴기를 수행할 수 있을 때의 최대 다리의 높이를 통하여 평가할 수 있다.
체력 요소가 근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윗몸일으크기 또는 팔굽혀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지구력은 근피로에 이르기 전 지속적인 수축이나 반복을 수행하기 위한 근육의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휴식없는 반 윗몸일으키기나 팔굽혀펴기와 같은 단순한 검사를 통하여 상체 근지구력과 복부 근지구력을 평가한다.
체력 요소가 평형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외발서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을 어깨 넓이로 편하게 놓고 눈을 감은 자세로 손은 허리에 올리게 하고, 한쪽다리를 들고 무릎이 90도 정도 구부러지도록 자세를 유지한다. 이때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체력 요소가 유연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체전굴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은 운동을 수행할 때 나 일상생활을 수행할 때 중요하다.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좌전굴 검사는 주로 허리와 엉덩관절 유연성을 평가하지만, 허리의 유연성 보다는 햄스트링의 유연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건강관련체력검사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력 요소가 신체구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BMI(Body Mass Ind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질량지수(BMI)는 신장에 대한 체중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며 신장을 미터로 환산한 것에 제곱한 값으로 체중을 나누어 계산한다. 대한비만학회의 자료에 따르면 이 지수가 30 이상 고도비만, 25~29.9 비만, 23~24.9 과체중, 18.6∼22.9 정상, 18.5 이하 저체중으로 판정된다. 예컨대 키가 160㎝이고, 몸무게 60㎏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0)는 상술한 체력 측정 종목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입력 받는다. 이하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하는 단계(S200)는 입력 받은 사용자의 체력 측정 종목의 수행 능력 정보를 피트니스 지수 측정을 위한 점수로 변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신체 능력 지수는 사용자의 체력 요소 수행 능력을 입력 받은 수행 능력 정보에 따라 점수화 했을 때 그 점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수행 능력에 따른 점수는 표 1과 같다.
체력요소 | 종목 | 범위 | 점수 | 비중 |
심폐지구력 | 60초 계단 오르기 | ~ 40계단 | 1 | 25~35% |
42 ~ 80계단 | 2 | |||
82 ~ 120계단 | 3 | |||
122 ~ 160계단 | 4 | |||
162계단 ~ | 5 | |||
근력 | 다리 올려 팔굽혀펴기 |
무릎 높이 이하 | 1 | 15~25% |
허리 높이 | 2 | |||
가슴 높이 | 3 | |||
머리 높이 | 4 | |||
물구나무서기 | 5 | |||
30초 스쿼트 | ~ 9회 | 1 | ||
10 ~ 14회 | 2 | |||
15 ~ 19회 | 3 | |||
20 ~ 29회 | 4 | |||
30회 ~ | 5 | |||
근지구력 | 30초 윗몸 일으키기 | ~ 4회 | 1 | 15~25% |
5 ~ 9회 | 2 | |||
10 ~ 14회 | 3 | |||
15 ~ 19회 | 4 | |||
20회 ~ | 5 | |||
팔굽혀펴기 | ~ 4회 | 1 | ||
5 ~ 9회 | 2 | |||
10 ~ 14회 | 3 | |||
15 ~ 19회 | 4 | |||
20회 ~ | 5 | |||
평형성 | 눈감고 외발서기 | ~ 5초 | 1 | 5~15% |
6 ~ 30초 | 2 | |||
31 ~ 60초 | 3 | |||
61 ~ 119초 | 4 | |||
120초 ~ | 5 | |||
유연성 | 체전굴 | ~ 0cm | 1 | 5~15% |
0.1 ~ 5cm | 2 | |||
5.1 ~ 9.9cm | 3 | |||
10 ~ 14.9cm | 4 | |||
15cm ~ | 5 | |||
신체구성 | BMI | 30kg/m2 | 1 | 5~15% |
25 ~ 29.9kg/m2 | 2 | |||
20.1 ~ 24.9kg/m2 | 4 | |||
~ 20kg/m2 | 5 |
체력 측정 종목의 수행 능력 정보를 피트니스 지수 측정을 위한 점수로 변환하는 것은 그 수행 결과를 점수화하는 것으로,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본 실시예에서 주변에 본 실시예에서 계단 오르기는 주변에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계단을 이용하여 기 정해진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60초 동안의 계단을 오른 횟수를 통해 점수를 매긴다.
근력의 경우는 다리 올려 팔굽혀펴기를 수행하여 다리의 높이가 무릎 높이 이하, 허리 높이, 가슴 높이 등 그 높이에 따라 점수를 매기며 스쿼트의 경우는 30초 동안의 반복횟수에 따라 점수를 매긴다.
근지구력은 30초 동안의 윗몸 일으키기 횟수와 팔굽혀펴기의 횟수에 따라 점수를 매기며, 평형성은 발을 어깨 넓이로 편하게 놓고 눈을 감은 자세로 손은 허리에 올리게 한다음 한쪽다리를 들고 무릎이 90도 정도 구부러지도록 자세를 유지하게 하여 그 자세 유지 시간에 따라 점수를 매긴다.
유연성은 햄스트링의 유연승을 측정하기 위하여 체전굴 자세로 양손을 천천히 아래로 뻗어 최대한 내릴수 있는 만큼 내리고 자세를 유지하였을 때 손끝이 평행하게 가장 멀리 도달한 지점을 측정하고 그 지점의 위치를 통하여 점수를 매긴다. 신체구성은 신체질량지수(BMI)에 따라 점수를 매기게 된다.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비중 적용 단계(S310)와 신체 능력 지수 합산 단계(S320)를 포함한다. 다시 표 1을 참조하면 체력요소에 따라 비중이 결정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비중 적용 단계(S310)는 이러한 비중을 신체 능력 지수에 대한 비중으로 적용하게 된다. 나아가 신체 능력 지수 합산 단계(S320)는 비중이 적용된 신체 능력 지수들을 합산하여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가 측정한다.
도 3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서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60초 계단 오르기의 수행 결과를 심폐지구력 측정 종목 수행 정보로 입력 받고(S100a),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a). 본 실시예에서 심폐지구력의 비중은 25~35%, 바람직하게는 3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30% 비중을 적용한다. 따라서, 일예로 사용자가 60초 계단 오르기를 수행 결과가 90계단인 경우 점수는 3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30%이므로, 3*30/5=18이 심폐지구력의 신체 능력 지수는 18이 된다.
도 4에서, 근력의 경우는 다리 올려 팔굽혀펴기 및 30초 스쿼트의 수행 결과를 근력 측정 종목 수행 정보로 입력 받고(S100b),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b). 본 실시예에서 근력의 비중은 15~25%, 바람직하게는 2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20% 비중을 적용한다. 또한 근력은 두개 종목을 통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따라서 각각 10%의 비중을 적용하게 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다리 올려 팔굽혀펴기의 수행 결과가 허리 높이인 경우 점수는 2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10%이므로, 2*10/5=4. 또한 30초 스쿼트의 수행 결과가 16회인 경우 점수는 3이고 이때 신체 능력 지수는 3*10/5=6이 된다. 결과를 합산하면 근력의 신체 능력 지수는 4+6=10이 된다.
도 5에서, 근지구력의 경우는 30초 윗몸 일으키기 및 팔굽혀펴기의 수행 결과를 근력 측정 종목 수행 정보로 입력 받고(S100c),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c). 본 실시예에서 근지구력의 비중은 15~25%, 바람직하게는 2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20% 비중을 적용한다. 또한 근지구력 역시 두개 종목을 통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따라서 각각 10%의 비중을 적용하게 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30초 윗몸일으키기의 수행 결과가 14회인 경우 점수는 3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10%이므로, 3*10/5=6. 또한 팔굽혀펴기의 수행 결과가 15회인 경우 점수는 4이고 이때 신체 능력 지수는 4*10/5=8이 된다. 결과를 합산하면 근지구력의 신체 능력 지수는 6+8=14가 된다.
도 6에서, 평형성의 경우는 눈감고 외발서기의 수행 결과를 근력 측정 종목 수행 정보로 입력 받고(S100d),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d). 본 실시예에서 평형성의 비중은 5~15%, 바람직하게는 1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10% 비중을 적용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눈감고 외발서기의 수행 결과가 30초인 경우 점수는 2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10%이므로, 2*10/5=4. 평형성의 신체 능력 지수는 4가 된다.
도 7에서, 유연성의 경우는 체전굴의 수행 결과를 근력 측정 종목 수행 정보로 입력 받고(S100e),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e). 본 실시예에서 유연성의 비중은 5~15%, 바람직하게는 1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10% 비중을 적용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체전굴의 수행 결과가 5cm인 경우 점수는 2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10%이므로, 2*10/5=4. 유연성의 신체 능력 지수는 4가 된다.
도 8에서, 신체구성의 경우는 BMI의 측정 결과를 신체구성 정보로 입력 받고(S100f), 수행 결과로서 입력 받은 수행 정보를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한다(S200f). 본 실시예에서 신체구성의 비중은 5~15%, 바람직하게는 10%이므로, 신체 능력 지수에 10% 비중을 적용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신체구성의 수행 결과가 27m2/kg인 경우 점수는 2점이고, 그 비중은 피트니스 지수 100을 기준으로 10%이므로, 2*10/5=4. 신체구성의 신체 능력 지수는 4가 된다.
이상의 일예에서 체력요소에 따른 신체 능력 지수를 합산하면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는 54(18(심폐지구력) + 10(근력) + 14(근지구력) + 4(평형성) + 4(유연성) + 4(신체구성) = 54(피트니스 지수))로 측정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따른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체성분을 포함하는 체력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체력 측정 장치와 연계하여 측정된 정보를 통해 피트니스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체력 측정 장치는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기와 같은 장비를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측정된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 등의 체성분 정보를 산출된 피트니스 지수에 적용시켜, 보다 정확한 피트니스 지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피트니스 지수의 측정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10)는 신체 능력 정보 입력부(100)와 신체 능력 지수 변환부(200), 피트니스 지수 측정부(300)를 포함한다.
신체 능력 정보 입력부(100)는 상술한 피트니스 지수의 측정 방법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0)를 수행하며, 신체 능력 지수 변환부(200)는 신체 능력 지수로 변환하는 단계(S200), 피트니스 지수 측정부(300)는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상의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10)를 구성하는 신체 능력 정보 입력부(100)와 신체 능력 지수 변환부(200), 피트니스 지수 측정부(30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의 각 단계에 대응되는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능력 정보는 상기 체력 요소에 따라 결정된 체력 측정 종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의 수행 능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는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일정 시간 동안의 오른 계단수를 측정하는 계단 오르기, 일정 높이의 다리를 올린 채 또는 반복하여 수행되는 팔굽혀펴기,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를 측정하는 스쿼트(squat), 일정 시간 동안의 반복 수행 횟수를 측정하는 윗몸일으키기, 자세의 유지 시간을 측정하는 외발서기, 상체의 굽혀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체전굴 및 체질량 지수를 측정하는 BMI(Body Mass Index)측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종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계단 오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근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일정 높이의 다리를 올린 채 팔굽혀펴기 또는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를 측정하는 스쿼트(squ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근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일정 시간 동안의 반복 수행 횟수를 측정하는 윗몸일으키기 또는 반복하여 수행되는 팔굽혀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평형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자세의 유지 시간을 측정하는 외발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유연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상체의 굽혀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체전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신체구성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따른 상기 체력 측정 종목은 체질량 지수를 측정하는 BMI(Body Mass Index)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심폐지구력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비중은 25%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근력 또는 근지구력인 경우 1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 요소가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비중은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체성분을 포함하는 체력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체력 측정 장치와 연계하여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피트니스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신체 능력 정보 입력부;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신체 능력 지수 변환부;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피트니스 지수 측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장치. - 사용자의 기초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력 요소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능력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신체 능력 정보를 상기 체력 요소별 신체 능력 지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체력 요소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비중을 상기 신체 능력 지수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889A KR101470593B1 (ko) | 2012-10-25 | 2012-10-25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PCT/KR2013/009532 WO2014065612A1 (ko) | 2012-10-25 | 2013-10-24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889A KR101470593B1 (ko) | 2012-10-25 | 2012-10-25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6424A true KR20140056424A (ko) | 2014-05-12 |
KR101470593B1 KR101470593B1 (ko) | 2014-12-11 |
Family
ID=5054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8889A KR101470593B1 (ko) | 2012-10-25 | 2012-10-25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0593B1 (ko) |
WO (1) | WO201406561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483B1 (ko) | 2018-10-15 | 2019-09-11 | 주식회사 룩인바디 | 체성분 변화 성과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값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976762B1 (ko) | 2018-10-17 | 2019-08-28 | 주식회사 룩인바디 |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KR20200043258A (ko) | 2019-04-26 | 2020-04-27 | 주식회사 룩인바디 |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KR102174816B1 (ko) | 2019-09-03 | 2020-11-05 | 주식회사 룩인바디 | 체성분 변화 성과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값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0064A (ja) * | 2002-05-07 | 2003-11-11 | Konami Sports Life Corp | 運動支援システム |
KR100676471B1 (ko) * | 2004-05-20 | 2007-02-02 | 조지성 |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
KR100750071B1 (ko) * | 2005-02-01 | 2007-08-21 |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0825734B1 (ko) * | 2006-09-29 | 2008-04-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00123426A (ko) * | 2009-05-15 | 2010-11-24 |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 체력 측정 보고서 자동 생성 방법 |
KR101069598B1 (ko) * | 2009-08-20 | 2011-10-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
-
2012
- 2012-10-25 KR KR1020120118889A patent/KR1014705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10-24 WO PCT/KR2013/009532 patent/WO201406561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65612A1 (ko) | 2014-05-01 |
KR101470593B1 (ko) | 2014-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ilder et al. | Physical fitness assessment: an update | |
Sánchez-Moreno et al. | Movement velocity as indicator of relative intensity and level of effort attained during the set in pull-up exercise | |
Michailov et al.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nger strength and endurance measurements in rock climbing | |
Marmon et al. | Associations among strength, steadiness, and hand function across the adult life span | |
Akça | Prediction of rowing ergometer performance from functional anaerobic power, strength and anthropometric components | |
Zivkovic et al. | A simple method for assessment of muscle force, velocity, and power producing capacities from functional movement tasks | |
Iversen et al. | Multiple-joint exercises using elastic resistance bands vs. conventional resistance-training equipment: A cross-over study | |
McKean et al. | Quantifying the movement and the influence of load in the back squat exercise | |
JP5676630B2 (ja) | フィットネステストシステム | |
van den Tillaar | Comparison of kinematics and muscle activation between push-up and bench press | |
CN106880357A (zh) | 一种运动能力评估系统 | |
Alberton et al. |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responses to different head-out aquatic exercises performed in water and on dry land | |
KR101470593B1 (ko) |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
Stephensen et al. |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biomechanical gait patterns in boys with haemophilia | |
Omkar et al. | A mathematical model of effects on specific joints during practice of the sun salutation–a sequence of yoga postures | |
KR101534811B1 (ko) | 기초체력평가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운동처방 방법 및 그 시스템 | |
Knapik et al. | Physiological factors in stretcher carriage performance | |
KR101069598B1 (ko) |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동처방 방법 및 운동처방 시스템 | |
Yates et al. | The influence of surface angle 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ilates based exercises | |
KR20230158251A (ko) | 신체 정보를 이용한 체력 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 |
Kligman et al. | Recommending exercise to healthy older adults: The preparticipation evaluation and exercise prescription | |
Nolte et al. | Three dimensional musculoskeletal modelling of the seated biceps curl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 |
Elder | Measuring physical fitness of adults in the primary care setting | |
KR20160051621A (ko) | 리포머 기구를 이용한 유산소 근력 운동이 결합된 필라테스 운동방법 및 그 시스템 | |
Ayala-Guzmán et al. | Phase angle and body composition as predictors of fitness and athletic performance in adolescent box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