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762B1 -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62B1
KR101976762B1 KR1020180124099A KR20180124099A KR101976762B1 KR 101976762 B1 KR101976762 B1 KR 101976762B1 KR 1020180124099 A KR1020180124099 A KR 1020180124099A KR 20180124099 A KR20180124099 A KR 20180124099A KR 101976762 B1 KR101976762 B1 KR 10197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data
user
data
axis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재
김현석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인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인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인바디
Priority to KR102018012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서에는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고,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OF PROVIDING TRANSITION OF CHANGE ON PHYSICAL DATA OF US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예컨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한 결과를 변화 추이로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웰빙(well-being)이나 로하스(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와 같은 삶의 가치관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헬스케어 시장 또한 그에 상응하여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 사람들은 피트니스 센터 등에 배치된 체성분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성분 변화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분석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다이어트를 진행하였다 할지라도 어느 정도의 성과가 있었는지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파악하거나 타인의 시간 경과와 상대적인 통계적 비교가 불가능하였다. 이는 사용자들 각각마다 성별, 키,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또는 근육량) 등과 같은 신체적 특징, 최초 체성분 상태, 그에 따른 적합한 다이어트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서로 다른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체지방량을 감량하거나 동일한 골격근량을 증량한 경우일지라도 최초 체지방량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그 체성분 변화량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나 노력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반영하여 그 성과나 다이어트 수행 추이를 효과적으로 보여주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70593호에는 사용자의 기초 체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피트니스 지수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상특허는 체력 요소 중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및 신체구성 각각에 대해 소정의 비중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전체 피트니스 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체성분 변화를 시간에 따른 경로로 보여주는 어떠한 기술적 사상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신체적 특징과 체성분을 갖는 사용자들 사이의 신체 데이터, 특히, 체성분 변화의 추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별 영역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표준 영역, 표준 이하 영역 및 표준 이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별 영역들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정해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신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산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1 신체 데이터 및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2 신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정렬된 바 형태(bar shape)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수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2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i)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상기 제2 시점까지의 변화량 수치 및 (ii) 상기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지표값(index value)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인터랙션(interaction)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신체 데이터가 새로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현재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현재 시점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상기 제2 시점과 상이한 시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이는, 상기 추이에서 나타나는 체성분 변화 성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d) 상기 추이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추이에 별도로 제공된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개별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인터랙션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의 제어 정도 및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그래픽 오브젝트에 있었는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좌표계의 스케일(scale)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d') 상기 사용자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체 데이터의 평균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좌표계가 갖는 스케일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이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를 나타내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 각각에 이르는 목표 추이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목표 신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산출하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 각각에 이르는 추이의 다이어트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서로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중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좌표로부터 상기 좌표계 상의 각 지점에 이르는 데 소요되는 예상 기간이 동일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등시선 또는 등시면을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시선 또는 등시면에 의해 분리되는 영역들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정해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신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산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등시선 또는 등시면은, 상기 등시선 또는 등시면에서 나타나는 체성분 변화 성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a) 상기 추이, (b)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및 (c) 상기 (a) 및 상기 (b)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상으로 제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인쇄 장치로 하여금: (a) 상기 추이, (b)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및 (c) 상기 (a) 및 상기 (b)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과지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 (ii)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1 좌표로부터 상기 좌표계 상의 각 지점에 이르는 데 소요되는 예상 기간이 동일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그래픽 오브젝트로서 생성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등시선 또는 등시면을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따른 축별 영역 및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예시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되는 추이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에 따라 제공되는 추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추이의 변형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개시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있어, '현재'라는 용어 및 그 변형은 본 개시서의 방법 또는 장치가 실시되는 시점으로부터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정도의 소정 기간만큼의 '과거' 및 '미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시간을 나타내는 수직선 상에 '현재'가 표현되는 때, '과거'나 '미래'에 속하는 점들의 집합은 그 측도(measure)가 0이 아니고 불가산(uncountable)인 것과 달리 '현재'에 대응되는 하나의 점의 집합은 불연속 가산(countable) 집합인 동시에 0 측도(measure zero)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회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자면, 시간 수직선에서 선택된 임의의 시점이 물리적인 의미의 '현재'일 확률이 0인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개시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있어, '신체 데이터'라는 용어 및 그 변형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예컨대,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인 바, 그러한 신체 데이터는,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에 기반하여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신체 데이터에는 체중, 체지방률,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수분량, 제지방량(FFM; fat-free mass), FFMI(제지방량/신장2), SMMI(골격근량/신장2), BFMI(체지방량/신장2), BMI(체중/신장2), ASM(다리 및 팔 근육량), PBF(체지방량 / 체중) 및 혈압 등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 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의 형태로도 체성분 측정 장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 기반의 저장 장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체성분 측정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예컨대, 체성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 인쇄 장치,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우선, 컴퓨팅 장치(100)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S120)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S140)를 수행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S120)는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구현되는 좌표계 획득 모듈(130; 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따른 축별 영역 및 추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상기 축별 영역들(320, 340)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310, 33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표준 영역(324, 344), 표준 이하 영역(322, 342) 및 표준 이상 영역(326, 3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체적 특징은,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축별 영역들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정해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신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예컨대, 빅데이터 통계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표준 영역, 표준 이하 영역 및 표준 이상 영역으로 나눈 예시 외에도 다른 예시로서, 상기 축별 영역들은 사용자(피검자)와 나이, 성별, 키가 비슷한 집단의 백분위 분포를 기반으로 분할된 영역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축별 영역들은 사용자(피검자)와 나이, 성별, 키가 비슷한 집단을 모집단으로 하는 정규 분포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가 sd일 때, 전체 영역에 있어서 -3sd, -2sd, -1sd, 1sd, 2sd, 3sd(에 대응하는 백분위인 0.1%, 2.2%, 15.9%, 84.1%, 97.8%, 99.9%)의 위치에서 분할한 영역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축들(310, 330)이 사용자의 골격근량에 연관되는 제1 축(310) 및 사용자의 체지방량에 연관되는 제2 축(3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즉, 골격근량-체지방량의 조합)되어 있으나, 이러한 축의 조합 외에도 축들 각각이 다양한 신체 데이터에 연관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축들 각각이 신체 데이터와 연관되는 조합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첫 번째, 체성분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2가지 요소로써 다이어트, 벌크업, 린메스업 등 체성분 변화과정을 잘 나타내는 축의 조합에는, (i) 제지방량-체지방량, 이와 유사한 골격근량-체지방량, (ii) 제지방량-체지방률, 이와 유사한 골격근량-체지방률, (iii) FFMI-BFMI, 이와 유사한 SMMI-BFMI, 및 (iv) BMI-SMM, BMI-SMMI, BMI-BFM, BMI-체지방률이 있을 수 있다.
두 번째, 사지근육량은 근감소증을 파악할 때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사지근육량의 변화와 BMI의 변화를 추적 관리함으로써 근감소증의 심각도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축의 조합에는, ASM/신장2-BMI, ASM/체중-BMI, ASM/BMI-BMI 등이 있을 수 있다.
세 번째, 비만 개선이 혈압·혈당 개선에 영향을 끼친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비만 개선과 혈압·혈당 개선의 변화를 추적 관리함으로써 실제 비만 개선에 의한 혈압·혈당의 개선을 효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축의 조합에는, 혈압지표-PBF, 혈압지표-BFMI, 혈당지표-PBF, 혈당지표-BFMI 등이 있을 수 있다.
네 번째, 부종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한 축의 조합에는, 세포외수분비-세포내수분, 세포외수분비-세포외수분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섯 번째, 근육 증가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한 축의 조합에는 SMM-세포외수분비가 있을 수 있다.
여섯 번째, 근력 운동 시간이 많으면 근육량이 증가하는데 이에 따라 혈압·혈당 관련 지표가 줄어드는 것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축의 조합에는, 주간근력운동총시간-골격근량-혈압·혈당지표의 3축 또는 이들 중 2개 축의 조합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축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프로세스(S120)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이시에, 즉, 그 전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S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동되는 입력 장치(200; 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바, 상기 복수의 신체 데이터는 컴퓨팅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의 입력 장치(200)로부터 획득되거나, 컴퓨팅 장치(100)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스(S140)에서 상기 신체 데이터의 획득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페어링된 외부 장치, 예컨대, 외부 입력 장치 또는 외부 측정 장치로부터의 수신,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결된 내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수신 등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이용되는 컴퓨팅 장치("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에 대한 실시예들이 예시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100)의 제1 실시예(100a)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300a)와 연동되는데, 마찬가지로,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의 실시를 위한 데이터의 획득을 위하여 제1 실시예(100a)가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입력 장치(200a)와도 연동될 수 있다. 다만 입력 장치(200a)와의 연동이 필수적이지는 않은바, 이 제1 실시예(100a)가 소정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때에, 그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100)의 제2 실시예(100b)는, 통신부(110), 예컨대, 버스(bus)를 통하여 프로세서(120)와 연동되는 입력 장치(200b)를 포함하는 한편, 통신부(110)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 장치(300b)와 연동될 수도 있다.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100)의 제3 실시예(100c)는, 통신부(110), 예컨대, 버스를 통하여 프로세서(120)와 연동되는 출력 장치(300c)를 포함하는 한편, 통신부(110)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장치(200c)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100)의 제4 실시예(100d)는, 통신부(110), 예컨대, 버스를 통하여 프로세서(120)와 연동되는 입력 장치(200d) 및 출력 장치(300d)를 포함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따른 추이 등 외부에 출력될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로서 출력 장치(300; 300a 내지 300d)가 구현되는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스(S140)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외부의 입력 장치(200a, 200c), 내부의 입력 장치(200b, 200d)로부터 수신되거나 컴퓨팅 장치(100)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보유된 코드 이미지(code image)의 인식에 의하여 획득될 수도 있는데, 이 코드 이미지의 예시에는 바코드(bar code),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이 있다. 코드 이미지(code image)로 부호화된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식은 그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QR 코드의 인식에 의하여 상기 좌표계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에서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스(S140)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의 입력 장치(200a, 200c)가 전극부를 포함하거나 컴퓨팅 장치(100)가 내부의 입력 장치(200b, 200d)로서 상기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는바, 전극부는 식별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며, 현재 시점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를 측정하여 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체성분 데이터란 사용자가 전극부에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소정 시간 내에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여러 시점에서 개별 사용자에 대하여 측정된 체성분 데이터들은 외부 입력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 스토리지 등)에 의하여 누적적으로 보유되어 상기 복수의 신체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S14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의 입력 장치 또는 내부의 입력 장치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이 수동 입력(manual input)을 위한 입력 장치일 수 있는바,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데이터에 연관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200a, 200c) 또는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부도 포함할 수 있는바, 사용자 식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체성분 측정 장치를 통해 체성분이 측정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용자의 회원번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00; S120, S140)의 수행 후에,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추이(transition)'는 좌표계 상에 정의될 수 있는 순서 있는 점들(ordered points)을 지칭하는 것인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순서 있는 점들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한 경로(path)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계(S200)는,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구현되는 추이 산출 모듈(140; 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이는, 상기 추이에서 나타나는 체성분 변화 성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성분 변화 성과는 체성분 개선, 부종 감소 및 골격근 증량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체성분 개선의 경우, 상기 제1 신체 데이터 및 상기 제2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골격근량 및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량 중에서 상이하게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300)에서,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내부의 출력 장치(300c, 300d) 또는 상기 컴퓨팅 장치(100)의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동되는 외부의 출력 장치(300a, 300b)로 하여금, 다음 (i), (ii) 및 (iii) 중 적어도 하나(이하 "출력 대상"이라 함)를 출력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i)는 상기 추이, (ii)는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iii)는 상기 추이 및 상기 복수의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이다.
예시로서, 상기 출력 장치(300a 내지 300d)가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 상기 출력 대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출력 장치(300a 내지 300d)가 인쇄 장치인 경우에, 상기 출력 대상은 결과지(result paper)와 같은 인쇄물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N이 2보다 크면, 단계(S300)에서, 상기 화면 상으로의 제공 또는 상기 인쇄물에의 출력을 위하여 상기 N차원 좌표계를 2차원으로 차원 축소(dimension reduction)한 결과가 상기 출력 대상에 반영될 수 있다. 그러한 차원 축소의 일 예시로는, 사영(projection)이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출력 장치(300a 내지 300d)가 가상 현실, 증강 현실, 홀로그램 등을 응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 3차원 좌표계 또는 3차원으로 차원 축소된 좌표계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대상이 그대로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대상들 또한 도 3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단계(S300)의 더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 3, 도 5a 내지 도 5d,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350)가 예시되어 있는 바, 이 그래픽 오브젝트(350)는 추이를 한정하는 좌표들을 그 좌표들에 대응하는 시점들의 순서대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시점들 각각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은 그래픽 오브젝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추이를 한정하는 좌표들 외에 목표 신체 데이터에 상응하는 목표 좌표(360)도 별도의 그래픽 오브젝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방법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어느 하나의 시점인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혹은 검출)되면,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1 신체 데이터 및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2 신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정렬된 바 형태(bar shape; 501, 502)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다양한 제스처(gesture), 예컨대, 터치(touch), 탭(tap), 혹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클릭(click), 상기 제1 시점에 대응되는 날짜 탭의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바 형태는 상기 축별 영역들 각각에 속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바,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다.
계속해서,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503)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또는 검출)되면,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수치(504)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날짜, 예컨대, 골격근량 및 체지방량 등과 같은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도 5b의 하단에 참조부호 510으로 예시된 것처럼 바 그래프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503)를 포함하여 본 개시서에서 언급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들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 신체적 특징, 날짜와 같은 시간적 요소 등 다양한 기초 자료에 따라 그 색상, 위치, 크기 등이 다양하게 변형됨으로써 이를 인지하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촉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2 시점에 대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i)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상기 제2 시점까지의 변화량 수치(도 5c의 참조부호 520) 및 (ii) 상기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지표값(index value; 예컨대, 도 5d의 참조부호 531로 예시된 바와 같은 평균 미션 달성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계 상에 그래픽 오브젝트로서 나타난 추이를 구성하는 좌표들에 대응되는 시점들 사이에 제공된 개별 미션(532)이 얼마나 충실하게 달성되었는지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값으로서 평균 미션 달성률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얼마나 신속하게 변화량을 달성한 것인지를 알려주는 변화율, 즉, 시간당 변화량과 같은 다양한 지표값들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의 선택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인터랙션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인터랙션의 감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선택은, 현재의 신체 데이터가 새로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현재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현재 시점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상기 제2 시점과 상이한 시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재의 신체 데이터는, 예컨대, 체성분 검사의 진행에 의하여 전술한 전극부 또는 체성분 측정 장치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현재 시점에 가장 가까운 이전 시점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제공되는 추이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단계(S300)는, 전술한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610 내지 640)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고려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이 체지방량 및 골격근량인 경우에, 상기 추이에 포함된 개별 구간에서의 변화가 체지방량의 증가 및 골격근량의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에 그 개별 구간(610)의 색상은 빨간색으로 하고, 개별 구간에서의 변화가 체지방량 증가 및 골격근량 증가를 나타내거나 체지방량 감소 및 골격근량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에 그 개별 구간(620, 640)의 색상은 노란색으로 하고, 개별 구간에서의 변화가 체지방량 감소 및 골격근량 증가를 나타내는 경우에 그 개별 구간(630)의 색상은 녹색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표계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그 스케일(scale)이 조정되어야 할 필요도 있으므로,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추이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추이와 별도로 제공되는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컴퓨팅 장치(100)가, 상기 인터랙션에 의한 제어 정도, 예컨대, 화면에 가하는 압력의 정도, 핀치 제스처(pinch gesture)의 정도, 스프레드 제스처(spread gesture)의 정도,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개별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인터랙션이 있었는지 등에 대응하여 상기 좌표계의 스케일(scale)을 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스케일이 조정된 결과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스케일 조정의 다른 예시로서,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체 데이터의 평균 변화량에 기반하여, 컴퓨팅 장치(100)가, 상기 좌표계가 갖는 스케일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 데이터에 관한 등시선(isochrone) 또는 등시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좌표계 상의 각 지점에 이르는 데 소요되는 예상 기간이 동일한 등시면 또는 등시선(isochrone; 710)을 그래픽 오브젝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작 시점은, 예컨대, 현재 시점이거나 인터랙션에 의하여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연관된 시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상 기간은, 예를 들어, 신체적 특징이 동일 또는 유사한 사람들에 대한 통계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사'는 그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에 속한 것을 지칭한다.
일 예시로서, 상기 통계 분석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과 소정치 이상의 상관도를 공유하는 사용자 집단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하여 연동되는 외부 장치로 하여금 추출하게 하고, 추출된 결과(이를 테면, 미리 선택된 사용자 집단)에 대한 통계적인 수치를 반영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단순한 산술적 계산이 아닌,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하여 개인화한 예상 기간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예상 기간의 산출에 있어, 사용자와 신체적 특징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매칭되는 사용자 집단이 소정의 체성분 변화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예상 기간을 산출할 있으며, 그 예상 기간은 각각의 파라미터 별로 예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량이 많은 상태에서는 체지방을 감량하는데 적은 자원(노력, 시간 등)이 필요하지만, 체지방량이 작은 상태에서는 동일한 체지방을 감량하는데 더욱 많은 자원이 필요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들의 신체적 특징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매칭되는, 더 구체적인 예시로, 개인적인 신체적 특징(개인적인 특성 및 체성분 스펙 등도 포함)과 소정치 이상의 상관도를 갖는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예상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에 따라 제공되는 목표 추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상이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812, 814, 816)를 나타내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 각각에 이르는 목표 추이(822, 824, 826)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은, 예를 들어, 체지방 감소(812에 대응됨), 근육량 증가(816에 대응됨), 체지방 감소 및 근육량 증가(814에 대응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목표 추이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수학적 정의에 따르면 곡선(curve)은 직선(straight line)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목표 추이가 단순한 직선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할 것이지만, 상기 목표 추이는, 일 예시로서, 상기 좌표계 상에서 통계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된 벡터장(vector field)을 이용한 변분법(calculus of variation)에 따라 산출되는 곡선일 수 있다. 이 변분법의 예시에 의하면 시작 좌표로부터 목표 좌표에 이르는 시간이 가장 적은 목표 추이가 산출될 수 있다. 변분법은 널리 알려진 수학적 기법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벡터장은 좌표계 상의 각 지점에서의 평균 변화율(시간당 평균 변화량)을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의 키와 성별과 같은 신체적 특징에 대응되도록 더 개인화될 수 있음은 빅데이터 분석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통상의 경우에 목표 추이 각각이 처음에는 변화량이 많고, 시간이 갈수록 변화량이 적은 형태를 가지리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표 좌표는 신체 데이터에 있어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추천되므로 그 목표 좌표에 가까울수록 변화에 대한 동인(motivation)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풀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벡터장을 이용한 변분법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상 시간의 산출에도 응용될 수 있는 바, 벡터장은 통계 데이터를 반영하고, 추이의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 외에도,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가, 목표 신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산출하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 각각에 이르는 추이의 다이어트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서로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중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실시예도 실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추이'가 주로 경로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방식으로도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서의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추이의 변형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는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가, 이산된 점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되는데, 도 9a에는 각 점들에 대응되는 시점의 순서에 따라 숫자(1, 2, 3, 4)도 표시되어 있고, 도 9b에는 각 점들에 대응되는 시점이 날짜(4/1, 4/12, 4/17, 4/30)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 9c에는 각 점들에 대응되는 시점의 순서에 따라 각 점들의 색상이 (그라데이션으로)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와 같이 순서를 가진 점들을 표시하는 방식에 경로로 표시하는 방식 외에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편리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익한 방향으로 신체 데이터의 변화를 모색하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그와 같은 지침을 사용자 각자에게 알맞도록 개인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위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MPU, CPU, GPU, T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1 신체 데이터 및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2 신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정렬된 바 형태(bar shape)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2.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2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i)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상기 제2 시점까지의 변화량 수치 및 (ii) 상기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지표값(index value)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3.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d) 상기 추이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추이에 별도로 제공된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개별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인터랙션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의 제어 및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그래픽 오브젝트에 있었는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좌표계의 스케일(scale)을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4.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d') 상기 사용자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체 데이터의 평균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좌표계가 갖는 스케일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5.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별 영역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표준 영역, 표준 이하 영역 및 표준 이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별 영역들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정해지거나, 상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미리 매칭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신체 데이터에 기반하여 산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수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인터랙션(interaction)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현재의 신체 데이터가 새로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현재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현재 시점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상기 제2 시점과 상이한 시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추이는, 상기 추이에서 나타나는 체성분 변화 성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이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를 나타내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 각각에 이르는 목표 추이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4.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이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를 나타내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 각각에 이르는 목표 추이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가, 목표 신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산출하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 각각에 이르는 추이의 다이어트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서로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중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방법.
  15.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관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1 신체 데이터 및 상기 제1 시점의 상기 제2 신체 데이터를 각각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에 대하여 정렬된 바 형태(bar shape)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17.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1 시점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 중 제2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i) 상기 제1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의 상기 제2 시점까지의 변화량 수치 및 (ii) 상기 변화량 수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지표값(index value)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18.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이에 연관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 및 상기 추이에 별도로 제공된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개별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인터랙션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의 제어 및 상기 인터랙션이 상기 제3 그래픽 오브젝트 집합 중 어느 그래픽 오브젝트에 있었는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좌표계의 스케일(scale)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19.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소정 시간 동안의 신체 데이터의 평균 변화량에 기반하여, 상기 좌표계가 갖는 스케일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20.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이 및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21.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로서, 체성분 데이터 및 생체신호(bio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세스, 제2 프로세스 및 제3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1 축 및 상기 사용자의 제2 신체 데이터에 연관되는 제2 축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N차원 좌표계를 획득하되, 상기 N은 2와 같거나 그보다 큰 자연수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축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축별 영역들(axis-wise regions)이 배정되며, 상기 축별 영역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좌표계의 전체가 분할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축의 조합에 따라 상이한 시점들에 해당하는 상이한 좌표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추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제3 프로세스는, 상기 추이를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써 제공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이한 신체 데이터 변화 목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를 나타내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좌표 각각에 이르는 목표 추이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공하고,
    목표 신체 데이터에 상응하는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산출하고, 시작 시점의 신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작 좌표로부터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 각각에 이르는 추이의 다이어트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목표 좌표들을 서로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중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프로세스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a) 상기 추이;
    (b)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및
    (c) 상기 (a) 및 상기 (b)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 상으로 제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23.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프로세스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연동되는 인쇄 장치로 하여금:
    (a) 상기 추이;
    (b) 상기 상이한 시점들의 복수의 신체 데이터; 및
    (c) 상기 (a) 및 상기 (b) 중 적어도 하나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과지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데이터 변화 추이 제공 장치.
KR1020180124099A 2018-10-17 2018-10-17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97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99A KR101976762B1 (ko) 2018-10-17 2018-10-17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99A KR101976762B1 (ko) 2018-10-17 2018-10-17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98A Division KR20200043258A (ko) 2019-04-26 2019-04-26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62B1 true KR101976762B1 (ko) 2019-08-28

Family

ID=6777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099A KR101976762B1 (ko) 2018-10-17 2018-10-17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877A (ja) * 2008-10-14 2009-10-01 Shigeo Nakaishi 電子ノモグラム、電子ノモグラ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0593B1 (ko) 2012-10-25 2014-12-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113389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인바디 체성분 측정 시스템 및 그 결과지 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877A (ja) * 2008-10-14 2009-10-01 Shigeo Nakaishi 電子ノモグラム、電子ノモグラ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0593B1 (ko) 2012-10-25 2014-12-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113389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인바디 체성분 측정 시스템 및 그 결과지 출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084B1 (ko) 센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와 센서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CN113240778B (zh) 虚拟形象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963609B1 (ko) 잠재 변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입맛을 판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1514512A (ja) 動作の識別および動作情報を用いた規範的な分析の生成
KR20110037053A (ko) 영상센서를 이용한 3차원 공간 터치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62174A (ko)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반 뇌신호 분류 결과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76762B1 (ko)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013395A (ko) 대상의 신체 또는 신체 부위의 표면적 및/또는 체적 추정하기
KR20200043258A (ko)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2016033130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of physical therapy exercises
KR20200064582A (ko) 신체정보를 기초로 신체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RU2018130604A (ru) Упрощенные примеры виртуальных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систем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в интернете вещей
KR102272063B1 (ko) 사용자들의 입맛 유사도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724360B (zh) 一种肺叶分割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220053929A (ko) 스마트링을 이용한 라이프 패턴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469341A (zh) 一种医疗健康干预系统以及基于该系统的干预方法
EP264241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to user of ultrasound apparatus
KR102020483B1 (ko) 체성분 변화 성과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값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70136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 or providing exercise feedback
KR102174816B1 (ko) 체성분 변화 성과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값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12912925A (zh) 程序、信息处理装置、定量化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KR20190119916A (ko) 체형 변화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30010164A (ko) 두경부 영상 이미지를 이용한 지방량 산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60388A (ko) 영상 유사도 산출 장치 및 방법
WO2020115922A1 (ja) 美容促進装置、美容促進システム、美容促進方法、および美容促進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