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471B1 -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471B1
KR100676471B1 KR1020040035905A KR20040035905A KR100676471B1 KR 100676471 B1 KR100676471 B1 KR 100676471B1 KR 1020040035905 A KR1020040035905 A KR 1020040035905A KR 20040035905 A KR20040035905 A KR 20040035905A KR 100676471 B1 KR100676471 B1 KR 10067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training
schedule
information
fi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932A (ko
Inventor
조지성
조지영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조지성
조지영
조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성, 조지영, 조지원 filed Critical 조지성
Priority to KR102004003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47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회원단말에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해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회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에 근거하여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등급에 따라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여 상기 회원단말에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트레이닝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며, 조정된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상기 회원단말에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회원 개인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따라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고, 나아가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하여 각 회원이 실행한 결과를 반영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함으로써 회원의 운동능력에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할 수 있다.
트레이닝, 스케쥴

Description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A SERVER FOR PROVIDING TRAINING CONSULTING SERVICE,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복수의 회원단말이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개별 회원의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기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회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신체정보 리스트의 일례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회원의 체력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체력상태 설문지의 일례로서, 도 7a는 유연성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b는 근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c는 근지구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d는 심폐지구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e는 운동상태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다.
도 8은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기초로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의 일례로서,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스케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근력운동 스케쥴에서 개별 운동종목에 대한 무게를 보정하기 위하여 회원이 직접 측정한 RM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RM 측정치 입력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기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른 회원의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입력하기 위한 트레이닝 일기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운동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회원에게 맞춤식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운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프라인에서 행해지는 트레이닝 컨설팅은 운동을 하고자 하는 모든 회원에게 개별적으로 일대일 트레이닝 코치를 할당하기에는 시간 및 비용의 측면에서 불가능하다. 종래에 행해지던 트레이닝 코치는 초기에 각 운동종목의 수행 방법 등을 설명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며, 회원 개인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원하는 이들에게 개별적인 트레이닝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헬쓰클럽을 찾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생활 중에서 일부 시간을 할애하여 운동을 해야 하므로, 때때로 운동을 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초보자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운동시간과 운동강도로 트레이닝을 행해야 하는 지 알기 못하고, 자신의 주관에 따라 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운동이 되지 않거나 혹은 무리하게 행함으로써 쉽게 중단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동을 원하는 회원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따라 회원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고, 또한 운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회원 개개인에 대한 맞춤식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회원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적합한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강도 등이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함으로써 개별 회원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을 행하는 회원이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운동을 실행한 후, 그 실행 결과를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수행기간 및 수행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정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획일적으로 정해진 트레이닝 스케쥴을 일방적으로 회원에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고, 회원이 자신의 운동능력 및 수행정도 등을 스스로 평가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게 한다. 그리하여, 회원은 자신의 운동능력 및 운동수행정도에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운동수행 기간동안 스스로 조정해 나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터넷망 등을 통해 접속된 회원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송신부와, 회원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각각의 기능부와, 회원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기능부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회원단말로부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해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부; 상기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신체정보를 독출하여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결정하는 체형 결정부; 상기 제1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독출하여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 상기 체형 결정부에서 결정된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독출하여 회원에게 제시할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트레이닝 컨설팅부; 및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에서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상기 회원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회원단말에 회원 개인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따라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는 상기 제3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피드백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는 스케쥴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작성한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하여 각 회원이 실행하여 본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에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a)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회원단말에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제공하고,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에 입력된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신체정보를 기초로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결정하는 체형 결정 단계; (c)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기초로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 단계; 및 (d)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회원에게 제시할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스케쥴 작성 단계;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는 스케쥴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회원 개인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따라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며, 나아가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하여 각 회 원이 실행하여 본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함으로써 자신의 운동능력에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통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각각의 회원단말(200a, 200b)이 인터넷망(300)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회원단말로서는 유선 인터넷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200a)가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무선 인터넷망에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또는 휴대용 개인정보단말 등, 200b)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회원단말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기능별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서버(100)는 회원단말(200a, 200b)과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2) 및 송신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수신부(102) 및 송신부(104)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각각을 분리하여 설명하겠지만, 실제 장치의 구현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회원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형 결정부(120),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130) 및 트레이닝 컨설팅부(140)를 포함한다. 아울러, 회원단말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와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 수 단들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상기 서버(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수신부(102)는 회원단말로부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해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는 제1 메모리부(110)에 저장된다. 여기의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는 회원단말이 서버(100)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회원단말에 전송되며, 회원은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에 자신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회원의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의 웹페이지에 신체정보 리스트를 표시하여 회원이 자신의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는 회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힙), 팔 길이, 허벅지둘레, 종아리둘레, 발목 치수 등 회원의 신체에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에는 회원이 직접 자신의 신체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간단한 주석을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력상태 설문지는 회원의 체력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게 될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는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체력상태 설 문지정보는 추후에 설명하게 될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된다.
도 7a 내지 도 7e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웹페이지에 표시할 체력상태 설문지의 한 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7a는 유연성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b는 근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c는 근지구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d는 심폐지구력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고, 도 7e는 운동상태 테스트를 위한 설문지이다. 이들 각각의 설문지들은 체크 리스트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원의 체력상태에 따라 실행가능한 정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입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동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에는 회원의 체력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개별 운동항목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각 개별 운동항목에 대하여 회원이 실행하기 용이하도록 그림 또는 동영상을 첨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체형 결정부(120)는 제1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회원의 신체정보를 통하여 회원의 체형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체형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회원의 체형은 제2 메모리부(112)에 저장된다. 나아가, 상기 체형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회원의 체형은 추후에 설명하게 될 트레이닝 컨설팅부(140)에서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데 기초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상기 체형 결정부(120)에서 회원의 체형을 분류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신체정보 리스트를 통해 입력된 회원의 신체정보, 특히, 회원의 성별,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체형기준에 근거한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게 된다. 표 1 및 표 2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설정되는 체형기준표 및 표준체형표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1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2
표 2의 표준체형표는 남성의 경우만을 나타내었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기준에 관하여는 서비스 제공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체형 결정부(120)에서는 표 2의 표준체형표를 근거로 표 1의 체형기준표에 따라 체형을 분류하게 된다. 예컨대, 신장이 170cm인 남성의 경우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를 표 1에 제시한 표준체형의 기준치와 비교하고, 회원의 실제 신체치수와 기준치의 차이에 따라 표 2에 나타낸 체형기준표에 의하여 가슴, 복부 및 힙의 부위별 배엽을 결정하게 된다.
부위별 배엽이 결정된 후에는 다시 전체 체형을 분류하게 되는데, 이때 부위별 배엽이 가슴외소 및 복부외소, 복부외소 및 힙외소, 그리고 가슴외소 및 힙외소로 분류된 경우는 전체 체형을 "외배엽"으로 결정한다. 또한, 가슴표준 및 복부표준, 복부표준 및 힙표준, 그리고 가슴표준 및 힙표준으로 분류되면 전체 체형을 "중배엽"으로 결정하고, 가슴발달 및 복부발달, 복부발달 및 힙발달, 그리고 가슴발달 및 힙발달의 경우에는 전체 체형을 "내배엽"으로 결정하게 된다. 만약, 부위별 배엽이 각각의 배엽별로 하나씩 선택되는 경우에는 중배엽과 내배엽의 두개 항목을 비교하여 가슴이 발달인 경우 전체 체형을 중배엽으로 결정하고, 복부 또는 힙이 발달인 경우에는 전체 체형을 내배엽으로 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130)에서는 제1 메모리부(110)로부터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독출하여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강도 평가지수는 제2 메모리부(112)에 저장된다. 여기의 운동강도 평가지수는 트레이닝 컨설팅부(140)에서 작성할 트레이닝 스케쥴의 근거 데이터로 이용된다.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130)는 나이지수 산출부(132), 신체질량지수 산출부(134), 체력지수 산출부(136), 및 운동상태지수 산출부(138)를 포함한다. 여기서, 나이지수 산출부(132)는 회원의 신체정보 중 나이에 대한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표 3에 나타낸 나이지수표에 따라 나이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나이지수는 회원의 나이에 따라 설정된 점수를 의미하며 총20점 만점으로 책정된다. 또한, 신체질량지수 산출부(134)는 회원의 신체정보 중 체중 및 신장에 대한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비만도를 계산한 후, 표 4에 나타낸 신체질량지수표를 기초로 회원의 신체질량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비만도(F)는 F=(현재체중/(신장×신장))에 의하여 계산되며, 상기 신체질량지수는 상기 비만도에 따라 설정된 점수를 의미하며 총 20점 만점으로 책정된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3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4
다음으로, 체력지수 산출부(136)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한 체력상태 설문지정보의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체력지수를 산출한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한 유연성 테스트 설문지에서 보듯이, 어깨 스트레칭, 앉아서 발끝에 손닿기 등의 개별 운동항목에 대하여 회원이 자신의 실행정도를 체크하면, 체력지수 산출부에서는 회원의 실행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유연성 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7b에 도시한 근력 테스트의 팔 근력 테스트 및 다리 근력 테스트를 통해 체크된 각각의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근력지수를 산출하고, 또한 도 7c에 도시한 근지구력 테스트 및 도 7d에 도시한 심폐지구력 테스트에 입력된 회원의 체력상태에 따라 근지구력지수 및 심폐지구력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각각의 테스트 결과 데이터에 따라 회원의 체력상태를 점수화하는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표 5 내지 표 8에는 각각의 운동항목별 체력지수 표를 도시하였다. 상기 유연성지수, 근력지수, 근지구력지수 및 심폐지구력지수를 모두 합산한 지수의 총합이 체력지수가 된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5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6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7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8
한편, 운동상태지수 산출부(138)는 도 7e에 도시한 운동상태 설문지를 통해 입력된 회원의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운동상태지수를 산출한다. 즉, 상기 운동상태지수는 상기 운동상태 설문지에 입력된 회원의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표 9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점수화되어 산출된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09
다음으로, 트레이닝 컨설팅부(140)에서는, 제2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회원의 체형과, 나이지수, 신체질량지수, 체력지수 및 운동상태지수를 포함하는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개별 회원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한다. 트레이닝 컨설팅부(140)는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142), 및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를 포함한다. 이렇게 작성된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스케쥴은 송신부(104)를 통해 회원단말에 전송된다. 도 8에는 근력운동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스케쥴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 메모리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140)는 제3 메모리부(114)로부터 상기 피드백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 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스케쥴 조정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정보는 후에 설명하게 될 회원의 RM 측정치 또는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른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의미한다. 스케쥴 조정부(146)는 상기 RM 측정치를 반영하여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의 무게를 조정하거나, 상기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상기 운동자각도를 반영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정한 운동조절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조정한다.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부(140)의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142)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부위, 운동종목, 세트수, 반복수 및 무게 등을 결정하여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한다. 여기서, 운동부위 및 운동종목은 회원의 체형과,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나이지수, 신체질량지수, 체력지수 및 운동상태지수를 합산하여 산출된 지수의 총합을 근거로 회원의 현재 체형 및 체력상태에 적합한 스케쥴로 작성된다.
서비스 제공자는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 평가지수에 근거하여 운동일수가 진행됨에 따라 회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일수별 운동부위 및 운동종목을 선정한다. 예컨대, 운동부위로서는 첫째날에는 복부부위를 운동하도록 스케쥴을 작성하고, 운동종목으로는 크런치, 머신크런치, 시트 업, 레그 레이즈, 인클라인 보드 레 그업 등의 개별 운동종목을 추천한다.(도 8 참조) 그리고, 둘째날에는 다른 부위를 운동하도록 스케쥴을 조정하고 그에 알맞은 운동종목을 추천한다. 아울러, 회원이 주간 운동일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된 운동일에 따라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한다. 도 8에서는 회원이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금요일, 및 토요일을 운동일로 선택하고, 목요일 및 일요일은 쉬는 날로 선택한 경우의 주간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한 예이다.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142)에서는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진행일에 따라 운동부위 및 운동종목을 배치하게 된다.
또한, 세트수, 세트 반복수 및 무게는 회원의 체형과 체력지수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표 10에는 각 운동종목에 대한 세트수, 세트 반복수 및 무게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10
특히, 근력운동의 각각의 운동종목에서 대한 무게는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된 기준에 따라 초기 설정치가 정해진다. 그러나, 회원이 자신에게 알맞은 무게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운동중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원에게 제시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회원이 직접 구한 RM 측정치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100)에 피드백하게 된다. 회원의 RM 측정치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는 제3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후, 스케쥴 조정부(146)에서 근력운동 스케쥴의 "무게" 항목의 설정치를 조정하는 근거 데이터가 된다.
상기 RM 측정치는 자신의 체력상태에 적합한 수치를 측정한 값이다. 서비스 제공자는 회원에게 RM 측정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회원자신이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도 9 참조) RM 측정치는 예컨대 10회 정도 들 수 있는 임의의 무게로 설정된다. 표 11에는 RM 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표를 나타내었다. 표 11에 따르면, 예컨대 50Kg 정도의 무게를 7회 반복하여 들 수 있는 경우에는 계수 1.23을 곱한 값(61.5RM)이 RM 측정치로 설정된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11
회원이 RM측정치를 입력하면 상기 스케쥴 조정부(146)에서는 표 10에 나타낸 무게기준에 따라 근력운동 스케쥴의 해당 운동종목의 무게를 조정한다. 상기 스케쥴 조정부(146)에서는 입력된 RM측정치에 표 10의 "무게 설정기준"에서의 회원의 체형 및 체력지수에 해당하는 무게%를 곱하여 회원이 실행할 각 운동종목의 무게를 계산한다. 예컨대, 만약 회원의 체형이 외배엽이고 체력지수가 20점 이하인 경우 에는 회원이 입력한 RM측정치에 50%를 곱한 값이 회원이 운동할 무게가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에서는 최초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시 뿐만 아니라 운동 중에도 새로 측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중 자신의 체력상태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자신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 컨설팅부(140)의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는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속도를 결정하여 유산소 운동 스케쥴을 작성한다.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는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 평가지수에 따라 적합한 운동종목을 추천한다. 예컨대, 유산소운동 종목으로서 트레드 밀, 자전거, 일립티컬, 스텝퍼 등의 운동종목을 회원이 선택한 운동일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유산소 운동종목에 대하여 회원의 체력지수에 따라 운동시간 및 운동강도를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적합한 스케쥴로 작성한다. 표 12에는 운동종목이 "트레드 밀"인 경우에 운동시간 및 운동강도를 설정하는 기준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21291171-pat00012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에서는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 평가지수에 따라 회원에게 적합한 유산소운동종목을 선정한 후, 나이에 의한 운동시간(표 12의 운동시간 설정기준1 참조) 및 체력지수에 의한 운동시간(표 12의 운동시간 설정기준2 참조)을 합산하여 전체 운동시간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전체 운동시간이 설정되면 표 12의 "운동강도 설정기준"에 의하여, 회원의 체형에 따라 운동강도가 설정된다. 도 8에 도시한 트레이닝 스케쥴에서 유산소운동 스케쥴은, 운동종목을 "트레드 밀"로 선정하고, 나이 및 체력지수에 의해 전체 운동시간을 33분으로 산출 한 후, 준비운동, 본운동 및 마무리운동으로 분류하여 작성한 예이다. 여기서는 준비운동과 마무리운동에 각각 5분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142)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에서 작성된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스케쥴(도 8)가 송신부(104)를 통해 회원단말에 전송된다. 이를 통해, 회원은 자신의 체형과 체력상태에 따라 적합한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강도를 실행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른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입력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 회원은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트레이닝 일기장에 입력하여 서버(100)에 전송하며, 이러한 피드백정보는 제3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후 스케쥴 작성부(146)에서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기초 데이터로 이용된다. 여기서, 운동자각도는 회원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신체의 힘든 정도를 의미한다.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에 대한 피드백정보가 입력되면, 스케쥴 조정부(146)에서는 이를 평가하여 근력운동 및 유산소운동의 운동강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는 실제 회원이 수행가능한 정도를 초기에 작성한 트레이닝 스케쥴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에 정해진 트레이닝 스케쥴은 회원이 스케쥴대로 성실히 수행할 경우에 신체의 변화 및 체력의 향상에 적합하게 프로그램 되어 있다. 만약 회원이 정해진 스케쥴대로 트레이닝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근력운동의 각 운동종목에 대한 세트수, 반복수 및 무게와 유산소운동의 시간 및 강도가 회원에게 지나치게 무리하게 설정되어 있거나 혹은 지나치게 약하게 설정된 경우에는 회원의 체력상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함으로써 회원의 현재 체력상태에 적합한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스케쥴 조정부(146)는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예컨대, 초기에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쥴은 운동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운동강도가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만약 회원이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지 않았거나 운동자각도 평가에서 운동이 힘들다고 평가한 경우에는 운동강도를 하락시키고, 운동자각도 평가에서 운동이 쉽다고 평가한 경우에는 운동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예로써, 근력운동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운동자각도가 운동이 힘들다고 평가된 경우에는 근력운동 종목에 대한 무게 또는 반복수를 단계적으로 하락시키게 된다. 반대로 근력운동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운동자각도가 운동이 쉽다고 평가된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무게 또는 반복수를 상승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산소운동 스케쥴에 대한 운동자각도 및 실행여부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통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강도(운동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각각의 회원에게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 한다.
먼저, 회원단말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S102), 상기 서버(100)는 회원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104). 다음으로, 서버(100)는 인증된 회원에게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 메뉴를 전송하게 된다.(S106) 만약, 접속한 회원이 최초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트레이닝 스케쥴 새로 만들기" 메뉴를 선택하게 되고(S108), 이 경우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 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한편, 이미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한 회원이 "트레이닝 스케쥴 피드백"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S110), 트레이닝 스케쥴 조정 단계(S300)로 진행된다.
상기 서버(100)에 접속한 회원이 "트레이닝 스케쥴 새로 만들기" 메뉴를 선택하면,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 단계(S200)가 진행되는데, 도 3의 탭 A를 경유하여 도 4의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도 4에서 보듯이,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 단계에서는 먼저 상기 서버(100)는 접속한 회원단말에 신체정보 리스트(도 6 참조) 및 체력상태 설문지(도 7a 내지 도 7e 참조)를 전송한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한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는 회원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포함한다. 회원이 이를 모두 작성하여 상기 서버(100)에 전송하면, 서버(100)는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에 입력된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202) 이렇게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상기 신체정보를 기초로 체형결정부(120)에서 회원의 체형을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S204)
또한,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130)에서는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기초로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한다.(S206) 특히, 나이지수 산출부(132)에서는 상기 신체정보 중 나이에 대한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나이지수를 산출하고, 신체질량지수 산출부(134)에서는 상기 신체정보 중 체중 및 신장에 대한 수치데이터를 기초로 신체질량지수를 산출한다. 또한, 체력지수 산출부(136)에서는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체력지수를 산출하고, 운동상태지수 산출부(138)에서는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운동상태지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 평가지수가 산출되면, 트레이닝 컨설팅부(140)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기초로 회원에게 제시할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한다.(S208) 특히,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142)에서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른 운동부위, 운동종목, 세트수, 반복수 및 무게를 결정하여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한다. 또한,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144)에서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속도를 결정하여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작성한다.
상술한 프로세스에 따라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이 모두 작성되면 이를 회원단말에 전송하고, 회원은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트레이닝 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원은 자신의 체형 및 체력상태에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보다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원이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의해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스케쥴의 조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트레이닝 스케쥴 피드백"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닝 스케쥴 조정 단계가 실행되는데, 도 3의 탭 B를 경유하여 도 5의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트레이닝 스케쥴 조정 단계(S300)에서는, 이미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회원이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그에 대한 결과를 반영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게 된다. 먼저, 최초 근력운동 스케쥴에서는 회원이 실행할 운동부위, 운동종복, 세트수 및 반복수 이외에도 개별 운동종목의 "무게"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제시하게 된다. 만약, 회원이 최초 근력운동 스케쥴에 제시된 개별 운동종목의 무게치가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무게치를 조정하게 된다.(S302) 회원이 개별 운동종목의 무게치를 조정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RM 피드백 단계로 진행된다.(S306) RM 피드백 단계(S306)에서는 상기 서버(100)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창을 표시하여 회원이 자신이 측정한 RM측정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의 RM 측정치가 입력되면 스케쥴 조정부(146)에서는 이를 근력운동 스케쥴에 반영하여 개별 운동종목의 무게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회원이 근력운동의 개별 운동종목에 대한 무게치를 조정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력운동 스케쥴 피드백 단계(S304)로 진행된다. 여기서는, 근력 운동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에 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운동조절 프로그램에 따라 근력운동 스케쥴을 조정하게 된다.(S308) 마찬가지로, 유산소운동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에 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S310), 상기 피드백정보를 반영하여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조정하게 된다.(S312) 단계 S308 및 단계 S312에서 근력운동 스케쥴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이 조정되면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스케쥴을 새로 작성하여 회원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가능함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회원단말로서 인터넷망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를 예로 들었지만,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정보단말기(PDA)를 통해서도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원이 트레이닝 기간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라 정해진 기간에 행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하고 또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메모리카드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 을 수 잇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트레이닝을 원하는 회원들에게 자신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적합한 근력운동 및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운동을 원하는 회원의 신체상태 및 체력상태에 따라 회원에게 알맞은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하고, 또한 운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회원 개개인에 대한 맞춤식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정해진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실행하여 본 후, 자신에게 적합치 않은 경우에는 이를 다시 피드백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회원이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운동을 실행한 결과를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반영하여, 운동수행여부 및 운동자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정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회원이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라 운동을 실행하지 못하였거나, 초기에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의 운동강도가 자신에게 적합치 않은 경우에는 수시로 그 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획일적으로 정해진 트레이닝 스케쥴을 일방적으로 회원에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고, 회원이 자신의 운동능력 및 수행정도 등을 스스로 평가하여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함으로써 회원은 자신의 운동능력에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운동수행 기간동안 스스로 조정해 나갈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실제 회원의 신체상태 및 체 력상태에 적합한 트레이닝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대일 트레이닝 코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회원단말로부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해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받는 수신부;
    상기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상기 제1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신체정보를 독출하여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결정하는 체형 결정부;
    상기 제1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독출하여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
    상기 체형 결정부에서 결정된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상기 제2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독출하여 회원에게 제시할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트레이닝 컨설팅부; 및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에서 작성된 트레이닝 스케쥴을 상기 회원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상기 체형 결정부는 회원의 성별,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체형기준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회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는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부는:
    상기 신체정보 중 나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나이지수를 산출하는 나이지수 산출부; 상기 신체정보 중 체중 및 신장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신체질량지수를 산출하는 신체질량지수 산출부;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체력지수를 산출하는 체력지수 산출부;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운동상태지수를 산출하는 운동상태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 및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부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부위, 운동종목, 세트수, 반복수 및 무게를 결정하여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부는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속도를 결정하여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3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닝 컨설팅부는 상기 제3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피드백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 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스케쥴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정보는 RM 측정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조정부는 상기 RM 측정치를 반영하여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의 무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정보는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른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조정부는 상기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상기 운동자각도를 반영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정한 운동조절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12. 회원단말에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통해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회원의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에 근거하여 회원의 체형 및 운동강도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등급에 따라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여 상기 회원단말에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회원의 트레이닝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조정하며, 조정된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을 상기 회원단말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상기 체형의 결정은 회원의 성별,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체형기준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13. (a)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회원단말에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를 제공하고, 상기 신체정보 리스트 및 체력상태 설문지에 입력된 회원의 신체정보 및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신체정보를 기초로 체형분류 프로그램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결정하는 체형 결정 단계;
    (c) 상기 신체정보 및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를 기초로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 단계; 및
    (d)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회원에게 제시할 트레이닝 스케쥴을 작성하는 스케쥴 작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체형 결정 단계 (b)는, 회원의 성별,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체형기준에 따라 회원의 체형을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회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가슴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는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 산출 단계 (c)는,
    (c1) 상기 신체정보 중 나이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나이지수를 산출하는 나이지수 산출 단계;
    (c2) 상기 신체정보 중 체중 및 신장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신체질량지수를 산출하는 신체질량지수 산출 단계;
    (c3)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유연성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근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 및 심폐지구력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체력지수를 산출하는 체력지수 산출 단계; 및
    (c4) 상기 체력상태 설문지정보 중 운동상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운동상태지수를 산출하는 운동상태지수 산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 작성 단계 (d)는,
    (d1)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른 운동부위, 운동종목, 세트수, 반복수 및 무게를 결정하여 근력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근력운동 스케쥴 작성 단계; 및
    (d2) 상기 회원의 체형 및 상기 운동강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운동 진행일에 따라 운동종목, 운동시간 및 운동속도를 결정하여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작성하는 유산소운동 스케쥴 작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 및 상기 (d2)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스케쥴 조정 단계로서, 상기 회원단말로부터 트레이닝 스케쥴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 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상기 스케쥴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조정 단계는, 상기 피드백정보가 RM 측정치인 경우에, 상기 RM 측정치를 반영하여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의 무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조정 단계는, 상기 피드백정보가 상기 트레이닝 스케쥴에 따른 회원의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운동자각도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트레이닝 실행여부 및 상기 운동자각도를 반영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정한 운동조절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근력운동 스케쥴 및 상기 유산소운동 스케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3 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하고 또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35905A 2004-05-20 2004-05-20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067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05A KR100676471B1 (ko) 2004-05-20 2004-05-20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05A KR100676471B1 (ko) 2004-05-20 2004-05-20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932A KR20050110932A (ko) 2005-11-24
KR100676471B1 true KR100676471B1 (ko) 2007-02-02

Family

ID=3728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905A KR100676471B1 (ko) 2004-05-20 2004-05-20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885A (ko) 2021-02-09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주도형 척추 안정화 운동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70478C2 (ru) * 2009-07-31 2015-12-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убъекта тренировочной программой
KR101140740B1 (ko) * 2009-09-16 2012-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운동기구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470593B1 (ko) * 2012-10-25 2014-12-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97646B1 (ko) * 2013-12-27 2017-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을 이용한 육체 운동 교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058B1 (ko) * 2017-11-27 2019-04-17 주식회사 미라이크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010070845A (ko) * 2001-06-13 2001-07-27 임상희 인터넷운동처방서비스방법
KR20020022262A (ko) * 2000-09-19 2002-03-27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6A (ko) * 2000-06-12 2000-09-05 이종길 인터넷 웹상에서 체력측정 및 평가와 운동프로그램처방방법
KR20020022262A (ko) * 2000-09-19 2002-03-27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70845A (ko) * 2001-06-13 2001-07-27 임상희 인터넷운동처방서비스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885A (ko) 2021-02-09 2022-08-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주도형 척추 안정화 운동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932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323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35724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US98813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roup activities
US8956290B2 (en) Lifestyle companion system
Denning et al. BALANCE: towards a usable pervasive wellness application with accurate activity inference
US8571880B2 (en) Personal health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KR102050558B1 (ko) 신체 측정 및 성장 곡선을 이용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 회원의 회원 관리 시스템
US20130066449A1 (en) Athlete training system
US20160055758A1 (en) Delivering to a user a biometric display that communicates health and fitness performanc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20060259323A1 (en) Weight management system
US2022002277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workout and diet plans
KR102050559B1 (ko) 유전적 특이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 건강 관리 시스템
KR100676471B1 (ko)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JP4068965B2 (ja) 運動支援装置及び方法
JP2004054591A (ja) 健康増進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および健康増進実行方法
US20190217156A1 (en) Training support system and training support method
WO20100410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tness regimes
AU2016210760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KR20180062124A (ko) 헬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57706B1 (ko)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U2011204846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KR20230014455A (ko)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978461A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personalized advice for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