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58B1 -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058B1
KR101944058B1 KR1020170159213A KR20170159213A KR101944058B1 KR 101944058 B1 KR101944058 B1 KR 101944058B1 KR 1020170159213 A KR1020170159213 A KR 1020170159213A KR 20170159213 A KR20170159213 A KR 20170159213A KR 101944058 B1 KR101944058 B1 KR 101944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expert
user
tendency
schedul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이크
Priority to KR102017015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스케줄링 서버가 최종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cheduling service}
본 발명은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련 분야 전문가에 의해 목적에 따라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헬스 PT(personal training) 시장에서 연간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는 사람 80만~100만명, 평균 150만원으로 수강료 지불 시장 규모 1조~1.5조 원이다.
기존의 전문가 매칭 앱은 재능과 기술을 가진 소상공인과 프리랜서, 그리고 그들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O2O(online to offline) 오픈마켓 플랫폼이다. 배움을 원하는 소비자는 전문가 매칭 앱을 통해 원하는 분야와 시간, 장소 등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의뢰 조건에 적합한 해당 고수(전문가)들이 각자 견적을 보내고 소비자는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회당 5개의 견적을 받아 비교해볼 수 있다. 고수는 견적을 보낼 때마다 일정 금액(크레디트)을 지불해야 하지만, 소비자는 고수를 찾는 과정에서 비용을 전혀 부담하지 않는다. 즉 소비자는 여러 전문가의 서비스 내용과 가격을 비교할 수 있고, 전문가는 본인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와 가격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차별성이다.
전문가 매칭 앱에서 현재 제공하는 서비스는 학업, 외국어, 아트/디자인, 음악/악기, 스포츠/댄스, 각종 자격증 준비반에서부터 홈리빙, 이벤트 플래닝까지 광범위하다. 하지만, 기존의 전문가 매칭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많은 부분이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를 예로 들면 시간적 한계 내에서 오프라인에서 직접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해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사업의 확장 및 서비스 확장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가가 배움/성과를 얻기 위한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사용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 정보가 적응적으로 조정되어 사용자 목적의 달성을 위한 최종 스케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링 서버가 상기 최종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가가 배움/성과를 얻기 위한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사용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 정보가 적응적으로 조정되어 사용자 목적의 달성을 위한 최종 스케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의 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케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인 개인 스케줄 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스케줄 등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문가가 사용자 목적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전문가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목적은 특정 기술의 배움(예를 들어, 악기 연습), 특정 목표 달성(예를 들어, 다이어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서 사용자는 전문가에 의해 특정 목적에 따라 등록된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개인 스케줄 정보에 적용하여 사용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전문가가 직접 체험하고 연구한 종합적 노하우를 단계별 시간표로서 생성하여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전문가에게도 시간적 제약 없이 지속적인 수익이 창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오프라인의 한계를 벋어나 사용자 목적을 이루기 위한 노하우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헬스 PT(personal training)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기 계발(외국어, 독서, 전문 기술 등)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에서는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시스템은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 전문가 장치(120) 및 사용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120) 또는 전문가 장치(14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전문가 장치(120) 및/또는 사용자 장치(140)로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전문가 장치(120)로부터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140)로부터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140)로부터 필요한 사용자 목적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140)의 요청에 맞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탐색하고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기존의 사용자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케줄 정보와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결합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별도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대한 수신 없이도 기존의 사용자 장치(140)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주간 5kg 감량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5주간 5kg 감량에 맞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목적에 맞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탐색한 후 사용자 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140)로부터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케줄 정보와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직장일 경우, 학교, 직장, 학원과 같은 기존 스케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는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을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을 사용자 스케줄에 적응적으로 맞추어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 장치(120)는 전문 분야에 따라 사용자 목적을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PT(personal training) 전문가인 경우, 전문가 장치(120)는 '5주간 5kg 감량', '여름 대비 근육량 증가'와 같은 서로 다른 목적별로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전문가가 개인 트레이닝 전문가인 경우, 자신의 노하우로 1) 3개월간 5kg 감량을 위한 스케줄, 2) 1개월 동안 체지방 10% 줄이기 위한 스케줄, 3) 6개월 동안 근육량 2kg 늘리기 위한 스케줄 등 다양한 미션에 따른 스케줄링을 개인 노하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전문가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인 트레이닝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개인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서비스에서도 이러한 스케줄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기(예를 들어, 기타)의 경우,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전문가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온라인/오프라인 교육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악기 학습을 위한 커리큘럼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0)는 사용자 목적 정보를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목적 정보에 맞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40)는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결합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문가 스케줄 정보뿐만 아니라, 전문가 스케줄 정보에 따른 커리큘럼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도 함께 사용자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은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의 등록,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되는 하위 전문가 스케줄 수행에 대한 알림, 시행, 평가 등을 위한 실행 툴을 제공할 수 있다. 하위 전문가 스케줄 수행에 대한 알림, 시행, 평가 등은 그래프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바디 체형 검사와 같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그래프가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전문가 스케줄링 정보로서 '소아비만 1개월 체지방 5% 줄이기'가 존재하는 경우, 소아비만 1개월 체지방 5% 줄이기는 소아비만 1개월 체지방 5% 줄이기를 달성하기 위한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은 운동A n회, 운동B n'회, 운동C n''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을 등록하고,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에 대한 알람, 시행, 평가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은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을 고려하여 등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은 사용자의 생활 스케줄을 고려하여 등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적응적인 하위 전문가 스케줄(200)의 설정이 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의 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개인의 평소 생활 스케줄을 고려하여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적응적으로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생, 직장인, 주부 등과 같이 사용자의 직업 및 역할에 따라 전문가 스케줄을 수행이 가능한 시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스케줄 정보(320)에 따라 전문가 스케줄 정보(300)가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9시~17시까지는 학교에 있는 시간이고 그 외에 학원을 가야하는 스케줄 등이 개인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사용자 스케줄을 고려하여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전문가 스케줄에 포함된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조정되어 최종 스케줄 정보(340)로서 생성될 수 있다.
3개월 간 5kg 감량을 위한 운동과 관련된 전문가 스케줄이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사용자의 개인 스케줄(기상 시간, 취침 시간 등을 포함)을 고려하여 나머지 시간에 적응적으로 전문가 스케줄이 포함될 수 있다. 전문가 스케줄에 의해 월요일에 5개 종류의 운동 세트가 필요한 경우, 아침 시간 또는 학교에서 돌아온 시간과 같이 사용자에게 가용한 시간을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에 포함되는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스케줄에서 가용한 시간을 판단하고 가용한 시간에 하위 전문가 스케줄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300)에 포함되는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하위 전문가 스케줄의 특성에 따라 분할되어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5종 운동 세트/1일이고,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5 종 운동 세트 중 집에서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운동(예를 들어, 아령을 이용한 운동)은 등교 전, 등교 후로 분할되어 설정되고 맨몸 운동(예를 들어, 팔굽혀 펴기)은 학교에 있는 경우에도 할 수 있도록 하위 스케줄이 분할되어 조정될 수도 있다.
즉, 전문가 스케줄 정보(300)와 사용자 스케줄 정보(320)를 결합하여 최종 스케줄링 정보(340)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케줄링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사용자 스케줄 및 전문가 스케줄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장소, 도구 등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최종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스케줄은 개인의 나이, 직업, 위치 추적 등을 통해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도 파악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생활 패턴을 수집하여 학습 후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에 포함된 하위 스케줄의 수행 가능 시간을 사용자 스케줄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스케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들의 생활 패턴에 대한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일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생활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뿐만 아니라, 집 또는 외부의 사물 인터넷 기기(internet of things, IoT)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생활 패턴이 수집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정보(나이, 성별, 사는 곳 등)(또는 사용자 개인 정보)(400)를 1차적으로 수신하고,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420) 및/또는 시간 정보(440)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월요일~금요일 9시부터 15시에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사용자 위치 정보(420))가 반복적으로 A 학교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학교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A학교의 학생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월요일~금요일 9시부터 18시에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사용자 위치 정보(420))가 반복적으로 X 건물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X 건물에 위치한 직장에 다니는 직장인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일정 주기 동안 특정 스케줄이 임계 횟수 반복되는 경우, 해당 스케줄이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정 주기는 일/주/월/년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설정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 월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 주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가 사용자 스케줄 정보(460)로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 월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 주간 주기적 발생 이벤트로서 결정된 이벤트가 실제로 사용자 스케줄 정보(460)로서 관리될지 여부에 대한 확인 절차가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인 개인 스케줄 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기존의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패턴을 고려한 스케줄 조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평일에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주말에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는 아침 시간에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저녁 시간에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소A에 있을 경우,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사용자가 장소B에 있을 경우, 사용자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스케쥴 이행 성향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전문가 스케줄에 대한 이행 성공률이 높은 시간/높은 장소를 판단하고 해당 시간에 우선적으로 전문가 스케줄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미션을 포기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전문가 스케줄을 이행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시간별 이행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에서 20시~21시 사이에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가장 높고, 장소 A에서 13시~17시 사이에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소 및 시간에 따른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을 결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장소 및 시간에 전문가 스케줄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문가 스케줄의 이행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500)을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이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시~7시30분까지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1(예를 들어, 팔굽혀 펴기 50회)가 이행되지 않은 경우, 하위 전문가 스케줄1은 해당 날짜의 이후에 할당된 복수의 다른 하위 전문가 스케줄 중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하위 전문가 스케줄의 후순위로 다시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시~20시30분까지 수행될 하위 전문가 스케줄5(윗몸 일으키기 50회)가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하위 전문가 스케줄인 경우, 20시~20시30분 이후에 하위 전문가 스케줄1이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가 예측된 사용자 스케줄과 다를 경우 전문가 스케줄의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에 있어야 할 시간으로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전문가 스케줄을 배치하지 않았으나, 개교기념일과 같은 이슈로 인해 사용자가 집에 있는 경우, 전문가 스케줄이 조정되어 다시 할당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스케줄 등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스케줄링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전문가 스케줄을 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성향은 분류될 수 있다. 설정된 전문가 스케줄을 성실하게 이행하는 사용자, 전문가 스케줄을 이행하기 어려운 사용자 등과 같이 개인의 성향에 따라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성향은 달라질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성향을 제1 이행 성향(610), 제2 이행 성향(620), 제3 이행 성향(63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이행 성향(610), 제2 이행 성향(620) 또는 제3 이행 성향(630)은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다양한 분류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이행 성향(610)은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률이 제1 임계값(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이다. 제2 이행 성향(620)은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이상 제1 임계값 미만(예를 들어, 50% 이상~90% 미만)인 경우이다. 제3 이행 성향(630)은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미만(예를 들어, 50% 미만)인 경우이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이행 성향에 따라 전문가 스케줄을 사용자 스케줄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이행 성향이 제1 이행 성향(610)의 경우, 전문가 스케줄을 그대로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이행 성향이 제2 이행 성향(620)의 경우, 전문가 스케줄을 사용자의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분산하여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10개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이행 성향이 60%인 경우, 6개(10*0.6)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만을 일주일에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이행 성향이 제3 이행 성향(630)의 경우, 마찬가지로 전문가 스케줄을 사용자의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분산하여 사용자 스케줄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10개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이행 성향이 40%인 경우, 3개(10*0.4*0.8(가중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만을 일주일에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가중치는 사용자의 이행 성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최대한 사용자가 포기하지 않고, 사용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최종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는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는 기존의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기존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에 대한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소 및 시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을 순차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이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을 재배치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의 할당시 예측된 사용자 위치가 다를 경우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을 조정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일정 기한 내에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할 전문가 스케줄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존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율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추가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간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상기 전문가 스케줄의 수를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켜 스케줄의 이행이 유도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은 제1 이행 성향, 제2 이행 성향 또는 제3 이행 성향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고,
    상기 제2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이상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제3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이 상기 제2 이행 성향인 경우,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상기 전문가 스케줄을 분산하여 결합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이 상기 제3 이행 성향인 경우,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 및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전문가 스케줄을 분산하여 결합하되,
    상기 가중치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최종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전문가 스케줄 정보는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스케줄 정보는 기존의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기존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에 대한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소 및 시간에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을 순차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이 이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을 재배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 각각의 할당시 예측된 사용자 위치가 다를 경우 상기 복수의 하위 전문가 스케줄을 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이행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일정 기한 내에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할 전문가 스케줄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문가 스케줄 이행률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존의 전문가 스케줄 이행율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추가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간에 따라 수행되어야 할 상기 전문가 스케줄의 수를 상대적으로 더 감소시켜 스케줄의 이행이 유도되고,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은 제1 이행 성향, 제2 이행 성향 또는 제3 이행 성향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고,
    상기 제2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이상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제3 이행 성향은 상기 스케줄 이행률이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이 상기 제2 이행 성향인 경우,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을 고려하여 상기 전문가 스케줄을 제1 이행 성향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에 분산하여 결합하고,
    상기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이 상기 제3 이행 성향인 경우,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 및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전문가 스케줄을 상기 제2 이행 성향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분산하여 결합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스케줄 이행 성향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링 서비스 서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59213A 2017-11-27 2017-11-27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44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13A KR101944058B1 (ko) 2017-11-27 2017-11-27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213A KR101944058B1 (ko) 2017-11-27 2017-11-27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058B1 true KR101944058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213A KR101944058B1 (ko) 2017-11-27 2017-11-27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0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32A (ko) * 2004-05-20 2005-11-24 조지성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20150075988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휴니티 운동 스케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39066A (ko) * 2016-09-30 2017-04-10 (주)이든이노베이션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데일리 미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32A (ko) * 2004-05-20 2005-11-24 조지성 트레이닝 컨설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20150075988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휴니티 운동 스케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39066A (ko) * 2016-09-30 2017-04-10 (주)이든이노베이션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데일리 미션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nrich Outcomes–base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implications for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effectiveness
US20080208664A1 (en) Optimization of class scheduling under demand uncertainty
Lin et al. Resource allocation and outpatient appointment scheduling using simulation optimization
US84476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generation of minimum length pilot training schedules
Tunio et al. Impact of personality on task selection in crowdsourcing software development: A sorting approach
Sampson et al. Class scheduling to maximize participant satisfaction
Pearce et al. Bayesian simulation optimization with input uncertainty
Hu et al. Public tuition on the rise: Estimating the effects of Louisiana’s performance-based funding policy on institutional tuition levels
Aslan et al. A dynamic thompson sampling hyper-heuristic framework for learning activity planning in personalized learning
Chen et al. Sequential experimental designs for stochastic kriging
Pujowidianto et al. Constrained optimizaton for hospital bed allocation via discrete event simulation with nested partitions
Navabi-Shirazi et al. Multicriteria course mode selection and classroom assignment under sudden space scarcity
KR101944058B1 (ko)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rashandi et al. Automation of team forma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in an enterprise: What needs to improve?
Orvis et al. Ensuring personnel readiness in the Army Reserve components
Keskin et al. Examination timetabling problem with scarce resources: a case study
CN112446563B (zh) 名单分配系统和方法
Corbett Military manpower planning: Optimization modeling for the Army officer accession/branch detail program
Snyder et al. The Flexible Scheduling Paradigm: The Prototype School.
Grambow et al. Intelligent task assignment in industry 4.0 production processes utilizing fuzzy sets
US2020002705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mentary staffing schedules
Robertson et al. Role reassig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in human organizations
Aslan Capacity management for personalized services in education
Tauböck et al. The< morespace> Project: Modelling and Simulation of Room Management and Schedule Planning at University by Combining DEVS and Agent-based Approaches
Eisler et al. Optimizing military course scheduling with heterogenous resource constraints and uncertain student 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