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55A -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55A
KR20230014455A KR1020210095815A KR20210095815A KR20230014455A KR 20230014455 A KR20230014455 A KR 20230014455A KR 1020210095815 A KR1020210095815 A KR 1020210095815A KR 20210095815 A KR20210095815 A KR 20210095815A KR 20230014455 A KR20230014455 A KR 2023001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일영
김용상
이종영
방준석
Original Assignee
리퓨어생명과학 주식회사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퓨어생명과학 주식회사,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리퓨어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455A/ko
Publication of KR2023001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78Exercise efforts programmed as a function of ti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및 상기 신체 관련 정보, 상기 문진 응답 정보 및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결정부;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EVALUATING INDIVIDUAL CUSTOMIZED EXERCISE PROGRAM}
본 개시 내용은 운동 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을 계획함에 있어 종래에는 전문 트레이너에 의한 상담 및 지도를 통해 운동하는 방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문 트레이너를 이용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비대면 방식으로 운동 계획을 수립 및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체력 수준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정교하게 맞춤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방식으로도 용이하게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운동 수행 과정과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서비스가 구현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2077186호(2020.02.07)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 내용은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및 상기 신체 관련 정보, 상기 문진 응답 정보 및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결정부;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성별, 나이, 신장, 체중,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상기 체중 및 신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BMI(Body Mass Index), 상기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WHR(Waist Hip Ratio), 상기 BMI, 나이, 성별지수 및 인종지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체지방값, 상기 체지방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비만정도 레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체 관련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심폐지구력 문진항목들, 근력 문진항목들, 근지구력 문진항목들 및 유연성 문진항목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문진 카테고리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 문진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에 대한 입력값들을 획득하고, 각 문진 카테고리의 각 문진항목에 설정된 배점에 따라 심폐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및 유연성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을 계산하고, 각 카테고리의 합산결과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레벨로 상기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레벨, 근력 레벨, 근지구력 레벨 및 유연성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유형은 일반인 유형, 비만인 유형 및 질환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상기 비만정보 레벨에 기초하여 비만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질환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결정된 사용자 유형,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심박수, 속도, 지속시간, 총거리,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필수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심박수는 적어도 상기 나이 및 운동강도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속도는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지속시간은 적어도 운동종류지수, 나이지수, 성별지수, 심폐지구력레벨에 따른 지수 및 운동주기 주차에 따른 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총거리는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 및 상기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 상기 체중 및 상기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호운동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유형,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운동에 대한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선호운동 에너지소비량, 지속시간,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선호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설정된 그룹으로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운동종류, 운동위치 및 운동 프로그램 진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그룹의 둘 이상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 접속에 따라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동일한 시각에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방식으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운동 동작 따라하기 컨텐츠 또는 운동 경로 네비게이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AR 글라스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AR 글라스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AR 글라스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 기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운동 주기 각각에 대하여 운동 위치, 운동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 진도율, 소모한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동일한 처방 프로그램들을 수행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운동 수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프로그램의 하나의 운동 주기 종료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업데이트된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처방프로그램의 잔여 운동 주기에 대한 운동 처방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 및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체구성, 체력수준, 질병 등에 따라 사용자에 맞춤화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AR 글래스와 연계한 증강현실 방식으로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비대면 상황에서도 몰입감있게 운동 처방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함께 운동하는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그룹 운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대면 상황에서도 그룹 전체가 다른 사용자의 운동여부를 확인하면서 함께 운동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 따르면,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중이라도 업데이트된 신체 관련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체력, 건강 상태에 맞게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내용, 강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잔여 기간의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4는 심폐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5는 심폐지구력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6은 근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7은 팔굽혀펴기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8은 무릎대고 팔굽혀펴기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9은 상완이두근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0은 근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1은 윗몸일으키기 측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2는 유연성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3은 필수운동으로서 달리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4는 필수운동으로서 걷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5는 선호운동으로서 등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6은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7은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예시적인 서비스 화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은 통신망(300), 운동 처방 시스템(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운동 처방 시스템(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가 서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0)은 운동 컨텐츠 프로바이더(600)와 같은 외부 통신 엔티티들과 운동 처방 시스템(400)이 통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 역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특정한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신망(300)은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통신망(300)은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운동 처방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형 컴퓨터일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운동 처방 시스템(400)에 접속하거나 또는 운동 처방 시스템(400) 제공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동 처방 시스템(4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운동 처방 시스템(400)에 접속하거나 또는 운동 처방 시스템(400)에서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운동 처방 시스템(400)으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또는 구글플레이(Google Play) 또는 앱 스토어(App Store)와 같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 본 개시 내용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버(410) 및 데이터베이스(DB)(4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10)는 사용자 단말기(200)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50)는 본 개시 내용의 운동 처방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문진항목 정보, 문진 응답 정보, 운동 처방 프로그램, 연관된 운동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하거나 또는 운동 컨텐츠 프로바이더(600)와 같은 연계된 외부 데이터 소스를 통해 운동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AR 글라스(500)를 통해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방식으로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AR 글라스(500)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AR 글라스(500)에 통신망(3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는 운동 처방 시스템(400)으로부터 직접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410)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 운동 처방 결정부(412),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 및 운동 처방 평가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의 회원가입시에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700)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회원가입후라도 별도의 신체 정보 입력 메뉴를 통해 신체 관련 정보(700)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신체 관련 정보(70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BMI(Body Mass Index), WHR(Waist Hip Ratio), 체지방 및 비만정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BMI는 사용자의 체중 및 신장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고, WHR은 사용자의 허리 둘레 및 엉덩이 둘레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체지방값은 사용자의 BMI, 나이, 성별지수 및 인종지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비만정도 레벨은 사용자의 체지방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고도비만', '비만', '과체중', '표준', '경량' 중 하나의 비만정도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신체 관련 정보(7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질환정보(예를 들어, 고혈압, 당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사용자의 BMI는 표 1에 따른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mb_weight은 사용자의 체중이고, mb_height은 사용자의 신장이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사용자의 WHR은 표 2에 따른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mb_waist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이고, mb_heap은 사용자의 엉덩이둘레이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사용자의 체지방값(fat)은 표 3에 따른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bmi는 사용자의 BMI이고, sex는 성별지수(남성(male)=1, 여성=0)이고, age는 사용자의 나이이고, asian은 인종지수(아시안(asian)=1, 그외=0)이다.
예시적으로, 전술한 사용자의 비만정도 레벨은 표 4에 따른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mb_fat은 사용자의 체지방값이고, if(male)은 사용자가 남성일 때이고 else는 사용자가 여성일 때이며, 표 4의 조건에 따라 남성 및 여성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체지방값의 범위에 따라 사용자의 비만정도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심폐지구력 문진항목들, 근력 문진항목들, 근지구력 문진항목들 및 유연성 문진항목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문진 카테고리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각 문진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에 대한 입력값들을 획득하고, 각 문진 카테고리의 각 문진항목에 설정된 배점에 따라 심폐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및 유연성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각 카테고리의 합산결과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레벨로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레벨, 근력 레벨, 근지구력 레벨 및 유연성 레벨을 포함하는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및 유연성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선택에 따라 특정 문진 카테고리 대신에 테스트 측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문진항목들은 후술할 바와 같은 예시적인 문진항목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력수준을 평가하는 알려져 있는 통계치에 기초하여 문진항목들을 수정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폐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문진에 의한 응답(81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4에 도시된 문진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심폐지구력 문진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5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는 미리 결정된 배점이 배당되어 있으며, num은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 대응하는 배점들의 합이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num값의 범위에 따라 심폐지구력 레벨(grade =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부족), 1(매우 부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테스트를 통한 입력(82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폐지구력 측정치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심폐지구력 측정치(수행시간 및 15초간 측정한 심박수)가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6의 수식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ib = (사용자의 체중)*2.2 이고, age는 사용자의 나이이고, bpm은 사용자의 심박수이고, if(male)은 사용자가 남성일 때이고, else는 사용자가 여성일 때이다.
표 6에서 계산된 VO2max는 표 7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심폐지구력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예시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문진에 의한 응답(83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6에 도시된 문진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근력 문진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8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근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는 미리 결정된 배점이 배당되어 있으며, num은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 대응하는 배점들의 합이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num값의 범위에 따라 근력 레벨(grade =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부족), 1(매우 부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테스트를 통한 입력(84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사용자가 남성인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팔굽혀펴기 측정 횟수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어린이, 청소년 또는 여성인 경우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릎대고 팔굽혀펴기 측정 횟수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완이두근 측정 횟수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남성인 경우에, 10초간 측정된 팔굽혀펴기 횟수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9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근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에, 10초간 측정된 무릎대고 팔굽혀펴기 횟수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10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근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사용자가 노인인 경우에, 30초간 상완이두근 측정 횟수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11(남성 기준) 및 표 12(여성 기준)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근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예시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문진에 의한 응답(85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10에 도시된 문진항목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근지구력 문진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13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근지구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표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는 미리 결정된 배점이 배당되어 있으며, num은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 대응하는 배점들의 합이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num 값의 범위에 따라 근지구력 레벨(grade =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부족), 1(매우 부족))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테스트를 통한 입력(860)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지구력 측정치 입력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근지구력 측정치(30초간 위몸일으키기 횟수)가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14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근지구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예시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연성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유연성 문진항목들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입력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표 15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유연성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5
표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는 미리 결정된 배점이 배당되어 있으며, num은 각 문진항목의 선택값에 대응하는 배점들의 합이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411)는 num 값의 범위에 따라 유연성 레벨(grade =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부족), 1(매우 부족))을 결정할 수 있다.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유형은 일반인 유형, 비만인 유형 및 질환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사용자의 비만정보 레벨에 기초하여 비만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질환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사용자의 비만정보 레벨이 '고도비만' 또는 '비만'인 경우에 사용자 유형을 비만인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질환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사용자 유형을 질환인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비만인 유형 및 질환인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유형을 일반인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유형이 질환인 유형으로 결정되는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일반인 유형에 대하여 설계되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강도를 미리 결정된 비율(예를 들어, 10% 감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 유형이 비만인 유형으로 결정되는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강도 결정시에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체지방 수준에 따른 조정인자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비만인 유형에 대하여 표 16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성별, 나이 및 체지방 수준에 따른 조정인자를 운동강도(%) 결정시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16
일 구현예에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사용자의 질환정보가 입력된 경우, 운동 처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질환 관련 추가 문진항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질환정보가 각각 고혈압, 당뇨인 경우에, 표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준에 따라 운동 처방 가능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7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결정된 사용자 유형,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심박수, 속도, 지속시간, 총거리,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필수운동(예를 들어, 달리기, 걷기 등)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박수는 적어도 사용자의 나이 및 운동강도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속도는 적어도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지속시간은 적어도 운동종류지수, 나이지수, 성별지수, 심폐지구력레벨에 따른 지수 및 운동주기 주차에 따른 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총거리는 적어도 심폐지구력 레벨 및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적어도 심폐지구력 레벨, 체중 및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호운동(예를 들어, 등산, 골프, 웨이트 트레이닝, 재즈댄스, 요가, 배드민턴 등)이 선택되는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결정된 사용자 유형,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선호운동에 대한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선호운동 에너지소비량, 지속시간,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선호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함께 운동처방멘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문진 응답 정보 중 심폐지구력 레벨이 2(부족) 또는 1(매우 부족)인 경우에 심폐지구력 관련 미리 설정된 운동처방멘트(예를 들어, 심폐지구력이 '매우 부족'이므로 낮은 운동강도부터 걷기 운동을 시작하는게 좋습니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문진 응답 정보 중 근력 레벨이 4(우수) 또는 5(매우 우수)인 경우에 근력 관련 미리 설정된 운동처방멘트(예를 들어, 근력 레벨이 '매우 우수'으므로 상위 강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실 수 있습니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문진 응답 정보 중 근지구력 레벨이 2(부족) 또는 1(매우 부족)인 경우에 근지구력 관련 미리 설정된 운동처방멘트(예를 들어, 근지구력 레벨이 '부족'이므로 낮은 운동강도부터 테니스를 하실 수 있습니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문진 응답 정보 중 유연성 레벨이 4(우수) 또는 5(매우 우수)인 경우에 유연성 관련 미리 설정된 운동처방멘트(예를 들어, 유연성 레벨이 '매우 우수'이므로 상위 레벨의 요가 프로그램을 수행하실 수 있습니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운동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레벨이 1(매우 부족) 또는 2(부족)인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유연성 향상을 위한 운동으로 미리 설정된 운동(예를 들어, 재즈댄스 또는 요가)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력 레벨이 1(매우 부족) 또는 2(부족)인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으로 미리 설정된 운동(예를 들어, 웨이트 트레이닝)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지구력 레벨 및 근지구력 레벨이 1(매우 부족) 또는 2(부족)인 경우,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심폐지구력 및 근지구력 모두의 향상을 위한 운동으로 미리 설정된 운동(예를 들어, 등산)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추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필수운동으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달리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달리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운동기간을 12주로 잡고, 1-3주를 첫번째 운동 주기, 4-9주를 두번째 운동 주기, 10-12주를 세번째 운동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달리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각 운동 주기마다 해당 운동 주기에 적용해야할 목표 심박수, 속도(km/h 단위 및 mile/h 단위), 1회 운동시 지속시간, 1회 운동시 총거리, 주당 운동수행 빈도수 및 1회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kcal)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반인 유형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 주기별 운동강도는 표 18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여기서, MET(Metabolic Equivalent)는 1분 동안 휴식중에 섭취하는 산소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MaxMETs = VO2max / 3.5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박수는 표 19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double)은 실수값을 출력하는 변수형을 나타내며, 함수 Math.round()는 함수입력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값을 출력하는 함수이고, c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이고, age는 사용자의 나이이고, cons1은 첫번째 운동주기의 운동강도 지수값이다. 예시적으로, cons1은 a_1의 범위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며, a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V02max 비율(%)을 나타낸다. a_1의 범위에 따른 cons1의 값은 표 20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a_1 cons1
a_1>87.5 0.936
87.5≥a_1>82.5 0.896
82.5≥a_1>77.5 0.856
77.5≥a_1>72.5 0.826
72.5≥a_1>67.5 0.786
67.5≥a_1>62.5 0.746
62.5≥a_1>57.5 0.716
57.5≥a_1>52.5 0.676
a_1≤52.5 0.636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강도지수(cons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강도지수(cons3)도 표20의 기준과 같은 방식으로 각각 두번째 운동주기에 대한 a_2의 범위 및 세번째 운동주기에 대한 a_3의 범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c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c_3)도 표 19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속도(mile/h)는 표 21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0
여기서, b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값으로서 b_1 = (double) (Math.round({a_1 * vo2max / 100} * 100)) / 100로 계산되며, a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V02max 비율(%)을 나타내고, vo2max는 성별, 나이범위 및 심폐지구력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며, v1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속도(mile/h)이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mile/h)(v1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mile/h)(v1_3)도 표 21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vo2max는 성별, 나이범위 및 심폐지구력 레벨(grade =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부족), 1(매우 부족))에 따라 표 22(남성인 경우) 및 표 23(여성인 경우)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성별 나이범위 심폐지구력 레벨 vo2max (%)
남성 (나이)≥70 5 44.5
4 34
3 24.5
2 16.5
1 8.25
70>(나이)≥60 5 51
4 37
3 27.5
2 18.5
1 10.5
60>(나이)≥50 5 52.5
4 40
3 30.5
2 21.5
1 12
50>(나이)≥40 5 59
4 43
3 33.5
2 24.5
1 13.5
40>(나이)≥30 5 65.5
4 45.5
3 35.5
2 27
1 16.75
(나이)<30 5 72
4 48.5
3 38.5
2 29.5
1 19.5
성별 나이범위 심폐지구력 레벨 vo2max (%)
여성 (나이)≥70 5 35
4 26
3 19
2 12.5
1 6.75
70>(나이)≥60 5 41.5
4 29
3 22
2 14.5
1 8.5
60>(나이)≥50 5 43
4 32
3 25
2 17.5
1 10
50>(나이)≥40 5 49.5
4 35
3 28.5
2 20.5
1 11.5
40>(나이)≥30 5 56
4 38
3 31
2 23.5
1 14.75
(나이)<30 5 62
4 40
3 33
2 25.5
1 17.5
예시적으로 속도(km/h)는 표 24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1
여기서, v2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속도(km/h)이며, 두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km/h)(v2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에 대한 속도(km/h)(v2_3)도 표 24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속시간은 표 25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2
여기서, time1, time2, time3은 각각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 두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 세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code_gubun은 운동종류지수, code_age는 나이지수, code_sex는 성별지수, code_level은 심폐지구력 지수이고, code_period는 주차지수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운동종류지수는 달리기의 경우 code_gubun=30, 걷기의 경우 code_gubun=2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나이지수, 성별지수, 심폐지구력 지수 및 주차지수는 표 2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23
예시적으로 총거리는 표 27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4
여기서, time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이고 s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s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s_3)도 표 24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빈도는 운동 주기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첫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3, 두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4, 세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표 28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5
여기서, time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이고, weight은 사용자의 체중이고, energy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3)도 표 25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필수운동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걷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걷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운동기간을 12주로 잡고, 1-3주를 첫번째 운동 주기, 4-9주를 두번째 운동 주기, 10-12주를 세번째 운동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걷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각 운동 주기마다 해당 운동 주기에 적용해야할 목표 심박수, 속도(km/h 단위 및 mile/h 단위), 1회 운동시 지속시간, 1회 운동시 총거리, 주당 운동수행 빈도수 및 1회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kcal)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박수는 표 29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6
여기서, c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이고, age는 사용자의 나이이고, bpm은 사용자의 안정시 심박수이고, cons1_1은 첫번째 운동주기에 대한 심폐지구력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cons2는 나이범위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cons3은 bpm의 범위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cons4는 성별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c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심박수(c_3)도 표 29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첫번째, 두번째 및 세번째 운동주기에 대한 심폐지구력 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값(cons1_1, cons1_2 및 cons1_3)은 표 30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심폐지구력 레벨 운동주기 변수 설정값
5 1단계 cons1_1 0.65
2단계 cons1_2 0.7
3단계 cons1_3 0.75
4 1단계 cons1_1 0.6
2단계 cons1_2 0.65
3단계 cons1_3 0.7
3 1단계 cons1_1 0.56
2단계 cons1_2 0.61
3단계 cons1_3 0.63
2 1단계 cons1_1 0.53
2단계 cons1_2 0.58
3단계 cons1_3 0.63
1 1단계 cons1_1 0.5
2단계 cons1_2 0.55
3단계 cons1_3 0.6
예시적으로, cons2는 나이범위에 따라 표 31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나이범위 cons2
(나이)≥70 14
70>(나이)≥65 12
65>(나이)≥60 10
60>(나이)≥50 8
50>(나이)≥45 6
45>(나이)≥40 4
40>(나이)≥30 2
30>(나이)≥20 0
20>(나이)≥17 -5
(나이)<17 -10
예시적으로, cons3은 bpm의 범위에 따라 표 32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bpm의 범위 cons3
bpm≥81 -8
81>bpm≥60 (70-bpm)*0.6
bpm<60 8
예시적으로, cons4는 성별이 남성인 경우 0, 여성인 경우 -5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속도(km/h)는 표 33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7
여기서, cons1_1은 표 30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vo2max는 표 22 및 23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v1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km/h)를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km/h)(v1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km/h)(v1_3)도 표 33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속도(mile/h)는 표 34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8
여기서, v1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km/h)이고, vm1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mile/h)이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mile/h)(vm1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속도(mile/h)(vm1_3)도 표 34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속시간은 표 25 및 표 26의 기준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종류지수는 걷기의 경우인 code_gubun=20이 적용될 수 있으며, 표 26에 제시된 걷기 운동에 대한 지수값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총거리는 표 35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9
여기서, cons1_1은 표 30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vo2max는 표 22 및 23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고, time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이고 s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s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의 총거리(s_3)도 표 35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걷기 운동의 운동빈도는 운동 주기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첫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3, 두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4, 세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표 28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time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이고, weight은 사용자의 체중이고, energy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3)도 표 28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 처방 결정부(4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호운동이 등산으로 선택된 경우 선호운동으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산에 대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등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운동기간을 12주로 잡고, 1-4주를 첫번째 운동 주기, 5-8주를 두번째 운동 주기, 9-12주를 세번째 운동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등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각 운동 주기마다 등산운동의 에너지소비량 기준(kcal/hr/kg), 1회 운동시 지속시간, 주당 운동수행 빈도수 및 1회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kcal)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등산운동에 대한 에너지소비량 기준(kcal/hr/kg)은 8로 설정될 수 있으며, 지속시간은 운동 주기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첫번째 운동 주기 동안에 20분(time1), 두번째 운동 주기 동안에 30분(time2), 세번째 운동 주기 동안에 50분(time)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등산 운동의 운동빈도는 운동 주기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첫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3, 두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4, 세번째 운동 주기 동안의 빈도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표 36에 제시된 수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30
여기서, value는 해당 운동의 에너지소비량 기준(본 예에서는 등산 운동의 에너지소비량 기준)이고, time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지속시간이고, weight은 사용자의 체중이며, energy_1은 첫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운동 주기의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2) 및 세번째 운동 주기시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energy_3)도 표 36의 수식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결정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해당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 프로그램이 스트레칭 운동 프로그램인 경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스트레칭 운동과 연관된 운동 따라하기 컨텐츠(사진 또는 동영상)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 프로그램이 등산 운동 프로그램인 경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등산 운동과 연관된 운동 경로(900)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설정된 그룹으로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운동종류, 운동위치 및 운동 프로그램 진도율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리기 운동에 대하여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이 설정된 경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헬스클럽, 하천 러닝 코스 등)를 제공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어디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알려줄 수 있으며, 운동 프로그램 진도율을 통해 운동 참여 순위를 보여줌으로써 비대면 환경에서도 그룹원들이 함께 하는 운동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그룹원들을 위한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해당 그룹의 둘 이상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들로 해당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동일한 시각에 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를 통해 동일한 시각에 그룹원들이 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방식으로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운동 동작 따라하기 컨텐츠 또는 운동 경로 네비게이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AR 글라스(500)로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단거리 통신을 통해) AR 글라스(500)로 제공되거나 또는 AR 글라스(5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즉, 통신망(300)을 통한 통신을 통해) 서버(4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방식으로 제공되는 운동 동작 따라하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동작이 컨텐츠 상의 동작과 겹쳐보일 수 있게 구현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AR 글라스(500)를 통해 정확한 동작을 운동을 하고 있는지 검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간현실 방식으로 제공되는 운동 경로 네비게이션 컨텐츠는 사용자의 시야에 운동 경로 정보(예를 들어, 경로 정보, 거리 정보, 방향 표시 등)가 겹쳐보일 수 있게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AR 글라스(500)를 통해 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운동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사용자에 의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 기간(예를 들어, 12주)을 구성하는 복수의 운동 주기들 각각(예를 들어, 3~4주의 운동 주기)에 대하여 운동 위치, 운동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 진도율, 소모한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수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동일한 처방 프로그램들을 수행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들의 평균 진도완수율, 평균 운동 강도 등)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운동 수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이 수행된 경우에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 및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하나의 운동 주기 종료시 사용자 정보 입력부(414)는 신체 관련 정보, 문진 응답 정보 또는 문진 카테고리 관련 테스트 측정치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업데이트된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잔여 운동 주기에 대한 운동 처방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처방 평가부(414)는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첫번째 운동 주기 종료후 업데이트된 신체 관련 정보 또는 문진 응답 정보에 따라 기결정된 사용자 체력수준(예를 들어, 비만정도 레벨, 심폐지구력 레벨, 근력 레벨, 근지구력 레벨 및 유연성 레벨 등)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결정된 사용자 체력수준과 상이하게 변경된 정보가 있는 경우 변경된 정보에 따라 운동 처방 설정(예를 들어, 심박수, 속도, 지속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413)는 해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잔여 운동 주기에 변경된 운동 처방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 진행중 체력수준 중간점검 기능을 통해,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진행중이라도 사용자 신체 상태에 맞게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설정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010).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획득된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1020).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결정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해당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1030). 운동 처방 시스템(400)은 사용자에 의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1040).
임의의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유닛(또는 부)",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사용자 단말기
300: 통신망
400: 운동 처방 시스템
410: 서버
450: 데이터베이스
500: AR 글라스
600: 운동 컨텐츠 프로바이더

Claims (14)

  1.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및
    상기 신체 관련 정보, 상기 문진 응답 정보 및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결정부;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운동 처방 평가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성별, 나이, 신장, 체중,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를 포함하는 신체 정보, 상기 체중 및 신장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BMI(Body Mass Index), 상기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WHR(Waist Hip Ratio), 상기 BMI, 나이, 성별지수 및 인종지수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체지방값, 상기 체지방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비만정도 레벨,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체 관련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는,
    심폐지구력 문진항목들, 근력 문진항목들, 근지구력 문진항목들 및 유연성 문진항목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문진 카테고리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 문진 카테고리의 문진항목들에 대한 입력값들을 획득하고, 각 문진 카테고리의 각 문진항목에 설정된 배점에 따라 심폐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근지구력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 및 유연성 카테고리의 문진항목 합산결과값을 계산하고, 각 카테고리의 합산결과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레벨로 상기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레벨, 근력 레벨, 근지구력 레벨 및 유연성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형은 일반인 유형, 비만인 유형 및 질환인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상기 비만정보 레벨에 기초하여 비만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질환인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결정된 사용자 유형,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심박수, 속도, 지속시간, 총거리,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필수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호운동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운동 처방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유형,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운동에 대한 복수의 운동 주기들로 구성된 운동 기간 및 각 운동 주기별 선호운동 에너지소비량, 지속시간, 운동 빈도 및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하는 선호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수는 적어도 상기 나이 및 운동강도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속도는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지속시간은 적어도 운동종류지수, 나이지수, 성별지수, 심폐지구력레벨에 따른 지수 및 운동주기 주차에 따른 지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총거리는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 및 상기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운동시 에너지 소비량은 적어도 상기 심폐지구력 레벨, 상기 체중 및 상기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설정된 그룹으로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운동종류, 운동위치 및 운동 프로그램 진도율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은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그룹의 둘 이상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동시참여 운동 서비스 접속에 따라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동일한 시각에 개시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방식으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운동 동작 따라하기 컨텐츠 또는 운동 경로 네비게이션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AR 글라스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 및 연관된 운동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AR 글라스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AR 글라스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운동 기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운동 주기 각각에 대하여 운동 위치, 운동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 진도율, 소모한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수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동일한 처방 프로그램들을 수행한 다른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운동 수행 이력을 저장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운동 처방프로그램의 하나의 운동 주기 종료시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부터 획득되는 업데이트된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처방프로그램의 잔여 운동 주기에 대한 운동 처방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들로 설정된 그룹으로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운동 처방 평가부는 상기 그룹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종료후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 및 상기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수행 결과와의 비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14. 운동 처방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 및 문진 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체 관련 정보 및 상기 문진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과 연관된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을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과 연관된 운동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운동 처방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 방법.
KR1020210095815A 2021-07-21 2021-07-21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4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15A KR20230014455A (ko) 2021-07-21 2021-07-21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15A KR20230014455A (ko) 2021-07-21 2021-07-21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55A true KR20230014455A (ko) 2023-01-30

Family

ID=8510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15A KR20230014455A (ko) 2021-07-21 2021-07-21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4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1607A (zh) * 2023-10-10 2023-12-22 西南交通大学 一种生成运动处方的方法
CN117271607B (zh) * 2023-10-10 2024-06-04 西南交通大学 一种生成运动处方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86B1 (ko) 2018-09-21 2020-04-07 이계복 사용자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86B1 (ko) 2018-09-21 2020-04-07 이계복 사용자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1607A (zh) * 2023-10-10 2023-12-22 西南交通大学 一种生成运动处方的方法
CN117271607B (zh) * 2023-10-10 2024-06-04 西南交通大学 一种生成运动处方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124B2 (en) Biometric assessment in fitness improvement
US20180085630A1 (en) Customizing Workout Recommendations
US20120047132A1 (en) Method, Apparatus and Data Processor Program Product Capable of Enabling Administration of a Levels-Based Athleticism Development Program Data
US20110281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Personalized Workout Programs
KR20180004928A (ko)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30095458A1 (en) Social Network Trai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Trainer Application
Vieira et al. Kinect system in home-based cardiovascular rehabilitation
US20180211274A1 (en)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Activity Using Sensors
Brehm et al. Reliability of a progressive maximal cycle ergometer test to assess peak oxygen uptake in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cerebral palsy
Jebens et al. Are elderly construction workers sufficiently fit for heavy manual labour?
US20220336077A1 (en) Predicting exercises based on user-selected variance
KR20180027057A (ko) 트레이닝 루틴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4646019B2 (ja) 高齢者の日常生活・運動支援システム
KR20210141975A (ko) 개인 맞춤형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80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able sports workouts
Draicchio et al. 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of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and the occupational physical assessment test in reserve officer training corps cadets: A brief report
Jukic et al. Velocity loss is a flawed method for monitoring and prescribing resistance training volume with a free-weight back squat exercise
KR20200030848A (ko) 건강위험도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532644B1 (ko) 스포츠 적합성 분석 방법
JP2005122628A (ja) 運動能力向上システム
KR20230014455A (ko)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5222A (ko)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Cai et al. PoseBuddy: Pose estimation workout mobile application
US20220331659A1 (en) Determining a user&#39;s current exercise capability
KR10063816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개별 운동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