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148B1 -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148B1
KR102244148B1 KR1020180138570A KR20180138570A KR102244148B1 KR 102244148 B1 KR102244148 B1 KR 102244148B1 KR 1020180138570 A KR1020180138570 A KR 1020180138570A KR 20180138570 A KR20180138570 A KR 20180138570A KR 102244148 B1 KR102244148 B1 KR 10224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user
exercise
content
exercise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222A (ko
Inventor
김대정
Original Assignee
김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정 filed Critical 김대정
Priority to KR102018013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1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어플리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정적 측정값과, 동적 측정값을 수신하여 개인 체력의 강도에 맞는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한 운동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강도와 비만도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알맞은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시 제공하는 배경음악에 사용자의 체력에 맞는 분절 신호음을 합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다이어트와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음악으로 인해 주의력과 신경 작용 등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음악에 맞춰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에너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Description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Dedicated content prescription and health care system based on tone}
본 발명은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정적 및 동적 측정을 하여 개인 체력의 강도에 맞는 콘텐츠를 처방하는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헬스케어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저변화, 다양해진 건강관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시와 현대인들의 건강관련 관심급증으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품 내부에 3D 가속 센서 등의 운동 측정을 위한 헬스 디바이스를 통해서 걷기, 뛰기 등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운동량 즉, 칼로리(Calory)로 정량화하여 보여준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산출된 운동량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전반적인 온라인 헬스 케어를 수행하는 헬스 케어 서버에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보다 체계적인 운동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72176호(2015.11.2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정적 및 동적 측정을 하여 개인 체력의 강도에 맞는 콘텐츠를 처방하는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콘텐츠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어플리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정적 측정값과, 동적 측정값을 수신하여 개인 체력의 강도에 맞는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된 개인별 정적측정값을 통한 비만도를 산출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별 동적측정값을 통해 최대 심박수를 계산하여 신호음을 제공한다.
상기 정적 측정값은, 사용자의 키, 몸무게를 측정한 측정값, 그리고 기본자세, 운동자세, 척추 측만, 얼굴비대칭, 고관절 변형 및 휜다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측정한 체형 분석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측정값은, 운동할때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개인정보수집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비만도산출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획득한 자세별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수집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심박수를 수집하고, 수신된 심박수를 통해 적정 심박수를 산출하는 심박수산출부, 상기 산출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산출부, 상기 사용자의 비만도, 자세 및 운동강도에 따라 처방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 상기 컨텐츠와 같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 산출된 분절 신호음을 제공하는 신호음제공부, 그리고 상기 산출된 분절 신호음과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음악을 합성하여 제공하는 음악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정 심박수는,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X/100)+안정시심박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X =%MAX이고, 상기 최대 심박수는 남녀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운동강도 산출부는, 심박수에 따라 적정운동강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적정 운동 강도에 따른 심박수는, [(220-나이)-안정시 심박수]*운동강도+안정시 심박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신호음제공부는,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분절신호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한 운동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강도와 비만도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알맞은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시 제공하는 배경음악에 개인의 체력에 맞는 분절 신호음을 합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쉬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인 다이어트와 재활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음악으로 인해 주의력과 신경 작용 등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음악에 맞춰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에너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포함된 S320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S320단계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S340단계에서 수신된 운동콘텐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S370단계에서 현재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S390에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량 설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가진다" 등과 관련된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관리서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데스트탑 등을 포함하며, 유무선통신을 통해 관리서버(12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자세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서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수집부(121), 비만도산출부(122), 정보수집부(123), 심박수산출부(124), 운동강도 산출부(125), 컨텐츠제공부(126), 신호음제공부(127) 및 음악제공부(128)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정보수집부(121)는 사용자가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개인정보는 회원으로 관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는 생년월일, 이름, 성별, 나이,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비만도산출부(122)는 사용자가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계산한다.
비만도는 3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표준 체중에 의한 방법, 체격지수에 의한 방법 및 체지방에 의한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체질량 지수인 BMI계산법에 의해 산출되나, 본 발명은 표준체중에 의한 방법에 의해 비만도를 측정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비만도는 (실제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100 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이때, 산출된 비만도가 0~19%에 포함되면 정상이고, 비만도가 20~29%이면 경도비만, 비만도가 30~49%이면 중등도비만이고, 비만도가 50%이상이면 고도비만에 속한다.
따라서, 상기 비만도 산출부(122)는 통계에 따라 나이 및 키 대비 표준체중을 기 설정하고, 기 설정된 표준체중을 이용하여 비만도를 산출한다.
상기 정보수집부(123)는 상기 사용자를 단말기(110)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획득한 자세별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한다. 상기 자세별 신체부위라고 하는 것은 기본 자세, 운동자세, 척추측만, 얼굴비대칭, 고관절 변형 및 휜다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정보수집부(123)는 수집된 자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심박수산출부(124)는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일측에 위치한 심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박수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 심박수를 산출한다.
사용자는 단말기(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심박수를 측정하고 현재의 본인 상태를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110)에서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심박수를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한다.
Figure 112018112332432-pat00001
여기서, %X =%MAX이고, 상기 최대 심박수는 남녀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최대 심박수는 남성일 경우, 214-(0.8*나이)를 이용해 산출하고, 여성일 경우에는 209-(0.7*나이)를 통해 산출한다.
상기 운동강도 산출부(125)는 상기 심박수산출부(124)를 통해 수집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운동강도를 산출한다.
운동 강도는 65%와 85%로 나뉘어지며,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다.
Figure 112018112332432-pat00002
상기 컨텐츠제공부(126)는 상기 사용자의 비만도, 자세 및 운동강도에 따라 처방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제공부(126)는 상기 정보수집부(123)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법을 제공하거나, 심박수를 통해 운동강도가 65% 또는 85%가 부여된 운동법을 제공한다.
상기 신호음제공부(127)는 상기 컨텐츠와 같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 산출된 분절 신호음을 제공한다.
상기 분절 신호음은 피보나치수열에 따라 제공되며, 피보나치 수열은 처음 두 항을 1과 1로 한 후, 그 다음 항부터는 바로 앞의 두 개의 항을 더해 만드는 수열을 말한다. 따라서, 1,1,2,3,5,8,13,21,34,55,89,144...로 나열된다.
상기 음악제공부(128)는 상기 제공되는 개인의 체력에 맞는 분절 신호음과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음악을 합성하여 제공한다.
운동할때, 음악은 주의력과 신경 작용 등이 분산돼 대략 10%정도의 피로를 덜 느끼게하며, 음악에 맞춰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에너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에 포함된 S320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S320단계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S340단계에서 수신된 운동콘텐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S370단계에서 현재의 심박수를 체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S390에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량 설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다음, 사용자는 단말기(110)를 통해 생년월일, 이름, 나이, 키, 몸무게와 같은 기본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한다(S310).
회원가입이 완료된 다음에,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에 측정을 선택한다(S320).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정적 측정값과 동적 측정값을 획득한 관리서버(120)가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정적 측정값은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체형 분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동적 측정값은 운동할 때 실시간으로 측정한 심박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측정 메뉴를 통해 기본 자세, 운동자세, 척추, 측만, 얼굴 비대칭, 고관절 변형 등을 선택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고 있는 사진을 불러오거나 현재 자세를 촬영하여 측정 결과를 관리서버(120)에 전달한다.
관리서버(120)는 전달받은 이미지를 정보수집부(123)에 전달하고, 정보수집부(123)는 수신된 이미지를 판단한다(S330).
즉, 이미지의 가운데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의 눈 높이 어깨높이, 골반높이, 무릎, 발목이 대칭이고 바닥에서 평행해야 하며 한쪽으로 몸이 기울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126)에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 컨텐츠를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부(126)는 이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법에 따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340).
한편, 상기 관리서버(12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시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한 생년월일과, 몸무게 및 키에 대한 정보를 비만도산출부(122)에 전달한다(S350).
상기 비만도산출부(122)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산출한다. 산출된 비만도 판정기준은 운동강도 산출부(125)에 제공하여 운동 강도를 산출하는데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S360).
또한, 사용자는 현재 상태의 심박도를 측정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심박수를 측정하고 현재의 시점이 평상시인지, 안정된 상태인지, 운동후 또는 운동 전인지를 체크한다(S370).
상기 단말기(110)는 현재의 상태와 측정된 심박수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120)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서버(120)는 정보를 심박수산출부(124)에 전달한다.
한편, 운동강도 산출부(125)는 개인의 체력에 맞는 운동 강도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를 산출한다.
최대 심박수는 "220-자신의 나이"로 1960년대 후반 운동생리학자 윌리엄 해스켈 박사와 심장의학자 샘 폭스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40세 남성의 최대 심박수의 65~85% 강도로 유산소 운동을 한다면, 220-40=180으로 40대 남성이 최대 심박수의 65~85%는 180*(0.65~0.85)=117~153이 되므로 이 남성의 적정 운동 강도 심박수는 분당 최저 117회에서 최대 153회 정도가 된다.
그 다음, 심박수산출부(124)는 수신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 심박수를 산출한다(S380).
적정 심박수는 앞서 기재된 수학식 2와 같이, [(220-나이)-안정시 심박수]*운동강도+안정시 심박수를 통해 산출된다.
예를 들어 안정시 심박수가 분당 65회인 40세 남성의 목표 심박수 65~85%를 구한다고 하면, 하기의 표1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18112332432-pat00003
따라서, 안정시 심박수가 65인 40세의 남성의 적정 운동 강도 심박수는 분당 최저 139회에서 최대 162회 정도가 되고, 이 정도의 심박수를 유지하면서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다음, 컨텐츠 제공부(126)는 상기 산출된 심박수에 맞는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며, 이때, 운동 컨텐츠는 신호음 및 음악을 제공한다(S390).
따라서,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를 통해 목표를 설정하면, 운동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심박수산출부는(124)에서 산출된 적정 심박수와 매칭하여, 운동을 독촉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지방연소 모드와 연소하고자 하는 칼로리를 500㎉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심박수산출부(124)에서 산출된 적정 심박수에 따라 "효과적인 지방 연소를 위해 페이스를 올려주세요" 또는 "효과적인 지방 연소를 위해 페이스를 낮춰주세요"라는 멘트를 출력한다.
한편, 제공되는 운동 콘텐츠는 음악 및 분절 신호음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악제공부(128)은 템포가 120~140BPM인 음악을 제공하며, 상기 120~140BPM인 음악은 최대 심박수의 70%정도에 해당하는 수치로, 건강 유지에 좋은 보통 강도의 운동상태이다.
따라서, 음악제공부(128)는 상기 측정된 적정 심박수와 유사한 음악을 송출하며, 송출되는 음악과 개인의 체력에 맞는 분절 신호음을 합성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적정한 운동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강도와 비만도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알맞은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시 제공하는 배경음악에 개인의 체력에 맞는 분절 신호음을 합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악으로 인해 주의력과 신경 작용 등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음악에 맞춰 몸을 율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에너지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관리 서버
121 : 개인정보수집부
122 : 비만도산출부
123 : 정보수집부
124 : 심박수산출부
125 : 운동강도 산출부
126 : 컨텐츠제공부
127 : 신호음제공부
128 : 음악제공부

Claims (4)

  1. 콘텐츠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키, 몸무게를 측정한 측정값, 그리고 기본자세, 운동자세, 척추 측만, 얼굴비대칭, 고관절 변형 및 휜다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측정한 체형 분석값인 정적 측정값과, 운동할때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 값인 동적 측정값을 수신하여 개인 체력의 강도에 맞는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개인정보수집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비만도산출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의 가운데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눈 높이, 어깨높이, 골반높이, 무릎, 발목이 대칭이고 바닥에서 평행해야 하며 한쪽으로 몸이 기울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자세별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수집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심박수를 수집하고, 수신된 심박수를 통해 적정 심박수를 산출하는 심박수산출부,
    상기 적정 심박수는,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X/100)+안정시심박수를 통해 산출되며,
    여기서, %X =%MAX이고, 상기 최대 심박수는 남녀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산출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산출하는 운동강도 산출부,
    상기 사용자의 비만도, 자세 및 운동강도에 따라 처방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
    상기 컨텐츠와 같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 산출된 분절 신호음을 제공하는 신호음제공부, 그리고,
    상기 산출된 분절 신호음과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음악을 합성하여 제공하는 음악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신된 개인별 정적측정값을 통한 비만도를 산출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별 동적측정값을 통해 최대 심박수를 계산하여 신호음을 제공하고,
    상기 운동강도 산출부는
    심박수에 따라 적정운동강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적정 운동 강도에 따른 심박수는,
    [(220-나이)-안정시 심박수]*운동강도+안정시 심박수를 통해 산출되고,
    또한, 상기 신호음제공부는,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분절신호음을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에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 컨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이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운동법에 따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8570A 2018-11-12 2018-11-12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KR10224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70A KR102244148B1 (ko) 2018-11-12 2018-11-12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570A KR102244148B1 (ko) 2018-11-12 2018-11-12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22A KR20200055222A (ko) 2020-05-21
KR102244148B1 true KR102244148B1 (ko) 2021-04-26

Family

ID=7091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570A KR102244148B1 (ko) 2018-11-12 2018-11-12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20B1 (ko) * 2020-05-26 2022-01-14 주식회사 제우기술 전기 자극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2969B1 (ko) * 2020-12-15 2023-12-12 주식회사 세노컴퍼니 자세교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812A (ko) * 2011-07-11 2013-01-21 백효정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KR20150123644A (ko) * 2014-04-25 2015-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9930A (ko) * 2015-10-02 2017-04-12 김영선 비만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222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7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position, motion, and equilibrium of body parts
JP2022088612A (ja) バランス試験及び訓練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117636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ind-body-emotion state self-adjustment and functional skills development by way of biofeedback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US1027176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rehab protocol and behavior shaping target for rehabilitation of neuromuscular disorders
TW201116318A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uscle performance status at swing action, and program products thereof
KR20140054197A (ko) 환자에 의해 관리되는 물리 재활치료를 증강시키기 위한 비침습적 모션 추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Nae et al. Measurement properties of a test battery to assess postural orientation during functional tasks in patients undergo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ehabilitation
KR102244148B1 (ko)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WO20200286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diaphragmatic breathing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Pope et al. Validation of four smartwatches in energy expenditure and heart rate assessment during exergaming
Cristovam et al. Whole-body vibration in the reduction of the cellulite
Wu et al. Development of wearable posture monitoring system for dynamic assessment of sitting posture
Tedesco et al. Design of a multi-sensors wearable platform for remote monitoring of knee rehabilitation
KR102299217B1 (ko) 클라우드 기반 암 재활환자 통합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Coquart et al. Prediction of peak oxygen uptake from age and power output at RPE 15 in obese women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N112116971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iles Pyramidal weakness
Kirkham et al.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ssessment in a community-based cancer rehabilitation setting
Jogi et al. Comparisons of clinically based outcome measures and laboratory-based outcome measure for balance in patients following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ty
Arsa et al. Predicted equation for VO2 based on a 20-meter multistage shuttle run test for children
JP6617246B1 (ja) 運動器機能向上支援装置、運動器機能向上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器機能向上の支援方法
Santos et al. Influence of the use of cane on the gait cycle of individuals who are blind
Rutkowska-Kucharska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Technique of Movement and Overload in Step Aerob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