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812A -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 Google Patents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812A
KR20130007812A KR1020110068382A KR20110068382A KR20130007812A KR 20130007812 A KR20130007812 A KR 20130007812A KR 1020110068382 A KR1020110068382 A KR 1020110068382A KR 20110068382 A KR20110068382 A KR 20110068382A KR 20130007812 A KR20130007812 A KR 2013000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osture
unit
exercise post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효정
Original Assignee
백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효정 filed Critical 백효정
Priority to KR102011006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812A/ko
Publication of KR201300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헬스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운동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운동자세 교정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운동 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헬스 기구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구 본체의 다수의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인 운동자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각 헬스 기구의 기본 운동자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신호를 입력받아 운동자세정보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 운동자세정보와 비교하여 올바른 운동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Exercise machine with muli- function}
본 발명은 운동 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사용자가 헬스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운동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운동 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특히 헬스클럽, 휘트니스클럽 등에서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런닝머신, 스테퍼, 자전거 헬스기구, 벤치프레스, 버터플라이, 레그익스텐션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할 경우에는 운동기구마다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올바른 자세와 호흡 방법으로 운동을 하여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강사가 사용자 옆에서 직접 올바른 자세를 지도하거나 또는 운동기구 전면에 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운동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헬스클럽이나 휘트니스 클럽 등에서 모든 사용자마다 강사가 일대일로 직접 올바른 자세를 지도할 경우 비용을 많이 지불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쉽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 많은 사람들을 한두명의 트레이너들이 지도하기 때문에 자세하게 자세 교정등을 체크해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거울을 통해 자신이 운동하는 모습을 보더라도 자기자신이 어떤 부분의 자세가 잘못된 것인지 확인하여 교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헬스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운동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켜 올바른 운동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운동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헬스 기구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구 본체의 다수의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인 운동자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각 헬스 기구의 기본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신호를 입력받아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 운동자세정보와 비교하여 올바른 운동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할 때 운동 호흡정보를 함께 생성시켜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센서 또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는 음성안내 메시지 또는 문자안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헬스기구의 일정 부위와 사용자의 거리 및 위치를 체크하고, 체크된 거리 및 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경우 생성된 거리 및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영상 신호를 운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와 비교한 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올바른 운동자세가 겹쳐져서 출력되도록 한다.
모바일 저장매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모바일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바일 저장매체로 출력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운동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헬스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운동자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여, 운동을 하면서 안내 메시지를 출력시켜 올바른 운동자세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의 시스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명이 적용된 헬스기구의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수단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자세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헬스 기구의 기본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0)와, 헬스 기구 본체의 다수의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인 운동자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200)와,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신호를 입력받아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기본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와 비교하여 올바른 운동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출력부(400)와, 모바일 저장매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50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 및 호흡과 관련된 데이터를 운동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600)와, 운동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70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할 때 운동 호흡정보를 함께 생성시켜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200)는 초음파센서, 포토센서 등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400)는 스피커(410) 또는 디스플레이부(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는 상기 스피커(41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 음성안내 메시지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 문자안내 메시지 또는 영상안내 메시지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헬스기구의 일정 부위와 사용자의 거리 및 위치를 체크하고, 체크된 거리 및 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경우 생성된 거리 및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100)는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후 카메라(7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자세데이터와 비교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카메라(7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영상 신호를 운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와 비교한 후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올바른 운동자세가 겹쳐져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운동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600)에 모바일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바일 저장매체로 출력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동자세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의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을 하기 위해 헬스기구에 앉거나 설 경우 앉거나 서는 위치에 센서부(20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려고 하는 상태임을 인지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운동시작상태인지를 판단(S100)하고, 운동시작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를 저장부(100)에 저장된 올바른 운동자세 데이터와 비교한다(S110).
비교 결과, 올바른 자세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운동자세 정보를 수집하여 판단하는 S10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올바른 자세라 판단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정보를 생성시켜 스피커(410) 또는 디스플레이부(420)로 음성안내 메시지 또는 문자안내 메시지를 제공(S130)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자세 및 호흡을 인지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출력부(400)를 통해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할 때 운동 호흡정보를 함께 생성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센서부(100)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을 정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40)하고, 판단 결과 운동을 정지하는 경우 현재모드인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모드를 해제한 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S110 단계부터 반복수행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 및 호흡 교정정보를 인터페이스부(600)에 연결된 모바일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자세 및 호흡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통신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가 운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트레이너가 사용자를 트레이닝 시킬 때 효율적으로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헬스기기에 카메라(700)를 부착시켜 사용자의 운동상황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카메라(7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영상 신호를 운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와 비교한 후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올바른 운동자세가 겹쳐져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운동자세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저장부
200 : 센서부
300 : 제어부
400 : 출력부
410 : 스피커
420 : 디스플레이부
500 : 통신부
600 : 인터페이스부
700 : 카메라

Claims (11)

  1. 헬스 기구에 있어서,
    상기 헬스 기구 본체의 다수의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인 운동자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부;
    각 헬스 기구의 기본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신호를 입력받아 운동자세 및 호흡 정보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 운동자세정보와 비교하여 올바른 운동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운동자세 안내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할 때 운동 호흡정보를 함께 생성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센서 또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자세 및 호흡 안내정보는 음성안내 메시지 또는 문자안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헬스기구의 일정 부위와 사용자의 거리 및 위치를 체크하고, 체크된 거리 및 위치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경우 생성된 거리 및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영상 신호를 운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올바른 운동자세 영상데이터와 비교한 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올바른 운동자세가 겹쳐져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모바일 저장매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모바일 저장매체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바일 저장매체로 출력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운동자세와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지의 운동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 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KR1020110068382A 2011-07-11 2011-07-11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KR20130007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82A KR20130007812A (ko) 2011-07-11 2011-07-11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82A KR20130007812A (ko) 2011-07-11 2011-07-11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812A true KR20130007812A (ko) 2013-01-21

Family

ID=4783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82A KR20130007812A (ko) 2011-07-11 2011-07-11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81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46A (ko) * 2014-03-04 2015-09-14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965789B1 (ko) * 2017-11-30 2019-04-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통합 스마트 운동 시스템
KR20200055222A (ko) * 2018-11-12 2020-05-21 김대정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KR102336325B1 (ko) * 2021-03-25 2021-12-06 최태수 필라테스 종합 서비스 시스템
IT202100007334A1 (it) * 2021-03-25 2022-09-25 Technogym Spa Metodo di controllo della respirazione di un utente durante un allenamento con una macchina ginnica e relativa macchina ginnica
CN115445170A (zh) * 2022-07-30 2022-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运动提醒方法以及相关设备
KR102517958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에서 운동 정보를 기록하거나 운동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846A (ko) * 2014-03-04 2015-09-14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965789B1 (ko) * 2017-11-30 2019-04-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통합 스마트 운동 시스템
KR20200055222A (ko) * 2018-11-12 2020-05-21 김대정 신호음을 기반으로 한 전용 콘텐츠 처방 및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KR102336325B1 (ko) * 2021-03-25 2021-12-06 최태수 필라테스 종합 서비스 시스템
IT202100007334A1 (it) * 2021-03-25 2022-09-25 Technogym Spa Metodo di controllo della respirazione di un utente durante un allenamento con una macchina ginnica e relativa macchina ginnica
EP4062983A1 (en) * 2021-03-25 2022-09-28 Technogym S.p.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s breathing during a workout with an exercise machine and exercise machine thereof
CN115445170A (zh) * 2022-07-30 2022-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运动提醒方法以及相关设备
KR102517958B1 (ko) * 2022-11-30 2023-04-04 주식회사 서플라이스 IoT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헬스장 내에서 운동 정보를 기록하거나 운동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7812A (ko) 운동 자세 및 호흡 교정기능을 가지는 헬스기구
US11475789B2 (en) Interactive exercise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2532766B1 (ko) 대화형 ai 코칭기반 근골격계 운동 및 재활 훈련시스템
KR101923867B1 (ko)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EP2383021B1 (en) Apparatus for the assisted performance of a fitness exercise
KR101864418B1 (ko)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US20180368738A1 (en) Intelligent fitness set and anti-cheating method thereof
CN105903157A (zh) 电子教练实现方法及系统
US20070190506A1 (en) Online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and the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2009213782A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62129B2 (ja) 歩行訓練装置及び歩行訓練システム
KR102632408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운동 관리 시스템
WO2021062409A1 (en) Personal fitness training system with biomedical feedback
CN112134606A (zh) 一种利用运动器材进行运动指导的双向通信系统
US20200215389A1 (en) Strength training system
CN108144253A (zh) 一种基于Kinect控制速度的跑步机
KR20140082449A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의 건강 및 재활 장치
JP2023162333A (ja) トレーニング機器の制御方法
CN112121369A (zh) 一种利用小型器材训练程序的操作系统
KR20220070885A (ko) 스마트 트레이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301575B1 (ko)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음악 변조 청각 피드백 시스템
WO2022145563A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훈련 방법 및 시스템
EP4097709A1 (en) Exercise instruc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JP2021068069A (ja) 無人トレーニングの提供方法
CN113813585A (zh) 一种5g网络健身动作指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