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734B1 -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734B1
KR100825734B1 KR1020060096460A KR20060096460A KR100825734B1 KR 100825734 B1 KR100825734 B1 KR 100825734B1 KR 1020060096460 A KR1020060096460 A KR 1020060096460A KR 20060096460 A KR20060096460 A KR 20060096460A KR 100825734 B1 KR100825734 B1 KR 10082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raining
physical
modul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355A (ko
Inventor
박덕근
김윤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9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734B1/ko
Priority to US12/443,409 priority patent/US8360785B2/en
Priority to PCT/KR2007/001004 priority patent/WO2008038868A1/en
Publication of KR2008003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지컬 트레이닝의 정량화를 통해 트레이닝 효과의 객관화를 꾀할 수 있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운동 프로그램 관리 분야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은 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는 목표 달성 플래닝 모듈;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의 항목을 소정의 기준에 따른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분리 생성된 각 섹션에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른 운동 부하를 설정하는 섹션 생성 모듈; 및 상기 두 모듈에 의해 사전 설정된 물리량과 상기 트레이닝 대상자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에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시스템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시스템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방법 발명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지컬 트레이닝의 정량화를 통해 트레이닝 효과의 객관화를 꾀할 수 있는 피지컬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운동 프로그램 관리 분야이다.
기존에는 주로 코치나 트레이너의 개인적 판단에 근거하여 트레이닝의 계획 및 실시가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경우 특히 트레이닝 성과의 정량화가 어려워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트레이닝(훈련)의 효과를 보는 것이 어려웠다. 가령 지구력 훈련의 경우 운동 부하를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에는 운동 부하를 설정하기 위해 코치나 트레이너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지구력 향상의 효 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힘들어 결국 지구력 향상의 효과를 보는 것이 극히 미미했다.
아울러 최대 산소 섭취량의 값으로도 지구력 향상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나 경기 중 뛰었다 쉬었다 하면서 순간적으로 최대 운동량에 도달하였다가 빠른 시간동안 회복하여야 하는 경기에서도 단순한 최대 산소섭취량은 선수의 경기 중 지구력 값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민첩성 훈련의 경우, 특히 운동 선수에게는 경기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Side Step 방식 등의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밖에 없었다. 가령 축구와 같은 종목은 90분 내내 민첩성을 유지해야 하는 종목으로 그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을 보이는 대표적인 비주기적 운동이다. 이러한 비주기적인 운동의 경우 선수의 움직임은 코치나 감독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민첩성 향상 훈련의 결과를 측정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다.
이처럼 기존의 피지컬 트레이닝의 실시 방식은 주로 트레이너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여 실시되었기 때문에 정량화 및 객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개개인에 맞는 피지컬 트레이닝의 효과를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포츠의 과학화 추세와 맞물려 정량화 및 객관화가 가능한 피지컬 트레이닝의 관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 피지컬 트레이닝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상기의 실정에 부응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개인에 맞는 피지컬 트레이닝의 효과를 보장할 수 있도록 피지컬 트레이닝의 정량화를 통해 트레이닝 효과의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고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은
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는 목표 달성 플래닝 모듈;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의 항목을 소정의 기준에 따른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분리 생성된 각 섹션에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른 운동 부하를 설정하는 섹션 생성 모듈; 및 상기 두 모듈에 의해 사전 설정된 물리량과 상기 트레이닝 대상자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에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방법은
(a)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의 항목을 소정의 기준에 따른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분리 생성된 각 섹션에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른 운동 부하를 설정하는 단계; 및 (c)상기 두 단 계에 의해 사전 설정된 물리량과 상기 트레이닝 대상자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에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a는 본 시스템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b는 본 시스템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울러 도 2는 본 방법 발명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의 실현은 우선 대상자 프로파일 생성/관리 모듈(11)을 통해 트레이닝 대상자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 및 저장하고 목표 달성 플래닝 모듈(13)에 의해 트레이닝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플래닝한다. 다음으로 섹션 생성 모듈(102)에 의해 목표와 기간에 따른 트레이닝 섹션을 생성된 후 상기 생성된 섹션과 센서를 통해 인지된 각종 데이터에 기반하여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이 컨텐츠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피지컬 트레이닝의 성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트레이너는 대상자 프로파일 생성/관리 모듈(11)을 통해 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프로파일을 생성(작성)하여 대상자 프로파일 테이블(12)에 저장하게 된 다(S21). 대상자 프로파일 테이블(12)은 개인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개인 사진 등과 같이 대상자의 개인 신상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상자 마스터 테이블과 각 대상자의 체중, 신장, 최대 심박수, 최대 산소 섭취량, 체지방률, 스피드, 지구력 등에 관한 과거 데이터 혹은 정기적 검진에 의한 데이터 등 각 대상자의 트레이닝 관리에 직접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상자 상태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대상자 프로파일의 생성 및 저장은 우선 개인 신상에 관한 데이터와 각 대상자의 트레이닝 관리에 직접 필요한 데이터를 대상자 프로파일 생성/관리 모듈(11)을 통해 입력하여 대상자 마스터 테이블과 대상자 상태 테이블에 각각 저장함으로써 구현된다. 대상자 프로파일 생성/관리 모듈(11)은 트레이너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정/삭제가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이는 이하에서 언급될 각종 모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목표 달성 플래닝의 절차가 이루어지는데, 트레이너는 목표 달성 플래닝 모듈(13)을 통해 먼저 트레이닝 대상자를 대상자 프로파일 테이블(12)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여 이를 목표 달성 테이블(achievement table, 14)에 저장한다(S22). 목표 달성 테이블(14)은 트레이닝의 목적, 기간과 같은 시즌 트레이닝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목표 달성 마스터 테이블과 트레이닝에 대상자의 목록 및 대상자별 트레이닝의 목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목표 달성 멤버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대상자에게 지정될 수 있는 목표로는 지구력과 민첩성 향상, 체중 조절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섹션 생성 절차가 이루어지는데 섹션(section) 생성 모듈(15)은 목표 달성 테이블(14)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대상자별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성취도, 훈련량 등의 정보를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각 섹션에 상기 설정된 목표와 기간에 따른 운동 부하를 설정하여 매일 자동으로 섹션 테이블(16)에 저장한다(S23). 이때 섹션별로의 분리 생성 기준은 대상자별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성취도, 훈련량 등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지수가 그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트레이너의 선택사항으로 구현할 수 있다.
섹션 테이블의 내용은 트레이너의 수정을 거쳐 섹션을 시작하게 되며, 트레이닝 대상자는 섹션 테이블에 지정된 운동 부하와 시간에 따라 트레이닝을 실시하게 된다.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은 트레이닝 대상자들의 트레이닝 과정 중에 트레이닝의 관리에 필요한 소정의 컨텐츠를 생성한다(S24). 대상자는 트레이닝의 과정 중에 자신의 신체에 심박수, 가속도, 습도, 온도를 포함하는 물리량을 실시간 측정하는 센서(18)를 부착하게 되는데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은 센서(18)로부터의 측정값과 상기 테이블들(12, 14, 16)에 저장된 대상자들의 데이터에 따라 다음의 관리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가) 움직임 정도 평가(Movement Estimation)
움직임 정도 평가는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 내의 움직임 정도 평가 모듈(171)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정도 평가는 크게 민첩성 평가와 지구력 평가를 그 대상으로 한다. 움직임 정도 평가를 위해 우선 대상자의 신 체에 부착된 센서(18)로부터 심박수(heart beat), 가속도(acceleration), 트레이닝 주변 환경의 온도(temperature)와 습도(humidity)를 획득하고 또한 몸무게, 성별, 나이 등의 개인 데이터를 대상자 프로파일 테이블(12)로부터 획득하여 움직임 평가에 반영되게 한다.
A. 민첩성 평가(Agility Estimation)
민첩성 평가는 움직임 정도 평가 모듈(171) 내의 민첩성 평가 모듈(1711)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민첩성 평가를 위해 가속도 데이터의 통계적인 분석을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민첩성이 뛰어난 자의 움직임 정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의 통계적 파형(waveform)의 변화의 폭이 민첩성이 부족한 자의 움직임에 비해 크다. 따라서 가속도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의 일정시간 윈도우의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으로 민첩성을 수치화 할 수 있다. 이때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은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에 비해 같은 표준편차에서 민첩성 수치에서 보다 높은 평가를 할 수 있다. 이 값을 체중 보정 민첩성 수치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성별에 따라 성별 보정 민첩성 수치와 나이에 따라 연령 보정 민첩성 수치를 구할 수 있다.
B. 지구력 평가(Endurance Estimation)
지구력 평가는 움직임 평가 모듈 내의 지구력 평가 모듈(1712)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지구력이 큰 자는 지구력이 작은 자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활동량(활동량의 지표로 가속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의 변화가 크지 않는 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처음 운동을 시작할 때의 민 첩성 수치(P1)에 대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민첩성 수치(P2)의 비(ratio)로써 트레이닝 참가자의 지구력을 평가할 수 있다.
지구력 평가를 위한 두 번째 방안으로는 일정한 부하의 즉, 동일한 운동량의 운동 수행 후에 운동 초기의 심박수(heart beat)에 대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심박수의 비로써도 트레이닝 참가자의 지구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이때 그 비가 낮은 자일 수록 지구력이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신호로부터 보여지는 동일한 운동량의 운동을 수행하는 자의 상대적인 심박수에 따라서 지구력을 평가할 수 있다.
나) 운동 부하의 조정(Movement load Adjustment)
A. 운동 부하의 조정은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의 운동 부하 조정 모듈(172)에서 이루어진다. 운동 부하의 조정은 각 트레이닝 대상자의 각종 데이터 및 신체적 상태에 최적인 운동 부하의 설정을 위해 필수적인데,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운동 부하(운동량)는 목표 달성 플래닝 모듈(13)을 통해 설정된 목표와 기간에 따라 섹션 생성 모듈(15)에 의해 설정하게 된다. 그에 따른 운동 부하를 개인별 최대 심박수 기준으로 변환하면 목표 심박수가 되며, 운동 부하의 설정은 목표 심박수로부터 운동 시간에 따라 다음 3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1) 준비 기간 : 안정 심박수에서 목표 심박수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한다.
2) 운동 기간 : 목표 심박수에서 정해진 시간만큼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3) 정리 기간 : 목표 심박수에서 안정 심박수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한다.
B. 운동 시간에 따른 적정 운동 부하가 설정되면 실제 트레이닝의 실시 중에 본격적으로 운동 부하의 조정을 행한다. 센서(18)로부터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심박수에 못 미칠 경우 운동 부하가 작은 것이므로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운동 부하를 더욱 강하게 한다. 반대로 측정된 심박수가 목표 심박수 보다 높을 경우는 운동 부하가 너무 큰 것이므로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운동 부하를 조금 더 약하게 한다. 또한 무선 모니터링을 통해 코치나 트레이너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전송하여 코치나 트레이너가 트레이닝 대상자의 운동 부하량을 평가함으로써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가능하게 한다.
다) 안전성 확보
트레이닝의 실시는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인 안전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안전성을 지배하는 두 가지 중요한 팩터로 온도(temperature)와 습도(humidity)가 있으며,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내의 안전성 확보 모듈(173)은 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대상자의 트레이닝 실시 중에 센서(18)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개인 프로파일 테이블(12)로부터 입력되는 몸무게, 성별, 나이 등의 개인 데이터 등으로부터 WBGT(Wet Bulb Global Temperature) 인덱스를 추정한다.
WBGT 인덱스의 추정은 인덱스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규격에 부합하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정된 인덱스에 따라 안전성 확보 모듈(173)은 대상자의 heat stress와 heart load를 평 가하고 그 평가에 따라 트레이닝의 실시에 요구되는 신체적 안전성의 기준을 설정하여 이 기준에 따른 트레이닝의 실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라) 칼로리 소모량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내의 칼로리 소모량 측정 모듈(174)은 센서(18)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개인 프로파일 테이블(12)로부터 입력되는 몸무게, 성별, 나이 등의 개인 데이터 등으로부터 우선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진 대사량을 평가(metabolic assessment)하고 이를 근거로 트레이닝의 실시 중에 소모되는 칼로리의 소모량을 측정한다.
A. 식이요법을 동반한 체중 조절은 피지컬 트레이닝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트레이닝 중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식이요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 칼로리의 소모량를 측정하는 방법은 심박수와 성별, 체중 등의 정보로부터 분당 소모량을 구하고 이를 분당 평균 심박수의 시계열 데이터에 적분하여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분당 소모량을 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Stepwise 방식을 이용한 회귀모형
Stepwise 방식에 의하면,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데 심박수, 체중과 심박수의 교호작용, 성과 체중과 심박수의 교호작용이 다소 높은 설명력을 지니며 성과 체중은 에너지 소비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 Stepwise를 이용한 회귀식 >
에너지 소비량 (cal/min) = 100.127 + {S*(-8577.731)} + {W*(-106.729)} + {H*12.580} + {(S*W)*113.209} + {(W*H)*38.847} + {(S*B)*1.251} + {(S*H*W)*(-0.23)}
여기서 S는 성별(Sex), W는 체중(Weight), H는 신장(Height), B는 심박수(heart Beat)이다. S는 남자의 경우 1, 여자의 경우는 0의 값을 가지며 B의 단위는 beat/min, 체중의 단위는 kg 이다.
Stepwise를 이용한 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가 0.852로서 이는 제시된 회귀식이 에너지 소비량을 설명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심박수, 성, 체중만을 고려한 회귀모형
모든 변인들의 교호작용을 무시하고, 심박수(H), 성(S), 체중(W)만을 설명 변수로 채택하여 회귀모형을 구성한 것이다.
< 심박수, 성, 체중만을 고려한 회귀식 >
에너지 소비량 (cal/min) = - 15289.276 + {S*117.083} + {W*102.905} + {H*1883.398}
여기서 S, W, H는 Stepwise를 이용한 회귀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심박수, 성, 체중만을 고려한 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가 0.824로서 이는 제시된 회귀식이 에너지 소비량을 설명하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C. 이와는 별도로 각 참가자별로 미리 측정한 심박수와 칼로리 소모량과의 관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는 방식도 있다. 이는 보다 정확한 칼로리 소모량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컨텐츠는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트레이닝 관리 소프트웨어의 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즌의 목표와 현재 도달 상태를 그래프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이너는 현재의 트레이닝 계획이 적절한지 아니면 더욱 보강을 하여야 할 지 등을 결정할 수 있어 훈련을 좀더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분석/제공 모듈(19)은 관리 컨텐츠 생성 모듈(17)에 의해 생성된 상기한 여러 컨텐츠로부터 트레이닝 대상자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관리 방안을 분석하여 트레이너 등에게 제공하게 된다(S25).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트레이너의 plan tool, 트레이닝 과정의 모니터링, 트레이닝 결과의 분석, 경기 중 선수들의 움직임 모니터링, 운동 부하의 조정 등을 통해 트레이닝 관리의 정량화를 통한 객관화를 꾀할 수 있어 트레이닝의 효과와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Heat Stress의 평가에 의해 적정한 휴식과 트레이닝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급격한 열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트레이닝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기존의 만보계 및 가속도계 혹은 심박수 등을 통해 단순히 추정되던 칼로리 소모량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도출하여 트레이닝 효과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는 목표달성플래닝모듈;
    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의 항목을 상기 대상자별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성취도, 훈련량, 트레이너의 판단을 기초하여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분리 생성된 각 섹션에 운동 부하를 설정하는 섹션생성모듈; 및
    상기 두 모듈에 의해 사전 설정된 물리량과 상기 대상자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에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관리컨텐츠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관리컨텐츠생성모듈은
    상기 대상자의 프로파일과 상기 각종 물리량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움직임 정도를 평가하는 움직임 정도 평가 모듈; 상기 설정된 운동 부하를 트레이닝 실시 중의 상기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조정하는 운동 부하 조정 모듈; 상기 대상자의 프로파일과 상기 각종 물리량을 근거로, 트레이닝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신체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안전성 확보 모듈; 및 상기 대상자의 프로파일과 상기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신진 대사량을 평가하여 트레이닝의 실시 중의 소모 칼로리를 측정하는 칼로리 소모량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도 평가 모듈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의 통계적 파형(waveform)의 변화의 폭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민첩성을 평가하는 민첩성 평가 모듈; 및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시작시의 민첩성 수치에 대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민첩성 수치의 비(ratio) 또는 트레이닝 시작시의 심박수(heart beat)에 대한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심박수의 비를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지구력을 평가하는 지구력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 확보 모듈은
    WBGT 인덱스를 추정하여 그 추정치가 인덱스가 ISO 규격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추정된 인덱스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열스트레스(heat stress)와 심장로드(heart load)를 평가하고 그 평가에 따른 안전 훈련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로리 소모량 측정 모듈은
    상기 대상자의 심박수와 성별, 체중 등의 정보로부터 분당 소모량을 구하고, 상기 분당 소모량을 분당 평균 심박수의 시계열 데이터에 적분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7. (a)피지컬 트레이닝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이 반영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트레이닝 목표와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b)상기 목표와 기간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의 항목을 상기 대상자별 목표와 기간에 따른 성취도, 훈련량, 트레이너의 판단을 기초하여 섹션별로 분리 생성하고, 분리 생성된 각 섹션에 운동 부하를 설정하는 단계; 및
    (c)상기 두 단계에 의해 사전 설정된 물리량과 상기 트레이닝 대상자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 측정되는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에 필요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c) 단계는
    (c1)상기 대상자의 프로파일과 상기 각종 물리량을 근거로 상기 대상자의 움직임 정도를 평가하고, 신체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단계;
    (c2)상기 설정된 운동 부하를 트레이닝 실시 중의 상기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조정하는 단계;
    (c3)상기 대상자의 프로파일과 상기 각종 물리량으로부터 상기 대상자의 신진 대사량을 평가하여 트레이닝의 실시 중의 소모 칼로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방법.
KR1020060096460A 2006-09-29 2006-09-29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60A KR100825734B1 (ko) 2006-09-29 2006-09-29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2/443,409 US8360785B2 (en) 2006-09-29 2007-02-27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PCT/KR2007/001004 WO2008038868A1 (en) 2006-09-29 2007-02-27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460A KR100825734B1 (ko) 2006-09-29 2006-09-29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55A KR20080030355A (ko) 2008-04-04
KR100825734B1 true KR100825734B1 (ko) 2008-04-29

Family

ID=3953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460A KR100825734B1 (ko) 2006-09-29 2006-09-29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93B1 (ko) * 2012-10-25 2014-12-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피트니스 지수 측정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39107B1 (ko) * 2017-11-30 2022-09-01 (주)잇마플 사용자 식단 관리 서버, 사용자 식단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식단 정보 생성 방법 및 사용자 식단 정보 기반 메뉴 제공 방법
CN112349413B (zh) * 2020-10-23 2024-02-02 湖南城市学院 一种长距离运动训练负荷分析系统
CN113689955A (zh) * 2021-08-31 2021-11-23 重庆科华安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矿山救护队体能训练管理系统
KR20230070816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신인류콘텐츠 개인별 맞춤형 심신 안정 테라피 콘텐츠를 포함하는 양방향 운동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901A (en) 1997-10-01 1998-11-24 Karkanen; Kip M. Integrated weight loss control method
KR19990066565A (ko)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최적 근육 운동량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6830A (ko) * 1999-10-28 2000-02-07 이언호 건강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4452A (ko) * 2001-02-21 2001-06-05 이헌권 휴대폰의 헬스 다이어트 기능 및 헬스 다이어트 기기의운동량 감지기
KR20020065441A (ko) * 2002-07-11 2002-08-13 (주)가시오페아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KR20040106648A (ko)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오투런 운동처방시스템 및 운동처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901A (en) 1997-10-01 1998-11-24 Karkanen; Kip M. Integrated weight loss control method
KR19990066565A (ko) * 1998-01-30 1999-08-16 전주범 최적 근육 운동량 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6830A (ko) * 1999-10-28 2000-02-07 이언호 건강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4452A (ko) * 2001-02-21 2001-06-05 이헌권 휴대폰의 헬스 다이어트 기능 및 헬스 다이어트 기기의운동량 감지기
KR20020065441A (ko) * 2002-07-11 2002-08-13 (주)가시오페아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방법
KR20040106648A (ko)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오투런 운동처방시스템 및 운동처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55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785B2 (en)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Foster et al. Monitoring training load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JP6366637B2 (ja) スタミナ監視方法及びスタミナ監視装置
EP317578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xercise intervals, analyzing anaerobic exercise periods, and analyzing individual training effects
US9788797B2 (en) Exercise-assisting device for forecasting the change in a physiological parameter as a function of an itinerary
Javaloyes et al. Training prescription guided by heart rate variability vs. block periodization in well-trained cyclists
CN108970085B (zh) 运动体能分析方法、设备及存储介质
Sanders et al. The physical demands and power profile of professional men’s cycling races: an updated review
US20150250417A1 (en) Stamina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201400884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fitness index of a person
EP32663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of maximal oxygen consumption
CN107466222B (zh) 生命体征监测系统
Padilla et al. Exercise intensity and load during uphill cycling in professional 3-week races
KR100825734B1 (ko)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82333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injury risk of a person based on physiological data
Polat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body composition, maximal oxygen uptake, and gas exchange threshold in cross-country skiers
US112764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al state and / 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raining program adjustment
Vance Run with power: The complete guide to power meters for running
US118578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exercise fatigue
Jones et al.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EP3132745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to determine anaerobic threshold of a person non-invasively from freely performed exercise and to provide feedback on training intensity
Sanz-Quinto et al. Monitoring heart rate variability before and after a marathon in an elite wheelchair athlete: A case study
KR100443587B1 (ko) 맞춤형 등산프로그램을 통한 등산회원 건강관리 방법
TWI842458B (zh) 用於確定運動參數的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存儲介質
Abbiss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in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