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033A - 유체 센서 - Google Patents

유체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033A
KR20140056033A KR1020130128441A KR20130128441A KR20140056033A KR 20140056033 A KR20140056033 A KR 20140056033A KR 1020130128441 A KR1020130128441 A KR 1020130128441A KR 20130128441 A KR20130128441 A KR 20130128441A KR 20140056033 A KR20140056033 A KR 2014005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nsor
slip
main body
fluid
sens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타카 나카시마
류이치로 타카이치
코유루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접속 작업을 안전,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유체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단면에 유입용 접속부를 가지며,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유체 센서이다. 특히, 유체 센서 본체(11)의 외주면에, 상기 유체 센서 본체(11)의 축심에 교차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를 돌설하였다.

Description

유체 센서{FLUID SENSOR}
본 발명은 유체(流體) 센서, 특히, 필요에 응하여 탈착 용이한 유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체 센서는, 통상, 설치 후는 떼어내는 일이 없는 거치(据置) 타입이였다(특허 문헌 1). 이 때문에, 복수의 측정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측정 위치의 수에 응한 유체 센서가 필요하고, 때로는 낭비가 많다. 그래서, 필요에 응하여 빈번하게 탈착할 수 있는 유체 센서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8-227658호 공보
그러나, 탈착 용이한 유체 센서로 하기 위해서는,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착 작업을 안전,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을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중량이 너무 무겁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 있는 측정 포인트에 부착하는 경우에,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고, 위험하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는, 접속 작업을 안전,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유체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는, 상단면(上端面)에 유입용(流入用) 접속부를 가지며, 또한,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유체 센서로서, 유체 센서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유체 센서 본체의 축심(軸心)에 교차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鍔部)를 돌설(突設)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센서 본체의 외주면에 마련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에, 작업자의 손이 걸리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 있는 접속 포인트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는, 유체 센서 본체의 외주 치수의 적어도 1/8둘레(周)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에, 작업자의 손이 걸리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 있는 접속 포인트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동일 원형(圓形) 상(上)의 복수 개소에 돌설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2개소에서 작업자의 손에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걸리기 때문에,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이 없어,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평면으로 보아 개략 C자 형상이라도 좋고, 또한, 그 외주연부(外周緣部)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작업자의 손에 익숙해지기 쉬운 외주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유체 센서 본체의 상단면에 유입용 접속부를 마련함과 함께, 그 하단면에 유출용 접속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단면에 마련한 유입용 접속부를 통하여, 천장부터 매달아내린 채로의 상태에서 유체 센서의 유출용 접속부를 외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유체 센서 본체의 단면(端面)에 마련한 유입용, 유출용 접속부 중, 적어도 유입용 접속부에, 원터치 커플러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원터치로 탈착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은 유체 센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새로운 실시 형태로서는, 유체 센서 본체가, 대향면의 적어도 편면(片面)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닿음용 오목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손가락 닿음용 오목부에 의해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운 유체 센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유체 센서 본체의 측면 중,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마련한 테이퍼면에, 표시등을 매설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천장부터 유체 센서 본체를 매달아내린 경우에, 표시등을 시인(視認)하기 쉬운 유체 센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표시등이 테이퍼면부터 팽출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등이 보다 한층 시인하기 쉬운 유체 센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유체 센서 본체의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를 마련한 측면의 상하 연부(緣部)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건너질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트랩에 작업자의 손을 끼워넣음에 의해,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운 유체 센서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 2B, 2C는 도 1에서 도시한 유체 센서를 도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도 3A, 3B는 도 1에서 도시한 유체 센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배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유체 센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현장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유체 센서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의 제2,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의 제4,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 내지 도 5의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체 센서(10)의 제1 실시 형태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사각형(方形)의 유체 센서 본체(11)의 상단면에 입력용 원터치 커플러(12) 및 신호용 플러그(13)를 배치하고 있는 한편, 그 하단면에 출력용 원터치 커플러(14)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유체 센서 본체(11)는, 그 외주면 중, 정면 중앙에 팽출부(15)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팽출부(15)의 상단부에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를 측방으로 돌출시키는 한편, 상기 팽출부(15)의 하단 연부에 테이퍼면(1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팽출부(15)는, 작업자의 손으로 잡기 쉬운 단면(斷面)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는, 그 양단부로부터 유체 센서 본체(11)의 정면부터 이웃하는 측면에 따라 완부(腕部)(16a)가 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면(17)에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돔형상 동작 표시등(17)을 매설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테이퍼면(17)에 상기 동작 표시등(18)을 매설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체 센서(10)를 천장부터 매달아내린 경우라도, 시인성이 좋다. 특히, 상기 동작 표시등(17)은 돔형상이고, 팽출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한층 시인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센서 본체(11)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팽출부(15)에 따라 복수개의 손가락 닿음용 오목부(19)를 상하 방향으로 병설하여,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센서 본체(11)의 정면의 하방 연부에는, 스트랩용 계지부(20)를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센서(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현장에 설치한 제조 장치(30)와, 천장면에 따라 시공되고, 또한, 상기 제조 장치(30)에 접속되는 압축 공기 배관(31) 및 신호용 배선(32)에 접속된다. 그리고, 압축 공기의 유량 또는 압력이 측정되고, 측정 결과가 신호용 커넥터(13)로부터 신호용 배선(32)에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체 센서(10)의 입력용 원터치 커플러(12)를 압축 공기 배관(31)의 접속용 원터치 커플러(31a)에 접속함과 함께, 그 출력용 원터치 커플러(14)를 압축 공기 배관(31)의 접속용 원터치 커플러(31b)를 통하여 제조 장치(30)에 접속한다. 그리고, 신호용 플러그(13)를 신호용 배선(32)의 도시하지 않은 신호용 소켓에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체 센서 본체(11)에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를 돌설하고 있기 때문에, 무거운 유체 센서(10)를 높은 위치에 있는 접속용 원터치 커플러(31a)에 접속하는 경우라도,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고, 안전하다.
또한, 돔형상의 동작 표시등(18)을 테이퍼면(17)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 있는 접속용 원터치 커플러(31a)에 유체 센서 본체(11)를 접속하여도, 상기 동작 표시등(18)을 시인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체 센서 본체(11)의 정면의 상하 연부에 마련한 스트랩용 계지부(20, 21)에, 스트랩(22)을 건너지른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트랩(22)에 작업자가 손을 통과함에 의해, 유체 센서(10)가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되고, 안전하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트랩은, 그 자체가 루프 형상을 갖는 것이라면, 상기 스트랩용 계지부(20 또는 21)의 어느 한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히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의 양단 완부(16a)를 대향한 측면의 연부까지 연재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와 작업자의 손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안전하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연부를 개략 원형으로 하여도 좋고(제4 실시 형태),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연부를 개략 타원형으로 하여도 좋다(제5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가 작업자의 손에 따른 형상으로 됨과 함께, 접촉면적이 증대함에 의해, 유체 센서(10)가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보다 한층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되어, 안전하다라는 이점이 있다.
기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히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는 전술한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정면에만 돌설하고 있어서도 좋지만, 적어도 외주 치수의 1/8둘레 이상의 치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8둘레 미만이면, 작업자의 손에 너무 강하게 닿아서 아프게 느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16)를 유체 센서 본체(11)의 외주면에 따라 고리형상(環狀)으로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함에 의해,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의 작업자의 어느 쪽에서도 사용하기 편리함과 함께, 배면측부터 쥐고서도 접속하기 쉬워,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유체 센서 본체의 상단면에, 유입용 접속부 및 유출용 접속부를 병설하여 두면,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센서로 한하지 않고, 기체, 액체, 유동체를 측정하는 다른 유체 센서에 적용하여도 좋다.
10 : 유체 센서
11 : 유체 센서 본체
12 : 입력용 원터치 커플러
13 : 신호용 플러그
14 : 출력용 원터치 커플러
15 : 팽출부
16 :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
16a : 완부
17 : 테이퍼면
18 : 동작 표시등
19 : 손가락 닿음용 오목부
20, 21 : 스트랩용 계지부
22 : 스트랩
30 : 제조 장치
31 : 압축 공기용 배관
32 : 신호용 배선

Claims (12)

  1. 상단면에 유입용 접속부를 가지며,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유체 센서로서,
    유체 센서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유체 센서 본체의 축심에 교차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를 돌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는, 유체 센서 본체의 외주 치수의 적어도 1/8둘레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는, 동일 원형 상의 복수 개소에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C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그 외주연부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가, 그 외주연부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센서 본체의 상단면에 유입용 접속부를 마련함과 함께, 그 하단면에 유출용 접속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센서 본체의 단면에 마련한 유입용, 유출용 접속부 중, 적어도 유입용 접속부에, 원터치 커플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센서 본체가, 대향면의 적어도 편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닿음용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센서 본체의 측면 중,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마련한 테이퍼면에, 표시등을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표시등이 테이퍼면부터 팽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센서 본체의 미끄럼 방지용 차양부를 마련한 측면의 상하 연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건너지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센서.
KR1020130128441A 2012-11-01 2013-10-28 유체 센서 KR20140056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1975A JP6123233B2 (ja) 2012-11-01 2012-11-01 流体センサ
JPJP-P-2012-241975 2012-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033A true KR20140056033A (ko) 2014-05-09

Family

ID=5070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441A KR20140056033A (ko) 2012-11-01 2013-10-28 유체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3233B2 (ko)
KR (1) KR20140056033A (ko)
CN (1) CN103808346B (ko)
TW (1) TW2014230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4560B2 (ja) * 2014-12-12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332Y2 (ko) * 1987-03-20 1993-10-26
JPH07890Y2 (ja) * 1988-08-29 1995-01-11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流量計
US5104624A (en) * 1989-10-20 1992-04-14 Costar Corporation Pipetter
JPH0749387Y2 (ja) * 1991-06-28 1995-11-13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浮遊式流量計
JP3276290B2 (ja) * 1996-05-17 2002-04-22 東洋計器株式会社 ガスメータ
JPH11114556A (ja) * 1997-10-13 1999-04-27 Minoura Yoshimi 自動エァー抜きバルブ付き浄水器
JP3566128B2 (ja) * 1999-04-05 2004-09-15 白河精機株式会社 マイコンガスメータの遮断弁開弁スイッチ構造
US20010054621A1 (en) * 1999-04-26 2001-12-27 Heinz Weber Container cap with anti-slip flange
CN2429303Y (zh) * 2000-06-16 2001-05-09 吴丽珠 手工具把手套
JP4426895B2 (ja) * 2004-01-14 2010-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スメータ
KR200412406Y1 (ko) * 2006-01-11 2006-03-27 유병언 포터블형 세정 공급호스의 세정용 자동물통
JP4849557B2 (ja) * 2007-03-09 2012-01-11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超音波流量計
KR100872045B1 (ko) * 2008-06-27 2008-12-05 (주)코모스 휴대용 전자식 수압 측정 장치
JP2010185568A (ja) * 2009-01-14 2010-08-26 Smc Corp 管継手
US8336398B2 (en) * 2010-08-11 2012-12-25 Pao-Yun Shih Pipe connection having a flow counting function
JP5938595B2 (ja) * 2011-04-06 2016-06-22 Smc株式会社 エジェクタ付吸着装置
ITVR20110075A1 (it) * 2011-04-13 2012-10-14 Piusi Spa Misuratore digitale di portata di liquido
CN202350802U (zh) * 2011-11-22 2012-07-25 上海三浪车辆部件有限公司 流体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2405A (ja) 2014-05-19
TW201423054A (zh) 2014-06-16
CN103808346A (zh) 2014-05-21
JP6123233B2 (ja) 2017-05-10
CN103808346B (zh)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6033A (ko) 유체 센서
CN104729805B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CN103913278A (zh) 一种管接头漏水感应检测装置
CN204479772U (zh) 一种墙体内金属探测仪
CN203904824U (zh) 一种单向活动示警支座
KR100786328B1 (ko) 방폭형 진공펌프 구조를 갖는 가스 검출기
CN104896243A (zh) 压力提醒四通管接头
KR101516194B1 (ko) 디지털 각도계
KR200481589Y1 (ko) 가스 배관라인 표시못장치
CN207570731U (zh) 一种环形漏液检测系统
CN208872218U (zh) 一种门泵管线蒙皮过线孔检验工装
CN207570735U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CN205089498U (zh) 一种管接防松结构及其检测装置
CN204884617U (zh) 一种可往复移动型检测线缆
CN205843737U (zh) 一种超声波流量计
CN204903500U (zh) 可燃气体检测报警变送器
CN205559394U (zh) 一种液压冲击力检测式液压阀
CN211850409U (zh) 一种屋面防坠系统及建筑
CN208333747U (zh) 一种快接式压力传感器
CN107764486A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US20140053924A1 (en) Valve control for fluid system
CN203176525U (zh) 带有压力检测装置的水处理阀
CN203570381U (zh) 用于管路连接的四通及实验装置
KR200428711Y1 (ko) 위치 탐지가 용이한 지중 매설용 폴리에틸렌관
CN209910971U (zh) 一种气动离合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