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601A -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601A
KR20140055601A KR1020120122690A KR20120122690A KR20140055601A KR 20140055601 A KR20140055601 A KR 20140055601A KR 1020120122690 A KR1020120122690 A KR 1020120122690A KR 20120122690 A KR20120122690 A KR 20120122690A KR 20140055601 A KR20140055601 A KR 2014005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valve
vaporizer
uni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026B1 (ko
Inventor
김기홍
한주석
장광필
강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0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부, 상기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기화 배출부, 상기 히터에서 공급한 후에 열원을 배출하는 열원 배출부, 상기 액화가스 공급부와 상기 열원 공급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공급 밸브부, 및 상기 기화 배출부와 상기 열원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배출 밸브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은 파이프라인 및 밸브들을 추가하여 열 공정을 멈추지 않고, 직접 열 교환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전체 기화공정의 가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체 기화공정의 열 교환기가 상호 예비 열 교환기 역할을 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운영비용 및 유지보수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FAILURE CONTRAST DEVICE AND METHOD OF HEAT EXCHANGER FOR INDIRECT VAPORIZED WAY OF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및 히터로 이루어진 간접기화 장치에서 파이프라인 및 밸브들을 추가하여 구성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화기는 열 매체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가스 소비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 기체가스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로, 주위 온도를 이용하여 액화가스를 가열하는 자연식 기화기와 열 매체를 강제로 액화가스에 접촉시켜 기화시키는 강제식 기화기로 크게 구분되며, 자연식 기화기는 추운 날씨에서는 충분한 전열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관계로 강제식 기화기가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상기 강제식 기화기 중 열 매체에 안정된 열 공급이 가능하고 온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한 전기식 기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1541호는 화재 및 폭발의 염려 없이 안전하고, 전기히터에 의한 간접가열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대량의 액화가스를 신속하게 기화할 수 있는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기체가스로 기화하여 배출하는 기화기로써, 액화가스가 유입되는 공급라인과 기체가스가 유출되는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액화가스가 저수되어 기화되는 이격된 제 1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밀폐된 소정의 제 2 공간을 갖는 내부용기, 및 상기 제 2 공간 내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제 2 공간에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는 내부용기의 내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 1 공간에 저수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열 전달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기화기는 히터가 직접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스가 폭발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하지 않는 증기에 의해 액화가스를 가열하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염려가 없다. 또한, 동일 설치공간에 대하여 전열면적이 극대화되어 같은 기화용량을 갖는 종래의 기화기에 비해 제품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
그런데, 액화가스 간접기화 방식 시에 기화기 또는 히터의 열 교환기중에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기화공정을 멈춰 기화공정의 가용도가 떨어졌으며, 고장 난 기화기 또는 히터의 열 교환기를 유지보수 하는 동안 액화가스 기화공정을 할 수 없어서 시스템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154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및 히터로 이루어진 간접기화 장치에서 파이프라인 및 밸브들을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액화가스의 간접기화 방식에서 열 교환기가 고장 났을 때 열 교환 공정을 멈추지 않고, 직접 열 교환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화가스 간접기화 방식에서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 및 히터의 열 교환기 중에 하나라도 고장 나면, 기화기 고장 시 액화가스를 히터로 보내고 히터 고장 시 열원을 기화기로 보내 액화가스와 직접 열 교환을 하도록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는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부, 상기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기화 배출부, 상기 히터에서 공급한 후에 열원을 배출하는 열원 배출부, 상기 액화가스 공급부와 상기 열원 공급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공급 밸브부, 및 상기 기화 배출부와 상기 열원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배출 밸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 및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는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 및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아 액화가스 및 열원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 밸브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액화가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상기 히터로 전달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열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을 상기 기화기로 전달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2 공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밸브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기화기에서 사용된 열원을 상기 열원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1 배출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히터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기화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2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제1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공급밸브 및 상기 제2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은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면 액화가스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히터와 기화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1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면 열원 공급부와 상기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2 공급밸브 및 상기 기화기와 열원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2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는 파이프라인 및 밸브들을 추가하여 열 공정을 멈추지 않고, 직접 열 교환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전체 기화공정의 가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은 전체 기화공정의 열 교환기가 상호 예비 열 교환기 역할을 함에 따라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운영비용 및 유지보수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100)는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01)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102)를 이용하며, 액화가스 공급부(103), 열원 공급부(104), 기화 배출부(105), 열원 배출부(106), 공급 밸브부(107), 및 배출 밸브부(108)를 포함한다.
기화기(101)는 액화가스 공급부(103)와 기화 배출부(105)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액화가스를 공급받으며, 공급 밸브부(107)가 열원 공급부(104)에서 받은 열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기화기(101)는 액화가스와 열원의 열 교환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기화시킨다.
그리고 기화기(101)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는 기화 배출부(105)를 통해서 배출되며, 기화기(101)에서 사용된 열원은 열원 배출부(106)로 배출된다.
이때, 기화기(101)가 고장 났을 시에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며, 만약에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히터(102)가 고장 났다고 감지하면,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제2 공급밸브(107-2)의 밸브가 개방되어 기화기(101)는 열원 공급부(104)에서 열원을 공급받고, 제2 배출밸브(108-2)의 밸브가 개방되어 기화기(101)에서 사용된 열원이 열원 배출부(106)로 배출된다.
히터(102)는 열원 공급부(104)와 열원 배출부(106)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열원 공급부(104)에서 열원을 공급받으며, 공급 밸브부(107)가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받은 액화가스를 공급받는다. 또한, 히터(102)는 액화가스와 열원의 열 교환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기화시킨다.
그리고 히터(102)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는 기화 배출부(105)를 통해서 배출되며, 히터(102)에서 사용된 열원은 열원 배출부(106)로 배출된다.
이때, 히터(102)가 고장 났을 시에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며, 만약에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기화기(101)가 고장 났다고 감지하면,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제1 공급밸브(107-1)의 밸브가 개방되어 히터(102)는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액화가스를 공급받고, 제1 배출밸브(108-1)의 밸브가 개방되어 히터(102)에서 기화된 액화가스가 기화 배출부(105)를 통해서 배출된다.
액화가스 공급부(103)는 액화가스를 보관하고 있으며 열 교환기가 고장 나지 않았을 때는 기화기(101)로 액화가스를 공급해 주며, 열 교환기가 고장 났을 때는 공급 밸브부(107)로 액화가스를 공급한다.
열원 공급부(104)는 열 용량이 무한대여서 온도가 변하지 않아 자신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을 공급하고, 열 교환기가 고장 나지 않았을 때는 히터(102)로 열원을 공급해주며, 열 교환기가 고장 났을 때는 공급 밸브부(107)로 열원을 공급한다.
기화 배출부(105)는 기화된 액화가스를 배출하고, 열 교환기가 고장 나지 않았을 때는 기화기(101)로부터 기화된 액화가스를 받아서 배출하며, 열 교환기가 고장 났을 때는 히터(102)로부터 기화된 액화가스를 배출 밸브부(108)에서 받아서 배출한다.
열원 배출부(106)는 사용된 열원을 배출하고, 열 교환기가 고장 나지 않았을 때는 히터(102)에서 사용된 열원을 받아서 배출하며, 열 교환기가 고장 났을 때는 기화기(101)로부터 사용된 열원을 배출 밸브부(108)에서 받아서 배출한다.
공급 밸브부(107)는 액화가스 공급부(103)와 열원 공급부(104)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부(111)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며, 기화기(101) 및 히터(102)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공급 밸브부(107)는 제1 공급밸브(107-1) 및 제2 공급밸브(107-2)를 더 포함한다.
제1 공급밸브(107-1)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1 공급밸브(107-1)는 제어부(111)의 제1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1 공급밸브(107-1)가 밸브를 개방하면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공급되는 액화가스는 히터(102)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공급밸브(107-2)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2 공급밸브(107-2)는 제어부(111)의 제2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2 공급밸브(107-2)가 밸브를 개방하면 열원 공급부(104)에서 공급되는 열원은 기화기(101)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 밸브부(108)는 기화 배출부(105)와 열원 배출부(106) 사이에 형성되어 제어부(111)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며, 기화기(101) 및 히터(102)에서 전달받은 자원을 배출한다.
그리고 배출 밸브부(108)는 제1 배출밸브(108-1) 및 제2 배출밸브(108-2)를 더 포함한다.
제1 배출밸브(108-1)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1 배출밸브(108-1)는 제어부(111)의 제1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1 배출밸브(108-1)가 밸브를 개방하면 히터(102)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는 기화 배출부(105)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출밸브(108-2)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2 배출밸브(108-2)는 제어부(111)의 제2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2 배출밸브(108-2)가 밸브를 개방하면 기화기(101)에서 사용된 열원은 열원 배출부(106)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100)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 및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을 더 포함한다.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는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며,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1)가 인지해서 공급 밸브부(107) 및 배출 밸브부(108)의 개폐를 제어한다.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는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며,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1)가 인지해서 공급 밸브부(107) 및 배출 밸브부(108)의 개폐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100)는 제어부(111)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11)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 및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아 액화가스 및 열원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공급 밸브부(107) 및 배출 밸브부(108)의 밸브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면, 공급 밸브부(107)의 제1 공급밸브(107-1) 및 배출 밸브부(108)의 제1 배출밸브(108-1)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공급밸브(107-1) 및 제1 배출밸브(108-1)를 개방하도록 하며, 또한 제어부(111)는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면, 공급 밸브부(107)의 제2 공급밸브(107-2) 및 배출 밸브부(108)의 제2 배출밸브(108-2)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공급밸브(107-2) 및 제2 배출밸브(108-2)를 개방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은 액화가스를 보관하고 있는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액화가스를 공급해주며, 열 용량이 무한대여서 온도가 변하지 않아 자신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104)에서 열원을 공급해 액화가스 간접기화 공정을 수행한다(S101).
이때, 제어부(111)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 및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는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아 액화가스 및 열원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공급 밸브부(107) 및 배출 밸브부(108)의 밸브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기화기(101)에 고장이 발생하여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면(S102), 공급 밸브부(107)의 제1 공급밸브(107-1) 및 배출 밸브부(108)의 제1 배출밸브(108-1)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공급밸브(107-1) 및 제1 배출밸브(108-1)를 개방하도록 한다(S103).
그리고 제1 공급밸브(107-1)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1 공급밸브(107-1)는 제어부(111)의 제1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1 공급밸브(107-1)는 밸브를 개방하면 액화가스 공급부(103)에서 공급되는 액화가스가 히터(102)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배출밸브(108-1)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1 배출밸브(108-1)는 제어부(111)의 제1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1 배출밸브(108-1)는 밸브를 개방하면 히터(102)에서 기화된 액화가스가 기화 배출부(10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액화가스 간접기화 공정이 히터(102)를 이용하여 수행 되는 동안 기화기(101)는 유지보수를 하게 되는데, 기화기(101)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S104) 원래의 기화 공정대로 액화가스 간접기화를 수행한다(S105). 이때, 기화기(101)의 유지보수가 완료되지 않으면(S104) 액화가스 간접기화 공정은 계속해서 히터(102)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기화기(101)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109)에서 기화기(101)의 고장을 감지하지 않으며(S102)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를 통해서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도록 한다(S106).
제어부(111)는 히터(102)에 고장이 발생하여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면(S106), 공급 밸브부(107)의 제2 공급밸브(107-2) 및 배출 밸브부(108)의 제2 배출밸브(108-2)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공급밸브(107-2) 및 제2 배출밸브(108-2)를 개방하도록 한다(S107).
제2 공급밸브(107-2)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2 공급밸브(107-2)는 제어부(111)의 제2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2 공급밸브(107-2)는 밸브를 개방하면 열원 공급부(104)에서 공급되는 열원이 기화기(10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배출밸브(108-2)는 제어부(111)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111)에서 생성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는데, 이때 제2 배출밸브(108-2)는 제어부(111)의 제2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한다. 이에, 제2 배출밸브(108-2)는 밸브를 개방하면 기화기(101)에서 사용된 열원이 열원 배출부(106)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액화가스 간접기화 공정이 기화기(101)를 이용하여 수행 되는 동안 히터(102)는 유지보수를 하게 되는데, 히터(102)의 유지보수가 완료되면(S108) 원래의 기화 공정대로 액화가스 간접기화를 수행한다(S109). 이때, 히터(102)의 유지보수가 완료되지 않으면(S108) 액화가스 간접기화 공정은 계속해서 기화기(101)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히터(102)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110)에서 히터(102)의 고장을 감지하지 않으며(S106), 원래의 기화 공정대로 액화가스 간접기화를 수행한다(S109).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101: 기화기 102: 히터
103: 액화가스 공급부 104: 열원 공급부
105: 기화 배출부 106: 열원 배출부
107: 공급 밸브부 108: 배출 밸브부
109: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
110: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
111: 제어부

Claims (8)

  1.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공급부;
    상기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배출하는 기화 배출부;
    상기 히터에서 공급한 후에 열원을 배출하는 열원 배출부;
    상기 액화가스 공급부와 상기 열원 공급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공급 밸브부; 및
    상기 기화 배출부와 상기 열원 배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배출 밸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는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 및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는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 및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받아 액화가스 및 열원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액화가스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상기 히터로 전달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열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원을 상기 기화기로 전달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2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기화기에서 사용된 열원을 상기 열원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1 배출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히터에서 기화된 액화가스를 상기 기화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밸브를 개폐하는 제2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화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제1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고장감지 센서부에서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공급밸브 및 상기 제2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8. 액화가스를 공급받아서 열 교환을 통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열원을 상기 기화기에 공급하여 열 교환을 할 수 있게 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의 고장을 감지하면 액화가스 공급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는 제1 공급밸브 및 상기 히터와 기화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1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고장을 감지하면 열원 공급부와 상기 기화기를 연결하는 제2 공급밸브 및 상기 기화기와 열원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2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방법.
KR1020120122690A 2012-10-31 2012-10-31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KR10188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90A KR101884026B1 (ko) 2012-10-31 2012-10-31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690A KR101884026B1 (ko) 2012-10-31 2012-10-31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01A true KR20140055601A (ko) 2014-05-09
KR101884026B1 KR101884026B1 (ko) 2018-08-29

Family

ID=5088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690A KR101884026B1 (ko) 2012-10-31 2012-10-31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163A (zh) * 2020-07-15 2020-10-09 浙江挺宇流体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紧急切断气动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541A (ko) 2003-02-06 2004-08-12 최태호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기화기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20110027138A (ko) * 2009-09-09 2011-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기화 시스템
KR20120050786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541A (ko) 2003-02-06 2004-08-12 최태호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기화기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20110027138A (ko) * 2009-09-09 2011-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기화 시스템
KR20120050786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163A (zh) * 2020-07-15 2020-10-09 浙江挺宇流体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紧急切断气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026B1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51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heat in a gaseous fuel system
KR20120007641A (ko) Lng의 재기화 시스템
CN101605573A (zh) 用于在密封空间内防火和/或灭火的方法和设备
KR101588663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장치
US20140190187A1 (en) Cryogenic Liquid Conditioning and Delivery System
CN105848982B (zh) 管理煤水车上气体燃料的供应
KR101884026B1 (ko) 액화가스 간접기화방식 열 교환기의 고장대비 장치 및 방법
JP2011137608A (ja) 液化燃料ガス気化装置
JP4016272B2 (ja) 液化ガス気化システム
KR101722751B1 (ko) Fbog 공급장치
JP2009168320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システム
CN207085148U (zh) 一种低压二氧化碳灭火系统
CN109381832B (zh) 一种低压二氧化碳灭火系统
JP2009133438A (ja) 液化高圧ガス貯蔵気化装置および液化高圧ガス貯蔵気化方法
JP4776413B2 (ja) 補助蒸気供給装置
JP5056355B2 (ja) 高圧液化ガス貯蔵気化装置および高圧液化ガス貯蔵気化方法
JP2001174056A (ja) 真空式温水機
KR101875900B1 (ko) 액화천연가스 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48210A (ja) Lng冷熱回収システム
JP7108168B2 (ja) 液体冷熱回収システム
JPH1026298A (ja) 液化ガス気化装置
JP2004309039A (ja) 一体型液化ガス気化装置
KR101983503B1 (ko) Lng 선박의 난방 시스템
CN110878907A (zh) 一种乙烯汽化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2213696A (ja) 液化ガス蒸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