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474A -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474A
KR20140055474A KR1020120122438A KR20120122438A KR20140055474A KR 20140055474 A KR20140055474 A KR 20140055474A KR 1020120122438 A KR1020120122438 A KR 1020120122438A KR 20120122438 A KR20120122438 A KR 20120122438A KR 20140055474 A KR20140055474 A KR 2014005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main body
vibration
cutting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영
서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474A/ko
Publication of KR2014005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05Vibration-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팅날의 회전과정에서 발생 되는 진동부하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진동부하에 의한 커팅날 또는 진동완화부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커팅날의 종류나 규격 등에 따라 진동완화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팅날의 교체 시에도 진동방지장치의 원할한 적용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팅장치{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회전하는 커팅날로 커팅 대상물을 커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팅과정에서 발생 되는 커팅날의 진동 현상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커팅불량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된 배관이나 강관 등의 가공대상물은 사용 용도 등에 따라 특정 길이로 커팅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때 가공대상물의 커팅은 별도의 커팅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커팅장치는 모터에 연결된 커팅날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테두리가 커팅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력에 의해 접촉지점이 커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존 커팅장치는 사용과정에서 커팅날과 커팅대상물 간의 접촉 시 커팅날에 집중되는 부하로 인해 커팅날의 떨림 현상이 발생된다.
이 외에도 반복사용으로 인해 커팅날이 자체적으로 휘는 등의 현상이 발생 되는데, 이 상태로 커팅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도 커팅날의 떨림 현상의 발 생된다.
이처럼 커팅날이 떨리면서 회전될 경우 커팅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커팅 정밀도의 저하 원인 및 소음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커팅장치 전체의 진동 발생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커팅날의 양측에 별도의 진동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진동방지부재가 커팅날의 양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커팅날의 떨림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해당 종래기술은 진동방지부재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커팅날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진동을 강제로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커팅날에 가해지는 진동부하는 감쇄되지 않고 커팅날과 양 진동방지부재에 집중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사용될 경우 진동부하에 의해 커팅날의 특정지점이 부러지거나 진동방지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는 진동부하가 진동방지부재를 통해 커팅장치의 커버 등에 전달되어, 결국 커팅장치의 전체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13337호(2001.12.28)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커팅날의 회전과정에서 발생 되는 진동부하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부하에 의한 커팅날 또는 진동방지장치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커팅날의 종류나 규격 등에 따라 진동방지장치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팅날의 교체 시에도 진동방지장치의 원할한 적용이 가능한 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커팅날,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커팅날의 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진동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커팅날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 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삽입되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타 단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지지부재의 양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봉 형태이고, 상기 완충부재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방향 이동 시 압축됨과 동시에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일단부는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커팅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각 회전부재가 커팅날의 양측면에 동시 접촉되되, 상기 각 진동완화부는 상호 어긋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일측에 상기 진동완화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한 좌우이송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지주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송본체는 상기 지주본체와 연결되어 지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승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회전과정에서 커팅날의 떨림에 의한 진동발생 시 회전부재가 완충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므로, 회전부재의 이동 과정에서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에 진동부하에 의해 커팅부재 및 진동완화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최소화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더불어 진동부하를 감쇄시킴으로써 그에 따른 소음발생 현상도 최소화 시킬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진동완화부가 커팅날의 양측에 배치되되, 상호 마주하지 않고 엇갈린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그만큼 커팅날의 지지면적이 최대화 됨으로 진동완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그리고 진동완화부가 좌우이송본체에 의해 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커팅날의 두께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진동완화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커팅날에 적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좌우이송본체와 진동완화부가 지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상 승강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커팅날을 교체하더라고 진동완화부의 위치를 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측면 개략도
도2는 진동완화부의 분해사시도
도3은 전체 전측 단면도
도4는 커팅날의 회전과정에서 회전부재가 완충부 및 지지부재에 의해 위치이동된 상태의 전측 단면도
도5는 진동완화부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일부 확대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지주본체와 좌우이송본체가 더 구비되어 진동완화부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경우를 나타탠 전측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커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구동부(30), 커팅날(20) 및 진동완화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는 후술하는 커팅날(20) 및 진동완화부(100)의 설치 기능 및 전체 케이싱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지지본체(12)와 커버본체(16)로 나뉘어 구성된다.
지지본체(12)는 전체 받침대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함체 형태이고 필요에 따라 하부에 바퀴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본체(12)의 상부면 상에는 후술하는 커버본체(16)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회동프레임(14)이 설치되며, 회동프레임은 일단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본체(12)와 더불어 본체(10)를 구성하는 커버본체(16)는 후술하는 커팅날(20)을 비롯해 작업자의 손 보호 및 커팅 과정에서 발생 되는 칩의 외부 분산 방지 기능 등을 하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6a)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다.
이러한 커버본체(16)는 일측이 회동프레임(14)에 연결되어 회동프레임(14)을 따라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커버본체(16)에는 별도의 손잡이(16b)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회동시킴에 따라 커버본체(16)와 회동프레임(14)이 함께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본체(16)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커팅날(20)의 설치 및 회전을 위한 회전축(16c)이 설치된다.
참고로 본체(10)의 구조는 위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프레임(14)이 생략되어 커버본체(16)의 상하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거나, 지지본체(12)가 생략되는 구조, 커버본체(16)가 생략되는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변형 예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0)에는 커팅날(20)이 설치된다.
커팅날(20)은 커팅 대상물의 실제 커팅기능을 하는 것으로, 원판 형태이고 커버본체(16)의 수용공간(16a)에 위치된 상태에서 중심부가 회전축(16c)에 의해 관통되어진 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커팅날(20)의 하부구간은 커버본체(16)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커팅날(20)은 별도의 구동부(30)에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구동부(30)는 위 설명처럼 커팅날(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본체(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 및 구동모터(32)의 모터축과 회전축을 연결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력전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동력전달부(34)는 체인 및 스프로킷 구조나 벨트 및 풀리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커팅날(20)은 커버본체(16) 내에서 구동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커팅장치의 기본구성에 진동완화부(100)가 더 구비된다.
진동완화부(100)는 커팅날(20)의 회전에 의한 가공대상물의 커팅 과정에서 커팅날에 작용되는 진동 현상을 최소화시켜 커팅날(20)의 정상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판(110)과 지지부재(120), 회전부재(140) 및 완충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고정판(110)은 진동완화부(100)를 커버본체(16)에 고정 설치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커버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볼트(112)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는 후술하는 회전부재(140)의 설치 및 위치이동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 형태이고 커버본체(16)의 수용공간(16a)내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커버본체(16)와 고정판(110)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지지부재(120)가 커버본체(16)와 고정판(11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지지부재(120) 전체가 관통지점을 통해 양방향 직선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120)의 단부 중 커버본체(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구간에는 너트 형태 등의 이탈방지부재(122)가 설치됨에 따라 지지부재(120)가 반대쪽 단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판(110)을 생략하고 지지부재(120)가 커버본체(16)만을 관통한 형태로도 변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20)는 두개가 구비되어 상호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위치되며, 각 지지부재(120) 중 커팅날(20)의 측면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후술하는 연결봉(130)의 설치를 위한 연결블록(124)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연결블록(124)은 연결봉(130)을 통해 연결되는데, 연결봉(130)은 각 지지부재(120) 간의 연결 및 후술하는 회전부재(140)의 회전 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고정판(110)과 수평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 연결블록(124)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연결블록(124)을 생략하고 연결봉(130)의 양단부가 각 지지부재(120)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된 연결봉(130)에는 회전부재(140)가 설치된다.
회전부재(140)는 커팅날(20)의 측면을 지지하여 커팅날(20)의 정상적인 회전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커팅날(20)에 작용되는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 롤러 형태이고 연결봉(130) 중 양 연결블록(124) 사이 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부가 연결봉(130)에 의해 관통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회전부재(140)와 연결봉(13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됨에 따라 회전부재(140)가 연결봉(130)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회전부재(140)는 둘레면 중 커팅날(20)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이 커팅날(20)의 해당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커팅날(20)은 회전과정에서 측면이 회전부재(14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회전부재(140)는 커팅날(20)의 마착력에 의해 연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전부재(140)는 각 지지부재(120)의 양방향 이동 시 지지부재(120)와 함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참고로 회전부재는 롤러 형태 외에 볼 형태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4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완충부재(150)는 회전 과정에서 커팅날(20)의 떨림 현상에 의해 회전부재(140)를 비롯한 지지부재(120)의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에서 회전부재(140) 및 지지부재(120)에 전달된 진동부하를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와 회전부재(140)의 원위치 복귀유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각 지지부재(120) 중 연결블록(124)과 고정판(110) 사이 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지지부재(120)에 의해 관통 되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각 완충부재(150)의 일단부는 각 연결블록(124)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고정판(110)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며, 지지부재(120)가 커버본체(16) 쪽으로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압축됨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 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커팅날(20)의 회전과정에서 커팅날에 작용된 진동하중이 회전부재(140)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와 각 지지부재(120)가 반대쪽을 향해 직선이동되고, 직선이동 과정에서 완충부재(150)가 압축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14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완충부재(150)는 코일스프링 형태 외에도 실린더형태로 구현되어 실린더본체가 고정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연결봉(130) 또는 연결블록(124)에 연결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재(140)가 커팅날의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지는 과정에서 실린더로드의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실린더 내의 유압 또는 기압의 변화에 의해 실린더로드의 반대쪽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완충부재(150)를 실린더 형태로 구현할 경우 완충부재(150)가 지지부재(120)의 기능을 함께 병행하는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완충부재(150)는 이 외에도 연질의 패드나 블록 형태 등으로 구현시켜 이러한 완충부의 자체 압착 및 팽창 구조에 의해 회전블록의 이동이 유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진동완화부(100)는 커팅날(20)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마주하는 각 회전부재(140)가 커팅날(20)의 양측면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커팅날(20)은 회전과정에서 양측면이 양 회전부재(140)에 의해 어느정도 지지된 상태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렇게 진동완화부(100)가 커팅날(20)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좌우 동일선상으로 위치되지 않고 [도 5]와 같이 상호 엇갈린 상태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그만큼 양 회전부재(140)와 커팅날(20) 간의 지지면적이 넓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더불어 이 상태에서 각 진동완화부(100)는 [도 1]처럼 커팅날(20)의 회전축(16c)을 중심으로 복수개 배열되도록 하여 각 회전부재(140)에 의한 지지력이 커팅날(20) 전체면적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진동완화부(100)의 설치구조는 위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커팅날(20)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선상으로 마주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 배열시키지 않고 한 지점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도면에서는 진동완화부(100)가 커버본체(16)에 설치된 경우에 한정되어 도시되었으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커버본체(16)가 생략된 경우, 본체 구조를 달리 하여 진동완화부(1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시키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커팅 대상물을 커팅날(20) 아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32)를 작동시키면 커팅날(20)이 회전축(16c)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커팅날(20)의 테두리가 커팅대상물의 커팅 지점에 접촉됨에 따라 해당 지점의 커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각 진동완화부(100)의 회전부재(140)가 커팅날(20)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자체적으로 연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이므로 커팅날(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만약 커팅날(20)이 자체적으로 휘어져 회전과정에서 커팅날(20)에 진동이 발생 되거나, 커팅과정에서 커팅대상물과의 마찰력에 의해 커팅날(20)에 진동이 작용 된다.
이때 각 진동완화부(100)의 회전부재(140)가 커팅날(20)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팅날(20)의 진동부하는 발생방향에 위치하는 해당 회전부재(14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는 [도 4]처럼 한쪽으로 밀려지게 된다.
이렇게 해당 회전부재(140)가 밀려짐에 따라 회전부재(140)에 연결된 지지부재(120)가 고정판(110)과 커버본체(16)의 관통지점을 통해 해당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즉 회전부재(140)에 가해진 진동부하는 연결봉(130)을 통해 지지부재(120)로 전달되어, 결국 회전부재(140)가 지지부재(120)와 함께 진동부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이처럼 지지부재(120)가 이동됨에 따라, 진동부하는 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140)에 집중되지 않고 지지부재(120)의 이동과정에서 감쇄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0)가 한쪽으로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완충부재(150)가 압축되는데, 압축과정에서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140)가 적정거리만큼만 이동되고, 완충부재(150)의 압축과정에서 지지부하가 흡수되어 감쇄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완충부재는 이렇게 압축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 반대쪽으로 팽창됨에 따라, 지지부재(120)와 회전부재(14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회전부재(140)가 다시 커팅날(20)에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진동완화부(100)의 회전부재(140)가 커팅날(20)의 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커팅날(20)의 회전경로를 가이드 하도록 하되, 커팅날에 작용된 진동부하가 지지부재(120) 및 완충부의 작동에 의해 흡수 및 감쇄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부하에 의한 진동완화부 또는 커팅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위 설명처럼 대칭형태로 위치된 각 진동완화부(100)가 상호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고, 더불어 커팅날의 전체 면적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이러한 진동부하의 흡수 및 감쇄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으로 진동완화부(100)의 구조는 위 실시예와 동일하되 진동완화부(100)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구조를 개선하여 지주본체(200)와 좌우이송본체(300)를 더 포함시키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 중 지주본체(200)는 진동완화부(1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스크류 형태이고 하단부가 지지본체(12) 상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진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지주본체(200)는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지주본체(200)에는 후술하는 좌우이송본체의 승강을 위한 승강바아(210)가 연결되는데, 승강바아(210)는 지주본체(200)와 수평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제1이송블록(212)을 통해 지주본체(200)에 나선체결된 구조로 연결된다.
따라서 지주본체(200)의 회전 시 승강바아(210)는 제1이송블록(212)과 함께 지주본체(20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좌우이송본체(300)는 진동완화부(100)의 설치 및 상하 승강과 더불어 좌우이동에 필요한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좌우이송바아(310)와 이송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좌우이송바아(310)는 역시 볼 스크류 형태이고 승강바아(210)와 수직 상태, 즉 지면과 수평 상태로 위치되며 일단부가 승강바아(210)에 연결됨에 따라 승강바아(210)와 함께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좌우이송바아(310)에도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좌우이송바아(310) 자체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프레임(320)은 진동완화부(100)의 설치 기능과 동시에 진동완화부(100)를 좌우이송바아(310)의 경로를 따라 좌우 이동시키는 이동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단 양측부에 각각 진동완화부(100)가 고정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제2이송블록(3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2이송블록(330)이 좌우이송바아(310)에 나선체결됨에 따라 좌우이송바아(310)와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송프레임(320)은 좌우이송바아(310)의 회전시 제2이송블록(330)과 함께 좌우이송바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이송이 가능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프레임(320)의 하단 양측에는 각각 진동완화부(100)가 대칭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진동완화부(100)는 커팅날(20)을 교체하는 등의 과정에서 커팅날(20)의 두께 등에 따라 좌우이송본체(300)에 의해 좌위위치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날(20)의 지름이 변화되더라도 지주본체(200)의 경로를 따라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해당 커팅날의 지름에 적합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지주본체(200)와 좌우이송본체(300)가 동시에 적용된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좌우이송본체(300) 중 이송프레임(320)의 좌우이송구조를 생략하여 진동완화부(100)의 상하승강구조만 가능하도록 하거나, 지주본체(200)를 생략하여 진동완화부(100)의 좌우이송만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지주본체(200)와 좌우이송바아(310)의 구조는 볼 스크로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지주본체(200)나 좌우이송바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을 형성시키고 좌우이송바아(310)나 이송프레임(320)에 연결된 체결볼트를 장공에 관통시킨 구조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볼트(112)를 장공의 형성구간 내에서 이동시켜 좌우이송바아의 승강과 이송프레임(320)의 좌우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고, 너트를 이용해 체결볼트(112)와 체결시켜 체결볼트(112)의 위치이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커팅날의 진동이 진동완화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부하가 완충부에 의해 흡수됨과 동시에 감쇄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부하에 의한 커팅날 또는 진동완화부의 파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 : 본체 12 : 지지본체
14 : 회동프레임 16 : 커버본체
16a : 수용공간 16b : 손잡이
16c : 회전축 20 : 커팅날
30 : 구동부 32 : 구동모터
34 : 동력전달부 100 : 진동완화부
110 : 고정판 112 : 체결볼트
120 : 지지부재 122 : 이탈방지부재
124 : 연결블록 130 : 연결봉
140 : 회전부재 150 : 완충부재
200 : 지주본체 210 : 승강바아
212 : 제1이송블록 300 : 좌우이송본체
310 : 좌우이송바아 320 : 이송프레임
330 : 제2이송블록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커팅날,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커팅날의 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진동완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커팅날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커팅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
    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삽입되어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타 단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지지부재의 양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커팅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봉 형태이고,
    상기 완충부재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방향 이동 시 압축됨과 동시에 탄성력이 작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팅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완충부재는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일단부는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커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진동완화부는 상기 커팅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각 회전부재가 커팅날의 양측면에 동시 접촉되되,
    상기 각 진동완화부는 상호 어긋난 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커팅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상기 진동완화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한 좌우이송본체
    를 더 포함하는 커팅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본체는,
    지주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송본체는 상기 지주본체와 연결되어 지주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승강이 가능한
    커팅장치.




KR1020120122438A 2012-10-31 2012-10-31 커팅장치 KR20140055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438A KR20140055474A (ko) 2012-10-31 2012-10-31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438A KR20140055474A (ko) 2012-10-31 2012-10-31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474A true KR20140055474A (ko) 2014-05-09

Family

ID=5088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438A KR20140055474A (ko) 2012-10-31 2012-10-31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1B1 (ko) 2021-06-08 2021-12-07 (주)아이지에스 반도체 배관용 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1B1 (ko) 2021-06-08 2021-12-07 (주)아이지에스 반도체 배관용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738B2 (en) Vibration-damping support device
JP5476798B2 (ja) 卓上切断機
KR101363511B1 (ko) 배관 용접부의 그라인딩 장치
CN102729285A (zh) 带有减振装置的旋转切割设备
KR20140055474A (ko) 커팅장치
JP2009028823A (ja) 帯鋸盤
KR101144745B1 (ko)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의 장력불안흡수장치
KR101180397B1 (ko) 철도차량의 휠과 레일 실험장치의 보호커버
JP2010274392A (ja) 卓上切断機
CA2640156C (en) Vertical banding machine
KR101499314B1 (ko) 소재 적재 장치
KR20110088045A (ko) 단일의 수직 샤프트를 구비하는 이동 로봇의 구동휠 어셈블리
CN213147792U (zh) 一种平板平面度检测装置
CN213745537U (zh) 一种可伸缩的钢塑化工管道的安全防护罩
RU24195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иловки древесины
KR20130072616A (ko) 공작기계의 진동감쇠장치
KR101170829B1 (ko) 벨트 크리너 가압 및 충격 완충장치
KR20080027548A (ko) Z축 슬라이드의 여유스트로크를 최소화 한 롤커버장치
KR101828694B1 (ko) 전단기의 홀드다운 장치
KR101687282B1 (ko) 선반셋팅장치
CN109954775A (zh) 一种异形部件弯折治具
KR100779835B1 (ko) 초정밀가공기용 방진장치
JP5848988B2 (ja) 横型帯鋸盤
CN110725058B (zh) 一种驱动连接装置
KR100978446B1 (ko) 크레인의 익스텐션 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