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252A -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252A
KR20140055252A KR1020120121799A KR20120121799A KR20140055252A KR 20140055252 A KR20140055252 A KR 20140055252A KR 1020120121799 A KR1020120121799 A KR 1020120121799A KR 20120121799 A KR20120121799 A KR 20120121799A KR 20140055252 A KR20140055252 A KR 2014005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image
video
image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202B1 (ko
Inventor
김창호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202B1/ko
Priority to PCT/KR2013/008171 priority patent/WO2014069785A1/ko
Priority to CN201310479026.4A priority patent/CN103795959B/zh
Priority to US14/067,291 priority patent/US9172910B2/en
Publication of KR2014005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Abstract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는, 서버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 모듈, 및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DEVICE FOR MULTIPOING VIDEO CONFEREN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PARTY IMAGE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자간 영상 통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영상 통화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영상을 촬영한 후, 상대편 휴대 단말기로 각각 전송하여 상호 간에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영상 통화 서비스는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일대일 영상 통화와 다자간의 영상 통화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다자간의 영상 통화는 주로 MCU(Multipoint Control Unit)라고 하는 제어 장치를 통해 이루어졌다. MCU는 각 휴대 단말기가 전송하는 음성 및 영상을 수신하고, 복수 개의 음성 및 영상을 각각 하나의 음성 및 영상으로 합성한 후, 각 휴대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MCU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통화의 경우, 휴대 단말기는 MCU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단순히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뿐, 다자간 영상 통화 화면의 레이아웃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CU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통화에 있어 영상 통화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는, 서버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 모듈, 및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방법은, 수신 모듈에서, 서버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영상 분리 모듈에서,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리된 상기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시 영상 통화 단말의 통화 화면의 레이아웃을 단말의 특성 및 사용자의 필요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10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수신되는 합성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합성 영상에 포함된 참가자들의 영상이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경우의 영상 분리 모듈(202)에서의 영상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화면 레이아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영상 통화 중 일부 참가자가 탈퇴한 경우의 합성 영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영상 통화 화면에 각 참가자들의 아이디를 부가한 화면 레이아웃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9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시스템(100)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 및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104)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다자간 영상통화는 2인 이상의 통화를 포함하는 의미임을 유의한다.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104) 간의 영상 통화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이다.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다지점 제어 유닛(MCU; Multipoing Control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MCU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104) 각각으로부터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영상을 수신한 뒤 이를 합성한 합성 영상을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매 프레임 별로 버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수신된 영상을 적절한 비디오 코덱(예를 들어, H.264 등)으로 인코딩한 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하여(RTP Packetization)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여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통화 단말(104)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의 제어에 따라 영상 통화에 참여하는 영상 통화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단말이다. 영상 통화 단말(104)은 영상 통화 참가자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 수단 및 타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통화 단말(104)은 상기 영상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 송신한다. 또한, 영상 통화 단말(104)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영상 통화에 참가한 각 참가자들의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단말(10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영상 통화 단말(104)은 수신 모듈(200), 영상 분리 모듈(202) 및 디스플레이 모듈(204)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00)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수신되는 합성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합성 영상은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4명의 참가자들의 영상(300-1, 300-2, 300-3 및 300-4)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합성 영상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합성 영상의 구성하는 각 영상의 크기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미리 알고 있을 수도 있고,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에서 영상 통화 단말(104)로 상기 합성 영상의 전송 전후 또는 상기 합성 영상과 함께 각 영상의 크기 정보를 보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영상의 크기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각 영상을 분리할 때 주소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영상의 크기에 따라 각 영상을 구성하는 비트수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각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의 주소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영상 통화 단말(104)은 상기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에서 각 영상이 저장된 영역의 주소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영상에 포함되는 각 참가자들의 영상들은 각각 다른 해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영상에 포함되는 각 영상들은 영상 통화 단말(104)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합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모듈(200)은 합성 영상으로부터 각 참가자들의 영상을 분리하기 위하여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각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별도로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합성 영상의 구성하는 각 영상의 크기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미리 알고 있을 수도 있고,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에서 영상 통화 단말(104)로 상기 합성 영상의 전송 전후 또는 상기 합성 영상과 함께 각 영상의 크기 정보를 보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영상의 크기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각 영상을 분리할 때 주소값으로 활용될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영상 분리 모듈(202)은 수신 모듈(200)에서 수신된 합성 영상으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영상 분리 모듈(202)은 복수 개의 RTP 패킷 형태로 구성되는 합성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RTP 패킷을 조합한 뒤 비디오 디코더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디코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특정한 영상 수신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영상 분리 모듈(202)은 디코딩된 합성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영역은 일종의 임시 메모리 버퍼로서, 영상 분리 모듈(202)은 상기 합성 영상을 구성하는 각 영상들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적절한 용량의 임시 메모리 버퍼를 미리 할당해 두었다가 할당된 임시 메모리 버퍼에 상기 디코딩된 합성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특정한 영상 수신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영상(300)에 포함되는 각 영상들이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경우, 수신된 합성 영상(300)에 포함되는 각 참가자들의 영상은 합성 영상 내에서 각각 동일한 용량을 차지하게 된다. 도 5는 이와 같이 합성 영상에 포함된 참가자들의 영상이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경우의 영상 분리 모듈(202)에서의 영상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합성 영상(300)이 영상 통화 단말(104)의 메모리 영역(500)에 저장될 경우, 합성 영상에 포함된 4명의 참가자들의 영상은 메모리 영역(500) 내에서 각각 동일한 용량을 순차적으로 차지하게 된다. 즉, 영상 1(300-1)은 메모리 영역(500) 중 1~10000번지를, 영상 2(300-2)는 10001~20000번지를, 영상 3(300-3)은 20001~30000번지를, 영상 4(300-4)는 30001~40000번지를 각각 차지하며, 이에 따라 영상 분리 모듈(202)은 합성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50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영상들이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질 경우, 영상 분리 모듈(202)은 합성 영상과 별도로 수신된 각 영상들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합성 영상으로부터 각 참가자들의 영상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영상 분리 모듈(202)은 수신된 합성 영상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1의 해상도만큼의 영역을 분리하고, 남은 영상의 좌측 상단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2의 해상도에 해당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각 참가자들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영상 통화 단말(104)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상기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상들을 화면 상에 동일한 크기로 배치할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참가자의 영상을 다른 참가자보다 더 큰 사이즈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 또는 조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일부 영상을 회전하거나, 영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영상 통화 시 상대방의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 도중 참가자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다자간 영상 통화 도중 참가자 중 일부가 영상 통화를 종료하거나, 또는 새로운 참가자가 다자간 영상 통화에 새로 참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의 해상도가 모두 동일한 경우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의 해상도가 모두 동일한 경우이다. 예를 들어, 최초 4명의 영상 통화 도중 2번째 참가자 및 4번째 참가자가 순차적으로 영상 통화를 종료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영상 통화를 종료한 참가자의 영상을 기 설정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하여 영상 통화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체 영상은 단색(예를 들어 검정색) 화면일 수 있다. 도 7a는 이와 같은 경우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4명의 참가자의 영상이 모두 정상적으로 합성된 경우를, (b)는 2번째 참가자가 탈퇴하여 해당 영상이 검은색 화면으로 대체된 경우를, (c)는 4번째 참가자가 추가적으로 탈퇴하여 해당 영상이 검은색 화면으로 대체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분리된 각 영상으로부터 대체 영상을 인식하고, 대체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만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의 참석자 변경시에도 합성 영상의 크기 및 각각의 영상들의 합성 영상 내에서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참석자 변경시에도 합성 영상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분리해낼 수 있어 영상 통화 단말(104) 측의 부담을 덜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부의 참가자들이 영상 통화를 종료한 경우,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영상 통화를 종료한 참가자들의 영상을 제외하고 합성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참가자들의 영상 통화 종료에 따라 전체 합성 영상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일부 참가자들의 탈퇴에 따라 합성 영상이 재구성될 경우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이를 영상 통화 단말(104)에 통지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수신되는 합성 영상의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일부 참가자들의 변경을 반영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자간 영상 통화 도중 새로운 참가자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새로운 참가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상기 합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이때 상기 추가되는 영상은 상기 합성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참가자 추가 이전에 일부 참가자들이 탈퇴하여 일부 영역이 대체 영상으로 대체된 경우, 상기 추가되는 영상은 상기 대체 영상을 대신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통화 단말(104)은 기존의 대체 영상이 새로운 참가자의 영상으로 대체된 것을 감지하고 이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화면을 새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의 해상도가 모두 상이한 경우이다. 만약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여중인 일부 참가자가 영상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영상 통화를 종료한 참가자의 영상을 기 설정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영상 통화를 종료한 참가자의 영상을 제외하고 합성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합성 영상이 재구성될 경우,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재구성된 합성 영상 내의 각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영상 통화 단말(104)로 재전송한다.
다자간 영상 통화 도중 새로운 참가자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새로운 참가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상기 합성 영상을 재구성한다. 이때 상기 추가되는 영상은 상기 합성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참가자 추가 이전에 일부 참가자들이 탈퇴하여 일부 영역이 대체 영상으로 대체된 경우, 상기 추가되는 영상은 상기 대체 영상을 대신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대체 영상과 추가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 또는 이하의 해상도인 경우 상기 영상을 대신하여 합성 영상에 추가할수 있다.
또한 추가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대체 해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대체 영상은 기존 합성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추가될 수도 있고, 또는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영상을 포함한 전체 영상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200)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합성 영상과 함께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아이디 또는 이름 등) 및 각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수신된 배치 순서에 따라 각 참가자들의 식별 정보를 분리된 영상과 매칭시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각 참가자들의 아이디가 각각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자.
영상1(300-1): Grace
영상2(300-2): Brad
영상3(300-3): Kate
영상4(300-4): John
수신 모듈(200)에서 상기 각 아이디 정보 및 각 아이디와 영상간의 매칭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상에 매칭되는 아이디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영상 통화 단말(104)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본인 숨김 기능(self-hide)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영상을 식별하고, 해당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 상에 굳이 자신의 영상을 별도로 출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수신 모듈(200)은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시,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에서의 합성 영상 내 영상 배치 순서가 변경된 경우에도, 수신 모듈(200)은 변경된 영상 배치 순서 정보를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200)은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식별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분리된 영상 중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이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분리된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을 타 영상보다 큰 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해당 영상의 외곽선을 별도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9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영상 통화 단말(104)의 수신 모듈(200)에서,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한다(902).
다음으로, 영상 통화 단말(104)의 영상 분리 모듈(204)에서, 수신 모듈(200)에서 수신된 합성 영상으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한다(904).
이때 상기 합성 영상이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분리 모듈(204)은 수신된 합성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영상의 해상도가 각각 다를 경우, 수신 모듈은 상기 904 단계에서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분리 모듈(204)은 상기 902 단계에서 수신된 해상도 정보에 따라 합성 영상으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202)은 상기 902 단계에서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가 발생할 경우에는,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재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통화 단말(104)의 디스플레이 모듈(204)에서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906).
이때, 상기 904 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영상 중 영상 통화에서 퇴장한 사용자의 대체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해당 대체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만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의 상기 합성 영상 내에서의 배치 순서 및 각각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수신된 배치 순서에 따라 식별 정보를 분리된 영상과 매칭시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영상 통화 단말(104)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은 제외하고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self-hide 모드).
또한, 상기 902 단계에서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로부터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식별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906 단계에서는 분리된 영상 중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이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분리된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는 수신 모듈(1000), 영상 합성 모듈(1002) 및 송신 모듈(1004)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000)은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104)로부터 각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합성 모듈(1002)은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영상들로부터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모듈(1004)은 영상 합성 모듈(1002)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 송신한다.
영상 합성 모듈(1002)은 수신된 상기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송신 모듈(1004)은 상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상기 합성 영상과 함께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 영상의 구성하는 각 영상의 크기는 영상 통화 단말(104)에서 미리 알고 있을수도 있고,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102)에서 영상 통화 단말(104)로 상기 합성 영상의 전송 전후 또는 상기 합성 영상과 함께 각 영상의 크기 정보를 보낼 수도 있다.
영상 합성 모듈(1002)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상기 영상 통화 단말(104)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통화 단말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영상 통화를 종료한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상기 탈퇴 이후 새로운 영상 새로운 영상 통화 단말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하는 경우, 영상 합성 모듈(1002)은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대체 영상을 새로 참가한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추가된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영상들의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 합성 모듈(1002)은 상기 대체 영상과 상기 추가된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지의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또는 이하의 해상도의 경우 대체 영상을 상기 추가된 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새로 참가한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새로 참가한 영상을 상기 합성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추가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전술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영상을 포함한 전체 합성 영상을 재구성하여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합성 모듈(1002)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영상 통화 단말(104)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통화 단말(104)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서 탈퇴하거나 또는 새로운 영상 통화 단말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탈퇴 또는 추가를 반영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모듈(1000)은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104)로부터 각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식별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 모듈(1004)은 수신된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참가자들의 상기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가 발생할 경우, 송신 모듈(1004)은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재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 영상 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 배치 순서가 변경될 경우에도 송신 모듈(1004)은 변경된 영상 배치 순서 정보를 각 영상 통화 단말(104)로 재송신한다. 또한 추가되는 영상을 탈퇴 영상의 해상도로 변환하여 추가할 수도 있으며, 탈퇴자 및 참가자의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해 전체 합성 영상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다자간 영상 통화 시스템
102: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04: 영상 통화 단말
200: 수신 모듈
202: 영상 분리 모듈
204: 디스플레이 모듈
300, 400: 합성 영상
1000: 수신 모듈
1002: 영상 합성 모듈
1004: 송신 모듈

Claims (28)

  1. 서버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영상 분리 모듈; 및
    분리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리 모듈은,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회전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분리된 각각의 영상 중 영상 통화에서 퇴장한 사용자의 대체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대체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합성 영상과 함께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참가자들의 상기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신된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상기 식별 정보를 분리된 영상과 매칭시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시,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분리된 영상 중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이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상기 분리된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 분리 모듈은, 수신된 상기 해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10.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각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들로부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 모듈; 및
    상기 영상 합성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모듈은, 수신된 상기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 송신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모듈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상기 영상 통화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통화 단말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영상 통화를 종료한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대체 영상으로 대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모듈은, 상기 합성 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대체 영상으로 대체된 이후 새로운 영상 통화 단말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하는 경우, 상기 합성 영상에 포함된 대체 영상을 새로 참가한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추가된 영상으로 대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모듈은, 상기 대체 영상과 상기 추가된 영상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대체 영상을 상기 추가된 영상으로 대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모듈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 참가 중인 상기 영상 통화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통화 단말이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에서 탈퇴하거나 또는 새로운 영상 통화 단말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탈퇴 또는 추가를 반영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재구성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영상 통화 단말로부터 각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수신된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참가자들의 상기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상기 각 영상 통화 단말로 송신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시,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재송신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서버.
  19. 수신 모듈에서, 서버로부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의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영상 분리 모듈에서, 상기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분리된 상기 영상들을 기 설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배치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은, 각각 동일한 해상도를 가지는 상기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이 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분리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합성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영역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회전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의 크기 또는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통화 방법.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분리된 각각의 영상 중 영상 통화에서 퇴장한 사용자의 대체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대체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참가자들의 상기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상기 식별 정보를 분리된 영상과 매칭시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의 추가 또는 탈퇴시, 변경된 참가자 식별 정보 및 합성 영상 내 배치 순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영상 중 현재 발화 중인 영상 통화 참가자의 영상이 시각적으로 강조되도록 상기 분리된 영상들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7.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합성 영상에 합성된 각 참가자들의 영상 별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분리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해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합성 영상으로부터 상기 다자간 영상 통화 참가자들 각각의 영상을 분리하는,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28. 청구항 19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21799A 2012-10-31 2012-10-31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KR10195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799A KR101955202B1 (ko) 2012-10-31 2012-10-31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PCT/KR2013/008171 WO2014069785A1 (ko) 2012-10-31 2013-09-10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CN201310479026.4A CN103795959B (zh) 2012-10-31 2013-10-14 多方视频通话装置及利用该装置的多方视频输出方法
US14/067,291 US9172910B2 (en) 2012-10-31 2013-10-30 Apparatus for multi-party video call, server for controlling multi-party video call, and method of displaying multi-party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799A KR101955202B1 (ko) 2012-10-31 2012-10-31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252A true KR20140055252A (ko) 2014-05-09
KR101955202B1 KR101955202B1 (ko) 2019-03-07

Family

ID=5054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799A KR101955202B1 (ko) 2012-10-31 2012-10-31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72910B2 (ko)
KR (1) KR101955202B1 (ko)
CN (1) CN103795959B (ko)
WO (1) WO201406978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73A (ko) 2015-08-28 2017-03-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신에서 임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8142934A (ja) * 2017-02-28 2018-09-13 株式会社ピクセラ 映像配信システム
WO2019031622A1 (ko) * 2017-08-08 2019-02-1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통화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54253B1 (ko) * 2019-12-18 2021-05-2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그룹 이벤트 참여 방법
KR20210111635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중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22050625A1 (ko) * 2020-09-04 2022-03-10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심리스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33694A (ko) * 2020-09-10 2022-03-17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고속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48598A (ko) 2020-10-13 2022-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화 품질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82271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타일 기반 멀티뷰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4281A (zh) * 2013-12-23 2015-07-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视频会议控制系统及方法
CN104754282A (zh) * 2013-12-23 2015-07-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基于ip的视频会议控制系统及方法
CN105407408B (zh) * 2014-09-11 2019-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实现多人音视频的方法及移动终端
US9705936B2 (en) * 2015-04-24 2017-07-11 Mersi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nd real-time visualization of distributed media
CN105451022A (zh) * 2015-11-17 2016-03-30 深圳联友科技有限公司 一种将多路视频流压缩成一路视频流的方法及系统
CN105578112B (zh) * 2015-12-23 2020-06-09 南京秦淮紫云创益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和装置
CN106067960A (zh) * 2016-06-20 2016-11-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视频数据的移动终端和方法
CN108076301A (zh) * 2016-11-11 2018-05-25 联芯科技有限公司 VoLTE视频多方电话的视频处理方法和系统
KR102162102B1 (ko)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5550597A (zh) * 2020-12-30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系统及电子设备
US20220337782A1 (en) 2021-04-16 2022-10-20 Hyperconnec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33004A1 (en) * 2009-06-24 2010-12-30 Tandberg Telecom A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difying a composite video signal
KR20110018073A (ko) * 2009-08-17 2011-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12134874A (ja) * 2010-12-22 2012-07-12 Ricoh Co Ltd Tv会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328A (ja) * 1997-04-25 1998-11-13 Fujitsu Ltd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において、多画面合成信号を生成する方式
US7034860B2 (en) * 2003-06-20 2006-04-25 Tandberg Telecom As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nferencing having dynamic picture layout
US8125508B2 (en) * 2006-01-24 2012-02-28 Lifesize Communications, Inc. Sharing participant information in a videoconference
JP4916749B2 (ja) * 2006-03-30 2012-04-18 京セラ株式会社 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テレビ電話端末装置並びにテレビ電話画像表示方法
KR100893206B1 (ko) * 2007-07-02 2009-04-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자간 영상통화 중 화자 추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139100B2 (en) * 2007-07-13 2012-03-20 Lifesize Communications, Inc. Virtual multiway scaler compensation
KR20090020748A (ko) * 2007-08-24 2009-02-27 주식회사 케이티 하이브리드 영상 컨퍼런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17002B1 (ko) * 2007-08-29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자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다자영상 통화의 모드 전환 방법
US8457214B2 (en) * 2007-09-10 2013-06-04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mpositing of an arbitrary number of source streams using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CN100589173C (zh) * 2008-05-26 2010-02-1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多画面拼接方法和装置
KR101432830B1 (ko) * 2008-06-25 2014-08-26 주식회사 케이티 다자간 영상 통화 제어 방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록매체
JP5849484B2 (ja) * 2010-09-16 2016-01-27 株式会社リコー 伝送端末、表示データ送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
US20120249877A1 (en) * 2011-03-28 2012-10-04 Hernandez Costa Fabio J Determining video stream display positioning
US8941708B2 (en) * 2011-07-29 2015-01-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he layout used by a video composing unit to generate a composite video sig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33004A1 (en) * 2009-06-24 2010-12-30 Tandberg Telecom A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difying a composite video signal
KR20110018073A (ko) * 2009-08-17 2011-02-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12134874A (ja) * 2010-12-22 2012-07-12 Ricoh Co Ltd Tv会議システ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73A (ko) 2015-08-28 2017-03-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신에서 임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8142934A (ja) * 2017-02-28 2018-09-13 株式会社ピクセラ 映像配信システム
WO2019031622A1 (ko) * 2017-08-08 2019-02-1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통화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9400A (ko) * 2017-08-08 2020-03-1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통화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54253B1 (ko) * 2019-12-18 2021-05-2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그룹 이벤트 참여 방법
US11902225B2 (en) 2019-12-18 2024-02-13 LINE Plus Corporation Method for entering group event through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11463655B2 (en) 2020-03-03 2022-10-04 Hyperconnect Inc. Medi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10111635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중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31215A (ko) * 2020-09-04 2022-03-11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심리스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050625A1 (ko) * 2020-09-04 2022-03-10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심리스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22550496A (ja) * 2020-09-04 2022-12-02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多重ライブ配信環境でチャンネルのシームレス切り替えモード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220033694A (ko) * 2020-09-10 2022-03-17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고속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055198A1 (ko) * 2020-09-10 2022-03-17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고속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34022A (ko) * 2020-09-10 2022-03-17 네이버 주식회사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고속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48598A (ko) 2020-10-13 2022-04-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화 품질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82271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타일 기반 멀티뷰 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95959A (zh) 2014-05-14
US9172910B2 (en) 2015-10-27
KR101955202B1 (ko) 2019-03-07
CN103795959B (zh) 2017-05-31
WO2014069785A1 (ko) 2014-05-08
US20140118467A1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202B1 (ko)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US8860776B2 (en) Conference terminal, conference server, conferenc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462228B2 (en) Distributed real-time media composer
JP6172610B2 (ja) テレビ会議用システム
WO2011140812A1 (zh) 多画面合成方法、系统及媒体处理装置
CN105763832A (zh) 一种视频互动、控制方法及装置
US9137489B2 (en) Platform for end point and digital content centric real-time shared experience for collaboration
US201400287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hoc integration of tablets and phones in video communication systems
JP2008085677A (ja) 情報制御装置、情報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154065A2 (zh) 传输数据方法、媒体采集设备、视频会议终端及存储介质
WO2015003532A1 (zh) 多媒体会议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US20230283888A1 (e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0157906A (ja) 映像表示装置
US9013537B2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auxiliary streams
WO2016147538A1 (ja) テレビ会議用通信装置
WO2016206471A1 (zh) 多媒体业务处理方法、系统及装置
WO2014012384A1 (zh) 通信数据的发送方法、系统及接收装置
JP2016192610A (ja) 遠隔会議プログラム、制御装置及び遠隔会議方法
CN113726534A (zh) 会议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481937B2 (ja) テレビ会議用通信装置
US20210227175A1 (en) Videoconferencing server for providing multi-screen videoconferencing by using a plurality of videoconferencing terminals and method therefor
RU2617680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мультиконтентных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данных
JP2017092802A (ja) 会議通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バックエンドシステム
KR101178185B1 (ko) 동영상 제보를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