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102B1 -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102B1
KR102162102B1 KR1020190033483A KR20190033483A KR102162102B1 KR 102162102 B1 KR102162102 B1 KR 102162102B1 KR 1020190033483 A KR1020190033483 A KR 1020190033483A KR 20190033483 A KR20190033483 A KR 20190033483A KR 102162102 B1 KR102162102 B1 KR 10216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video call
identification c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일
윤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Priority to KR102019003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102B1/ko
Priority to US16/827,788 priority patent/US108557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102B1/ko
Priority to US17/085,375 priority patent/US1119677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영상 통화 중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identification cod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통해 영상 통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개인용 단말기가 일반 소비자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개인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휴대용 개인 단말기들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통신망에 연결되어 다른 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예컨대, 다른 단말기들과 영상 및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말기들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서로 모르는 사람 사이에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account)을 소유할 수 있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영상 통화 화면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볼 때 영상 통화 화면을 일방 사용자가 녹화(record)하여 공중(public)에 공개하는 경우 상기 영상 통화 화면에 상기 일방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화면에서 영상 통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영상 통화 중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identification cod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변환한 숫자의 각 자리 수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상기 서브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기가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고유 ID를 추출하고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3 단말기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제2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3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 종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새롭게 생성된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4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제4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미지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이고, 상기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고유 ID를 사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변환한 숫자의 각 자리 수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상기 서브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화면에서 영상 통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고유 ID로부터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가 동작하는 환경은 서버(10) 및 서버(10)와 서로 연결된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세 개의 단말기, 즉,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세 개보다 더 많은 수의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될 수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될 설명을 제외하고,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는 서로 연결된 다른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와 연결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또는 복합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3G, LTE, 또는 LTE-A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UMTS/GPRS, 또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Z-Wav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적외선 통신(IR, InfraRe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가 제1 단말기(1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서버(10)가 제2 단말기(2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2 단말기(2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서버(10)가 제3 단말기(300)와 서로 연결된 경우, 서버(10)는 제3 단말기(300)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연산 결과를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복수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에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기 선택된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의 영상 통화 연결을 중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10)는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의 아이피(IP) 주소 및 포트(port)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에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의 아이피(IP) 주소 및 포트(port)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에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제2 단말기(200)에의 연결 시도 또는 제2 단말기(200)의 제1 단말기(100)에의 연결 시도가 성공함으로써,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 사이의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에 영상 또는 소리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영상 또는 소리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결과물을 제2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된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또는 소리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에 영상 또는 소리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서로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각각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장치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수신부(510), 추출부(520), 제어부(530), 및 출력부(540)를 포함한다.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서버(10)일 수 있으며, 통신망에 단말기들 사이에 영상 통화를 중개하는 영상 통화 플랫폼(Video Call Platform)으로 동작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부(51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은 일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타 단말기로의 요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일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타 단말기로의 요청일 수도 있다.
추출부(520)는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한다. 상기 고유 ID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 내지는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을 통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로 등록할 당시에 각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Identifier)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고유 ID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느 사용자에게 기 부여된 고유 ID와 동일한 것으로 부여될 수 없고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는 서로 다른 고유 ID를 부여 받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유 ID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써 사용하기로 한다.
제어부(530)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identification code)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두 개의 단말기는 수신부(510)에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상기 두 개의 단말기가 각각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들 또한 제어부(530)에 의해 영상 통화 연결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각각의 단말기에 할당되는 고유의 값(unique value)로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각각에 부여되는 고유 ID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고유 ID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생성된다.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두 개의 단말기가 예를 들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에 대응된다.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므로,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고유 ID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54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출력한다. 앞선 예시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출력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단말기에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일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고유 ID로부터 n 진수의 숫자로 표현되는 식별 코드가 생성되고,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한 이미지들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530)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해당 단말기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단말기를 특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서브 이미지들의 종류가 총 n 개일 때, 상기 식별 코드는 n 진수의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이미지들의 종류가 총 4개일 때, 상기 식별 코드는 4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4진수로 표현되는 상기 식별 코드를 구성할 수 있는 0 부터 3 까지의 숫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서브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로 하여 생성되는 이미지(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함)는 문자, 숫자, 도형,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이미지 또한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서브 이미지는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이외에 다른 형태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될 뿐 상기 제2 단말기에는 표시되지 않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단말기에만 표시되며 상기 제1 단말기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출력부(540)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플로팅된 이미지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임의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통화 중인 흥미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S110),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S120),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30),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S140),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50), 및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단계(S110)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가 접속하는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video call platform)은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에 접속된 단말기들에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서버(10), 또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영상 통화 중개 장치(500)가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의 일종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함으로써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데, 이 때 상기 고유 ID는 영상 통화 중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고유 ID는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로 등록할 당시에 각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유 ID는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느 사용자에게 기 부여된 고유 ID와 동일한 것으로 부여될 수 없고,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는 서로 다른 고유 ID를 부여 받는다.
따라서, 상기 고유 ID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데, 보다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위해 상기 고유 ID는 영상 통화 중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기 고유 ID의 일부만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영상 통화 상대방의 정확한 고유 ID를 알 수 없다.
상기 고유 ID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것을 악용하는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방법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20)에서는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한 단말기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여 익명성에 기대어 서비스를 악용하는 사용자, 예컨대 어뷰저(abuser)를 특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별자를 생성할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사용자의 고유 ID는 알파벳 소문자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정하도록 한다.
단계(S130)에서는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identification code)를 생성한다. 상기 식별 코드는 각각의 단말기에 할당되는 고유의 값(unique value)로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각각에 부여되는 고유 ID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고유 ID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단계(S150)에서 사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참조된다.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통화 중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한다.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은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를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 특정하지 않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은 일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타 단말기로의 요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일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타 단말기로의 요청일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두 개의 단말기는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복수 개의 단말기 중 임의의 두 개의 단말기가 각각 영상 통화 상대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임의의 두 개의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는 단계(S130)에서 생성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으로 연결된 상기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에 대응된다.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므로, 상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각각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워치, 이동 단말,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일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이미지들의 종류의 총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고유 ID로부터 n 진수의 숫자로 표현되는 식별 코드가 생성되고, 상기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한 이미지들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이미지는 단말기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단말기를 특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고유 ID를 참조하여 생성되므로 상기 특정한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서브 이미지들의 종류가 총 n 개일 때, 상기 식별 코드는 n 진수의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이미지들의 종류가 모두 4개일 때, 상기 식별 코드는 4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4진수로 표현되는 상기 식별 코드를 구성할 수 있는 0 부터 3 까지의 숫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서브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로 하여 생성되는 이미지(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포함함)는 문자, 숫자, 도형,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이미지 또한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서브 이미지는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이외에 다른 형태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될 뿐 상기 제2 단말기에는 표시되지 않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단말기에만 표시되며 상기 제1 단말기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고유 ID로부터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임의의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 ID는 'patent'로 상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유 ID 'patent'는 '160120051420'으로 치환될 수 있는데, 이 때, a 부터 z 까지의 알파벳은 1 부터 26 까지의 숫자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60120051420'은 '16', '01', '20', '05', '14', 및 '2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구분된 각각의 숫자는 특정한 알파벳 소문자와 상등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단계(S130)에서 상기 고유 ID로부터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임의의 단말기를 제1 단말기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고유 ID와 상등인 숫자 '160120051420'은 식별 코드로 변환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식별 코드는 미리 정해진 특정 진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될 제1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서브 이미지의 종류가 모두 n 개인 경우, 상기 식별 코드는 n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식별코드 '2547E616DC'는 상기 고유 ID를 10진수로 표시한 숫자 '160120051420'를 16진수로 표현한 것으로, 서브 이미지의 종류가 총 16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에 포함될 수 있는 0 부터 F는 각각 미리 정해진 서브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별 코드는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코드가 반드시 16진수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이미지의 종류가 총 몇 개인지에 따라 다양한 진수로 표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4에서 상기 서브 이미지는 이모지(emoji)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기 서브 이미지가 반드시 이모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만 표시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영상 통화 상대 단말기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서브 이미지의 종류가 총 26개 이상인 경우, 상기 고유 ID가 변환된 숫자 '160120051420'가 그대로 상기 식별 코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숫자 '1601200514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6', '01', '20', '05', '14', 및 '20'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된 각각의 숫자는 미리 정해진 서브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는 총 6개의 서브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알파벳 소문자 각각은 26개의 서브 이미지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가 도시된다. 도 5(a)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제1 영상 통화 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표시되는 영역과 제1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제1 단말기에만 표시되므로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녹화하여 공중에 공개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 대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재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녹화된 화면에 상기 제1 사용자의 ID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사용자의 고유 ID로부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고유 ID가 도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단말기가 도시된다. 도 5(b)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표시되는 영역과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제2 단말기에만 표시되므로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2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녹화하여 공중에 공개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재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녹화된 화면에 상기 제2 사용자의 ID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특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사용자를 특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사용자의 고유 ID로부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고유 ID가 도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ID가 노출되지 않는 영상 통화로 인해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사생활 침해를 일으킨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고유 ID에 대응하는 특정한 이미지를 영상 통화 화면에 노출시킴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고,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 있는 사용자를 특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이미지, 예컨대 상기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이미지는 도 5(b)에 표시되는 형태와 달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방향이 반드시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비해서 더 큰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브 이미지들의 순서, 예컨대 좌우 순서가 바뀌면 사용자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서브 이미지들은 순서를 유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제2 이미지를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플로팅 형태의 표시 방법이 반드시 상기 제2 이미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미지를 비롯하여 후술할 제3 이미지 및 제4 이미지 또한 플로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3 단말기가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S170), 제3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 ID를 추출하고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80),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S190),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제2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S200),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10), 및 제1 이미지와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와 다른 제3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80)에서는 단계(S170)에서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한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고유 ID를 추출한다. 그리고,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 ID로부터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단계(S190)에서는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는데,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은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영상 통화 세션 종료 요청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종료하려는 요청이거나 현재의 영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고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고자 하는 요청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통화 세션 종료 요청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의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 수립을 위한 요청일 수 있다.
단계(S190)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면, 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3 단말기 사이에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인 제2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된다. 상기 제3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제3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해 음성과 영상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단계(S210)에서는 단계(S180)에서 생성한 상기 제3 단말기에 대한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한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3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이미지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계(S150)에서 생성된 제1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특정한 단말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이미지는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더라도 변경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고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기존의 이미지와 상이한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가 도시된다. 도 8(a)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제2 영상 통화 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제1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표시되는 영역과 제1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더라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는 바뀌지 않을 수 있으며, 도 8(a)에 도시되는 상기 제1 이미지는 도 5(a)에 도시되는 제1 이미지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었을 때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만 표시되므로,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 다만,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상기 제3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제3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3 단말기가 도시된다. 도 8(b)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3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이 표시되는 영역은 상기 제3 단말기의 표시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3 사용자가 표시되는 영역과 제3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3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 5에 도시되는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와 상이하며, 도 8(a)에 도시되는 제1 이미지와도 상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제1 단말기의 식별 코드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S191),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4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92),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제2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S200),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10), 및 제3 이미지와 제4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220a)를 포함한다.
단계(S191)에서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제1 영상 통화 세션 종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새롭게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자의 고유 ID에 종속적인데 랜덤 값(random value)과 체크 섬(check sum)을 활용하여 동일한 고유 ID로부터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이미지는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므로, 단계(S192)에서는 단계(S191)에서 새롭게 생성된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191)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제4 이미지는 제1 이미지와 상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고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더라도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는 동일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은 기존의 영상 통화 세션이 종료됨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위기 전환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단계(S200) 및 단계(S210)에서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단계(S200) 및 단계(S210)에서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단계(S220a)에서는 도 7의 단계(S220)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나, 단계(S220a)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4 이미지는 단계(S220)에서 표시되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이하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기존의 영상 통화 세션에 사용되었던 사용자 특정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가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고유 ID는 변하는 값이 아니므로 상기 고유 ID로부터 생성되는 식별 코드에 적절한 변환을 가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랜덤 값(random value)과 체크 섬(check sum)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랜덤 값이 상기 식별 코드와 마찬가지로 16진수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단, 상기 랜덤 값은 한 자릿수이고, 상기 체크 섬은 상기 식별 코드의 각 자릿수와 상기 랜덤 값의 합을 16으로 나눈 나머지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랜덤 값은 상기 식별 코드의 가장 앞 자리에 추가되고, 상기 체크 섬은 상기 식별 코드의 가장 뒷 자리에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사용자의 고유 ID인 'patent'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2547E616DC'가 생성되면, 가장 첫 자리 숫자인'2'의 앞에 0 부터 F 까지의 랜덤 값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가장 마지막 자리인'C'의 다음에 0 부터 F 까지의 체크 섬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랜덤 값은 상기 식별 코드의 각 자릿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컨대, '0'이 랜덤 값으로 설정된 경우 '6'이 체크 섬으로 결정되고, 이 때 상기 식별 코드는 '02547E616DC6'로 변환될 수 있다. 랜덤 값이 '0'인 경우, 고유 ID로부터 생성된 식별 코드의 각 자릿수는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랜덤 값이 '1'인 경우, 식별 코드의 각 자릿수는 한 자리씩 앞 자리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랜덤 값이 '1'인 경우 식별 코드 '2547E616DC'는 '1547E616DC2'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체크 섬은 '7'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코드는 최종적으로 '1547E616DC27'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제4 이미지는 고유 ID 'patent'를 갖는 제1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상이하지만 동일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이미지를 참조하여 고유 ID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서브 이미지와 마지막 서브 이미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547E616DC2'를 획득하고, 상기 첫 번째 서브 이미지가 '1'에 대응하므로 상기 '547E616DC2'로부터 '2547E616DC'를 최종 식별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이미지로부터 고유 ID 'patent'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단말기가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되는 영상 통화 화면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제2 영상 통화 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은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었던 제1 영상 통화 세션과 구분된다.
도 11에 도시되는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은 도 8(a)에 도시되는 제2 영상 통화 세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상기 제1 단말기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제4 이미지는 도 8(a)의 제1 이미지와 상이하다. 다만,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4 이미지는 상기 제1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고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 예컨대, 제3 영상 통화 세션이 상기 제1 단말기와 제4 단말기 사이에 수립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4 이미지 모두와 상이한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제어모듈(110), 추출모듈(120), 및 출력모듈(130)을 포함한다. 제어모듈(110)은 단말 장치(100)가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도록 하고,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단말 장치(100)와 다른 단말 장치 사이에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110)은 추출모듈(120)과 출력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추출모듈(120)은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계정 정보(account information)를 추출한다. 앞서 설명한 고유 ID가 상기 계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모듈(110)은 추출모듈(120)이 추출한 고유 ID로부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어모듈(110)이 상기 고유 ID를 추출하고 식별 코드 및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특정 이미지는 앞선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4 이미지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110)은 새로운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새로운 사용자 특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특정 이미지는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특정 이미지는 단말 장치(100)의 표시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 특정 이미지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의 배치 순서는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130)은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상기 제1 내지 제3 단말기는 도 12에 도시되는 단말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버
100: 단말 장치,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제3 단말기
500: 영상 통화 중개 장치
510: 수신부
520: 추출부
530: 제어부
540: 출력부
110: 제어모듈
120: 추출모듈
130: 출력모듈

Claims (14)

  1.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영상 통화 중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identification cod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사이에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은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이고,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의 총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변환한 숫자의 각 자리 수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상기 서브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2 단말기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3 단말기가 상기 영상 통화 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고유 ID를 추출하고 상기 고유 ID로부터 상기 제3 단말기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제3 단말기 사이에 제2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와 상기 제3 단말기의 표시부에 각각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통화 세션 종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새롭게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새롭게 생성된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4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표시부에 상기 제4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는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이고,
    상기 제3 단말기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단말기의 사용자의 고유 ID를 사용 가능한 상기 복수의 서브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방법.
  9.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 중개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사이에 영상 통화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 통화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에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각각은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의 조합이고,
    상기 식별 코드는 사용 가능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이미지들의 총 개수에 대응하는 진수로 상기 고유 ID를 변환한 숫자에 상응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변환한 숫자의 각 자리 수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상기 서브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단말기 각각의 표시부에 플로팅(floating) 형태로 표시하는 영상 통화 중개 장치.
KR1020190033483A 2019-03-25 2019-03-25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6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83A KR102162102B1 (ko) 2019-03-25 2019-03-25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6/827,788 US10855727B2 (en) 2019-03-25 2020-03-24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7/085,375 US11196777B2 (en) 2019-03-25 2020-10-30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83A KR102162102B1 (ko) 2019-03-25 2019-03-25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102B1 true KR102162102B1 (ko) 2020-10-20

Family

ID=7260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483A KR102162102B1 (ko) 2019-03-25 2019-03-25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855727B2 (ko)
KR (1) KR102162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102B1 (ko)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2010457B2 (en) 2021-04-16 2024-06-11 Hyperconnect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54B1 (ko) * 2013-05-07 2015-11-04 남기원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3032B1 (ko) * 2010-01-2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tv
KR20160133775A (ko) * 2015-05-13 2016-11-23 이세용 통신정보 표시 및 접속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EP2118769A2 (en) * 2007-02-09 2009-11-18 Dilithium Network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media value added service delivery system
US8290131B2 (en) * 2007-05-03 2012-10-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Customized caller ID based upon called party number
KR101714534B1 (ko) * 2010-12-06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276504A1 (en) * 2011-04-29 2012-11-01 Microsoft Corporation Talking Teacher Visualization for Language Learning
KR101955202B1 (ko) * 2012-10-31 2019-03-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통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영상 출력 방법
US9392217B2 (en) * 2014-03-20 2016-07-12 Blackberry Limited Automatically relocating picture-in-picture window in video calls
US10299087B2 (en) * 2014-04-30 2019-05-21 Spikko Telecom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caller line identification for short message service
US20160037129A1 (en) * 2014-08-01 2016-02-0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aller ID
US10110732B2 (en) * 2015-10-22 2018-10-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ller number identification
US10089793B2 (en) * 2016-09-02 2018-10-02 Russell Holm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composite video from multiple source devices featuring augmented reality elements
KR102162102B1 (ko)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32B1 (ko) * 2010-01-2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tv
KR101564654B1 (ko) * 2013-05-07 2015-11-04 남기원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3775A (ko) * 2015-05-13 2016-11-23 이세용 통신정보 표시 및 접속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5727B2 (en) 2020-12-01
US11196777B2 (en) 2021-12-07
US20210051184A1 (en) 2021-02-18
US20200314154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1072B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云数据处理方法及云数码相框
CN105227321B (zh) 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客户端
EP2988534A2 (en) Method of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258718B1 (en) Gprs system key enhancement method, sgsn device, ue, hlr/hss and gprs system
EP3125594A1 (en) Intelligent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system
CN103365957A (zh) 基于邻近度和连接的照片共享
US11570402B2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573540A (zh) 移动终端用户隐私保护方法及系统
US20120173744A1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162102B1 (ko)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2710420A (zh) 设置密码的方法、系统及其设备
CN104992120A (zh) 一种图片加密方法及移动终端
AU2015297230A1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5029611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3609095B (zh) 无线通信设备、信息处理设备、通信系统和用于无线通信设备的控制方法
KR20210043529A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17103A (zh) 权限的验证方法、装置和系统
KR20210000957A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52373B2 (en)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7201999A1 (zh) 文件加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1277183A (zh) 登录信息的输入方法、系统及系统的实现方法
CN106358182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08391323A (zh) 设备互联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590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2019029703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in a closed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