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35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35B1
KR101359035B1 KR1020070081285A KR20070081285A KR101359035B1 KR 101359035 B1 KR101359035 B1 KR 101359035B1 KR 1020070081285 A KR1020070081285 A KR 1020070081285A KR 20070081285 A KR20070081285 A KR 20070081285A KR 101359035 B1 KR101359035 B1 KR 10135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mage
authentication code
inpu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934A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로 매핑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에서 인증 코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 영역을 선택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코드에 상응하는 인증 영역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 코드 관리부를 포함하여 기존의 숫자 또는 알파벳 입력을 통한 사용 인증 과정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인증 과정, 비밀번호, 인증 코드, 보안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로 매핑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문자, 음 성뿐만 아니라 화상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소중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와 같은 보안 서비스를 지원함에 따라 소정의 메모리에 개인 정보와 같은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비밀 번호 설정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증 기능은 단순한 숫자들의 조합에서부터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 등을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기능은 4자리 숫자를 주요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다. 4자리 숫자의 경우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4자리 숫자를 이용한 비밀번호의 경우의 수는 104로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알파벳을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기능은 26개의 조합이 되므로 N자리 비밀번호에 대한 경우의 수는 26N이 되며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36N이 된다.
즉, 상기 알파벳을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기능은 4자리 숫자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경우의 수가 많아서 보안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밀 번호를 외우기 힘들어 어린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증 기능에 필요한 비밀 번호를 따로 메모하여 보관함으로써, 비밀정보 유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성을 높인 사용자 인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성을 높인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증 방식으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에서 인증 코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 영역을 선택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코드에 상응하는 인증 영역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 코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에서 인증 코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 영역을 선택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인증 코드 생성 과정과, 상기 인증 코드에 상응하는 인증 영역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이미지의 영역 선택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숫자 또는 알파벳 입력을 통한 사용 인증 과정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선택 인증 과정으로 기존의 알파벳 입력을 통한 인증 과정시 발생하는 문제점 즉, 비밀번호 메모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보안성을 높인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4세대 광대역 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인증 코드 관리부(102), 메모리부(104), 표시부(106), 입력부(108) 및, 표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인증 코드 생성시 상기 인증 관리부(102)로 하여금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대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인증 과정 수행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성한 인증 코드에 상응하는 인증 영역을 선택받은 후, 상기 인증 코드 관리부(102)로 하여금 상기 선택받은 인증 영역과 기 설정한 인증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영역을 비교하여 인증 과정 성공 유무를 판단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인증 코드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이미지에서 인증 코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 영역에 대한 인증 코드를 매핑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인증 코드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의 인증 영역을 기 설정한 인증 코드의 인증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인증 코드 생성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예 ; 인증 과정 수행 요청 등)를 상기 제어부(102)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6)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코드 생성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201단계에서 인증 코드 생성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코드 생성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과정 수행시 필요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증 정보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인증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과정 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받은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인증 영역을 선택받는다.
상기 203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기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부(108)에 출력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받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세계지도, 꽃 사진, 가족 사진, 자동차 사진과 같이 사용자가 한번에 인식할 수 있는 사진으로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 과정 접근을 쉽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받은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매핑할 수 있는 인증 코드를 출력한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인증 코드 선택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코드는 일반적인 인증 과정에서 사용하는 비밀 번호와 같은 정보로 상기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해당하는 비밀 번호를 말한다. 즉, 상기 209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알파벳, 숫자와 같은 비밀 번호를 매핑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에서 선택받은 이미지의 인증 영역과 인증 코드를 서로 매핑한 후,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과정에 사용할 이미지의 인증 영역 선택을 완료하였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인증 영역의 선택을 완료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5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인증 영역의 선택을 완료할 때까지 상기 매핑한 인증 코드를 임시 저장한다.
한편, 상기 인증 영역의 선택을 완료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대한 인증 코드를 생성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먼저 301단계에서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과정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과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의 특정 영역 즉, 인증 영역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높인 인증 과정을 말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자 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리스트를 표시부(106)에 출력한 후,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이미지를 선택받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이미지를 선택받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03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이미지를 선택받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이미지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상기 표시부(106)에 출력하도록 처리한 후, 30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인증 영역 선택을 감지한 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 이미지에 대한 매핑 테이블은 상기 선택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기 설정한 영역을 말한다.
또한, 상기 매핑 테이블은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균일하게 구성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이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의 블럭으로 불규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인증 과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받은 인증 영역의 인증 코드를 확인한 후, 3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인증 영역 선택 완료를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영역의 선택을 감지할 경우,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 영역을 면적을 확인한 후, 상기 인증 영역 안에 터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인증 영역 선택 완료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인증 영역 선택 완료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에서 선택받은 인증 코드와 기 설정한 인증 코드를 비교한 후,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증 코드가 기 설정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 코드인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선택받은 인증 코드가 기 설정한 인증 코드와 동일하지 않은 코드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과정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06)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선택받은 인증 코드가 기 설정한 인증 코드와 동일한 코드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과정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선택 이미지를 출력한 화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가족 사진"을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미지로 선택한 화면이다.
상기 선택한 인증 화면은 상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인증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을 함께 출력한다.
상기 매핑 테이블은 상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균일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의 블럭으로 불규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b)는 이미지의 인증 영역에 대한 인증 코드를 생성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진의 숫자 순서대로 입력하여 인증 코드를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과정에 필요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이미지의 가로 세로 매핑 테이블 영역은 35개(가로7×세로5)로 상기 영역을 4번 선택하여 상기 인증 코드를 생성할 경우, 생성할 수 있는 인증 코드의 경우의 수는 1500625 가지 경우의 수(354)가 발생한다.
반대로 타인이 상기 인증 코드를 획득할 수 있는 확률은 상기 경우의 수인 1500625의 역수가 되어 기존의 사용자 인증 과정보다 보안성이 높아진다.
상기 설명한 방법을 역순으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과정이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증 과정 수행시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설정한 가족 사진을 선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4(a)와 같은 이미지와 매핑 테이블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인증 코드의 설정 순서대로 상기 이미지의 인증 영역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영역의 선택을 감지할 경우,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 영역을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인증 영역 안에 터치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선택한 이미지의 인증 영역이 기 설정한 인증 코드와 동일할 경우 상기 인증 과정은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이고, 상기 인증 영역이 기 설정한 인증 코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증 과정은 실패한 것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에 해당하는 인증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미지에 대한 입력 영역 및 입력 순서를 기반으로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코드가 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입력 영역 및 입력 순서를 기 저장된 인증 코드와 비교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코드를 설정할 이미지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후, 입력에 의해 선택된 블록으로 인증 코드를 생성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에 대하여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 블록으로 분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 생성을 위한 입력을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5.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인증 코드를 설정할 이미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인증 코드가 설정된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입력 영역 및 입력 순서를 기 저장된 인증 코드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인증 코드를 설정할 이미지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동작,
    입력에 의해 선택된 블록으로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증 코드를 설정할 이미지를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동작은,
    이미지에 대하여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 블록으로 분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를 설정할 이미지를 확인하는 동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출력하는 동작 및,
    입력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기 저장된 인증 코드에 해당하는 입력 순서에 따라 입력 영역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입력 순서에 따라 입력 영역이 감지되는 경우에 인증이 성공되었다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입력 영역 및 입력 영역의 입력 순서를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KR1020070081285A 2007-08-13 2007-08-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35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85A KR101359035B1 (ko) 2007-08-13 2007-08-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285A KR101359035B1 (ko) 2007-08-13 2007-08-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34A KR20090016934A (ko) 2009-02-18
KR101359035B1 true KR101359035B1 (ko) 2014-02-06

Family

ID=4068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285A KR101359035B1 (ko) 2007-08-13 2007-08-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1341B (zh) * 2010-12-31 2015-09-16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图像的认证系统及认证方法
KR101201934B1 (ko) 2012-04-17 2012-11-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00197A (ko) * 2013-06-24 2015-01-02 병주 유 비밀 번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비밀 번호 입력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967A (ja) * 2000-12-19 2002-07-05 Pfu Ltd 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装置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967A (ja) * 2000-12-19 2002-07-05 Pfu Ltd 個人認証方法、個人認証装置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34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0022B (zh) 一种二维码生成、验证方法及服务器
US20050085217A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JP4845057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4933342A (zh) 一种图片查看方法及移动终端
CN103218740A (zh) 使用二维码的交易系统、方法和装置
JP2012133717A (ja) パスワード入力認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CN106650849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602021B2 (en) Authentication sett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792347A (zh) 一种网络注册方法和移动终端
KR201200086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590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50680B1 (ko)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591341B1 (ko)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증방법
CN105335672A (zh) 一种安全模式提示方法及装置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CN11226995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2269550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0950662B1 (ko) 네트웍을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인증방법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038940A (zh) 快速安全联机建立方法与无线存取点装置
JP543273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60094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KR100651529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보안기능 설정 및 해제 방법
KR10069354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패스워드 설정 및 인증 방법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