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564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564A
KR20060094564A KR1020050015660A KR20050015660A KR20060094564A KR 20060094564 A KR20060094564 A KR 20060094564A KR 1020050015660 A KR1020050015660 A KR 1020050015660A KR 20050015660 A KR20050015660 A KR 20050015660A KR 20060094564 A KR20060094564 A KR 20060094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pecial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4564A/ko
Publication of KR2006009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지 수신시, 특수메시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수메시지인 경우, 상기 특수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특수암호를 검증하여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정보일 경우, 메모리에 락(lock)을 걸어 엑세스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유출 및 삭제를 방지함으로써 분실로 인한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사생활 보호, 잠금, 보호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TECT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통신을 할 때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술의 급진적인 발달과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에 대비하 여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예컨대 폰 잠금(phone lock), 심 잠금(SIM lock), 또는 네트워크 잠금(network lock)등과 같이 발신 제한과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잠금 기능이 있다. 폰 잠금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들 예컨대 발신기능, 문자메시지 기능 등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심 잠금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에서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 호 연결 시에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정보 모듈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네트워크 잠금은 사업자가 제조업체에 요청하여 제품 출하 시 미리 생산공정에서 타 사업자의 개인정보 즉, SIM 정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입력부의 키들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잠금 기능 즉, 사용제한, 사생활보호 기능등을 설정하고, 이로써 단말기 분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및 기타 피해로부터 최대한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보호 기능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호 기능을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보호 기능을 설정해 두지 않는 실정이고, 보호기능 미설정 상태에서 단말기를 분실하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보호 방법이 없어 여러가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사람이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원래 소유자가 과중한 통화료를 지불하게 되거나, 단말기에 저 장된 사용자 정보 및 단말기 정보가 부정적으로 이용되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보호 기능을 설정하여도, 유선 케이블(RS232C 및 USB)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IrDA 및 Blue tooth)을 이용하여 외부장치(예 : PC)와 연동하면, 보호 기능 설정과 무관하게 개인정보가 PC화면상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PC Link에 연결되면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도 단말기의 메뉴 및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단말기 분실로 인한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다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메시지 수신시, 특수메시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수메시지인 경우, 상기 특수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특수암호를 검증하여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정보일 경우, 메모리에 락(lock)을 걸어 엑세스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수신한 특수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생활 보호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과, 외부장치와의 통신에서 암호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3)은 상기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수신한 특수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생활 보호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외부장치와의 통신에서 암호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5)은 상기 제어부(1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7)은 비밀번호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9)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3)과, 상기 코덱(113)에 접속된 스피커(117) 및 마이크(115)는 전화 통신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3)은 상기 제어부(101)에서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5)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외부인터페이스부(119)는 이동통신 단말기(127) 및 외부장치(129)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USB포트, 직렬포트, 병렬포트, PS2포트와 같은 인터페이스(131)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129)와 연결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3)는 안테나(121)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5)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5)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21)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5)는 상기 RF부(123)와 상기 제어부(101)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특수메시지를 분석하여 메모리에 락(lock)을 걸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는 특수암호와 단말기번호로 구성된 특수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이 특수암호를 검색하여 유효한 정보로 판단되면 단말기의 모든 메뉴사용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암호는 원격으로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07)에 저장된 암호로, 도 2에서는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를 설정하기 위한 암호로 사용하였지만, 비밀번호 변경 등 다른 예로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특수암호의 설정은 일반 비밀번호의 설정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 설정 모드를 1. 일반모드 2. 특수모드로 나누어 사용자로 하여금 2. 특수모드에 특수암호를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1)는 201단계에서 메시지가 도착 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단말기 분실시 사용자가 보낸 특수메시지이다.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203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일반메시지인지 특수메시지인지를 검사하고, 상기 일반 메시지일 경우 통상적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수신한 메시지가 특수메시지일 경우, 상기 제어부(101)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수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특수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특수암호를 검증한다. 여기서, 상기 특수메시지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수암호와 단말기번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특수암호+단말기번호 또는 단말기번호+특수암호의 방식으로 특수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특수암호가 유효한 정보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특수암호가 유효한 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1)는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특수암호가 유효한 정보이면, 상기 제어부(101)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메뉴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리에 lock을 걸어 단말기의 모든 메뉴 사용을 제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사생활 보호 상태가 되었음을 표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1)가 디스플레이부(111)에 사생활 보호 상태를 표시할 때, 습득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자신의 개인호출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생활 보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 입력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PC Link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129)와 연동하여 폰에 있는 정보를 확인할 때 암호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즉,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여 단말기의 메뉴 및 데이터를 읽고자 할 때 단말기의 암호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절차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301단계에서 PC Link에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프로그램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01)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 제한을 위한 암호 설정이 되어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메뉴 선택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선택된 메뉴 및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허가해준다. 즉, 메모리의 락(lock)을 해제하여 엑세스를 허가한다. 상기 암호가 설정되어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사생활 보호 상태를 표시하고 사생활 보호 해제를 위한 암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였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입력이 완료됨을 검사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암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05단계로 돌아가 다시 사생활 보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사생활 보호 상태는 사용자 정보나, 암호 입력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1)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메뉴를 표시해줌으로써 메뉴에 대한 사용을 허가하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RS232C, USB 등)을 이용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IrDA, Blue tooth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 별도의 확인절차를 거치게 하거나, 통신기기가 분실된 경우 암호화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에 사생활 보호를 설정하고 암호를 입력하지 않고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분실시 일어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이나 삭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단말기 분실시 보다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함으로써 분실로 인한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시, 특수메시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특수메시지인 경우, 상기 특수메시지로부터 추출된 특수암호를 검증하여 유효한 정보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한 정보일 경우, 메모리에 락(lock)을 걸어 엑세스를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전화번호와 상기 특수암호를 포함하는 메시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암호는 사생활 보호를 설정하기 위해 별도로 설정된 비밀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통신을 할 때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되는 경우,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암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암호가 유효한 경우, 메모리의 락(lock)을 해제하여 엑세스를 허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유선 케이블(RS232C 및 USB)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IrDA 및 Blue tooth)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5660A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KR20060094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60A KR20060094564A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60A KR20060094564A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564A true KR20060094564A (ko) 2006-08-30

Family

ID=3760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660A KR20060094564A (ko) 2005-02-25 2005-02-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45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42B1 (ko) * 2007-12-24 2009-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민감형 데이터 유출 검출 장치 및 방법
US8626125B2 (en) 2011-08-24 2014-01-07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42B1 (ko) * 2007-12-24 2009-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민감형 데이터 유출 검출 장치 및 방법
US8626125B2 (en) 2011-08-24 2014-01-07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130B2 (en) Method for locking and releasing a camera in a portable terminal
CN104038613A (zh) 信息安全管理的方法和装置
KR2007000586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915203B2 (ja) 携帯端末設定システム、携帯端末設定方法および携帯端末設定プログラム
KR101067146B1 (ko)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KR100650680B1 (ko) 데이터 세부잠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60094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JP200730042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95243B1 (ko) 플랫폼 계층에서 보안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21461A (ko) 휴대단말기에서 신용카드결제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JPH09322246A (ja) 無線携帯端末装置
KR1013590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70353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바코드 생성 방법
KR100618267B1 (ko)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생성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87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
KR100664259B1 (ko) 정보보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02635B1 (ko) 동화상 전화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100692004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87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KR100703608B1 (ko) 심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환경 설정 방법
JP4595812B2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携帯電話端末の画面表示方法
KR1007769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KR200500891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