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103A -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103A
KR20050089103A KR1020040014271A KR20040014271A KR20050089103A KR 20050089103 A KR20050089103 A KR 20050089103A KR 1020040014271 A KR1020040014271 A KR 1020040014271A KR 20040014271 A KR20040014271 A KR 20040014271A KR 20050089103 A KR20050089103 A KR 2005008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ecret
received
portable terminal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철
이민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103A/ko
Publication of KR2005008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송시 비밀수신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싱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이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되는 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METHOD FOR SERVING MESSAGE I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전송시 비밀수신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 이외에 메시지 기능이 지원되어, 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메시지로는 문자(Text)만으로 이루어진 SMS(Short Messaging Service)와 문자와 더불어 영상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MMS(Mutli-Media Messaging Service)로 크게 나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 SMS나 MMS 메시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 또는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중요한 메시지인 경우나 사생활 보호차원의 메시지인 경우에 있어 보호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제한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는 있지만, 수신된 모든 메시지의 확인하는 절차에 사용제한되어 있으므로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사용제한 기능은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이므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절차에 사용제한을 설정해 놓지 않은 경우라면 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제한없이 유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메시지 전송시 비밀수신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자의 상태와 상관없이 발신자가 메시지의 보안 여부를 결정하여 발신자 및 수신자가 중요 정보에 대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싱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이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되는 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시지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메시지를 비밀 메시지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메시지로 전송하고자 선택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를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중 선택된 해당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비밀 메시지이면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하거나, 암호를 해독하여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중 선택된 해당 메시자가 일반 메시지이면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비밀 메시지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표시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일반 메시지는 상기 비밀 메시지와 같이 암호화된 메시지가 아닌 메시지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하가의 설명에서 비밀 메시지와 일반 메시지는 문자(Text) 또는 영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업시간표에 관한 알림 벨/멜로디를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암호화된 메시지의 비밀번호와 동일한 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한적으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할 경우, 송신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가를 판단하여 비밀 메시지이면 설정된 비밀번호와 키패드27을 통해 입력되는 번호의 동일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비밀메시지를 그대로 메모리29에 저장하거나, 일반메시지로 메모리29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50을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한다.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카메라 촬영 모드시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밀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밀메시지의 비밀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입력되어 암호화가 해독되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한 카메라50과 신호 처리부60 및 영상 처리부70은 문자 메시지에 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문자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말에서의 필수구성요소는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5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6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70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은 키패드27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키데이터가 메시지 전송모드를 실행시키는 키데이터이면 메시지 전송모드를 실행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키패드27을 통해 작성하거나, 메모리29에 기 저장된 메시지를 선택한다. 이후, 제어부10은 상기 키패드27을 통해 비밀메시지로 전송할것인지 일반 메시지로 전송할 것인지에 대해 선택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결과, 비밀메시지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면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한 과정을 통해 작성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비밀메시지인지 일반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0은 수신 메시지를 메모리29에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신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키패드27의 키입력에 의해 메시지 전송모드가 실행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모드를 샐행을 요구하면, 2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제어부10은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키패드27을 통해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메모리29에 기 저장된 메시지일 수 도 있다.
상기 213단계를 통해 메시지를 작성한 이후, 2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비밀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상기 비밀메시지가 아닌 일반 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하면, 217단계에서 제어부10은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비밀정보 없이 메시지를 작성한다.
반면, 상기 확인결과,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상기 비밀메시지로 전송하고 자 하면, 219단계에서 제어부10은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비밀정보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작성한다.
예컨대, 비밀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키패드27의 키버튼중 특정키("#"버튼)를 소정시간 입력한다. 또는 상기 메시지 전송모드의 하위메뉴로 비밀메시지로 선택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한 과정을 통해 메시지의 암호화여부가 결정되면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주체는 크게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체적으로 메시지를 암호화한다.
둘째, 이동통신 사업자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메시지를 암호화한다.
상기한 첫번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서 비밀문자정보와 함께 메시지본문을 혼합(mixing)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제조업체가 동일한 단말기간에서만 비밀메시지와 일반메시지로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 비밀메시지와 일반메시지로 구분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22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전송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전송키가 입력되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작성된 비밀메시지, 혹은 일반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221단계의 판단결과, 전송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은 225단계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종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과정을 통해 작성된 비밀메시지, 혹은 일반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메시지 전송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다음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서비스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제어부10은 상기 수신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인지 혹은 일반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수신 메시지의 비밀메시지는 수신 메시지의 데이터에 비밀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헤더정보의 포함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비밀메시지이면 제어부10은 표시부80에 곧바로 수신 비밀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비밀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만을 표시하거나, 비밀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수신된 비밀메시지를 확인하기 수신 메시지 목록 리스트중 위해 해당 비밀메시지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3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비밀번호 입력대기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대기상태라 함은 암호화된 비밀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는 과정임을 인지해야 할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대기 상태에서 암호화된 비밀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키패드27을 조작하여 번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는 일예로 4자리 숫자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비밀메시지의 암호화를 해독하는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미리 4자리의 숫자로 설정해야함을 인지해야 한다.
317단계에서 제어부10은 키패드27을 통해 입력되는 4자리 숫자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되는 4자리 숫자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319단계에서 제어부10은 표시부80에 비밀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4자리 숫자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32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80에 표시하거나 스피커SPK를 통해 알림음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휴대용 단말기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정 회수 반복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비밀 메시지는 메모리29에서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전술한 비밀 메시지와 일반 메시지는 수신과 동시에 메모리29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메모리29에 저장되거나 삭제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비밀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로 상기 메모리29에 저장할 수도 있고, 비밀 메시지를 그대로 암호화된 상태의 비밀 메시지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수신 메시지 목록중 관리하고자하는 수신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413단계에서 제어부10은 상기 선택된 수신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비밀 메시지이면 4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메모리29에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다.
이에, 사용자가 암호화된 상태 그래도 비밀 메시지를 관리하고자 하면, 417단계에서 제어부10은 메시지 수신시의 비밀 메시지 데이터 형식으로 메모리29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413단계에서 비밀 메시지가 아닌 일반 메시지인 경우와 상기 415단계에서 비밀 메시지로 저장하고자 하지 않으면, 제어부10은 419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9에 일반 메시지로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다.
이에, 사용자가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고자 하면 42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일반 메시지로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비밀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고자 하면 제어부10은 암호화된 비밀 메시지를 해독한후의 일반 메시지 형식으로 메모리29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419단계에서, 일반 메시지로로 저장하고자 하지 않으면 메모리29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삭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시지(SMS, MMS)를 전송하는 발신자가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면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는 이를 비밀 메시지로 인식하여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비밀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측에서 발신 메시지의 보안을 결정함으로 인해 정보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정보 유출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중요한 정보의 메시지나 사생활 보호 차원의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확인기능에 사용제한하여 일반 메시지 확인시에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신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데이터 처리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50: 카메라
60: 신호처리부 70: 영상 처리부
80: 표시부 MIC: 마이크
SPK: 스피커 ANT: 안테나

Claims (13)

  1. 메시지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싱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이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되는 번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문자(Text) 또는 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가 아니면 일반 메시지로 판단하여 그 일반 메시지의 본문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메시지는 문자 또는 영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일반 메시지를 암호화할 수 있는 비밀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비밀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은 수신된 메시지의 헤더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방법.
  8. 메시지를 송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작성된 메시지를 비밀 메시지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메시지로 전송하고자 선택하면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메시지의 전송 여부 선택은 특정키를 소정시간이상 입력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메시지는 문자 또는 영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일반 메시지를 암호화할 수 있는 비밀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암호화는 휴대용 단말기측에서 메시지의 본문 내용과 비밀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혼합하여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암호화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메시지의 본문 내용과 비밀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혼합하여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수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를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중 선택된 해당 메시지가 비밀 메시지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비밀 메시지이면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하거나, 암호를 해독하여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의 목록 리스트중 선택된 해당 메시자가 일반 메시지이면 일반 메시지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14271A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50089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71A KR2005008910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71A KR2005008910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03A true KR20050089103A (ko) 2005-09-07

Family

ID=3727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271A KR2005008910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1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52B1 (ko) * 2005-08-0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 처리된 영상 추출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827185B1 (ko) * 2006-11-24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0062102A (zh) * 2017-12-05 2019-07-26 成哉昊 聊天窗口中提供隐藏信息服务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52B1 (ko) * 2005-08-0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 처리된 영상 추출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827185B1 (ko) * 2006-11-24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0062102A (zh) * 2017-12-05 2019-07-26 成哉昊 聊天窗口中提供隐藏信息服务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762B1 (ko) 휴대 영상 전화 단말, 휴대 영상 전화 시스템, 및 휴대 영상 전화 단말의 발호 및 착호 방법
US20090060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ed Communication Connections Using a Secured Communication Connection Object
JP4330255B2 (ja) 携帯端末
KR200500891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70021461A (ko) 휴대단말기에서 신용카드결제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US200501829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external memory for portable terminal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JP2856707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50048936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 보호 방법
KR100790183B1 (ko) 휴대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방법
KR100546614B1 (ko) 외부기기를 이용한 전화 메시지 출력장치 및 방법
JP5008233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9787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KR100664259B1 (ko) 정보보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004110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KR100600364B1 (ko) 송신 데이터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송신용 무선통신단말기와 원격 제어에 따른 수신 데이터 처리 기능을가지는 수신용 무선통신 단말기
JP2002112338A (ja) コンテンツ伝達方法及びコンテンツ伝達サーバー
KR200600343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암호화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 방법
KR2008004695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방법
KR200400670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삭제 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066346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KR1006634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