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79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790B1
KR100978790B1 KR1020030064292A KR20030064292A KR100978790B1 KR 100978790 B1 KR100978790 B1 KR 100978790B1 KR 1020030064292 A KR1020030064292 A KR 1020030064292A KR 20030064292 A KR20030064292 A KR 20030064292A KR 100978790 B1 KR100978790 B1 KR 10097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ncryption value
specific fun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929A (ko
Inventor
김두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7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에 있어서,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연결부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암호화한 값을 입력받으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력된 암호화 값을 저장하여 특정 기능을 해제하여, 공공장소나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안사항이 불법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보안, 원격제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METHOD FOR SPECIFIC FUNCTION LIMITATION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공장소나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급진적으로 발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증가하였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게임 기능, MP3 기능, 디지털 카메라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결합되면서 소위 `카메라폰'의 시대가 열렸다. 기능이 급속히 개선된 카메라폰은 정화상(스틸사진) 뿐 아니라 동영상까지도 상당한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폰은 필요한 순간에 거의 손안에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생활속에서 언제라도 원하는 사진을 찍어 인터넷에 올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카메라폰의 오ㆍ남용 문제가 이미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개인의 사생활을 몰래 촬영하거나, 기업비밀을 불법적으로 유출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 일부기업들은 기업의 기밀문서가 카메라폰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안구역에서는 카메라폰의 휴대를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폰의 오ㆍ남용을 막기 위해 카메라폰으로 사진을 촬영할 때 반드시 신호음을 내거나 빛을 발산하도록 제조사에 의무화하는 방안과 공중목욕탕 등 특정장소에서의 카메라폰 사용을 아예 금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는 진동모드 혹은 매너모드에서 사진촬영을 할 경우, 아무 소리도 없어 상대방이 촬영여부를 알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장소나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 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컴퓨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암호화한 암호화 값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암호화 값을 입력받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암호화 값을 저장하여 특정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필드가 설정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된 경우, 특정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도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Micro-processor Unit)(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암호화 값을 입력받아 특정기능을 해제하거나 해제된 특정기능을 복구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 램(flash memory)(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암호화 값을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menu), 문자전송키, 통화, 지움, 종료, *, #, 스크롤키(Up/Down key)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송화부(116) 및 수화부(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화부(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수화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연결부(124)는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00)와 외부에 연결되는 컴퓨터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특정기능을 해제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암호화 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외부 컴퓨터와 데이터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하고, 212단계에서 외부 연결부(124)로부터 암호화 값을 입력받는다.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연결부(124)를 통해서 상기 암호화 값을 입력받아 플래쉬램(106)에 저장한다. 상기 암호화 값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졌다가 켜진후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래쉬램(106)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 값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이나 전화번호를 암호화한 값이다.
이후 2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면 216단계로 진행하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2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암호화 값을 플래쉬램(106)에 저장한다. 이후 23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특정 기능을 해제한다. 일 예로,상기 특정 기능은 카메라 기능, 피씨 링크(PC-Link) 기능,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등이다.
상기 2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과 입력된 암호화 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과 입력된 암호화 값이 일치하면 2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을 삭제한다. 이후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해제된 특정 기능을 복구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컴퓨터와 연결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컴퓨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컴퓨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이나 전화번호를 읽어서 암호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암호화된 값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다. 암호화 값을 입력받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암호화 값을 저장하고 특정 기능을 해제한다. 특정 기능이 해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시 암호화 값이 입력되어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과 일치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을 삭제하고 해제된 특정 기능을 복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310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수행하고, 312단계에서 오버헤드 메세지(overhead message)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314단계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속적인 통신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파라미터와 정보를 포함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세지를 일정주기로 교환하게 된다. 상기 CAI(common air interface)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링크의 물리적, 논리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방 표준세트로서,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 규약이다. 특히 음성 및 비음성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주파수, 통신방식, 접속방법 등 공통적인 무선 접속조건의 표준 규격이다.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는 기지국의 특수 정보 및 시스템 차원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호출 채널상으로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내는 메세지이다.
이후 3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수신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분석한다. 이후 3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된 경우 318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31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특정기능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필드가 설정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여 설정된 경우 특정기능을 해제한다. 해제된 기능은 오버헤드 메세지를 수신받는 지역에 있는 동안 지속된다.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되는 지역을 벗어나면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동으로 해제된 기능이 다시 복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은 공공장소나 보안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안사항이 불법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외부 컴퓨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암호화한 암호화 값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암호화 값을 입력받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연결부를 통해서 입력된 암호화 값을 저장하여 특정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 및 상기 입력된 암호화 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 및 상기 입력된 암호화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화 값을 삭제하여 상기 해제된 특정 기능을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값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이나 전화번호를 암호화한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4. 특정 필드가 설정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오버헤드 메세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헤드 메세지의 특정 필드값이 설정된 경우, 특정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의 특정 필드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제된 기능을 복구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
KR1020030064292A 2003-09-17 2003-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KR10097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292A KR100978790B1 (ko) 2003-09-17 2003-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292A KR100978790B1 (ko) 2003-09-17 2003-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929A KR20050028929A (ko) 2005-03-24
KR100978790B1 true KR100978790B1 (ko) 2010-08-30

Family

ID=3738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292A KR100978790B1 (ko) 2003-09-17 2003-09-17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49B1 (ko) 2005-04-2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106695B1 (ko) * 2005-09-28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217A (ja) 1998-11-09 2000-05-30 Toshiba Corp 映像取得制限システム、映像取得許否信号送信装置および映像取得制限装置
JP2001358827A (ja) 2000-06-16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端末利用認証方式及び認証カード及び携帯端末
JP2002135838A (ja) 2000-10-19 2002-05-10 Ofaa Sekkei Jimusho:Kk 携帯型電気機器の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電気機器及び制御信号発信装置。
JP2002182275A (ja) 2000-12-19 2002-06-26 Konica Corp 写真撮影許可機能付きカメラ、写真撮影許可システム及び写真撮影許可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217A (ja) 1998-11-09 2000-05-30 Toshiba Corp 映像取得制限システム、映像取得許否信号送信装置および映像取得制限装置
JP2001358827A (ja) 2000-06-16 2001-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端末利用認証方式及び認証カード及び携帯端末
JP2002135838A (ja) 2000-10-19 2002-05-10 Ofaa Sekkei Jimusho:Kk 携帯型電気機器の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電気機器及び制御信号発信装置。
JP2002182275A (ja) 2000-12-19 2002-06-26 Konica Corp 写真撮影許可機能付きカメラ、写真撮影許可システム及び写真撮影許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929A (ko)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7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기능 제한 방법
JP5023354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US200501829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external memory for portable terminal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547837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기능 제어 방법
KR2007007664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제한 방법
KR100641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자음성정보갱신방법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101002635B1 (ko) 동화상 전화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07769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KR101121139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664259B1 (ko) 정보보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891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832268B1 (ko) 휴대 단말기의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1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방법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JP2002112338A (ja) コンテンツ伝達方法及びコンテンツ伝達サーバー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1013673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JP4362773B2 (ja) 送受話システム
KR1010108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보안 방법
KR1011014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기능 정지 방법
KR100678579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설 인증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