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954A -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954A
KR20140054954A KR1020120121080A KR20120121080A KR20140054954A KR 20140054954 A KR20140054954 A KR 20140054954A KR 1020120121080 A KR1020120121080 A KR 1020120121080A KR 20120121080 A KR20120121080 A KR 20120121080A KR 20140054954 A KR20140054954 A KR 2014005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added
heat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춘
윤병선
위안진
오찬진
박병건
한인화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2012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954A/ko
Publication of KR2014005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9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J23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화된 모람을 가열기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에 첨가하여 가열기로 가열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에 천연성분의 모람이 갖는 항균작용으로 인해 필름에 항균작용및 산소투과도 억제를 갖도록하여 상기 필름을 신선식품을 포장재로 사용시 신선식품에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시키도록 항균성을 확보하여 신선식품의 선도를 높게 유지하여 신선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도록 한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Film manufacturing method added moram and Film added moram}
본 발명은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화된 모람을 가열기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에 첨가하여 가열기로 가열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에 천연성분의 모람이 갖는 항균작용으로 인해 필름에 항균작용 및 산소투과도 억제를 갖도록하여 상기 필름을 신선식품을 포장재로 사용시 신선식품에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시키도록 항균성을 확보하여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높게 유지하여 신선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도록 한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기까지 몇 단계의 저장 및 유동과정을 거치는 식품들의 상품가치는 신선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데, 이들의 신선도유지에 가장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포장자재(필름)의 기능이라고 볼수 있다.
포장자재(필름)는 내용물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수분, 산소, 미생물 등과 같이 신선도에 나쁜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제거하거나 이들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막아준다.
포장된 식품은 비포장 식품과는 다른 분위기에 놓이게 된다. 대기중에는 노출된 식품은 공기와 미생물들과 항상 접촉하고 있는 반면, 포장된 식품은 포장내부의 특수한 기체조성과 깨끗한 환경에 놓이게 되어, 비록 온도가 좀높아서 상온부근에 이르더라도 쉽게 변질되지 않고 교정된 분위기MA(Modified Atmosphere)에 있게 된다. MA포장에 쓰이는 포장필름은 미생물의 발현과 숙성이 멈추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화학적 변질이 방지된다.
최근들어 선도유지를 위해 다양한 기능성 재료를 조합하여 흡수, 가스조절, 습도조절, 항균효과 등의 기능을 가진 포장자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자재의 소재로서는 유리, 종이, 나무, 금속, 합성수지재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합성수지재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여러가지 형태의 포장자재로 가공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투명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포장자재는 포장되는 신선품을 포장만하여 신선품의 외형유지와 신선식품을 포장재로 포장하여 디스플레이할때 보기 좋게만 사용할 수 있을뿐, 장기간 포장자재에 신선식품을 보관시 보장자재에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신선식품에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신선식품이 부폐하여 장기간 보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분말화된 모람을 가열기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에 첨가하여 가열기로 가열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에 천연성분의 모람이 갖는 항균작용으로 인해 필름에 항균작용을 갖도록하여 상기 필름을 신선식품을 포장재로 사용시 신선식품에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시키도록 항균성 및 산소투과도 억제를 확보하여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높게 유지하여 신선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도록한 새로운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필름제조방법은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채취하여 세척하여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0)와; 건조된 상기 모람의 잎, 줄기, 열매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모람을 분말화하는 단계(S200)와;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를 가열기로 용용하는 단계(S300)와; 용융된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분말화된 모람을 투입하여 혼합하면서 가열기로 가열시키는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와 모람분말의 혼합단계(S400)를 포함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 21 내지 29kg에 상기 모람 분말 90 내지 110g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상기 모람분말을 혼합하여 가열기로 가열하는 온도는 145 내지 1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모람분말이 포함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말화된 모람을 가열기로 용융된 폴리에틸렌수지에 첨가하여 가열기로 가열하여 필름을 제조하여 필름에 천연성분의 모람이 갖는 항균작용으로 인해 필름에 항균작용 및 산소투과도 억제를 갖도록하여 상기 필름을 신선식품을 포장재로 사용시 신선식품에서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시키도록 항균성을 확보하여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높게 유지하여 신선식품의 저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성적서.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성적서이다.
발명에 따른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및 모람이 첨가된 필름을 도 1에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람{Ficus nipponica}은 한국자생식물로서, 뽕나무과의 식물로 잎은 두껍고 타원형이며 광택이 나는 표면과 흰빛이 도는 뒷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모람의 열매는 약 1cm의 직경을 가지며 초록색으로 완숙시 보랏빛을 띠게 된다.
민간에 알려진 바로는 잎,열매,수피 및 근피를 해독, 하열, 야뇨, 당뇨병, 편도선, 간장에 좋은 효능을 가지면 살충제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모람에는 황산화작용 및 항균성을 갖는 황산화물질 및 항균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건조시키는 단계: S100]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채취하여 준다.
상기 모람의 잎과 줄기는 봄에 채취하고, 상기 열매는 늦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채취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채된 상기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세척하여 준다.
이러하게 세척된 상기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상온에서 건조시켜준다.
[모람을 분말화하는 단계: S200]
잘 건조된 상기 모람의 잎, 줄기, 열매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준다.
상기 모람의 잎, 줄기, 열매의 분말은 고운분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를 용용하는 단계: S300]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를 가열기로 용용하여준다.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와 모람분말의 혼합단계: S400]
용융된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분말화된 모람을 투입하여준다.
또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 21 내지 29kg에 상기 모람 분말 90 내지 110g을 계량기로 계량하여 투입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분말화된 모람을 혼합기로 혼합하여준다.
이러하기 혼합되는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분말화된 모람에 가열기로 가열시켜 혼합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상기 모람분말을 혼합하여 가열기로 가열하는 온도는 145 내지 15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인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은 용융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25kg에 모람분말 25kg을 가열혼합하면서 150℃에서 두께 40㎛, 폭 45cm의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과 대조하기 위해, 대조군 필름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를 두께 40㎛, 폭 45cm의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필름과 대조군 필름에 대해 산소투과도와 항균성을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산소투과도의 실험예]
도 2의 시험성적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과 대조군 필름에 대한 산소투과도는 산소투과측정기(Gas Transmission Rate Model BT-3, Toyoseki Co,. Japan)로 3회 반복하였으며 상대습도 0%로 유지시킨후, 23℃에서 시험하였다.
상압부 계기압력은 138 kPa으로 고정하였고, 산소의 유입속도는 20 cc/min를 유지하였다, 투과된 산소의 운반기체로서는 질소를 사용하였다.
아래 표1의 시험성적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필름에 대한 산소투과는 약 4,200 cc/day˚㎡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필름에 대한 산소투과도는 약 4,000 cc/day˚㎡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모람을 첨가된 본 발명의 필름은 약 5%정도 산소투과 억제효과를 볼수가 있다.
모람의 경우에 첨가량을 늘려 필름을 제조시 보다 높은 산소투과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필름을 포장재로 사용시 상기 포장재에 포장되는 신선식품의 산소투과를 포장재의 외부로 배출을 억제하여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항균성의 실험예]
모람이 첨가된 필름에 사용되는 균주는 E.coil,Ps.aeruginosa, B.cereus이다. 고체 배지에 접종된 균들은 항균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균을 접종한 고체배지상에 항균물질을 함유한 micro disc를 배치시켜 disc 주위로 균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항균효과를 지닌 화합물이 존재하면 균의 성장이 억제된 클리어존을 관찰하였다.
항균화합물의 농도가 높거나 그 효과가 강할수록 클리어존의 직경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본 실험에서는 모람의 잎, 줄기, 열매추출액을 micro disc 에 적신 후 고체 배지에 배치하여 클리어존의 직경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 모람의 잎, 줄기, 열매추출액이 첨가된 micro disc가 균주 E.coil,Ps.aeruginosa, B.cereus이다. 고체 배지에서 클리어존의 직경이 늘어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람이 첨가된 필름에는 미생물활성작용을 억제하는 항균성이 포함되어 있어서, 모람이 첨가된 필름을 포장재로 사용시 상기 포장재에 포장되는 신선식품에 대해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시켜 신선식품을 상기 포장장재에 보관시 신석식품을 보다 장기간 부폐없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00: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건조시키는 단계
S200: 모람을 분말화하는 단계
S300: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를 용용하는 단계
S400: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와 모람분말의 혼합단계

Claims (6)

  1. 모람의 잎과, 줄기와, 열매를 채취하여 세척하여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0)와;
    건조된 상기 모람의 잎, 줄기, 열매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모람을 분말화하는 단계(S200)와;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를 가열기로 용용하는 단계(S300)와;
    용융된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분말화된 모람을 투입하여 혼합하면서 가열기로 가열시키는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와 모람분말의 혼합단계(S400)를 포함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 21 내지 29kg에 상기 모람 분말 90 내지 110g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용융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상기 모람분말을 혼합하여 가열기로 가열하는 온도는 145 내지 1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5.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에 모람분말이 포함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Polyetylene)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er Density Polyetylene:LDEP)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람이 첨가된 필름.
KR1020120121080A 2012-10-30 2012-10-30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KR2014005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80A KR20140054954A (ko) 2012-10-30 2012-10-30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80A KR20140054954A (ko) 2012-10-30 2012-10-30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617A Division KR20140120289A (ko) 2014-08-25 2014-08-25 모람성분이 첨가되어 항균 및 산소투과억제 기능을 갖는 필름
KR1020140110616A Division KR20140120288A (ko) 2014-08-25 2014-08-25 모람성분이 첨가되어 항균 및 산소투과억제 기능을 갖는 필름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54A true KR20140054954A (ko) 2014-05-09

Family

ID=5088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080A KR20140054954A (ko) 2012-10-30 2012-10-30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4159A (zh) * 2018-08-08 2018-12-21 界首市王集镇顺义家庭农场 一种新型果蔬保鲜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4159A (zh) * 2018-08-08 2018-12-21 界首市王集镇顺义家庭农场 一种新型果蔬保鲜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969A (zh) 功能性膜、功能性容器及保鲜方法
Del Nobile et al. New packaging strategies to preserve fresh-cut artichoke quali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Hu et al. 1-Methylcyclopropene (MCP)-containing cellulose paper packaging for fresh fruit and vegetable preservation: a review
KR20100129409A (ko) 과실의 연화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과실의 연화방지방법
RU2640540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лажности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лажности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Balanon et al. Application of biodegradable film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red chili (Capsicum annuum cv. Jinda)
KR101297647B1 (ko) 곶감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포장방법
KR20140054954A (ko) 모람이 첨가된 필름제조방법
KR100610159B1 (ko) 기능성 펄프 조성물
KR20140120289A (ko) 모람성분이 첨가되어 항균 및 산소투과억제 기능을 갖는 필름
KR20180083156A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신선도 유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지
Scheuermann et al. Effects of packaging and preservation treatments on the shelf life of murtilla fruit (Ugni molinae Turcz) in cold storage
JPS61108359A (ja) 青果物の保存包装材料および保存方法
CA1264956A (en) Preservation of foodstuffs, plants and plant materials and packaging material for use in this preservation
US20230062559A1 (en) Humidity control material for fruits and vegetables, storage contai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methods of preserving fruits and vegetables
KR20140120288A (ko) 모람성분이 첨가되어 항균 및 산소투과억제 기능을 갖는 필름제조방법
KR101170349B1 (ko) 송이버섯을 장기간 안전하고 유효하게 보존하는 방법
JP6120232B1 (ja) 青果物の成熟抑制材
CN108175028A (zh) 一种食品用脱氧干燥剂
CN107856982B (zh) 一种韭菜保鲜包装膜
JP2016127807A (ja) 包み込み式の香り付き木なり脱渋柿の製造方法
Hosseinnia et al. Zeolite‐based polymer composite films for vegetables and fruits packaging: A review
Bhuvaneswari et al. Eco friendly packages for freshness retention and shelf life extension of tuberose flower
CN108126488A (zh) 一种杀菌除湿干燥剂
KR101604225B1 (ko) 과채류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신선도 유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5

Effective date: 201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