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248A - 함수 첩부제 - Google Patents

함수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248A
KR20140054248A KR1020147006774A KR20147006774A KR20140054248A KR 20140054248 A KR20140054248 A KR 20140054248A KR 1020147006774 A KR1020147006774 A KR 1020147006774A KR 20147006774 A KR20147006774 A KR 20147006774A KR 20140054248 A KR20140054248 A KR 2014005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iethylene glycol
adhesive layer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이사 카와무라
류재필
Original Assignee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한편, 용이하게 균일한 두께로 도포 할 수 있는 함수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함수 첩부제는, 지지체; 및, 이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에, 리도카인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친수성 점착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함수 첩부제{HYDROUS ADHESIVE SKIN PATCH}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하는 함수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약물의 서방이나 국소적인 공급 등을 목적으로, 함수 첩부제에 의해 약물을 경피 흡수시키는 것이 실행되었다. 예를 들어, 리도카인은, 대상 포진 혹은 대상 포진 후 신경통 등의 지속성 동통의 완화약, 국소 마취약 등으로 기능 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들의 용도에서는, 약물을 환자의 체내에 서방하는 것, 또 국소 환부에 약물을 송달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므로, 경구나 주사 등의 투여 경로보다 경피에 의한 흡수가 적절하여, 첩부제가 주목받고 있다(특허 문헌 1및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등록 특허 공보 제 3115615호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팜플렛 WO2001/47559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첩부제는, 넓은 면적의 필름(박리 라이너) 또는 지지체 위에 점착제를 도포(塗膏;inunction)한 후, 점착제의 두께를 제한하는 부재를 통해, 두께를 정리한 후, 제품으로서 적절한 크기의 첩부제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점착제는,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어렵고, 두께가 불균일해지기 쉽다. 또한, 점착제의 탄성력이 강하기 때문에, 첩부제의 제조 장치(특히 상기 제한 부재)에 강한 부하를 가해 고장나게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한편, 용이하게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는 함수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지지체; 및, 이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함수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리도카인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친수성 점착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2) (1) 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함수 첩부제.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함수 첩부제.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상기 점착제층 대비 30 질량% 이하의 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점착제는, 폴리 아크릴산류를 포함하는 함수 첩부제.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상기 점착제층 대비 40 질량%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7) 환자의 대상 포진 또는 대상 포진 후 신경통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피부에,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함수 첩부제를 적용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함수 첩부제의 점착제층에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를 배합(함유)함으로써, 첩부제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리도카인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쉬운 동시에, 점착제의 탄성력이 저하되므로, 첩부제의 제조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한편, 용이하게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는 함수 첩부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첩부제의 tan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첩부제의 응력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첩부제를 이용했을 때의 혈장중 리도카인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첩부제를 이용했을 때의 혈중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함수 첩부제는, 지지체; 및, 이 지지체상에 위치되어 리도카인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각 요소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함수 첩부제에서는, 점착제층에, 리도카인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친수성 점착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가 배합된다. 이것에 의해, 첩부제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리도카인 등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 하기 쉽고, 또한, 점착제의 탄성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첩부제의 제조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가 억제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균일」은, 제조 과정에서의 점착제층의 두께 균일성, 즉, 동일 로트(lot)로 제조된 각 첩부제(제조 과정에서 절단되어 이루어진다)의 점착제 사이에서의 점착제 양의 균일성을 나타낸다.
리도카인은, 대상 포진 혹은 대상 포진 후 신경통 등의 지속성 동통의 완화약, 국소 마취약, 항부정맥약으로 알려져 있어, 일본약전에 수재되어 있는 유용한 약물이다.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리도카인은, 주로 유리된 형태이지만,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도카인 및/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하, 리도카인류라고도 한다)의 배합량(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너무 많으면, 리도카인류가 지나치게 석출되어, 제제중에 보유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너무 적으면, 충분한 작용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리도카인류의 배합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대비 0. 1 질량%~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0 질량%~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10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다. 본 발명은, 상기 범위의 양으로 리도카인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쉽고, 점착제의 탄성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이들을 1종류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점에서, 적어도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점에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포시 점착제의 경도를 저하시킬 경우, 제조 후 첩부제의 점착제층의 점착력도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는, 이러한 문제를 양립하여 해결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디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려운 반면, 너무 많으면, 점착제층에서 액체 성분(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등)이 삼출(블리딩)되기 쉽다. 따라서, 디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의 배합량의 합계는, 점착제층 대비 0.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물의 배합량은, 제제의 제조상 허용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에서의 물의 배합량이 적으면 점착제가 딱딱해져 도포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점착제층에 대한 물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대비 4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28 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물의 배합량은 점착제층 대비 40 질량%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물 함유량의 하한선이 너무 적으면, 다른 성분(예를 들어, 글리세린 등)의 배합량이 커져, 제조 비용이 늘어나거나, 충분한 양의 다른 성분(예를 들어, 폴리 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이 용해되지 않는 것 등을 고려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대비 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다.
친수성 점착제는, 함수 첩부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 아크릴산류가 바람직하다. 폴리 아크릴산류로서는, 폴리 아크릴산,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폴리 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예를 들어 「NP-800(상품명)」및 「NP-700(상품명)」(쇼와덴코))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도, 상기 범위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점착력 증가의 억제 및 뛰어난 재접착력(再貼着力)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대비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의 상한선은, 물의 배합량, 제조 비용이나 블리딩이 생기기 쉬운 것 등을 고려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솔비톨,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1, 3-프로판디올, 1, 3-부탄디올, 1, 4-부탄디올, 1, 2, 6-헥산트리올, 멀티톨, 및 자일리톨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에는, 농글리세린(글리세린 함량 98. 0~101. 0%), 및 그 밖의 글리세린(글리세린 함량 84~87%)이 포함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농글리세린(글리세린 함량 98. 0~101. 0%)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서, 무기 분체, 계면활성제, 가교제, 가교 조절제, 점착 증강제, 리도카인류의 용해제, pH조절제, 청량화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무기 분체, 산화 방지제, 방부제, 색소, 보습제 등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
무기 분체로서는, 예를 들어 카올린,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무수 규산, 경질무수 규산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 티타늄 및 무수 규산의 1종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분체는, 점착력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한다. 따라서, 무기 분체의 배합량은,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과의 합계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대비 50 질량% 이상이 되는 양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세스퀴올레산 솔비탄, 모노 라우르산 솔비탄, 모노 팔미트산 솔비탄, 모노 스테아르산 솔비탄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 라우르산 헥사 글리세릴, 데카올레산 데카글리세릴 등의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올레산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모노 올레산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테트라 올레산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톨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올레산 폴리 옥시 에틸렌 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 옥시 에틸렌세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 옥시 에틸렌폴리 옥시 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데실 테트라 데실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스테아르 산 아미드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 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트리올레산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 모노 올레산 폴리옥시 에틸렌 솔비탄(폴리 솔베이트 80)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pH는, 바람직하게는 4. 5~9, 더 바람직하게는 6~7. 4로 조정된다. 4. 5 미만일 경우, 약물, 특히 리도카인의 피부에 대한 이행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점착제층의 pH는 4.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이 약산성의 pH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교제와 다른 것, 구체적으로는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 아세테이트(별명;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 아세테이트의 알루미늄은, 약산성 내지 중성 부근에서 양호하게 용출되어, 후술하는 폴리 아크릴산(염) 등과 양호하게 가교 반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가교제로서는,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 아세테이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가 금속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상술한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 아세테이트,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겔과 같은 수산화물, 혹은 염화 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아세트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알루미늄과 같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염, 알루미늄 명반과 같은 복염, 알루민산 나트륨과 같은 알루민산 염, 무기성 알루미늄 착염 및 유기성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루미늄 화합물은 수용성일 수도 있고, 난용성일 수도 있다.
그리고 pH는 pH조정제를 이용해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pH조정제로서는, 주석산, 인산, 말산, 구연산, 염산, 수산화 나트륨, 트리 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디이소프로판올 아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나, 주석산, 인산이 바람직하다.
점착 증강제로서는, 메타크릴산·아크릴산 n-부틸 공중합체, 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에틸 헥실 공중합체, 폴리부텐, 에스테르 검, 테르펜 수지, 지환족 포화 탄화 수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점착제층의 전체 질량 대비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가교 조절제(킬레이트제)로서는, 에데트산 나트륨(에틸렌 디아민 4 아세트산 2 나트륨), 구연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나, 에데트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리도카인류의 용해제로서는, 크로타미톤, N-메틸-2-피롤리돈, 박하유, 1, 3-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청량화제로서는, 캠퍼, 티몰 외, l-멘톨, dl-멘톨, 2-메틸-3-(l-멘틸 옥시) 프로판-1, 2-디올, 3-l-멘톡시 프로판 1, 2-디올, 5-메틸-2-(l-메틸 에틸)-사이클로 헥실-2-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멘톨 유도체등 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증점제)로서는, 젤라틴, 한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카라기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초산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그 유도체,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수소 나트륨, 피로 아황산 나트륨, 아질산 나트륨,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방부제(보존제)로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틸, 파라옥시 안식향산 프로필, 파라옥시 안식향산 부틸, 티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색소로서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법정 색소 핸드북에 기재된 색소를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솔비톨, 멀티톨, 피롤리돈 카복실산, 피롤리돈 카복실산 나트륨, 젖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은, 보습제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지지체]
지지체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첩부제에 이용되는 직포, 부직포, 편포(編布) 등의 포백(布帛), 수지 필름, 종이 및, 그들의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체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레이온, 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면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구성된 지지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백색, 살색 등의 도료를 인쇄하거나 니딩(kneading)하여 착색시키거나 문자 등을 기입한 지지체를 이용힐 수 있고, 점착제의 투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우레탄 처리나, 광택 제거 처리 등을 실시한 지지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에 의한 첩부제는, 점착제층을 피복하는 박리 라이너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 라이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실리콘 등의 박리 처리된 것,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 또한, 백색 등의 도료를 인쇄하거나 니딩한 것을 박리 라이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첩부제는, 임의의 용도로 사용 될 수 있지만, 특히, 대상 포진 혹은 대상 포진 후 신경통 등의 지속성 동통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첩부제는, 종래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고, 상기 필수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임의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균일해질 때까지 반죽(練合)하여, 첩부제 단위 면적 당 점착제 질량이 0. 03~0. 15g/cm2가 되도록 박리 라이너에 전연(展延)한 후, 그 점착제층의 표면에 지지체를 더 적층시키고, 이어서 100 mm×140 mm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재단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상에 먼저 점착제를 전연한 후, 박리 라이너를 그 위에 적층함으로써 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대상 포진 또는 대상 포진 후 신경통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피부에 상기와 같은 함수 첩부제를 적용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함수 첩부제에서는 점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그러한 첩부제를 이용함으로써, 대상 포진 또는 대상 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해, 기대한 바와 같은 균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일정시간에 걸쳐 교반하여 혼합한 후, 박리 라이너(첩부제 6열분의폭을 갖는 긴형상) 상에, 첩부제 1장당(140 mm×100 mm) 점착제 질량이 약 14 g이 되도록 도포해, 필름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한 거리에 있는 판 모양 부재 아래를 통과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두께를 균일화시켰다. 그 후, 점착제층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부직포를 부착시키고, 이어서 100 mm×140 mm의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첩부제를 조제했다.
보다 자세하게는, 표 1의 각 성분·분량에 따라, 농글리세린, 주석산, 인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폴리 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젤라틴, 디하이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 아세테이트, 에데트산 나트륨, 정제수 적당량을 균일하게 혼합해, 함수 겔을 조제한 후,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폴리 솔베이트 80에 리도카인,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 안식향산 프로필을 용해한 후, 먼저 조제한 함수 겔 중에 균일해지도록 분산시켜,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박리 필름) 상에 전연시켜, 점착제층의 표면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부직포로 피복시킴으로써 첩부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표 1에 나타내는 양은, 질량% 이다.
<실시예 2, 비교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해,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실시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표 1에 나타내는 양은, 질량% 이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3~5, 비교예 2>
실시예 3~5및 비교예 2에 대해,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표 2에 나타내는 양은, 질량% 이다.
Figure pct00002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첩부제에서의 점착제의 질량을 측정했다. 이 결과를 표 3(실시예 1) 및 4(비교예 1)에 각각 나타낸다. 표 3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첩부제는, 비교예 1의 첩부제에 비해, 점착제의 양이 균일하고, 불균일성이 작았다. 그리고 표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시예 2~5의 첩부제도, 실시예 1과 동등한 정도로, 점착제의 양이 균일하고, 불균일성이 작았다. 한편, 비교예 2의 첩부제는 비교예 1과 동일한 값을 나타내고, 점착량의 불균일성이 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시험예 2)
리어메트릭 동적 분석기 「Dynamic Analyzer RDAIII(상품명)」(Rheometric Scientific 사)를 이용해,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첩부제의 점착제의 동적 전단 탄성률(G') 등을 측정했다.
「동적 점탄성(온도 의존성)」
점착제 0. 65~0. 75 g를 계량하여, 패러렐 플레이트(직경 25 mm)의 중심에 놓고 콘 플레이트(직경 25 mm, 각도 0. 1 rad)에 끼워, 양쪽 플레이트의 클리어런스를 0. 05 mm로 설정해, 변형 1%, 주파수 1 Hz, 매분 5℃의 조건으로 30℃~45℃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tanδ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
·주파수    : 1Hz
·온도     : 30℃~45℃(최초 30℃로 설정하여, 5℃/분의 속도로, 45℃까지 승온시켰다.)
·측정 플롯 : 12초 마다 측정 플롯 했다.
·플레이트판  : 패러렐 플레이트(직경 25 mm)와 콘 플레이트(직경 25 mm, 각도 0. 1 rad)
·클리어런스(Gap):0. 05mm
·변형량   : 1%
·PC소프트(Orchestrator Ver. 6. 5. 6;Rheometric Scientific 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with Transcutol")의 점착제는, 비교예 1("without Transcutol")의 점착제에 비해, 30~50℃ 중 어느 온도에서도 높은 tanδ를 나타내, 부드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30~50℃는 점착제 도포 공정에서의 통상적인 온도로, 그 온도에서의 높은 tanδ(유연성)가, 도포의 균일성 및 제조 설비에 대한 부하 경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실시예 2~5의 첩부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높은 tanδ를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2의 첩부제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낮은 tanδ를 나타냈다.
(시험예 3)
시험예 2와 동일한 리어메트릭 동적 분석기를 이용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부제의 점착제의 동적 전단 탄성률(G') 등을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측정해, 응력-변형 곡선을 구했다. 이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동적 점탄성(응력-변형 곡선)」
점착제 0. 65~0. 75 g을 계량하여, 패러렐 플레이트(직경 25 mm)의 중심에 놓고 콘 플레이트(직경 25 mm, 각도 0. 1 rad)에 끼워, 양쪽 플레이트의 클리어런스를 0. 05 mm로 설정해, 40℃의 온도 조건하에서, 응력-변형 곡선을 그렸다.
<측정 조건>
·주파수    : 1Hz
·온도     : 40℃
·측정 플롯 : 12초 마다 측정 플롯 했다.
·플레이트판  : 패러렐 플레이트(직경 25 mm)와 콘 플레이트(직경 25 mm, 각도 0. 1 rad)
·클리어런스(Gap):0. 05mm
·변형량   : 1%
·PC소프트(Orchestrator Ver. 6. 5. 6;Rheometric Scientific 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with Transcutol")의 점착제는, 비교예("without Transcutol")의 점착제에 비해, 넓은 범위에 걸쳐 응력에 대한 변형이 작은 것이 밝혀졌다. 이 기계적 특성이, 도포 균일성 및 제조 설비에 대한 부하 경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도 2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시예 2~5의 첩부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낮은 변형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2의 첩부제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높은 변형을 나타냈다.
(시험예 4)
실시예의 첩부제를 2. 0×3. 0 cm로 절단해, 사람의 전완부(前腕部)에 부착했다. 그 때의 접착성, 8시간 경과후 사람 전완부에서 박리했을 때의 아픔의 정도, 및 8시간 경과후 첩부제를 피부에서 일단 박리하여, 다시 피부에 붙였을 때의 재접착성을, 모니터 8명에 의해 관능 평가했다. 실시예의 첩부제는,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우수했다.
(시험예 5) In vivo 돼지 경피 흡수 시험
돼지(계통:랜드 레이스&대 요크셔, Nosan Corporation, 수컷, 4~5 월령, 체중 20kg 전후)의 등 털을 밀고, 100 mm×140 mm로 절단한 각 2장의 시험용 첩부제(실시예 3~5, 비교예 2)를 12시간 부착했다. 그 후, 일정시간마다 혈액을 채취해, 혈장중의 리도카인 농도를 측정했다. 또한, 24시간까지의 혈장중 리도카인 농도로부터 혈중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을 산출했다. 이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낸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5의 첩부제는, 비교예 2에 비해, 양호한 혈장 중 리도카인 농도 및 AUC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지지체; 및, 이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함수 첩부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리도카인 또는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친수성 점착제; 및,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함수 첩부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알킬 에테르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함수 첩부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상기 점착제층 대비 30 질량% 이하의 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점착제는, 폴리 아크릴산류를 포함하는 함수 첩부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상기 점착제층 대비 40 질량%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수 첩부제.
  7. 환자의 대상 포진 또는 대상 포진 후 신경통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피부에,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함수 첩부제를 적용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

KR1020147006774A 2011-08-25 2012-08-24 함수 첩부제 KR20140054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7325P 2011-08-25 2011-08-25
US61/527,325 2011-08-25
PCT/JP2012/071510 WO2013027840A1 (ja) 2011-08-25 2012-08-24 含水貼付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248A true KR20140054248A (ko) 2014-05-08

Family

ID=4774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774A KR20140054248A (ko) 2011-08-25 2012-08-24 함수 첩부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40302118A1 (ko)
EP (1) EP2749279A4 (ko)
JP (1) JP6142379B2 (ko)
KR (1) KR20140054248A (ko)
CN (1) CN103930102B (ko)
AU (1) AU2012297609A1 (ko)
BR (1) BR112014004247A2 (ko)
CA (1) CA2846121A1 (ko)
EA (1) EA026084B1 (ko)
HK (1) HK1198129A1 (ko)
MX (1) MX2014002115A (ko)
SG (1) SG11201400167VA (ko)
WO (1) WO2013027840A1 (ko)
ZA (1) ZA2014019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41266A (fr) * 2014-12-22 2017-10-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ataplasme
JP6469136B2 (ja) * 2014-12-22 2019-02-13 久光製薬株式会社 パップ剤
JPWO2016103999A1 (ja) * 2014-12-26 2017-10-05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剤のための包装体および包装方法
CN107106513B (zh) 2015-02-24 2021-03-02 久光制药株式会社 泥罨剂
BR112021015884A2 (pt) 2019-02-14 2021-10-0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Cataplasma
EP3957285A4 (en) * 2019-04-15 2023-02-15 Huzhou Innovation Pharmaceutical Co., Ltd. COVER FILM,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USE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10369636A1 (en) * 2019-04-24 2021-12-02 Medrx Co., Ltd. Lidocaine-Containing Patch
US20230051049A1 (en) * 2020-01-20 2023-02-16 Adriaan Albertus VICTOR Physical manipul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P4105290A4 (en) 2020-02-12 2024-03-2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METHOD FOR PRODUCING AN ADHESIVE LAYER COMPOSITION FOR PRODUCING COOLING SHEET, METHOD FOR PRODUCING A COOLING SHEET AND COOLING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227A (en) * 1989-03-22 1991-10-01 Cygnus Therapeutic Systems Skin permeation enh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and transdermal systems associated therewith
US4973468A (en) * 1989-03-22 1990-11-27 Cygnus Research Corporation Skin permeation enhancer compositions
JP3115615B2 (ja) 1991-02-05 2000-12-11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気体放電型表示装置
JP3115625B2 (ja) * 1991-03-30 2000-12-11 帝國製薬株式会社 リドカイン含有外用貼付剤
JP4774179B2 (ja) 1999-12-27 2011-09-14 帝國製薬株式会社 外用貼付剤
JP2001302501A (ja) * 2000-04-17 2001-10-31 Oishi Koseido:Kk 肩こり・膝関節痛・五十肩等の治療用貼付剤
KR20020006555A (ko) * 2000-07-03 2002-01-23 김수지 국소마취제를 함유하는 외용 겔제제
ITMI20041492A1 (it) * 2004-07-23 2004-10-23 Italiano Biochimico Far Maceut Nuovo dispositivo per il rilascio di principi attivi
WO2008133982A2 (en) * 2007-04-27 2008-11-06 Lectec Corporation Adhesive patch with aversive agent
WO2009143175A2 (en) * 2008-05-19 2009-11-26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ensory-specific local anesthesia and prolonged duration local anesthesia
JPWO2010114121A1 (ja) * 2009-04-02 2012-10-11 ダイヤ製薬株式会社 水性ゲル基剤および水性ゲル貼付剤
WO2011118604A1 (ja) * 2010-03-23 2011-09-29 ニプロパッチ株式会社 含水貼付剤
EP2697492B1 (en) * 2011-04-11 2017-09-27 Alliqua, Inc. Transdermal patches having ionized beam crosslinked polymers and improved release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46121A1 (en) 2013-02-28
CN103930102A (zh) 2014-07-16
JP6142379B2 (ja) 2017-06-07
CN103930102B (zh) 2016-08-24
MX2014002115A (es) 2014-09-25
SG11201400167VA (en) 2014-06-27
ZA201401944B (en) 2015-08-26
US20140302118A1 (en) 2014-10-09
AU2012297609A1 (en) 2014-03-27
WO2013027840A1 (ja) 2013-02-28
JPWO2013027840A1 (ja) 2015-03-23
HK1198129A1 (zh) 2015-03-13
EA026084B1 (ru) 2017-02-28
BR112014004247A2 (pt) 2017-03-21
EP2749279A1 (en) 2014-07-02
EA201490409A1 (ru) 2014-07-30
EP2749279A4 (en)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4248A (ko) 함수 첩부제
JP5981488B2 (ja) 含水系貼付剤
ES2705028T3 (es) Yeso a base de agua
EP1938808B1 (e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omprising tamsulosin
EP1733719B1 (en) Percutaneous absorption-type pharmaceutical preparation using a metal chloride, preferably sodium chloride, for preventing cohesive failure
KR20120035161A (ko) 펜타닐 함유 외용 첩부제
KR101890011B1 (ko) 첩부제
EP2545912B1 (en) Ketoprofen-containing aqueous adhesive skin patch
JP5160742B2 (ja) 透明又は半透明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透明又は半透明外用貼付剤
EP3988172A1 (en) Water-based adhesive patch
JP2016014052A (ja) 含水貼付剤
EP2266553B1 (en) Butenafine hydrochloride-containing aqueous patch
EP2939667A1 (en) Packaging
WO2014068600A1 (en) Stable transdermal pharmaceutical drug delivery system comprising diclofenac
HUE029451T2 (en) Selegiline-containing adhesive composition
JPH06135828A (ja) 経皮吸収性製剤
JP6512905B2 (ja) フェンタニル含有貼付剤
WO2019088010A1 (ja) 経皮投与製剤
JP2011088890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