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097A -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097A
KR20140053097A KR1020147000985A KR20147000985A KR20140053097A KR 20140053097 A KR20140053097 A KR 20140053097A KR 1020147000985 A KR1020147000985 A KR 1020147000985A KR 20147000985 A KR20147000985 A KR 20147000985A KR 20140053097 A KR20140053097 A KR 2014005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value
engine
starting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178B1 (ko
Inventor
에쓰조 사토
다케조 스기무라
유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2차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2차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1)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 시에 있어서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전압 센서(11), 전류 센서(12), CPU(10a)]과, 엔진의 시동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2차 전지의 전해액에 생기는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CPU(10a)]과,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내부 저항의 값에,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확산 저항의 값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저항값과, 엔진을 시동할 때 흐르는 시동 전류와, 2차 전지의 시동 전 전압으로부터, 엔진의 시동에 필요로 하는 전압인 시동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CPU(10a)]을 가진다.

Description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2차 전지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펄스 방전을 행하게 하고, 그 때의 응답 전압을 샘플링하고, 이것을 직교하는 직사각형파 성분으로 전개(展開)하고, 얻어진 계수와 전류값으로부터 2차 전지의 의사(擬似)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이 의사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2차 전지의 열화를 판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8453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펄스 방전을 장시간 계속하면 2차 전지의 충전 레벨이 저하된다. 또한, 장시간 방전시키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저항 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의 사이즈가 커진다. 이들 이유에 의해, 펄스 방전의 시간은 단시간으로 한정된다.
그런데, 2차 전지의 저항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류의 것이 존재한다. 즉, 도체(導體) 저항, 플러스·마이너스극 반응 저항, 및 확산 저항이다. 여기서, 도체 저항과 플러스·마이너스극 반응 저항은 2차 전지의 열화에 따라 증가한다. 확산 저항은, 2차 전지의 열화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2차 전지 전지의 열화도(劣化度)를 검지하는 것에 있다. 내부 저항을 측정할 때의 방전 시간을, 도 6에 나타낸 열화 판정에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정밀도가 양호한 열화도 검지가 실현 가능하다.
한편, 엔진을 시동(始動)할 때는,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경우보다 장시간(도 6에 나타낸 엔진 시동 시의 방전 시간)에 걸쳐 방전 시간이 계속되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저항분만큼 내부 저항은 증가한다.
엔진 시동 전압의 추정을 목적으로 하여, 엔진 시동 시의 전류, 전압 응답으로부터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많이 고안되어 있지만,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나, 엔진 시동 시 이외에는 내부 저항을 측정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2차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 시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2차 전지의 전해액에 생기는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내부 저항의 값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저항값과, 상기 엔진을 시동할 때 흐르는 시동 전류와, 상기 2차 전지의 시동 전 전압으로부터, 상기 엔진의 시동에 필요로 하는 전압인 시동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더하여,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서의 방전 전류, 방전 시간 및 상기 2차 전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들 3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확산 저항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더하여,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방전 전류, 상기 방전 시간 및 상기 2차 전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값으로 하고, 다른 것을 가변값(可變値)으로 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고, 얻어진 확산 저항의 값을 상기 고정값으로 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파라미터를 고정으로 함으로써, 확산 저항을 간단한 관계식 또는 테이블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더하여,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온도를 고정값으로 하고, 상기 방전 전류 및 상기 방전 시간을 가변값으로 하고, 소정의 온도에서의 상기 방전 전류 및 상기 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동시에, 추정한 확산 저항의 값을 실측한 상기 2차 전지의 온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변동이 큰 온도를 고정된 파라미터로 함으로써, 확산 저항을 더욱 간단하게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2차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 시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2차 전지의 전해액에 생기는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및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내부 저항의 값에, 상기 추정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저항값과, 상기 엔진을 시동할 때 흐르는 시동 전류와, 상기 2차 전지의 시동 전 전압으로부터, 상기 엔진의 시동에 필요로 하는 전압인 시동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열화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정상(定常) 확산에서의 관계를 나타낸 픽(Fick)의 제1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방전 전류 및 방전 시간과 확산 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각종 내부 저항의 방전 시간에 의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실시형태의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를 가지는 차량의 전원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1)는, 제어부(10), 전압 센서(11), 전류 센서(12), 온도 센서(13), 및 방전 회로(15)를 주요한 구성 요소(要素)로 하고 있고, 2차 전지(14) 상태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전압 센서(11), 전류 센서(12), 및 온도 센서(13)로부터의 출력을 참조하고, 2차 전지(14) 상태를 검출한다. 전압 센서(11)는, 2차 전지(14)의 단자 전압을 검출하고, 제어부(10)에 통지한다. 전류 센서(12)는, 2차 전지(14)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제어부(10)에 통지한다. 온도 센서(13)는, 2차 전지(14) 자체 또는 주위의 환경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부(10)에 통지한다. 방전 회로(15)는, 예를 들면, 직렬 접속된 반도체 스위치와 저항 소자 등에 의해 구성되며, 제어부(10)에 의해 반도체 스위치가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2차 전지(14)를 간헐적으로 방전시킨다. 제어부(10)는, 간헐적인 방전이 실행되고 있을 때의 전압과 전류로부터 2차 전지(14)의 내부 저항을 구한다.
2차 전지(14)는, 예를 들면, 플러스극(양극판)에 이산화납, 마이너스극(음극판)에 해면상(海綿狀; spongy lead)의 납, 전해액으로서 묽은 황산을 사용한 액식(液式) 납축전지 등에 의해 구성되며, 얼터네이터(alternator)(16)에 의해 충전되어 스타터 모터(18)를 구동하여 엔진(17)을 시동하는 동시에 부하(19)에 전력을 공급한다. 얼터네이터(16)는, 엔진(17)에 의해 구동되고, 교류 전력을 발생하여 정류 회로에 의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2차 전지(14)를 충전한다.
엔진(17)은, 예를 들면, 가솔린 엔진 및 디젤 엔진 등의 왕복 기관 또는 로터리 엔진 등에 의해 구성되며, 스타터 모터(18)에 의해 시동되어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구동륜을 구동하여 차량에 추진력을 부여하고, 얼터네이터(16)를 구동하여 전력을 발생시킨다. 스타터 모터(18)는, 예를 들면, 직류 전동기에 의해 구성되며, 2차 전지(1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고, 엔진(17)을 시동한다. 부하(19)는, 예를 들면, 전동 스티어링 모터, 습기 제거 장치(defogger), 이그니션 코일, 카 오디오, 및 카 네비게이션 등에 의해 구성되며, 2차 전지(14)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어부(10)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a), ROM(Read Only Memory)(10b), RAM(Random Access Memory)(10c), 타이머(10d), 통신부(10e), I/F(Interface)(10f)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CPU(10a)는, ROM(10b)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10ba)에 기초하여 각 부를 제어한다. ROM(10b)는, 반도체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며, 프로그램(10ba) 등을 저장하고 있다. RAM(10c)는, 반도체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며, 프로그램(10ba)를 실행할 때 생성되는 파라미터(10ca)를 저장한다. 타이머(10d)는, 시간을 계시(計時)하여 출력한다. 통신부(10e)는, 다른 장치[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ECU(Engine Control Unit)] 등에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수수(授受)한다. I/F(10f)는, 전압 센서(11), 전류 센서(12), 및 온도 센서(1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입수하는 동시에, 방전 회로(15)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이것을 제어한다.
(B) 실시형태의 개략의 동작의 설명
다음에, 도 3∼도 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개략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7)을 시동 가능한 2차 전지(14)의 전압인 시동 전압을 구한다. 그리고, 시동 전압은, 이하의 식(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시동 전압= 시동 전 전압+시동 전류×내부 저항 … (1)
여기서, 시동 전 전압은, 스타터 모터(18)에 통전하기 전의 2차 전지(14)의 전압이며, 시동 전류는 스타터 모터(18)가 회전 중에 흐르는 전류이며, 내부 저항은 2차 전지(14)의 내부의 저항 성분이다. 그리고, 내부 저항은, 예를 들면, 엔진(17)이 정지 중에, 방전 회로(15)에 의해 2차 전지(14)를 간헐적으로 펄스 방전시키고, 그 때의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에 대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한 확산 저항을 가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동 전류로서는, 엔진(17)의 크랭킹(cranking) 중에, 돌입(突入) 전류를 제외하고 가장 전압이 저하되는 포인트, 즉 스타터 모터(18)의 토크(torque)가 가장 커지는 포인트(이하 「최대 토크 포인트」라고 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대 토크 포인트는, 예를 들면, 전류의 극소값(極小値)을 검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그런데, 내부 저항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 저항, 플러스·마이너스 반응 저항, 및 확산 저항이 존재한다. 여기서, 도체 저항이란, 전극판의 전자 전도(傳導)에 관한 저항이다. 플러스·마이너스 반응 저항이란, 전해액과 활물질(活物質) 계면에서의 전하의 이동 저항이다. 또한, 확산 저항이란, 2차 전지의 전해액 중의 이온(납축전지의 경우에는 황산이온)이 충방전 반응에 관여하고 있고, 방전 시에는 이온이 활물질에 소비되어 전해액 농도는 저하되고, 충전 시에는 반대로 방출되고 전해액 농도는 상승한다. 그러므로, 전극 부근에 있어서 이온의 농도 구배(勾配)가 생기고, 이 농도 구배에 기인하여 생기는 것이 확산 저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17)의 시동 시에는, 확산 저항이 증가하므로, 펄스 방전에 의해 측정한 내부 저항보다도, 확산 저항분만큼 내부 저항값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확산 저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 하강이, 확산 저항분만큼 커지고, 시동 전압 Vs에 기초한 판정에서는 엔진(17)을 시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했음에도 불규하고, 엔진(17)을 시동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산 저항을 추정하고, 이것을 내부 저항에 가산하고, 얻어진 값에 기초하여 시동 전압을 구한다. 이로써, 정확한 시동 전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시동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도 3은, 정상 확산에서의 관계를 나타낸 픽의 제1 법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J는 확산 유속(flux) 또는 유속을 나타내고, 단위 시간당에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어떤 성질의 양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질량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차원은 [ML―2 T―1] 으로 부여된다. D는 확산 계수를 나타내고 차원은 [L2T―1] 이며, c는 농도를 나타내고 차원은 [ML―3] 이며, x는 위치를 나타내고 차원은 [L]이다. 여기서, 확산 계수(D)는 온도에 의해 정해지고, 농도 구배 dc/dx는 방전 시간과 방전 전류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7)의 시동 시에서의 2차 전지(14)의 방전 전류, 방전 시간 및 온도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을 구한다.
도 4는, 소정의 온도에서의 방전 시간 및 방전 전류와, 확산 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저항은 방전 시간이 길 수록 커지고, 또한 전류가 작을 수록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과거의 복수 회의 시동 시에서의 방전 전류의 평균값과 방전 시간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에 기초하여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25℃)에서의 확산 저항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래프로부터 구하고, 이 구한 확산 저항을, 2차 전지(14)의 온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동시에, 보정에 의해 얻어진 확산 저항의 값을 엔진(17)의 정지 시에 방전 회로(15)에 의한 펄스 방전에 의해 구한 내부 저항의 값에 가산하고, 얻어진 값을 전술한 식(1)에 대입함으로써, 정확한 시동 전압을 구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는, 엔진(17)의 정지 시에, 소정의 주기로(예를 들면, 수 시간마다 또는 몇일마다) 실행된다. 이 플로우차트의 처리가 실행되면, 이하의 단계가 실행된다.
단계 S1에서는, CPU(10a)는, I/F(10f)를 통하여 방전 회로(15)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2차 전지(14)를 펄스 방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밀리초오더의 펄스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펄스에 의해, 2차 전지(14)를 방전시킨다. 물론, 이외의 펄스폭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단계 S2에서는, CPU(10a)는, 펄스 방전 시의 전압 V 및 전류 I를, 전압 센서(11) 및 전류 센서(12)에 의해 취득한다.
단계 S3에서는, CPU(10a)는, 소정의 횟수 펄스 방전을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의 횟수 펄스 방전을 실행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단계 S3: Yes)에는 단계 S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단계 S3: No)에는 단계 S1로 돌아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펄스 방전을 수십 회 반복한 경우에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물론, 이외의 횟수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단계 S1∼S3의 처리에 의해, 방전 회로(15)에 의해 2차 전지(14)가 소정의 횟수 펄스 방전되는 동시에, 그 때의 전압 V와 전류 I가 전압 센서(11) 및 전류 센서(12)에 의해 측정된다.
단계 S4에서는, CPU(10a)는, 단계 S1∼S3의 반복 처리에 있어서 측정된 펄스 방전 시의 2차 전지(14)의 전압 V 및 전류 I에 기초하여, 2차 전지(14)의 내부 저항 R을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한 내부 저항 R은, 도 6에 나타낸 도체 저항 및 플러스·마이너스 반응 저항에 해당하는 것이다.
단계 S5에서는, CPU(10a)는, 시동 시 방전 전류 Id를 취득한다. 여기서, 시동 시 방전 전류란, 예를 들면, 엔진(17)의 시동 시에 있어서, 2차 전지(14)로부터 스타터 모터(18)에 공급되는 전류의 평균값을 말한다. CPU(10a)는, 엔진(17)의 시동 시에 있어서 시동 시 방전 전류를 전류 센서(12)에 의해 측정하고, RAM(10c)의 파라미터(10ca)로서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단계 S5에서는, CPU(10a)는, RAM(10c)에 저장된 시동 시 방전 전류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시동 시 방전 전류 Id로서, 복수 회의 시동에서의 방전 전류의 평균값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6에서는, CPU(10a)는, 시동 시 방전 시간 Td를 취득한다. 여기서, 시동 시 방전 시간이란, 예를 들면, 엔진(17)의 시동 시에 있어서, 2차 전지(14)로부터 스타터 모터(18)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a)는, 엔진(17)의 시동 시에 있어서 시동 시 방전 시간을 타이머(10d)에 의해 측정하고, RAM(10c)의 파라미터(10ca)로서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단계 S6에서는, CPU(10a)는, RAM(10c)에 저장된 시동 시 방전 시간 Td를 취득한다. 그리고, 시동 시 방전 시간 Td로서, 복수 회의 시동에서의 시동 시간의 평균값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7에서는, CPU(10a)는, 단계 S5, S6에서 취득한 시동 시 방전 전류 Id 및 시동 시 방전 시간 Td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25℃)에서의, 방전 전류 및 방전 시간과 확산 저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또는 관계식을 RAM(10c)의 파라미터(10ca)로서 저장하여 두고, 단계 S5, S6에 있어서 취득한 시동 시 방전 전류 Id와 시동 시 방전 시간 Td에 대응하는 확산 저항 Rd의 값을 테이블 또는 관계식으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S8에서는, CPU(10a)는, 온도 센서(13)에 의해 2차 전지(14) 자체 또는 그 주변의 온도 Tc를 취득한다.
단계 S9에서는, CPU(10a)는, 단계 S8에서 취득한 온도 Tc에 기초하여, 단계 S7에서 산출한 확산 저항 Rd의 값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Tc와 확산 저항 Rd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또는 관계식을 RAM(10c)의 파라미터(10ca)로서 저장하여 두고, 단계 S8에서 취득한 온도 Tc에 기초하여, 단계 S7에서 구한 확산 저항 Rd의 값을 보정한다.
단계 S10에서는, CPU(10a)는, 단계 S4에서 구한 내부 저항 R의 값에, 단계 S9에서 온도 보정이 행해진 확산 저항 Rd의 값을 가산하고, 얻어진 값을 내부 저항 R로서 새롭게 저장한다. 이로써, 내부 저항 R은, 확산 저항 Rd가 가산된 값으로 된다.
단계 S11에서는, CPU(10a)는, 한다. 여기서, 시동 전 전압이란, 엔진(17)을 시동하기 전의 2차 전지(14)의 전압을 말한다. CPU(10a)는, 엔진(17)의 시동 전의 전압을 전압 센서(11)에 의해 측정하고, RAM(10c)의 파라미터(10ca)로서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는, CPU(10a)는, RAM(10c)에 저장된 시동 전 전압 Vb를 취득한다. 그리고, 시동 전 전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바로 옆의 방전 전류가 대략 0 A인 타이밍에서의 전압, 또는 안정 전압 추정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S12에서는, CPU(10a)는, 단계 S11에서 취득한 시동 전 전압 Vb와, 단계 S10에 있어서 보정한 확산 저항 Rd가 가산된 내부 저항 R과, 단계 S5에서 취득한 시동 시 방전 전류 Id에 기초하여, 시동 전압 Vs(= Vb+R×Id)를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시동 전압 Vs와, 2차 전지(14)의 전압에 따라, 엔진(17)을 시동 가능한지의 여부, 또는 2차 전지(14)의 교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판정 결과는, 예를 들면, 통신부(10e)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상위의 장치인 ECU 등에 보낼 수가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시동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18)에 흐르는 전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확산 저항 Rd를 내부 저항 R에 가산하고, 얻어진 내부 저항 R의 값에 기초하여 시동 전압 Vs를 구하도록 했으므로, 시동 전압 Vs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처리에서는, 비교적 변동이 큰 온도를 고정값으로 하고, 변동이 작은 시동 시 방전 전류와 시동 시 방전 시간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을 구하고, 구한 확산 저항을 실측한 온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했으므로, 계산을 간이화함으로써,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2차 전지(14)의 열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확산 저항 Rd를 제외한 내부 저항 R을 구하는 동시에, 이 내부 저항 R에 기초하여 시동 전압의 추정에 적합한 내부 저항을 확산 저항과의 합(R+Rd)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했다. 이로써, 전자의 내부 저항 R을 사용함으로써 2차 전지(14)의 열화 검지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확산 저항 Rd를 고려한 후자의 내부 저항(R+Rd)을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시동 전압의 추정의 양쪽을 양립할 수 있다.
(C) 변형 실시형태의 설명
이상의 실시형태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저항 R을 펄스 방전에 의해 구하도록 했지만, 이외의 방법에 의해 구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교류 전류를 2차 전지(14)에 흐르게 하고, 그 때의 전압에 따라 내부 저항을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온도 Tc를 소정값으로 고정하고, 취득된 시동 시 방전 전류 Id 및 시동 시 방전 시간 Td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구하도록 했지만, 시동 시 방전 전류 Id 또는 시동 시 방전 시간 Td의 한쪽을 소정값으로 고정하고, 이들의 다른 쪽과 온도 T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또는 관계식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구한 후에, 고정값으로 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동 시 방전 전류 Id를 소정값으로 고정하고, 시동 시 방전 시간 Td 및 온도 Tc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또는 관계식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구하고, 구한 값을 시동 시 방전 전류 Id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시동 시 방전 시간 Td를 소정값으로 고정하고, 시동 시 방전 전류 Id 및 온도 Tc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또는 관계식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구하고, 구한 값을 시동 시 방전 시간 Td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1개의 파라미터를 고정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2개의 파라미터를 소정값으로 고정하여 확산 저항 Rd를 구하고, 고정한 파라미터의 실측값에 기초하여, 확산 저항 Rd를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시동 시 방전 전류 및 시동 시 방전 시간에 대해서는, 각각의 차량에 있어서 상정(想定)되는 최대의 전류 및 시간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처리를 더욱 간략화할 수 있다.
1: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10: 제어부
10a: CPU(측정 수단, 추정 수단, 산출 수단)
10b: ROM
10c: RAM
10d: 타이머
10e: 통신부
10f: I/F
11: 전압 센서(측정 수단)
12: 전류 센서(측정 수단)
13: 온도 센서
14: 2차 전지
15: 방전 회로
16: 얼터네이터
17: 엔진
18: 스타터 모터
19: 부하

Claims (5)

  1.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2차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 시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엔진의 시동(始動)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2차 전지의 전해액에 생기는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 및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상기 내부 저항의 값에,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저항값과, 상기 엔진을 시동할 때 흐르는 시동 전류와, 상기 2차 전지의 시동 전 전압으로부터, 상기 엔진의 시동에 필요로 하는 전압인 시동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서의 방전 전류, 방전 시간 및 상기 2차 전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방전 전류, 상기 방전 시간 및 상기 2차 전지의 온도 중 하나 이상을 고정값으로 하고, 다른 것을 가변값(可變値)으로 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고, 얻어진 확산 저항의 값을 상기 고정값으로 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온도를 고정값으로 하고, 상기 방전 전류 및 상기 방전 시간을 가변값으로 하고, 소정의 온도에서의 상기 방전 전류 및 상기 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동시에, 추정한 확산 저항의 값을 실측한 상기 2차 전지의 온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5.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2차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 시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내부 저항의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엔진의 시동 시에 있어서 스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2차 전지의 전해액에 생기는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확산 저항의 값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및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내부 저항의 값에, 상기 추정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확산 저항의 값을 가산하여 얻어지는 저항값과, 상기 엔진을 시동할 때 흐르는 시동 전류와, 상기 2차 전지의 시동 전 전압으로부터, 상기 엔진의 시동에 필요로 하는 전압인 시동 전압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KR1020147000985A 2012-03-03 2013-03-01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KR101563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7442A JP5684172B2 (ja) 2012-03-03 2012-03-03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JPJP-P-2012-047442 2012-03-03
PCT/JP2013/055741 WO2013133184A1 (ja) 2012-03-03 2013-03-01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097A true KR20140053097A (ko) 2014-05-07
KR101563178B1 KR101563178B1 (ko) 2015-10-26

Family

ID=4911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985A KR101563178B1 (ko) 2012-03-03 2013-03-01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1683B2 (ko)
EP (1) EP2778701B1 (ko)
JP (1) JP5684172B2 (ko)
KR (1) KR101563178B1 (ko)
CN (1) CN103917885B (ko)
WO (1) WO2013133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3567A1 (en) * 2014-07-28 2016-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dependent electrochemical battery model for vehicle control
WO2016157731A1 (ja) * 2015-03-27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次電池の状態推定装置および状態推定方法
US10763684B2 (en) * 2015-08-06 2020-09-0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method,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US10137797B2 (en) * 2015-09-28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state of charge estimation based on current pulse duration
CN109690337B (zh) * 2016-09-16 2021-06-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的诊断方法、电池的诊断程序、电池管理装置及蓄电系统
TWI618330B (zh) * 2016-10-28 2018-03-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子裝置、電池模組與電池的充放電方法
KR20180085165A (ko) 2017-01-18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JP6548699B2 (ja) * 2017-08-03 2019-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
JP2022034587A (ja) * 2020-08-19 2022-03-04 株式会社Subaru 車両用制御装置
KR20220060707A (ko) * 2020-11-05 2022-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4200309B (zh) * 2021-12-08 2024-01-09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电池的仿真测试方法、装置、车辆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8444A1 (de) * 2001-09-28 2003-04-02 Johnson Controls Batterien GmbH & Co. KG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Zustandsgrössen eines Akkumulators
US6646419B1 (en) * 2002-05-15 2003-11-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ate of charge algorithm for lead-acid battery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US7081755B2 (en) * 2002-09-05 2006-07-25 Midtronics, Inc. Battery tester capable of predicting a discharge voltage/discharge current of a battery
DE102004031306A1 (de) * 2004-06-29 2006-01-19 Robert Bosch Gmbh Kfz-Energie Management mit Zusatzfunktionalität Starterdiagnose
JP3960998B2 (ja) 2005-04-05 2007-08-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の劣化状態判定方法,劣化判定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JP4807000B2 (ja) * 2005-08-09 201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性能劣化判定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179968A (ja) * 2005-12-28 2007-07-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ッテリ状態管理装置
JP2008058278A (ja) * 2006-09-04 2008-03-13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内部状態推定装置、二次電池の内部状態推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56476B2 (ja) * 2008-03-31 2012-06-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放電持続時間予測方法、バッテリ状態検知方法、バッテリ状態検知装置及びバッテリ電源システム
JP4856209B2 (ja) * 2009-03-30 2012-01-18 株式会社東芝 電池性能測定装置、電池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
JP2010270747A (ja) * 2009-04-23 2010-12-02 Denso Corp 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JP4744622B2 (ja) * 2009-07-01 201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5558941B2 (ja) * 2010-06-30 2014-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内部抵抗の検出方法
US9037426B2 (en) * 2011-05-13 2015-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ell capacity values in a multi-cell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178B1 (ko) 2015-10-26
US10451683B2 (en) 2019-10-22
CN103917885A (zh) 2014-07-09
JP2013181928A (ja) 2013-09-12
EP2778701A4 (en) 2015-10-21
US20140347059A1 (en) 2014-11-27
JP5684172B2 (ja) 2015-03-11
EP2778701A1 (en) 2014-09-17
WO2013133184A1 (ja) 2013-09-12
EP2778701B1 (en) 2019-07-24
CN103917885B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178B1 (ko) 2차 전지 상태 검출 장치 및 2차 전지 상태 검출 방법
CN107076802B (zh) 二次电池状态检测装置以及二次电池状态检测方法
CN108885242B (zh) 二次电池劣化估计装置和二次电池劣化估计方法
JP5598869B2 (ja)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US11022653B2 (en) Deterioration degree estimation device and deterioration degree estimation method
US20170012327A1 (en) Secondary battery internal temperature estima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internal temperature estimation method
JP6440377B2 (ja)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JP5644190B2 (ja) 電池状態推定装置および電池情報報知装置
JP6575308B2 (ja) 内部抵抗算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内部抵抗算出方法
JP5291132B2 (ja) 始動可否判定装置および始動可否判定方法
JP6534846B2 (ja) 二次電池充電制御装置および二次電池充電制御方法
JP6498920B2 (ja)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JP6210552B2 (ja)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JP2022044621A (ja) 充電可能電池減液検出装置および充電可能電池減液検出方法
JP2005274214A (ja) 車両用バッテリの残存容量検出装置
EP2642309B9 (en)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ng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ng method
JP4872513B2 (ja) 電池の電流−電圧特性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部抵抗検出装置
JP2014238379A (ja) 二次電池状態検知装置
JP2009214604A (ja) バッテリ状態推定装置及びバッテリ状態推定方法
JP6631172B2 (ja) 内部抵抗算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内部抵抗算出方法
KR101828329B1 (ko) 배터리 시동 성능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4008508A (ja) 異常診断システム、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