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799A -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799A
KR20140052799A KR1020130005169A KR20130005169A KR20140052799A KR 20140052799 A KR20140052799 A KR 20140052799A KR 1020130005169 A KR1020130005169 A KR 1020130005169A KR 20130005169 A KR20130005169 A KR 20130005169A KR 20140052799 A KR20140052799 A KR 2014005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en
messenger program
us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현
권오준
강현아
박재홍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 및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A recording medium for control of messenger,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 간의 게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과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실행되고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벗어나, 이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한다. 이후,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 초대 메시지 등을 전송함으로써 상대방과 게임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방식의 경로를 따라 조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대방과 대화 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중에 자신의 프로필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현재의 대화 창을 빠져 나간 후, 정해진 경로를 따라 프로필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로 이동해야지만 프로필 변경이 가능하였다.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로 인해 여러 차례의 조작을 요구하는 과정이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여간 불편하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은 단말 내 자동적으로 저장됨으로써, 단말 용량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3603호, 2007년 06년 22일 등록 (명칭: 모바일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 및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대화 창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 창 관리 화면은 대화 창의 글씨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대화 창 화면의 배경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스피치 버블(speech bubble)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메뉴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본 디자인 테마를 미리 보기 형태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통해 변경되는 설정이 실시간으로 상기 대화 창 화면에 반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상기 대화 창 화면의 배경 이미지 또는 스피치 버블의 배경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단말에 대응하여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를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대화 창 화면의 배경 이미지 또는 스피치 버블의 배경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통해 대화 창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해지며,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신저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다수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컨텐츠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이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단말(10) 내 메신저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이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예컨대, 초기 화면, 대화 창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거나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 또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될 때 등과 같이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특히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대화 창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터치(touch),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음성 인식 등의 동작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제1 방향(일 예로,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단말(10)은 단말(10) 내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들을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내용은 단말(10) 내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비디오 등 다양한 컨텐츠 또는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어플케이션(사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더하여, 게임, 증권,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 사용자의 단말(10)과 상대방 단말 사이에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API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제2 방향(일 예로, 오른쪽 방향)으로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단말(10)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스토리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내용은 단말(10)_내 저장된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단말(10) 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된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현재 표시된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 사이에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뿐 아니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활성화된 모든 대화 창 화면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를 통해 단말(10)이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바람직하게는 단말(10)이 구비하고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제3 방향(일 예로,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단말(10)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기능 화면은 커뮤니티 관리 화면, 대화 상대 관리 화면, 프로필 관리 화면, 통화 기능 화면, 대화 창 관리 화면 중 어느 한 화면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 이외에도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을 대화 창 화면 일측면에 바(bar)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대화 창 화면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거나, 대화 창 화면과 동시에 표시하거나, 대화 창 화면과 전환되어 하나의 화면만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더불어 단말(10)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화면을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 및 상기 메신저 기능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별도의 메뉴(예컨대, 내보내기 등) 등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또는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arg & drop)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상기 동작에 대응하여 상대방 단말로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1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메신저 프로그램의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와의 다양한 컨텐츠 공유를 보다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허브(contents hub), 컨텐츠 공유(contents sharing)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리지 공간을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단말(10)로 제공하며,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 등을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라이프 DB(life DB)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들을 쉽게 서비스 장치(20)에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과 컨텐츠를 송수신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단말(10) 사이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비스 장치(20)는 제1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대화 채널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단말로 표시하는 과정의 전반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고 있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말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이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의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일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상기 단말(10) 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 또는 컨텐츠 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여기서, 접속은 단말(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에 별도의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20)에 연결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사용자는 미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2 화면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의 단말(10) 제2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 명령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될 때 서비스 장치(20)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에 동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단말(1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메시지 또는 특정 컨텐츠만을 서비스 장치(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3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간에 채팅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의 집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처리를 위한 파일 서버, 단말(10)로 관련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푸쉬(push)할 수 있는 푸쉬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서버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서버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써 하나의 서비스 장치(2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의 대화 채널이란 다수의 단말(10) 사이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이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을 선택하여 대화 창을 생성하는 행위, 제1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입력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및 표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관련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부(11)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대화 창 화면의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요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한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터치, 드래그, 스와이프 등)의 입력을 지원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입력부(12)가 표시부(15)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및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패드의 화살표 등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왼쪽 드래그", "오른쪽 드래그" 등과 같은 음성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입력부(12)가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입력부(12)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단말(1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제어부(13)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되는 다양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표시부(1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상대방을 선택하고, 상기 상대방과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 송수신을 위한 전반적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동작들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이 표시부(15)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란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터치, 드래그, 음성 입력 등도 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은 대화 창 화면에서의 상하좌우는 물론 대각선 방향이 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행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행 화면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또는 다양한 메신저 기능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제어부(13)의 동작 상태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3)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저장부(14)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상대방 단말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 정보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또는 컨텐츠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저장부(14)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재생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 수집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단말(10)은 단말 운영체제(17) 및 단말 하드웨어(18)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운영체제(17)는 단말(10)의 전반적인 운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단말 제조사 또는 통신 서비스 사업 제공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어부(13)의 역할은 상기 단말 운영체제(17) 내의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단말 하드웨어(18)은 단말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모뎀칩 프로세서 등 단말(10)의 물리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부(11), 입력부(12), 제어부(13), 저장부(14), 표시부(15)의 실제 물리적 환경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 플랫폼은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제공된 메신저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별도의 메신저 플랫폼(1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플랫폼(19)은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단말(10) 내 저장되거나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활성화되는 순간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플랫폼(19)은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 수집 모듈을 통해 단말(10) 내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게 된다. 이후, 메신저 플랫폼(19)은 수집된 정보를 상기 API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14a)으로 전달하고, 메신저 프로그램(14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플랫폼(19)은 단말(10) 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API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의 어플리케이션 수집 모듈(13a)은 상술한 과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 수집 모듈(13a)을 통해 수집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3)의 어플리케이션 수집 모듈(13a)을 통해 수집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기 설정된 특정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저장부(1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등) 또는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저장부(14)에 기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 컨텐츠가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장치(20)와 연동된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수의 비디오가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는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가 가능한 썸네일(thumnali)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수집된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 계층적 형태로 사용자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차 게임 어플리케이션, 슈팅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집된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고,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통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3)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위 게임 어플리케이션, 즉 자동차 게임 어플리케이션, 슈팅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컨텐츠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만을 표시하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컨텐츠 표시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컨텐츠가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 표시 영역은 상측에,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은 하측에 바(bar)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각각의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13)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선택된 객체를 대화 창 화면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모두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13)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후(보다 정확하게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drop)하게 되면, 제어부(13)는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예컨대 [전송하기] 등의 버튼 입력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후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 또는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상대방 단말로 바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등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등 기 설정된 방식으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추출한 후,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등장한 경우,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일본'과 관련된 컨텐츠를 추출하거나, 서비스 장치(20)로 분석된 '일본' 키워드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일본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의해 일정 기간, 예컨대 최근 1주일 동안 자주 실행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3)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스토리지 화면이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4)에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자동적으로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기존에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는 제외한 새로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만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더불어, 서비스 장치(20)에 기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13)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메시지 또는 컨텐츠 외에도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단말(10)이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단말(10)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이 수신되면, 제어부(13)는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표시도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 등의 정보는 그 자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상기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태그 정보 선택이 감지되면, 제어부(13)는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스토리지 화면은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은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컨텐츠, 예컨대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는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가 가능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13)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메시지 또는 컨텐츠 표시 시 현재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활성화된 모든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 스토리지 화면은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메뉴를 포함하며, 검색 메뉴는 키워드 또는 음성 검색을 지원하는 하위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화 창 화면은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기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다른 상대방 단말로 전달하거나, 정보 스토리지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예컨대 타블렛 PC, PDA, 데스크탑 컴퓨터 등의 다른 외부 단말과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과의 연결 상태, 예컨대 연결된 외부 단말 리스트 등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3)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기능 화면이란 커뮤니티를 관리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화면, 대화 상대를 관리할 수 있는 대화 상대 관리 화면, 자신의 프로필을 변경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 메신저 프로그램 이용 중에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통화 기능, 대화 창의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상기의 예 이외도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이 메신저 기능 화면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신저 기능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대화 창 화면일 경우, 제어부(13)는 대화 창 화면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예컨대, 왼쪽 대각선 방향으로의 스와이프)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프로필을 변경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대화 창 화면에서 사용자의 또 다른 기 설정된 동작(예컨대,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커뮤니티를 생성하거나 현재 대화 창의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에 대한 커뮤니티를 설정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메신저 프로그램 초기 화면일 경우, 제어부(13)는 상기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면, 대화 창의 기본 이미지, 기본 글꼴 등 대화 창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이 대화 창 화면 일측면의 하나의 바(bar)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상기 대화 창 화면과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이 상기 대화 창 화면에서 전환되어 풀(full) 화면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3)는 표시부(15)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과 상기 대화 창 화면을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가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연결된 상태일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 상에서 간단한 사용자의 조작, 즉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기 설정된 동작 또는 특정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실행하거나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단말(10)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4b)을 수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수집 모듈(13a) 및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예컨대 대화 창 화면에서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 가능한 다양한 동작들, 예컨대, 다수의 상대방 단말 사이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 송수신 등을 제어하는 메신저 제어 모듈(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는 메신저 프로그램(14a),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14b),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14c)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신저 프로그램(14a)은 하나 이상의 다른 어플리케이션(14b)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14b)의 범위 내에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14b)은 단말(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예컨대 게임 어플리케이션, 사진, 동영상 등을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클라이언트 단말(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14a), 기타 다른 어플리케이션(14b), 컨텐츠(14c)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신저 프로그램(14a)을 비롯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4b), 컨텐츠(14c)들이 저장부(14)에 저장하고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에 따라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메신저 프로그램(14a)를 비롯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14b)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14a), 어플리케이션(14b)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15)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표시부(15)는 제어부(13)의 제어 하에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입력부(12)와 함께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 드래그 앤 드롭 동작 등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10)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단말(10)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다.
예컨대, 단말(1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음원 출력부와 같은 더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보다 더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통신부(21)는 하나 이상의 단말(10)과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통신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과 연결된 다른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10)로부터 다양한 정보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22)는 다수의 단말(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간에 메시지 또는 컨텐츠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단말(10), 예컨대, 제1 단말의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단말, 즉 제1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별로 상기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서비스 저장부(23)에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요청한 단말, 즉 제1 단말의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태그 정보를 먼저 전송한 후, 전송된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태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제 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태그 정보 제공 시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태그 정보를 일자별로 정렬하거나, 키워드별로 정렬하거나 상대방 단말별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다수의 단말 사이의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지원하게 되는 데, 예컨대, 제1 단말의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으로의 이동이 감지되면,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어부(22)는 서비스 저장부(23)에 단말(10)의 사용자 식별 정보(23a)에 대응하여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 정보(23b)가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 정보(23b)는 단말(10)과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주고 받은 메시지(23b_1), 공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23b_2), 기타 관련 정보(23b_3)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타 관련 정보(23b_3)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10)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로, 단말(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타 서비스에 대한 정보, 예컨대 검색 서비스, 광고 등 다양한 관련 정보들이 기타 관련 정보(23b_3)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신저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10)과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 내 메신저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의 메신저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말(10)은 실행에 따른 실행 화면만을 수신하여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10)은 상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실행되는 화면을 수신하고, 이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101),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10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대화 창 화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은 메신저 프로그램 내의 다양한 화면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메신저 프로그램 초기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프로필을 수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동작이 입력되는 지 감지하고(S105),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10)은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제1 방향(예컨대,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동작이면, 단말(10)은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107).
반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제2 방향(예컨대,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이면, 단말(10)은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S109).
반면, 단말(10)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제3 방향(예컨대,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면, 사용자 또는 서비스 장치(20)에 의해 설정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111).
상술한 예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2회 연속 터치, 지그재그 드래그 등도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뿐 아니라,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이 될 수 있다. 더불어, 단말(10)은 사용자의 제스처, 시선 등을 감지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 메신저 기능 화면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메신저 제어 방법에 대해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중 대화 창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즉,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중 대화 창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 창 화면을 통해 단말(1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 상단에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201)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대방과 송수신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40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 왼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는 401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메신저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불어,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40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에 의해 설정된 식별 정보(예컨대, 설정된 이미지)가 메시지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식별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에 송수신된 시간 및 메시지 확인 여부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대화 창 화면 상단에는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201)와 함께 통화 연결 버튼(402), 친구 초대 버튼(403), 메뉴 버튼(20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화 창 화면 하단에는 컨텐츠 제공 메뉴 버튼(213), 이모티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214),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란(215) 및 입력된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를 거쳐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버튼(2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화 창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201)는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수가 1개 일 경우, 상기 연결된 상대방 단말이 지정된 프로필 이미지 또는 프로필 메시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수가 다수 존재할 경우, 상대방 단말의 수가 대신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이모티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214)를 선택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와 함께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표현한 이모티콘(300), 다양한 상황에 대한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301),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텍스트를 이용하여 표현한 문자 이모티콘(30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메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이 303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된 이모티콘 등과 함께 사용자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상황에 대한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 중 특정 이미지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408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스티커 형태의 이미지는 경우에 따라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대화 창 화면 상단에 표시된 메뉴 버튼(202)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상기 메뉴의 하위 메뉴(203)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하위 메뉴(203)에는 '이 대화 저장하기', '이 대화 전달하기', '대화 상대의 보관함', '전체 보관함' 등의 대화 창에서 이용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 대화 저장하기'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단말(10)은 현재 대화 채널을 통해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하고 있는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서비스 장치(20) 또는 단말(10) 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 대화 전달하기'를 선택 입력할 경우, 단말(10)은 또 다른 상대방 단말로 현재의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대화 상대의 보관함', '전체 보관함'을 선택 입력하면 단말(10)은 단말(10) 또는 서비스 장치(20) 내에 저장된 상대방과 송수신한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 하단에 표시된 컨텐츠 제공 메뉴 버튼(213)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상대방 단말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하위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제공 메뉴 버튼(213)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 버튼에는 사진/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바로 전송할 수 있는 메뉴 버튼(217), 기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는 사진 선택 메뉴 버튼(218), 기 저장된 동영상을 선택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는 동영상 선택 메뉴 버튼(219),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메뉴 버튼(220), 전체 기타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 버튼(221), 또는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할 수 있는 메뉴 버튼(222)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은 대화 창 화면 내에서의 특정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버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을 통해 검색 바(274)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검색 바(274)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면, 단말(10)은 자동적으로 현재 대화 창 내에서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만을 추출하여 이를 대화 창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검색된 메시지에 대한 개수(275)를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특정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기능을 대화 창 내에서 실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예컨대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대화 창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컨텐츠 제공 메뉴 버튼(213)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바람직하게는 대화 창 화면(225)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은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 상기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 기능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먼저, 컨텐츠 정보 화면 및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단말(10) 내 저장된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단말(10) 내 저장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 전환에 따라 화면 네비게이터(223)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되었는지, 정보 스토리지 화면으로 전환되었는지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이 일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인 것을 에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예컨대 5회 연속 터치가 감지되면,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 시간이 10초 이상 지속되면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화면의 스와이프, 상하 또는 좌우의 쉐이크(shake), 사용자의 시선, 제스처 등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래그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10)이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는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예컨대 대화 창(224)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예컨대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1a에서 사용자가 대화 창 화면 상단 부분을 드래그하는 것을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이 입력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단말(10)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 내 기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25) 또는 컨텐츠 표시 영역(40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25)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저장부(14)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재생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표시 영역(404)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며, 상기 컨텐츠는 단말(10) 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들은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가 가능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Photo(227), Video(228), Audio(229)와 같이 컨텐츠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25)을 통해 표시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은 226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아이콘과 같은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A1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10)은 상기 A1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컨텐츠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A1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일 경우, 단말(10)은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할 수 있는 Photo(227), Video(228), Audio(229)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10)은 상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컨텐츠 표시 영역(404)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객체, 예컨대 Photo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즉 대화 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게 되면, 단말(10)은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단말(10)의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대화 창 화면으로의 특정 객체의 드래그 앤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후, 이에 대응하는 상대방 단말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롱 터치(long touch), 내보내기 등의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따라 단말(10)은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즉 파일을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다수의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10)은 선택된 다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파일을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상기 컨텐츠를 상대방 단말로 전송과 동시에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파일을 바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10)은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객체를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즉 대화 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 방식, 터치 방식(롱 터치, 터치 횟수 등), 내보내기 등의 메뉴를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하거나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은 선택된 다수의 객체가 다른 종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객체들의 집합인 경우(예컨대,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하나의 파일로 변환(예컨대, 압축 파일)하거나, 카테고리 별로 동일한 객체들을 하나의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컨텐츠 정보 화면이 단말(10)의 풀(full) 화면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표시되는 프로그램 실행 화면, 예컨대 대화 창의 일측면에 바(225)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25)만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225)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컨텐츠 표시 영역(404)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들이 계층적 메뉴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상기 프로그램 실행 화면과 컨텐츠 정보 화면을 불투명의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대화 창일 경우,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10)은 현재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특정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을 수행하게 되면, 단말(10)은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초대 메시지(276)를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 이미지(277)를 같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231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A2가 다수의 게임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할 수 있는 특정 메뉴일 경우, 단말(10)은 단말(10) 내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들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API에 따라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단말(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대화 창 화면)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 예컨대 오른쪽 방향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정보 스토리지 화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저장 공간에 상기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말(10) 내 상기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자동 저장 중'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또는 컨텐츠가 저장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스토리지 화면은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405),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406),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23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406)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 단말과 송수신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며, 상기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중 어느 하나는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가 가능한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활성화된 모든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233)와 현재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과 송수신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23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일자별, 상대방 정보별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메시지 중 특정 메시지(234)를 선택한 후,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235)을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를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정보를 게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235)을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에는 '내 프로필에 올리기', '내 친구들에게 전달하기', '다른 SNS로 내보내기', '삭제' 등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서비스 장치(20)가 특정 SNS 서비스와 연동되어 있을 경우, 단말(10)은 선택된 메시지를 SNS 서비스를 통해 게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SNS 서비스를 통해 상대방이 입력한 메시지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4c의 247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와 연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른 서비스를 통해 작성된 컨텐츠가 수신되면,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은 상기 서비스 장치(20)와 연동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다른 서비스가 무엇인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아이콘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말(10)이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을 통해 외부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서비스 장치(20)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송수신된 다양한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방과 송수신된 메시지 및 컨텐츠가 단말(10) 내 저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장치(20)에만 저장되도록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정책에 따라 단말(10)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기본 용량, 프리미엄 용량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단말(10)은 상기 정보 스토리지 화면이 현재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 일측면에 표시되거나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화면 전환 방식으로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과 정보 스토리지 화면이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 이외도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메신저 기능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5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단말(10)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왼쪽 상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은 사용자의 프로필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단순히 사용자가 등록한 현재의 프로필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과거 프로필, 과거 프로필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즉, 2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과거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필 메시지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프로필 메시지에 대응하여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호도 정보, 댓글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 관리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필 메시지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영역(236)과 도 15c의 241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237)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상기 영역 간의 이동을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필 관리 화면은 사용자 자신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혼잣말 하기 메뉴, 즉 채팅 버튼(239)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화 창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화 버튼(24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필 관리 화면은 상대방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과 자신의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대화 창 화면에서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가 선택된 후,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10)은 상기 상대방 단말의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상대방 단말의 프로필 메시지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채팅 버튼(239)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 바로 채팅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며, 상기 통화 버튼(240)은 상기 상대방 단말과 바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대화 창 화면에서 별다른 선택 없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프로필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필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단말(10)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바람직하게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오른쪽 상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은 커뮤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사항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커뮤니티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티 관리 화면은 그룹 대화 창 화면과 일정 부분 유사하나, 대화 창 화면 상단에는 상대방 단말에 대한 정보 대신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407), 예컨대 커뮤니티 명칭 및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된 구성원의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뮤니티 관리 화면은 상기 커뮤니티 구성원 사이에 송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2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로 컨텐츠 가 표시되는 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및 컨텐츠를 구분하지 않고 송수신된 일자를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나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모임 버튼(252)의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도 16c에 도시된 하위 메뉴(253)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모임 가기 버튼(254)을 선택 입력하면, 단말(10)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멤버 추가 버튼(255)을 선택 입력하면, 현재 커뮤니티에 특정 구성원을 지정하여 추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정보 버튼(256)을 선택 입력하면, 상기 커뮤니티 생성 정보, 구성원 정보 등 상기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뮤니티 관리 화면은 대화 창을 통해 현재 연결된 단말 사용자들이 모두 기존의 커뮤니티 구성원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대화 창을 통해 현재 연결된 단말 사용자들이 커뮤니티에 미리 가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먼저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창을 통해 현재 연결된 상대방의 수가 5명이라 할 경우,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기 생성된 커뮤니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먼저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오른쪽 상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단말(10)은 사용자의 단말로, '커뮤니티를 생성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커뮤니티 생성 시 커뮤니티의 명칭을 입력할 수도 있으나, 단말(10)이 현재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가 커뮤니티 명칭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의 단말로 커뮤니티가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알림 메시지(270)는 상대방 단말의 대화 창 화면에 팝업(pop up)되어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메시지(270)와 함께 '모임 프로필 보기(271)', '모임 바로가기(272)'의 메뉴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임 프로필 보기(271)' 메뉴 버튼은 커뮤니티에 대해 모임 개설자가 작성한 소개 내용, 또는 개설 일시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지원하며, '모임 바로가기(272)' 메뉴 버튼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커뮤니티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커뮤니티 생성이 완료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대화 창 화면 상단에는 커뮤니티의 명칭과 상기 커뮤니티의 구성원의 수가 도시되며, 대화 창 화면 상단과 같은 일측면에 커뮤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모임 버튼(252)이 생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대화 창을 통해 현재 연결된 상대방의 수가 5명이라 할 경우, 이 중에서 어느 한 명만이 커뮤니티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이며, 나머지 4명은 사용자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되지 않은 상대방의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초대 메시지는 커뮤니티 관리 화면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262 버튼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특정 상대방을 커뮤니티 구성원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263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단말(10)은 모든 상대방 또는 선택된 특정 상대방을 커뮤니티 구성원으로 추가함과 동시에 모임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내에서 특정 컨텐츠가 송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하위 메뉴가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화살표 아이콘 등)을 상기 특정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28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하위 메뉴에는 예컨대, '모임 공유', '전달', '삭제' 등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모임 공유'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단말(10)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 내로 상기 컨텐츠가 공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특정 코멘트를 함께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264)가 팝 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사용자가 도 16b의 모임 버튼(252)를 선택 입력하면, 단말(10)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뮤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설명하였다. 상기 화면을 통해 커뮤니티 내 구성원들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탭 버튼(257), 그룹 내 공지 메시지와 관련된 내용들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탭 버튼(258), 그룹 내 송수신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탭 버튼(259)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룹 대화 버튼(260)을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거나 또는 작성 버튼(261)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단말(10)은 현재의 화면에서 도 16b와 같은 그룹 대화 창으로 화면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공지 탭 버튼(258)을 통해 커뮤니티에 가입된 구성원 중 어느 하나의 구성원이 공지 메시지를 입력하게 되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커뮤니티의 그룹 대화 창 화면을 통해 상기 공지 메시지(273)가 표시될 수도 있다.
반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단말(10)은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바람직하게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왼쪽 하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도 2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은 대화 상대를 관리할 수 있는 대화 상대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상대 관리 화면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등록된 전체 사용자의 목록을 확인하는 영역(208)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인 목록을 확인하는 영역(209)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대화 상대 관리 화면은 현재 대화 창을 통해 연결된 상대방이 '절친'으로 등록되지 않은 상대방일 경우 단말(10)은 '절친 등록' 버튼(204)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현재 연결된 상대방을 '절친'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기타 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205), 메시지 또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바(207)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검색 시의 카테고리, 예컨대 내용 중심으로 검색을 진행할 지, 상대방 이름 등의 정보를 기준으로 검색을 진행할 지 또는 모든 항목을 대상으로 검색을 진행할 지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 버튼(206)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검색 바(207)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게 되면, 단말(10)은 앞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메시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메시지만을 추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상기 대화 상대 관리 화면을 통해 나열되는 다수의 메시지(212) 또는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메시지의 하위 메뉴(21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은 메시지 하위 메뉴(212)를 통해 '보기', '대화 분석', '내보내기', '삭제' 등과 같이 메시지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기'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메시지(211)가 일부분, 예컨대 앞 부분만 표시될 수 있으므로, 전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대화 분석'은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분석, 예컨대 상대방 사이의 친밀도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내보내기' 메뉴는 선택된 메시지가 서비스 장치(20)에 저장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삭제' 메뉴는 현재 선택된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대화 상대 관리 화면은 다른 사용자를 등록하고 검색할 수 있는 '친구 찾기' 메뉴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친구 찾기' 메뉴 버튼(409)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친구 찾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친구 찾기' 기능이 제공하는 메뉴에는 '친구 추천(281)', '아이디로 찾기(282)', '문자로 초대(283)' 등의 메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친구 추천' 메뉴는 전화 번호 기반으로 친구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아이디로 찾기' 메뉴는 사용자가 알고 있는 상대방의 아이디, 메일 주소 등으로 친구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문자로 초대' 메뉴는 사용자가 상대방으로 문자를 전송하고, 상기 문자에 URL 링크를 자동으로 삽입함으로써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초대할 수도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더불어, 단말(10)은 상기 '문자로 초대'의 선택 입력을 통해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10) 내 기 저장된 주소록에서 특정 상대방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란(299)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한 번 이상 검색된 상대방에 대한 정보(298)를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하나 이상의 상대방 선택 및 완료 버튼(296)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10)은 선택된 상대방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SMS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취소 버튼(297)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대방에 대한 선택 입력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사생활 보호를 위한 내가 상대방의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나에 대한 정보를 숨기도록 요청한 상대방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는 탭 메뉴(290)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나를 차단한 상대방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탭 메뉴(291)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표시되는 상대방의 전체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전체 선택(294)' 버튼, '전체 삭제(295)' 버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대방에 대한 숨긴 친구 해제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292), 상기 상대방을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는 버튼(293) 등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20a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상대방을 추천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예컨대 단말(10)은 단말(10) 내 기 저장된 주소록에 등록된 상대방 중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대방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대방 단말로 메신저 프로그램 이용을 도모하는 초대 메시지를 SMS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은 상기 SMS 메시지 내에 메신저 프로그램에 대한 URL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친구 초대 기능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주소록에 기 저장된 상대방에 대한 목록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상대방에 대한 목록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대방 단말에 대한 목록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러한 '친구 찾기(287)' 기능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인 커뮤니티 관리 기능 등 메신저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해 기 설정된 경로에 따라 상기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 초기 화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의 '친구 찾기(287)'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기능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현재 등록된 친구를 확인할 수 있는 '친구(284)', 특정 친구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대화(285)',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는 '모임(286)'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친구 찾기 기능은 친구 관리 버튼(289)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친구 관리 버튼(289)는 경우에 따라, 예컨대 대화 창 화면에서는 기타 메신저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설정(289)' 메뉴로 대신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단말(10)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바람직하게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오른쪽 하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즉,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의 기본 이미지, 기본 글꼴 등을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창 관리 화면은 대화 창의 글씨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304), 상기 대화 창 배경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305), 스피치 버블(speech bubble, 말풍선)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306), 사진 등 단말(10) 또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이미지를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는 메뉴(307)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피치 버블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메뉴(306)를 선택 입력하게 되면, 단말(10)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치 버블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들을 308과 같이 미리 보기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본 설정(310)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해 기본으로 설정된 스타일이 현재 대화 창 또는 실행되는 모든 대화 창에 자동적으로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화 창 배경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305)를 선택하여, 대화 창과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들을 변경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대화 창 화면에서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미지)가 선택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동작, 예컨대 오른쪽 하단 대각선 방향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대화 창 배경 이미지로 설정하거나, 말풍선의 배경 이미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은 메신저 이용 중에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등록된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메신저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통화 화면을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에 기 등록된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통화 화면 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화 창 화면과 연동하여 통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이후, 통화가 진행되면, 상기 통화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기존에 생성된 대화 창이 존재할 경우,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화 창 화면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25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과 통화 진행 시 발생되는 음성을 자동적으로 텍스트로 변환하여 대화 창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대화 창 화면을 통해 통화 수행 중 다양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대화 창 화면 상단에 현재 통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통화 알림 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통화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249)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단말(10)은 현재 통화 품질이 나쁜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메신저 프로그램이 종료하도록 요청하고, 단말(10)의 자원이 통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상대방 단말과 영상 통화 수행 중에도 대화 창 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들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후 상기 대화 창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중에 발생되는 영상을 캡처하여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거나 캡처된 영상을 서비스 장치(20)와 연동된 SNS 서비스 등에 게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제어 방법은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화면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화면은 메신저 프로그램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은 최근 연락한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242), 사용자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영역(243), 절친 등록 등을 통해 즐겨찾기된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244), 등록된 그룹 정보(245)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친구 추천 목록이 표시되는 영역(246)의 표시를 지원한다. 이때, 상기 친구 추천 목록이 표시되는 영역(246)은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API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및 이러한 메신저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대해 다양한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플랫폼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양한 화면 예시도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화면 예시도를 통해 도시된 바에 한정되어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다양한 기능들, 예컨대, 다양한 채팅 창을 삭제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 특정 상대방으로 아이템 등을 선물할 수 있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 또한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메신저 프로그램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통해 대화 창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해지며,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11: 통신부 12: 입력부
13: 제어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메신저 시스템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 및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대화 창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창 관리 화면은 대화 창의 글씨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대화 창 화면의 배경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스피치 버블(speech bubble)과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메뉴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본 디자인 테마를 미리 보기 형태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통해 변경되는 설정이 실시간으로 상기 대화 창 화면에 반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는 경우, 상기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상기 대화 창 화면의 배경 이미지 또는 스피치 버블의 배경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단말에 대응하여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를 대화 창 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상대방 단말의 식별 정보로 지정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대화 창 화면의 배경 이미지 또는 스피치 버블의 배경 이미지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과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대화 창 화면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대화 창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신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05169A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52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995 2012-10-21
KR1020120116994 2012-10-21
KR20120116994 2012-10-21
KR20120116993 2012-10-21
KR1020120116995 2012-10-21
KR1020120116993 201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99A true KR20140052799A (ko) 2014-05-07

Family

ID=50270202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63A KR101359960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8A KR20140052798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9A KR20140052799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5A KR102067656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0130005166A KR20140052796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7A KR20140052797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2A KR20140052793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4A KR102081233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63A KR101359960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8A KR20140052798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65A KR102067656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0130005166A KR20140052796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7A KR20140052797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2A KR20140052793A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0005164A KR102081233B1 (ko) 2012-10-21 2013-01-17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8) KR101359960B1 (ko)
WO (8) WO20140618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13A1 (ko) * 2015-03-10 2017-01-19 성명석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21424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예림씨엔피 증강현실을 이용한 타임통 및 스페이스통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01B1 (ko) * 2014-05-23 202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문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5178715A1 (en)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message call service
KR102250941B1 (ko) * 2014-11-06 2021-05-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신저를 활용한 즐겨찾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24616B1 (ko) * 2014-12-31 2016-05-2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대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KR101613809B1 (ko) 2015-01-02 2016-04-1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특정 조건에 의해 제어되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684576B1 (ko) * 2015-06-09 2016-12-08 네이버 주식회사 하위 목록을 포함하는 재생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39792B1 (ko) * 2015-07-23 2017-05-26 안재용 이동단말기의 입력데이터 전송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53886B1 (ko) * 2015-12-24 202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제어 방법
KR101999799B1 (ko) * 2017-12-12 2019-07-12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인스턴트 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어플리케이션
CN111630556A (zh) * 2018-02-08 2020-09-04 连普乐士株式会社 以三维形态提供聊天室的方法和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WO2019172463A1 (ko) * 2018-03-06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프로필 사진을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08328B1 (ko) * 2018-10-26 2020-05-08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169339B1 (ko) 2019-04-12 2020-10-23 주식회사 카카오 동영상 배경을 가지는 프로필 뷰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WO2024101667A1 (ko) * 2022-11-08 2024-05-1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로부터 추출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검색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03B1 (ko) 2004-11-03 2007-06-28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모바일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20090027840A (ko) * 2007-09-13 2009-03-18 공윤옥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101513627B1 (ko) * 2008-09-18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버디정보 표시방법
KR101775956B1 (ko) * 2009-02-09 201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멀티세션 관리방법
KR101629257B1 (ko) * 2009-09-28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친구검색 방법
US9424444B2 (en) * 2009-10-14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KR101722616B1 (ko) * 2009-12-24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18708A (ko) * 2010-08-23 2012-03-05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18028B1 (ko) * 2010-10-06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 홈 화면 상 아이콘 제어 방법
US20120096354A1 (en) * 2010-10-14 2012-04-19 Park Seungy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61626B1 (ko) * 2010-12-21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423878B2 (en) *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KR101761619B1 (ko) * 2011-01-13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68B1 (ko) * 2011-01-24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13A1 (ko) * 2015-03-10 2017-01-19 성명석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21424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예림씨엔피 증강현실을 이용한 타임통 및 스페이스통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94A (ko) 2014-05-07
WO2014061875A1 (ko) 2014-04-24
WO2014061874A1 (ko) 2014-04-24
KR20140052796A (ko) 2014-05-07
WO2014061873A1 (ko) 2014-04-24
WO2014061872A1 (ko) 2014-04-24
KR20140052795A (ko) 2014-05-07
WO2014061876A1 (ko) 2014-04-24
KR20140052798A (ko) 2014-05-07
WO2014061871A1 (ko) 2014-04-24
KR20140052797A (ko) 2014-05-07
WO2014061877A1 (ko) 2014-04-24
WO2014061870A1 (ko) 2014-04-24
KR20140052793A (ko) 2014-05-07
KR101359960B1 (ko) 2014-02-11
KR102067656B1 (ko) 2020-01-17
KR102081233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960B1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기록 매체,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061547B1 (en) Collaborative, social online education and whiteboard techniques
EP3425872A1 (en)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US10565268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CN104396286B (zh) 提供即时消息收发服务的方法、记录有用于该方法的程序的记录介质以及终端
KR20190101492A (ko) 채팅 대화들에서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안된 아이템들
KR102106787B1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07506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47600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36793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12072B1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2181351A (zh) 语音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70415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387268B1 (ko) 말풍선 효과를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101370316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54975B1 (ko) 태그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30315262A1 (en) Sharing multiple applications in unified communication
US12003476B2 (en) Command based communication
KR20140120076A (ko)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주석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32537B1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30289740A1 (en) Management of in room meeting participant
KR20150105560A (ko)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8069258A (zh) 用于信息展示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3244314A1 (en) Common group suggested message recip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