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777A -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 Google Patents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777A
KR20140052777A KR1020120119336A KR20120119336A KR20140052777A KR 20140052777 A KR20140052777 A KR 20140052777A KR 1020120119336 A KR1020120119336 A KR 1020120119336A KR 20120119336 A KR20120119336 A KR 20120119336A KR 20140052777 A KR20140052777 A KR 2014005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uoyancy
buoyant
ship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12011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777A/ko
Publication of KR2014005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05Equipment to decrease ship's vibrations produced externally to the ship, e.g. wave-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3Righting capsized vessels, e.g. sai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100)의 정상 부상 상태에서 선체(100)의 후면에서 자연배수가 가능한 헐 저면(150), 헐 저면(150)의 양측에서 선체(100)의 헐 양측면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체의 종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부력부재(130), 및 선체(100)의 헐 저면(150) 중심선을 따라 선체(100)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한 중량부재(140)를 구비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Ship capable of rollover protection}
본 발명은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이나 정박 중인 선박이 롤링 등에 의하여 전복되더라도 신속하게 전복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수상을 운행하는 선박은 해류나 파도 또는 바람에 의하여 롤링, 요잉, 피칭, 서징, 히빙, 스웨잉을 하게 된다. 그 중에서 측면의 면적이 정면 또는 후면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가장 많이 선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롤링이다. 롤링에 의하여 선체를 앞뒤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이 기울게 되며, 선박이 임계각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선박이 전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출원공개 제10-2012-96820호에 의하면, 선박의 좌현과 우현에 각각 부착되며 부력을 이용하여 선박의 롤링 운동을 감소시키고 전복을 방지하는 측면 부력체, 상기 선박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선박이 전복되었을 경우 부력에 의해 이전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 부력체, 상기 측면 부력체 또는 상기 상단 부력체에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부력을 갖도록 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를 조절하는 스위
치를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여 선박의 좌우현에 의한 롤링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선박의 전복시에 상단 부력체 자체만으로는 선박을 수면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나 전복 이전의 상태로 원상회복하기 위한 무게 중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박을 전복 이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박을 전복 이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전복방지가 가능한 선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서 안정적이고 신속한 선박의 전복 방지가 가능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복된 선박을 전복 이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체(100)의 정상 부상 상태에서 선체(100)의 후면에서 자연배수가 가능한 헐 저면(150), 헐 저면(150)의 양측에서 선체(100)의 헐 양측면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체의 종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부력부재(130), 및 선체(100)의 헐 저면(150) 중심선을 따라 선체(100)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한 중량부재(140)를 구비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이 제공된다.
또한, 제1 부력부재(110, 120)는 선체(100)의 헐 내측면에서 선저면으로 갈수록 테퍼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부력부재(110, 12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선체(100)의 헐 양내측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입 공간(160)의 전방은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와 그 사이에 구비된 헐 저면(15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그 후방은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그 단면은 중심선이 낮아지도록 테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부력부재(110, 120)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70)를 매개하여 선체(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의 좌우대칭에 대응하여 그 외면이 테퍼진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부재(140)는 선체(100)의 헐 저면(150)의 중심선에서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한 부력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선체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헐 저면(1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박이 전복되었을 경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있어서 전복 이전의 정상 상태에 있는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있어서 전복된 선박의 복귀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있어서 전복 이전의 정상 상태에 있는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은 선체(100)의 헐 측면 양 내측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부력부재(110, 120),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부력부재(130), 및 선체(100)의 헐 저면 중심선에서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한 부력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한 중량부재(140)를 구비한다.
제1 부력부재(110, 120)는 선체(100)의 헐 내측면에서 선저면으로 갈수록 테퍼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력부재(110, 12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선체(100)의 헐 양내측면에 구비되며, 공기가 충진된 튜브의 외측면을 감싸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제1 부력부재(110, 120)의 외측면을 구성함으로써 헐의 저면이 테퍼지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사이에 선체(100)의 바닥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심 바닥 헐을 이루는 헐 저면(150)이 제1 부력부재(110, 120)의 양 바닥면에 대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 때 헐 저면(150)은 합성수지재의 판재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부력부재(110, 120)의 저면과 헐 저면(150)의 연접부에서 오버랩된 상태에서 나사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사이에서 물의 유출입이 자유로운 유출입 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입 공간(160)의 전방은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와 그 사이에 구비된 헐 저면(15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그 후방은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부력부재(110, 120)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70)를 매개하여 선체(100)의 상부에 제공된다.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의 좌우대칭에 대응하여 그 외면이 테퍼진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테퍼진 단면에 의하여 좌우 어느 방향에서든 전복에 대한 부상이 용이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중량부재(140)는 선체(100)의 헐 저면(150)의 중심선에서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한 부력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선체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헐 저면(150)에 가깝게 구비된다. 중량부재(140)는 선체의 무게중심축이 선체(100)의 헐 저면(150) 중심선에 위치하도록 비중이 선체(100)에 비하여 큰 부재로 이루어지며, 선체(100)의 헐 저면(150) 중심선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하여 평상시에 수면에 대하여 선체(100)를 상방향으로 부력을 제공하지만, 선체(100)가 전복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력부재(130)에 의하여 선체(100)를 수면상으로 올리는 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누워진 선체(100)는 3개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즉, 수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누워진 선체(100)에 있어서, 선체(100)의 무게중심점(C)에 대하여 수중에 잠긴 제1 부력부재(110)에 의한 부력(F1)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1 방향(도면상의 반시계 방향)의 제1 모멘트(M1), 수중에 잠긴 제2 부력부재(130)에 의한 부력(F2)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2 방향(도면상의 시계 방향)의 제2 모멘트(M2), 및 헐 저면(150)에 구비된 중량부재(140)의 중력(F3)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2 방향의 제3 모멘트(M3)가 발생하게 된다. 그 밖에 선체 자중이나 잔존 부력에 의한 모멘트가 발생되지만 전술한 제1 내지 제3 모멘트에 비하여 현저히 작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부력부재(110, 120)의 부력(F1)에 의한 제1 모멘트(M1)는 제2 부력부재(130)의 부력(F2)에 의한 제2 모멘트(M2)에 의하여 상쇄됨과 동시에, 중량부재(140)의 중력(F3)에 의한 제3 모멘트(M3)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의 무게중심점(C)에 대하여 선체(100)가 복귀된다.
중량부재(140)에 의한 제3 모멘트(M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마지막 복귀 과정에서 한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사이의 유출입 공간(160) 내로 물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선체(100)가 복귀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모멘트를 제공하게 되며, 이 후에 수면에 접하는 한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하여 안정적인 부상력을 선체(100)가 가지게 된다.
종래의 경우 마지막 복귀 과정에서 헐 내에 채워진 물이 그대로 수용하여 배수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설령 인위적인 배수펌프가 구비되더라도 매우 빠른 시간 내에 배수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선체(100)가 물속으로 잠게 가라 않게 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에 의하면, 마지막 복귀 과정에서 헐 저면(150) 내부에 잠긴 물이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하여 선체(100)가 수면상에 부상하면서 유출입 공간(160)의 물이 헐의 후면에 위치한 개방구를 통하여 자연배수됨으로써 완벽하고 안전하게 선체(100)가 수면에 대하여 정상 상태로 복귀 부상될 수 있다.
100: 선체
110, 120: 제1 부력부재
130: 제2 부력부재
140: 중량부재
150: 헐 저면
160: 유출입 공간
170: 지지부재
C: 선체의 무게중심점
F1, F2, F3: 부력
M1: 제1 모멘트
M2: 제2 모멘트
M3: 제3 모멘트

Claims (7)

  1. 선체(100)의 정상 부상 상태에서 선체(100)의 후면에서 자연배수가 가능한 헐 저면(150);
    헐 저면(150)의 양측에서 선체(100)의 헐 양측면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체의 종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부력부재(130); 및
    선체(100)의 헐 저면(150) 중심선을 따라 선체(100)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한 중량부재(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부력부재(110, 120)는 선체(100)의 헐 내측면에서 선저면으로 갈수록 테퍼지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부력부재(110, 12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선체(100)의 헐 양내측면에 구비되며, 공기가 충진된 튜브의 외측면을 감싸는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재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유출입 공간(160)의 전방은 한 쌍의 제1 부력부재(110, 120)와 그 사이에 구비된 헐 저면(150)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그 후방은 물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며, 그 단면은 중심선이 낮아지도록 테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100)의 상부에 제1 부력부재(110, 120)에 대응하여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부력부재(110, 120)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70)를 매개하여 선체(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제2 부력부재(130)는 선체의 좌우대칭에 대응하여 그 외면이 테퍼진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부재(140)는 선체(100)의 헐 저면(150)의 중심선에서 제1 부력부재(110, 120)에 의한 부력에 대하여 자중에 의한 모멘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선체에 비하여 비중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며, 헐 저면(15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KR1020120119336A 2012-10-25 2012-10-25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KR20140052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6A KR20140052777A (ko) 2012-10-25 2012-10-25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6A KR20140052777A (ko) 2012-10-25 2012-10-25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7A true KR20140052777A (ko) 2014-05-07

Family

ID=5088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336A KR20140052777A (ko) 2012-10-25 2012-10-25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7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880A (ko) 에어백 폰툰
CN106005240A (zh) 一种隐形多体防倾覆单体船
US20170096197A1 (en) Suction stabilized floats
KR101580794B1 (ko) 평형 유지 및 자가 복원 기능을 갖는 선박
CN205801417U (zh) 一种隐形多体防倾覆单体船
KR101716339B1 (ko)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JP2017133431A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操作又はメンテナンス方法
KR20140052777A (ko) 전복 방지가 가능한 선박
CN105947123A (zh) 一种甲板可潜至水下的双体半潜船
KR20130058425A (ko) 부력지붕을 구비한 낚시배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KR20140144555A (ko)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AU2014204469A1 (en) Buoyant, variably buoyant and non-buoyant foil structures for marine vessels and watercraft
JP3210309U (ja) 運航安定装置を備えた船舶
JP2024509259A (ja) ローリング低減ボート
KR101811705B1 (ko)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KR20170019903A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US1783450A (en) Dock ship for conveying river boats across the sea
KR20160077543A (ko) 발라스트 탱크를 대체하는 리버스 포일
JP3977825B2 (ja) カヌーの危険防止構造およびカヌー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JPH09111742A (ja) 汚濁水拡散防止膜体
KR101606737B1 (ko) 쌍동선
US20170008603A1 (en) Pontoon watercraft
KR101347953B1 (ko) 수상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