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720A -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 Google Patents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720A
KR20140052720A KR20120119183A KR20120119183A KR20140052720A KR 20140052720 A KR20140052720 A KR 20140052720A KR 20120119183 A KR20120119183 A KR 20120119183A KR 20120119183 A KR20120119183 A KR 20120119183A KR 20140052720 A KR20140052720 A KR 2014005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articulate matter
electrode
exhaust gas
electro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873B1 (ko
Inventor
이진하
임세라
장근호
전국진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873B1/ko
Priority to JP2012282436A priority patent/JP6049444B2/ja
Priority to CN201210587262.3A priority patent/CN103776752B/zh
Priority to EP12199713.4A priority patent/EP2725339A3/en
Priority to US13/731,704 priority patent/US20140116113A1/en
Publication of KR2014005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873B1/ko
Priority to US14/715,270 priority patent/US201503164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0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 G01M15/10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5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particulate sens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유닛은 배기가스가 지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전하를 띤 입자상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상기 입자상물질에 의해서 전하가 발생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는, 상기 입자상물질과 인접한 전면에 형성되는 전극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부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랑타입일 수 있다.
따라서,

Description

입자상물질 센서유닛{PARTICULATE MATTERS SENSOR UNIT}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매연)을 필터링하는 매연필터의 파손을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디젤자동차에는 매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젤매연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젤매연필터에 포집되는 매연의 양을 감지하기 위해서 차압센서가 적용된다.
앞으로, 배기가스규제에 따라서 기존의 차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젤매연필터에 포집되는 입자상물질의 감지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디젤매연필터의 파손도 감지하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연필터의 후단으로 슬립되는 매연의 양을 정밀하게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연필터에 포집되는 매연양과 파손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유닛은 배기가스가 지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전하를 띤 입자상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상기 입자상물질에 의해서 전하가 발생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는, 상기 입자상물질과 인접한 전면에 형성되는 전극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부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랑타입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의 폭은 20nm이고, 상기 홈의 폭은 20 내지 120nm의 범위에 포함되는 하나의 값이고, 높이는 20nm 내지 수백 nm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의 선단면에서 상기 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면과 50도 내지 6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삼각형꼴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면에서 기둥형태로 돌출되는 기둥타입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그 폭이 선단부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기둥형태로 움푹 파인 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홈은 선단면에서 상기 전면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기둥형태로 돌출되어 그 외경은 10nm 이하의 나노와이어 타입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자상 센서 유닛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디젤매연필터(DPF)의 매연(soot)과 같은 입자상물질의 포집량이나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의 양을 정밀하게 판단함으로써 강화되는 배기가스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압에 따른 디젤매연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가 배기라인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입자상물질과의 거리변화에 따라서 센서유닛에서 발생되는 전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과 그 주위 배기가스 흐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의 일부 상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폭 사이의 비율에 따른 등전위면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a), (b), 및 (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 타입의 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 및 (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을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의 형태에 따른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구비되는 배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여러 가지 표면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압에 따른 디젤매연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가 배기라인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입자상물질과의 거리변화에 따라서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차압의 크기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포집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가운데의 제1영역(140)은 점차 강화되는 센서유닛의 차압영역이고, 제2영역(12)는 일반적인 차압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디젤매연필터의 포집효율이 50% 이하인 영역이다. 아울러, 제3영역(10)은 디젤매연필터가 파손되어 포집효율이 0에 가까운 영역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차압센서는 포집효율과 차압측면에서 민감도가 떨어지고, 감지영역이 한정되어 새로운 타입의 차압센서 또는 입자상물질 센서가 필요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기라인(100)의 내부에 배기가스가 흐르고, 배기가스 안에는 입자상물질(11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입자상물질(110)은 센서(120)(PM: particulate matters sensor)를 인접해서 지나게 되고, 상기 입자상물질(110)이 지나감에 따라서 상기 센서(120)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120)에서 신호가 발생되는 요인은 대전된 입자상물질이 지날 때 상기 센서(120)에 유도되는 전하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전된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은 다음의 식과 같이 나타난다.
Figure pat00001
■대전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
Q는 대전입자가 가진 전하량이며, r은 대전 입자로부터 떨어진 거리이다. 또한
Figure pat00002
는 진공 중에서의 유전율이다.
센서 전극 계면에서 대전 입자상물질에 의한 전기장 값과 동일한 크기의 표면전하가 센서 전극에 발생하게 된다. 이 유도된 전하는 라플라스 방정식으로 풀 수 있다. 직교좌표계에서 z가 0인 평면에 놓인 도체 평판에 대해서 Q값의 전하량을 갖는 대전 점전하가 (0,0,d)에 놓여있을 때, 점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전위 및 유도되는 표면전하밀도는 다음의 식과 같다.
Figure pat00003
■ 점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전위
Figure pat00004
■ 점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
Figure pat00005
■ 유도되는 표면전하밀도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는 각각 직교 좌표계에서 x축, y축, z축 방향의 단위벡터를 나타낸다.
거리 x에 대해서 대전 입자에 의해 센싱 전극에 유도되는 유도 전하량을 그래프로 표현해 보면, 대전 입자와 전극간의 거리변화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펄스 형태의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와 입자상물질의 거리 x에 따른 유도된 전하신호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120)는 실리콘전극층(330) 및 절연층(340)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전극층(330)은 가운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전극층(330)의 전면(300)와 후면(310)에 상기 절연층(340)이 얇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절연층(340)은 상기 실리콘전극층(330) 위에 형성되는 산화물층(342)(Oxide) 및 상기 산화물층(342)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층(344)(Nitride) 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120)의 전면(300)에는 사각형으로 돌출된 전극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320)는 폭방향으로 제1거리(D1)를 두고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제2거리(D2)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거리(D1)와 상기 제2거리(D2)는 설계사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320)가 돌출된 높이도 설계사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부(320)는 상기 센서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형상은 직육면체, 정육면체, 구형, 삼각뿔, 사각뿔, 및 원뿔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센서(120)의 후면(31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120)의 후면의 한쪽에는 상기 절연층(340)이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쪽에는 상기 절연층(340)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절연층(340) 위에 히터전극(400)이 형성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전극(400)은 지그제그모양으로 'ㄹ'자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34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상기 실리콘전극층과(330)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전극패드(4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콘전극층(330)은 실리콘웨이퍼와 유사한 재질로 Si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전극(400)과 상기 센싱전극패드(410)는 전기가 잘 통하고 내구성이 높은 백금(Pt) 성분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과 그 주위 배기가스 흐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120)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전면(300)에서 돌출되어 전극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320)와 상기 전극부(320) 사이에 홈의 형태를 따라서 등전위선(면)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의 일부 상세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랑 형태의 전극부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120)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그루브(800)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800)는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그루브(800) 사이에 전극부(3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폭 사이의 비율에 따른 등전위면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상기 전극부(320)의 폭(W)과 홈의 폭(S) 사이의 비(ratio)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등전위면적(area of equipotential)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0의 (a), (b), 및 (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유닛의 표면에 형성된 그루브 타입의 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 (c)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120)의 전면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과 수직한 돌출형태의 전극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320) 사이에 그루브(800)(groove)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극부(320)의 폭과 높이는 모두 20 ㎛이고, 상기 전극부(320) 사이의 폭은 (a)에서 20 ㎛, (b)에서 40 ㎛, (c)에서 60 ㎛이다. 즉, 상기 그루브(800)의 폭은 (a)에서 20 ㎛, (b)에서 40 ㎛, (c)에서 60 ㎛이다.
도 11의 (a), (b), 및 (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을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설정된 폭(w), 거리(s), 및 높이(h)를 갖는 전극부(320)를보여준다.
여기서, 센서(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부(320)는 배기가스의 흐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고랑(groove, 그루브)타입이다. 여기서, 폭(W)과 높이(h)는 20㎛로 설정되고, 거리(s)는 20, 40, 60 ㎛ 등으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설정된 폭(w), 거리(s), 및 높이(h)를 갖는 전극부(320)를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부(320)는 기둥타입(pillar type)이다. 여기서, 폭(W)과 높이(h)는 20㎛로 설정되고, 거리(s)는 20, 40, 60 ㎛ 등으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설정된 폭(w), 거리(s), 및 높이(h)를 갖는 전극부(320)를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부(320)는 홈(102)이 기둥형태(pillar type)로 파인 포어타입(pore type)이다.
폭(W)과 높이(h)는 20㎛로 설정되고, 거리(s)는 20, 40, 60 ㎛ 등으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홈의 형태에 따른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입자상물질의 밀도(mg/m3)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센서의 타입에 따른 발생되는 신호의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센서(120)의 타입은 도 11에서 설명된 고랑타입, 기둥타입, 및 포어타입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랑타입에서 센서신호가 크고 의미가 있다.
아울러, 폭(W) 및 거리(s)은 10㎛로 설정되고, 높이(h)는 40 ㎛ 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구비되는 배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배기시스템은 엔진(130), 배기라인(100), 디젤매연필터(132), 센서(120), 및 가스분석기(134)를 포함한다.
도 13의 (a) 에서, 상기 디젤매연필터(132)를 지나기 전의 배기가스는 동시에 상기 센서(120)와 상기 가스분석기(134)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디젤매연필터(132)를 지나기 전의 배기가스의 특성을 상기 센서(120)와 상기 가스분석기(134)로 감지하여 상기 센서(120)의 신호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3의 (b) 에서, 상기 디젤매연필터(132)를 지난 배기가스는 동시에 상기 센서(120)와 상기 가스분석기(134)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디젤매연필터(132)를 지난 배기가스의 특성을 상기 센서(120)와 상기 가스분석기(134)로 감지하여 상기 센서(120)의 신호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물질 센서의 여러 가지 표면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기둥타입의 전극부(320)를 갖는 센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기둥타입의 전극부(320)의 측면에는 경사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2)은 선단면으로 갈수록 상기 전극부(320)의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14의 (b)는 나노와이어 타입의 전극부(320)를 갖는 센서(120)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 타입의 전극부(320)는 직경(d), 높이(h)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 거리(s)가 형성된다.
도 14의 (c)는 고랑타입의 전극부(320)를 갖는 센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고랑타입의 전극부(320)에는 측면에 경사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2)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320)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도 14의 (d)는 고랑타입의 전극부(320)를 갖는 센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고랑타입의 전극부(320)에는 측면에 경사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2)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320)의 단면은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도 14의 (e)는 포어타입의 전극부(320)를 갖는 센서(120)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포어타입의 홈(102)에는 내측면에 경사면(14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2)에 의해서 상기 홈(102)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나노와이어 타입의 전극부(320)의 직경(d)는 10 nm이하로 나노와이어이다. 그리고, 폭(w)는 20 ㎛, 높이(h)는 20 ㎛ 이상, 거리(s)는 20 내지 120 ㎛ 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142)의 경사는 약 50내지 60도 (54.7도)의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젤매연필터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젤매연필터의 후단으로 빠져나오는 입자상물질에 의해서 전하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전하신호의 크기와 빈도에 따라서 상기 디젤매연필터의 파손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배기라인 120: 센서
110: 입자상물질 300: 전면
310: 후면 320: 전극부
330: 실린콘전극층 340: 절연층
342: 산화물층 344: 질화물층
400: 히터전극 410: 센싱전극패드
800: 그루브 102: 홈
130: 엔진 132: 디젤매연필터
134: 가스분석기 142: 경사면

Claims (17)

  1. 배기가스가 지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전하를 띤 입자상물질이 근처를 지날 때, 상기 입자상물질에 의해서 전하가 발생되는 정전유도방식의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는,
    상기 입자상물질과 인접한 전면에 전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랑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3. 제2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4. 제2항에서,
    상기 전극부의 폭은 20nm이고, 상기 홈의 폭은 20 내지 120nm의 범위에 포함되는 하나의 값이고, 높이는 20nm 내지 수백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5. 제2항에서,
    상기 전극부의 선단면에서 상기 홈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6. 제2항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면과 50도 내지 60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세유닛.
  7. 제5항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8. 제5항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삼각형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9. 제1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면에서 기둥형태로 돌출되는 기둥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0. 제9에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그 폭이 선단부에서 상기 전면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1. 제10에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2. 제10에서,
    상기 전극부의 단면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3. 제1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기둥형태로 움푹 파인 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4. 제13항에서,
    상기 홈은 직육면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5. 제13항에서,
    상기 홈은 선단면에서 상기 전면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6. 제1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기둥형태로 돌출되어 그 외경은 10nm 이하의 나노와이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17. 제1항에서,
    상기 센서의 상류측에 디젤매연필터(DPF)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젤매연필터에서 배출되는 입자상물질에 따라서 전하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전하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젤매연필터의 파손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KR1020120119183A 2012-10-25 2012-10-25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KR10146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83A KR101461873B1 (ko) 2012-10-25 2012-10-25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JP2012282436A JP6049444B2 (ja) 2012-10-25 2012-12-26 粒子状物質センサユニット
CN201210587262.3A CN103776752B (zh) 2012-10-25 2012-12-28 颗粒物质传感器单元
EP12199713.4A EP2725339A3 (en) 2012-10-25 2012-12-28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US13/731,704 US20140116113A1 (en) 2012-10-25 2012-12-31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US14/715,270 US20150316448A1 (en) 2012-10-25 2015-05-18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83A KR101461873B1 (ko) 2012-10-25 2012-10-25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20A true KR20140052720A (ko) 2014-05-07
KR101461873B1 KR101461873B1 (ko) 2014-11-20

Family

ID=4774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83A KR101461873B1 (ko) 2012-10-25 2012-10-25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40116113A1 (ko)
EP (1) EP2725339A3 (ko)
JP (1) JP6049444B2 (ko)
KR (1) KR101461873B1 (ko)
CN (1) CN1037767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176B2 (en) 2015-06-19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8968A (ja) * 2012-12-17 2014-06-30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粒子状物質センサーユニット
KR101610167B1 (ko) 2014-12-02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입자상 물질 센서
RU2707983C2 (ru) * 2015-02-17 2019-12-03 Форд Гло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Ллк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твердых частиц
WO2017090434A1 (ja) * 2015-11-25 2017-06-01 京セラ株式会社 センサ基板およびセンサ装置
KR101755469B1 (ko) * 2015-12-08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미세 물질 측정 센서
KR101724499B1 (ko) * 2015-12-11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입자상 물질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US20180073973A1 (en) 2016-09-12 2018-03-15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s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nsor unit provided in this
KR20180065318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칩형 입자상 물질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5892B2 (en) * 1997-08-08 2002-12-1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echniques and systems for analyte detection
JP2002022703A (ja) * 2000-07-06 2002-01-23 Kansai Ootomeishiyon Kk 粉粒体の濃度計測装置
JP2002365263A (ja) * 2001-06-06 2002-12-18 Mitsubishi Chemicals Corp 粉粒体の濃度検出装置
JP2005010083A (ja) * 2003-06-20 2005-01-13 Sharp Corp 粒子検出センサー及びそれを用いた粒子検出測定装置。
US7765792B2 (en) * 2005-10-21 2010-08-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particulate matter sensor signal processing
KR100946701B1 (ko) * 2007-12-10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결정 복합 산화물 박막, 이를 구비한 환경 가스 센서및 환경 가스 센서의 제조방법
US8176768B2 (en) * 2008-07-04 2012-05-15 Ngk Insulators, Ltd.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device
JP2011080781A (ja) * 2009-10-05 2011-04-21 Nippon Soken Inc パティキュレート検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パティキュレート検出センサ
JP2011080926A (ja) * 2009-10-09 2011-04-21 Denso Corp パティキュレート検出素子
JP5635776B2 (ja) * 2010-01-07 2014-12-03 日本碍子株式会社 粒子状物質検出装置、及び粒子状物質検出装置の検査方法
JP2011247650A (ja) * 2010-05-24 2011-12-08 Denso Corp 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及び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ユニット
JP5542006B2 (ja) * 2010-08-26 2014-07-09 日本碍子株式会社 粒子状物質検出装置
JP5201194B2 (ja) * 2010-10-28 2013-06-05 株式会社デンソー 粒子状物質検出装置及び粒子状物質検出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176B2 (en) 2015-06-19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Particulate matter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49444B2 (ja) 2016-12-21
KR101461873B1 (ko) 2014-11-20
EP2725339A2 (en) 2014-04-30
US20150316448A1 (en) 2015-11-05
EP2725339A3 (en) 2018-01-10
CN103776752B (zh) 2018-05-25
CN103776752A (zh) 2014-05-07
US20140116113A1 (en) 2014-05-01
JP2014084862A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873B1 (ko) 입자상물질 센서유닛
US10488316B2 (en) Fine-particle number measurement device and fine-particle number measurement method
US9759675B2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KR101775184B1 (ko) 공기 질량 유량계
US20140223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oot particles in an exhaust gas, in particular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093146A (zh) 一种容抗式油液检测系统及其制作方法
US20110246089A1 (en) Micro-fabricated double condens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number-size distribution of airborne nano-particles
CN106796168B (zh) 用于确定气流中的颗粒浓度的传感器
JP3985960B2 (ja) 排気ガス中の微粒子計測装置および計測方法
JP4152949B2 (ja) 液体状のマイクロ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ピーダンスの測定方法
CN107631966B (zh) 用于排气微粒物质感测的方法和系统
US20190285534A1 (en) Particulate detector
US20180217045A1 (en) Sensor for detecting particles
US9354196B2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unit
CN107917931B (zh) 用于排气微粒物质感测的方法和系统
CN107167405B (zh) 用于排气微粒物质感测的方法和系统
CN107525750B (zh) 用于排气微粒物质感测的方法与系统
JP4748476B2 (ja) 微粒子計測装置
JP2008096322A (ja) 粒子分級装置
KR101411333B1 (ko) 열발생부재를 포함하는 미세유동 채널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모니터링 장치
KR101460311B1 (ko) 입자 분급장치
CN107664055B (zh) 用于排气微粒物感测的方法和系统
KR101610167B1 (ko) 입자상 물질 센서
CN107179266A (zh) 基于obd的柴油发动机颗粒物排放快速诊断装置与方法
KR101383312B1 (ko) 두 개의 돌출편 사이에 라운드부를 갖는 방전부가 구비된 전기집진기용 방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