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067A - 전원식 주택 - Google Patents

전원식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067A
KR20140052067A KR1020147007866A KR20147007866A KR20140052067A KR 20140052067 A KR20140052067 A KR 20140052067A KR 1020147007866 A KR1020147007866 A KR 1020147007866A KR 20147007866 A KR20147007866 A KR 20147007866A KR 20140052067 A KR20140052067 A KR 2014005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lant cultivation
house
furnitu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준 바오
Original Assignee
리준 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준 바오 filed Critical 리준 바오
Publication of KR2014005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일종의 가구 내에 식물재배 공간(5)이 설치되는 전원식 주택은, 벽체, 마루판, 엘리베이터(22), 문, 창문을 포함하는 저층, 다층, 중고층 또는 고층 건축체(1)로서, 건축체(1)는 유닛형 주택, 타워형 주택, 듀플렉스 주택 또는 복도식 주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층, 복층 또는 스플릿레벨형 가구를 두 부분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일부분의 공간은 표준 주택 기능의 구조를 채택하고, 다른 일부분의 공간은 작물 재배 공간 구조를 채택하였다. 식물재배 공간은 정렬 또는 비정렬 공간 조합 형식으로 건축체(1)의 양측 또는 남측에 설치되며, 식물재배 공간은 전체 가구에 설치하거나 일부 가구에 설치할 수 있다. 식물재배 공간은 다층 방호 기술로 건조되며, 과채, 화훼 또는 약재를 재배하거나, 또는 관상용 조류나 어류를 기를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식 주택{ARCADIAN RESIDENCE}
본 발명은 주택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내에 자체적으로 식물 재배 공간이 설치되는 전원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전통 주택은 1층 가구만 실외의 자가 정원에 식물을 재배할 소량의 토지를 보유할 수 있고, 이층 이상의 대부분의 가구는 발코니에만 소량의 화훼를 기를 수 있는 장소가 제공될 뿐으로 작물을 큰 면적에서 재배할 수 없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기 집에 채소정원을 갖추어 재배와 수확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길 갈망한다.
철근콘크리트에 의해 지탱되는 현대 도시 건축은 그 외관이 특히 본질적으로 갈수록 자연과 멀어져가고 있다. 대부분의 주택은 기능이 단일하여 일상 거주 등의 문제만 해결할 수 있을 뿐이며, 이밖에 일부 호화 주택 상품은 쾌적함을 강조함으로 인해 용적률이 매우 낮아 건축 과정에서 토지 자원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건축이 완성된 후 주택의 자원 소모 역시 놀랄 만큼 막대하다.
인민망(人民網)의 데이터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 등록된 기본 농지 면적은 15.89억묘(畝)인데, 그 중 경지는 15.36억묘에 불과하여, 1인당 평균 1묘 남짓에 불과하다. 그 중 건설용지가 차지하는 경지 수량이 비교적 많아 표토의 자원 낭비가 심각하여 농업 생산과 식량의 안전에 불리하다. 지속적인 대규모 주택 건설과 토지에 비해 많은 인구, 자원 부족은 또한 건설용지 부족과 농지 보장이라는 모순을 한층 더 심화시키고 있다.
기본 농지의 전반적인 품질이 떨어지고, 농지 생산량이 감소하며, 오염이 심화되어 도시에서는 과일과 채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있으며, “식탁 오염” 등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도시 생활로 인해 젊은이들, 특히 어린이들은 몸을 움직이기 싫어하고 작물도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도시인은 빠르게 돌아가는 근무 장소에서 분주하게 뛰어다니느라 갈수록 늘어나는 스트레스를 풀 곳이 없다. 노년에 은퇴 후에는 생활이 무미건조하기 때문에 많은 노인들이 고향과 옛일을 그리워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전통적인 주택에 존재하는 단점에 대하여, 실내에 자체적으로 식물 재배 공간을 구비한 전원식 주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원식 주택은, 벽, 마루판, 엘리베이터, 문, 창문을 포함하는 저층, 다층, 중고층 또는 고층 건축체로서, 상기 건축체는 유닛형 주택, 타워형 주택, 듀플렉스 주택, 복도식 주택을 포함하며, 상기 주택은 가구마다 거실, 침실, 주방, 화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식 주택은 주거 기능이 완전하고 합리적이라는 전제 하에, 단층, 복층 또는 스플릿레벨 하우스 형태를 두 부분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일부분은 표준 주택 기능 구조를 채택하고, 일부분은 채소, 화훼 또는 약재를 심을 수 있는 식물 재배 공간 구조를 채택하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건축물 내하중 부재와 방호부재로 둘러싸 완전 밀폐, 반 밀폐 또는 개방형식을 형성하여, 온실과 유사하면서 더욱 우수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 구조는 구조부터 0-1.5m, 바람직하게는 0.3-1.5m 바닥을 낮춘 침상이거나 또는 구조의 바닥판으로부터 0-1.5m 높이로 배토, 바람직하게는 0.3-1.5m의 높이로 배토한 단상(壇上) 형식이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정렬 또는 비정렬 공간 조합 형식으로 건축체의 양측 또는 남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전체 가구에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 가구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주택은 독립형 주택, 연립식 주택, 공동생활형 주택을 포함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전원식 아파트, 전원식 오피스 빌딩을 포함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에서, 전원식 주택의 메인 프레임은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및 목조 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에서, 가구 내에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식물재배 공간은 관상용 조류와 어류를 가정에서 기르는데도 이용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에서, 식물 재배 공간은 벽, 주택 창문벽 및 상하층의 구조 마루판, 다면 채광 유리창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에서, 식물재배 공간은 정렬 또는 비정렬 공간 조합 형식으로 건축체의 양측 또는 남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단층 주택(single-level hpuse) 형태에 설치되되, 상하 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위치가 대칭으로 통일될 수 있으며,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단층 정렬 모드를 형성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단층 주택형태에 설치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재배 공간 치수가 불일치하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는 엇갈린 배열의 단층 비정렬 모드를 형성하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복층 주택(duplex house) 형태에 설치 가능하되, 상하 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소재 위치가 대칭으로 일치하고,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질서 있게 통일된 복층 정렬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복층 주택형태에 설치 가능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 재배 공간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아 입체감이 풍부한 복층 비정렬 모드를 형성하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스플릿레벨 주택(split-level house) 형태에 설치 가능하되, 상하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소재 위치가 대칭으로 일치하고,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질서 있게 통일된 스플릿레벨 정렬을 형성하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스플릿레벨 주택형태에 설치 가능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 재배 공간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아 입체감이 풍부한 스플릿레벨 비정렬 모드를 형성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본체 건축물의 최상층 주거 가구에 위치하는 식물 재배 공간의 천정을 유리 지붕으로 대체하여 채광의 최대화를 실현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식물 재배 공간의 채광면에 다면 채광식 여닫이, 아치형 창 또는 장방형 창을 설치하여, 채광과 통풍을 최대한으로 실현하고, 식물 재배 공간은 방충창 및 차광커튼을 통해 방충 및 일광을 차단하며, 사방에 안전 가드를 설치한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가구마다 자체적으로 보유한 식물재배 공간에 모두 다층 방호시설, 예를 들어 구조층, 구성층, 식물재배층을 건조하여 1년 사계절 매일 24시간 동안 끊임없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의 가구당 식물재배 공간은 주택형태에 따라, 식물재배 면적이 5-100m2로 상이하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각 유닛마다 1 가구 1 계단을 설치하거나, 다가구 1 계단 또는 몇 계단에 다가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식물 재배 공간은 엘리베이터와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전원식 주택은, 식물 재배 공간과 거실 사이를 유리문 또는 기타 파티션으로 연결하여 관리할 도우미의 고용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생활 보호 및 관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량의 부하 실험 실측 데이터를 통해, 그 식물재배 구조층의 정하중이 1500kg/m2에 달하고, 동하중은 300kg/m2에 달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국가표준 건축구조 하중 규범(GB 50009-2001)을 완전히 만족시킨다. 실험결과, 본 발명은 과학적으로 실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가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저탄소 친환경적으로, 주거의 쾌적성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가구마다 실내에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원식 식물재배 공간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거실에서 과일과 채소, 화훼를 기를 수 있어, 공기정화, 환경을 녹화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신선한 야채 및 품질이 보장된 안심 야채 섭취 문제를 가볍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실 재배는 도시인에게 식물 재배의 즐거움을 체험할 수 있게 하며, 어린이의 경우, 사회활동에서 노동을 배우고, 대자연을 이해하며, 손기술을 배양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다. 자연으로 회귀하는 노동과 전원 풍경은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심신을 이완시키며, 노인의 경우 오락 여가 활동이 건강해지고 풍부해진다. 본 발명인 전원식 주택은 주거 기능의 쾌적성, 주거 안전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식물재배 기능을 실현하여, 자연과 가까워지고 여유로운 전원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에 영합하여 도시인의 전원생활의 꿈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재배 공간은, 인공적으로 건축된 주택 건축물 안에 농지의 농작물 생장 환경을 시뮬레이션하여, 농작물의 생장 발육 성숙 조건에 적합하도록 함으로써, 1년 사계절 하루 24시간 내내 끊임없이 생산이 가능하여, 농작물 생산 면적과 생산량을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농촌 경작지 면적을 절약하여 키 큰 수목을 심을 수 있게 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또한 에너지와 토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빌딩의 건축구조와 생장 환경에 적응한 농작물과 결합하여, 고도 생산, 소형화 방향으로 발전을 촉진하여, 농업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전통적인 부동산이 주택 위주인 단일 패턴을 거주와 재배를 하나로 결합한 전원식 다기능 패턴으로 전환시켜, 부동산 개발 전환에도 하나의 새로운 구상을 제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체적인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1층공간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표준공간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물재배 공간과 거실 내외의 구조관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물재배 공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정입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1층공간 배치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표준층 복층 공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표준층 공간 배치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물재배 공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물재배 공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정입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짝수층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홀수층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표준층 스플릿레벨 공간 배치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식물재배 공간과 거실 내외 구조관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식물재배 공간 구조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다. 상기 실시에는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을 단층 대칭 형식으로 유닛형 주택에 설치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식 주택의 전체적인 입면도로서, 벽, 마루판, 엘리베이터, 문, 창문을 포함하는 다층 건축체(1)이다. 상기 건축체(1)에는 복수의 유닛(2)이 설치되며, 매 유닛(2)의 매 층마다 동서로 두 가구(3)씩 설치된다. 개선된 점은,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은 각 층의 두 가구(3)마다 모두 단층 주택형태에 실내 식물재배 공간(5)을 설치하였다는데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건축체(1)가 횡방향으로 동서 두 가구(3)로 분할되고, 두 가구(3)는 서로 이웃하되 가구 분리벽(4)을 통해 완전히 격리된다. 매 가구당 각자의 일상 주거공간(6)을 제외하고, 과채, 화훼 및 약재를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 공간(5)이 더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서 두 가구(3)의 식물재배 공간(5)은 건축체(1)의 남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좌우가 대칭된다. 상하 주거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의 위치도 통일되어, 전체적인 건축체(1)의 외관으로 보면 질서있게 통일된 단층 대칭 모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5)은 가구분리벽(4), 엘리베이터 전실벽(7), 주택 문과 창문벽(8) 및 상하층의 구조 마루판(9), 및 삼면 채광의 외부로 돌출된 호형 유리창벽(10)으로 둘러싸여 완전 밀폐 구조를 형성하여 온실과 유사하면서 더욱 우수하다.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구조 마루판은 구조로부터 50cm, 60cm 또는 80cm 낮춘 침상 형식이 바람직하다.
기타 층과 다른 점은, 본 발명의 전원식 주택의 1층(11)은 건축물 내부에 동서로 두 개의 정원(12)이 설치되고, 각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이 내부 정원(12)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최상층(13)의 식물재배 공간 상부구조는 유리 지붕(14)으로 천정을 대체함으로써 채광을 최대한 실현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1층 표준 공간 배치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1층(11)은 내부 정원(12)이 설치되며, 식물재배 공간(5)은 내부 정원(12)에 설치된다. 삼면 채광의 2중 유리 커튼월(15)과 울타리담(17)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1층의 메인 입구(18)는 내부 정원(12)과 연결되고, 주거공간(6)은 식물재배 공간(5)과 연결된다. 두 가구 사이에 공용 통로(19)가 설치되고, 공용 통로(19)는 가구로 진입하는 홀(20)과 연결되며, 상하 계단(21) 및 엘리베이터(22)와 직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준층 공간 배치도로서, 상기 층은 두 개의 유닛(2)으로 분할된 단층으로, 가구분리벽(4)은 두 유닛(2) 사이에 위치하며, 유닛(2) 중간에 상하 계단(21)과 엘리베이터(22), 전실(23)이 설치된다. 전실(23)에 현관문(24), 식물재배 공간 진입문(25), 비상대피문(26)이 설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매 가구마다 3실 2거실 2화장실 1주방 1식물재배 공간의 주택형태로 설계되며, 가구마다 모두 거실(27), 침실(28), 주방(29), 서재(30), 화장실(31), 베이창(32), 공조기 자리(33) 및 식물재배 공간(5)이 구비된다. 실내 면적은 약 144평방미터이고, 식물재배 공간의 면적은 약 24평방미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과 거실 내외 구조 관계도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1계단 2가구로 설계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재배 공간(5)은 엘리베이터(21)와 직접 연결되어, 전실(23)의 식물재배 공간 진입문(25)을 통해 직접 진입할 수도 있고, 가구 내 거실과 식물재배 공간의 연결문(34)을 통해 진입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거실(27)과 식물재배 공간(5) 사이에 초대형 유리창을 사용하여, 거실에서 식물재배 공간(5) 안의 전원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 공간(5) 내에 전간소도(田間小道)(35)를 설치하여, 전간소도(35)로 재배식물을 약간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음지, 또는 양지 식물의 구역별 재배를 실현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의 단면도로서, 상기 식물재배 공간(5)은 가구분리벽(4), 엘리베이터 전실벽(7), 주택 창문벽(8) 및 상하층 구조마루판(9)으로 둘러싸여 완전 밀폐형을 구성한다. 구조 마루판은 구조로부터 약 60cm 내려간 침상 형식이며, 식물재배 공간(5)은 구조층(36), 구성층(37), 재배층(38)의 다층 방호 기술로 건조되며, 재배층(38)에 지면의 농지와 같이 과채, 화훼 및 약재를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식물재배 공간(5)의 양지면에 삼면 채광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리 호형창(10)이 설치된다. 호형창(11)은 방충 및 일광 차단을 위해 방충창과 차광커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방에 안전 가드(39)가 설치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은 단층 대칭 및 복층 대칭 형식으로 타워형 주택의 양측에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입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1층 공간 배치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표준층 복층 공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표준층 공간 배치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 확대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의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건축체(1)는 각 층마다 동서로 각 한 가구씩 두 가구(3)가 설치되며, 각 가구는 식물재배 공간(5)과 주거공간(6)으로 구성된다. 각 가구 중의 식물재배 공간(5)과 주거공간(6)은 모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서측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은 단층 주택형태에 설치되며, 상기 트러스 높이는 3.3미터이고, 상하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의 위치는 대칭으로 일치하여 단층 정렬모드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의 동측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은 즉 복층 주택형태에 설치되며, 식물재배 공간은 대략 이층 높이 6.6미터의 고천정 공간(42)에 위치하고, 주거 공간(6)은 즉 3.3미터의 정상적인 높이에 위치하며, 식물재배 공간(5)과 주거 공간(6)은 사이층(夾層, interlayer)을 형성한다. 상하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의 위치는 대칭으로 통일되게 일치하여 복층 정렬 형식을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의 1층 가구(11)는 각 가구마다 식물재배 공간(5)이 내부 정원(12)에 설치되고, 삼면이 유리 커튼월(15)과 울타리담(16)으로 밀폐되어 형성되며, 메인 입구(17)로부터 직접 식물재배 공간(5)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표준층은, 매 가구마다 거실(27), 침실(28), 주방(29), 서재(30), 화장실(31), 공조기 자리(33), 및 천장 및 담으로 구성되는 공중테라스(40), 발코니(41)가 구비된다. 식물재배 공간(5)은 엘리베이터와 직접 연결된다. 거주민은 엘리베이터(21)를 타고 식물재배 공간(5)으로 진입할 수도 있고, 실내 거실(27)로부터 진입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서측 가구는 4실 2거실 3화장실 2주방 1식물재배 공간으로 구성되며, 면적은 약 230평방미터이고, 식물재배 공간의 면적은 약 30평방미터이다. 동측 가구는 4실 3거실 3화장실 2주방 1식물재배 공간으로 구성되며, 면적은 약 280 평방미터이고, 식물재배 공간의 면적은 약 30평방미터이다.
도 15, 도 16, 도 17,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이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5)은 단층 비정렬 형식으로 타워형 주택에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정입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짝수층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홀수층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단층 주택형태를 두 부분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일부분은 식물재배 공간(5)으로, 일부분은 주거공간(6)으로 구성한 것이다. 주거공간(6)에 거실(27), 침실(28), 주방(29), 서재(30), 가정부실(44), 화장실(31), 공조기 자리(33), 및 발코니(41)가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5)은 울타리담(16), 상하층 구조 마루판(9), 다면 채광 유리창벽(10)으로 둘러싸여 완전 밀폐형을 형성하고, 식물재배 공간(5)의 구조 마루판(9)은 구조로부터 50cm, 60cm 또는 80cm 낮춘 침상 형식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5)은 서측(동측)에 배치되며, 주택의 홀수층(45)의 칫수는 9.5미터× 3.6미터이고, 주택의 짝수층(46)의 식물재배 공간의 치수는 6.6미터× 5.1미터로서, 홀수층과 짝수층 칫수의 변화를 통해 식물재배 공간(5)의 위치가 엇갈리는 효과를 가져와, 엇갈린 배열이 어우러져 외관상 입체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하층의 식물재배 공간의 유리지붕(47)은 천정부의 채광을 최대화할 수 있어 식물재배 공간(5)의 수광 면적이 증대된다.
상기 실시예는 3실 2거실 3화장실 1식물재배 공간으로 설치되며, 면적은 약 230 평방미터이고, 식물재배 공간의 면적은 약 30 평방미터이다.
도 19, 도 20,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이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식물재배 공간(5)은 스플릿레벨 정렬, 단상 형식으로 유닛형 주택에 설치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표준층 스플릿레벨 공간 배치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과 거실 내외 구조 관계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식물재배 공간의 구조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은 일상 거주 공간(6)과 식물재배 공간(5)으로 구성된다. 거실(27)과 주택의 기타 기능성 공간의 위치는 300mm만큼 어긋나 있으며, 주택의 기타 기능성 공간과는 스플릿레벨 중간 계단(48)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의 전원식 주택의 일상 주거공간(6)은 기능을 고르게 갖추어, 거실(27), 침실(28), 주방(29), 서재(30), 화장실(31), 공조기 자리(33), 베이창(32)을 포함한다. 식물재배 공간(5)은 채광이 충분한 남측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과는 높이가 일치하면서 위치가 대칭이며, 상하 주거 가구의 식물재배 공간(5)의 위치는 질서 있게 통일된 스플릿레벨 정렬 모드를 형성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1계단 2가구로 설계된 것이다. 식물재배 공간(5)은 엘리베이터(21)와 직접 연결되어, 전실(23)의 식물재배 공간 진입문(25)을 통해 직접 진입할 수도 있고, 실내 거실(27)과 식물재배 공간의 연결문(34)을 통해 진입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식물재배 공간(5)은 구조 바닥판(9)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50cm, 60cm 또는 80cm 높이로 배토한 단상(壇上) 형식이다. 식물재배 공간(5)은 구조층(36), 구성층(37), 재배층(38)으로 건조되며, 구조 마루판(9), 벽체의 다면 채광 유리창벽(10) 등 내하중 방호 구조로 둘러싸 완전밀폐형을 구성하여, 1년 사계절 매일 24시간 내내 끊임없이 재배가 가능하다.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결코 본 발명에 대하여 어떤 형식적인 제약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실질에 따라 이상의 실시예에 대하여 실시되는 임의의 간단한 수정,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건축체 2: 유닛
3: 동서 2 가구 4: 가구분리벽
5: 식물재배 공간 6: 일상 주거공간
7: 엘리베이터 전실벽 8: 주택 창문벽
9: 구조 마루판 10: 호형 유리창벽
11: 1층 12: 내부 정원
13: 최상층 14: 유리천정
15:1층 식물재배 공간 유리커튼월 16: 내하중벽
17: 울타리담 18: 1층 메인 입구
19: 공용통로 20: 입주 가구 홀
21: 상하 계단 22: 엘리베이터
23: 전실 24: 현관문
25: 식물재배 공간 진입문 26: 비상대피문
27: 거실 28: 침실
29: 주방 30: 서재
31: 화장실 32: 베이창
33: 공조기 자리 34: 거실과 식물재배 공간의 연결문
35: 식물재배 공간의 전간소도 36: 식물재배 공간 구조층
37: 식물재배 공간 구성층 38: 식물재배 공간 재배층
39: 안전 가드 40: 테라스
41: 발코니 42: 복층
43: 실내 계단 44: 가정부실
45: 주택의 홀수층 46: 주택의 짝수층
47: 하층 식물재배 공간의 유리천정 48: 스플릿레벨 중간계단

Claims (17)

  1. 벽, 마루판, 엘리베이터, 문, 창문을 포함하는 저층, 다층, 중고층 또는 고층 건축체로서, 상기 건축체는 유닛형 주택, 타워형 주택, 듀플렉스 주택, 복도식 주택을 포함하며, 주택마다 거실, 침실, 주방, 화장실이 구비되는 전원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은 거주 기능이 완전하고 합리적이라는 전제 하에, 단층, 복층 또는 스플릿레벨 하우스 형태를 두 부분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일부분은 표준 주택 기능 구조를 채택하고, 일부분은 채소, 화훼 및 약재를 심을 수 있는 식물 재배 공간 구조를 채택하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건축물 내하중 부재와 방호부재로 둘러싸 완전 밀폐, 반 밀폐 또는 개방형식을 형성하여 온실과 유사하면서 더 우수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 구조는 구조로부터 0-1.5m 바닥을 낮춘 침상이거나 또는 구조의 바닥판으로부터 0-1.5m 높이로 배토한 단상(壇上) 형식이며;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정렬되거나 어긋나는 공간 조합 형식으로 건축체의 양측 또는 남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전체 가구에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 가구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 구조는 구조로부터 바닥을 0.3-1.5m 낮춘 침상, 또는 구조의 바닥판으로부터 0.3-1.5m 높인 단상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은 전원식 아파트, 전원식 오피스 빌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의 메인 프레임은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및 목조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의 식물 재배 공간은 관상용 조류와 어류를 가정에서 기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의 식물 재배 공간은 벽, 주택 창문벽 및 상하층의 구조 마루판, 다면 채광 유리창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단층 주거형에 설치되되, 상하 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위치가 대칭으로 통일될 수 있으며,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단층 정렬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단층 주거형에 설치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재배 공간 치수가 불일치하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는 엇갈린 배열의 단층 비정렬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복층 주거형에 설치 가능하되, 상하 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소재 위치가 대칭으로 일치하고,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질서 있게 통일된 복층 정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복층 주거형에 설치 가능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 재배 공간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아 입체감이 풍부한 복층 비정렬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스플릿레벨 주거형에 설치 가능하되, 상하주거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의 소재 위치가 대칭으로 일치하고, 이웃 가구의 식물 재배 공간과 높이가 일치하여 질서 있게 통일된 스플릿레벨 정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은 스플릿레벨 주거형에 설치 가능하되, 홀수층과 짝수층의 식물 재배 공간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대응되지 않아 입체감이 풍부한 스플릿레벨 비정렬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은 본체 건축물의 최상단 주거 가구에 위치하는 식물 재배 공간의 천정을 유리 지붕으로 채택하여 채광의 최대화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은 식물 재배 공간의 채광면에 다면 채광식 여닫이, 아치형 창 또는 장방형 창을 설치하여, 채광과 통풍을 최대한으로 실현하고, 식물 재배 공간은 스크린창 및 차광커튼을 통해 방충 및 일광을 차단하며, 사방에 안전 가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5. 제 1항에 있어서,
    주거형에 따라, 식물재배 면적은 5-100m2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식 주택의 식물 재배 공간은 엘리베이터와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과 거실 사이를 유리문 또는 기타 파티션으로 연결하여 관리할 도우미의 고용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생활 보호 및 관상 효과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식 주택.
KR1020147007866A 2011-09-30 2012-04-25 전원식 주택 KR20140052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96729.4A CN103031962B (zh) 2011-09-30 2011-09-30 一种田园式住宅
CN201110296729.4 2011-09-30
PCT/CN2012/074656 WO2013044629A1 (zh) 2011-09-30 2012-04-25 一种田园式住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067A true KR20140052067A (ko) 2014-05-02

Family

ID=4799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866A KR20140052067A (ko) 2011-09-30 2012-04-25 전원식 주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40052067A (ko)
CN (1) CN103031962B (ko)
LU (1) LU92194B1 (ko)
WO (1) WO20130446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1A (ko) * 2018-07-20 2020-01-30 최정심 수직형 농장 건물
WO2020149671A1 (ko) * 2019-01-16 2020-07-23 강승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051B1 (ko) * 2014-05-02 2015-09-09 김종성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KR101625796B1 (ko) * 2015-04-20 2016-05-30 김종성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CN107269106B (zh) * 2016-04-09 2024-03-29 武汉锦虹世纪科技有限公司 不打地井有自然空调二层楼车库无噪音能封闭防火的高楼
US9970208B2 (en) * 2016-07-15 2018-05-15 Morgan Arena Irons Ecological system model for a self-sustaining and resilient human habitation on the Moon and Mars and for food security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anywhere on Earth
CN115075618B (zh) * 2022-06-27 2023-04-21 甘肃中凯建筑规划设计有限责任公司 一梯两户高层住宅的交通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347A (ja) * 2000-02-04 2000-07-18 Katsumi Sato 集合住宅の全ての住戸に奥行きの広い庭を提供する構造
CN1291123C (zh) * 2005-06-10 2006-12-20 王治国 台挑交错结构花园洋房
CN1844611A (zh) * 2006-05-12 2006-10-11 胡德明 盆式生态庭院及其建造方法
CN201090035Y (zh) * 2007-10-10 2008-07-23 重庆龙湖地产发展有限公司 一种竖向错叠式花园洋房住宅
KR20090127724A (ko) * 2008-06-09 2009-12-14 김종성 가상 베이 평면 개념에 의한 복층형 마당을 구비한공동주택형 건물구조
JP2010101156A (ja) * 2009-07-21 2010-05-06 Ogasawara Sekkei:Kk 複層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CN201521116U (zh) * 2009-08-27 2010-07-07 罗雪睿 生态式楼房
CN202299487U (zh) * 2011-09-30 2012-07-04 包立军 田园式住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1A (ko) * 2018-07-20 2020-01-30 최정심 수직형 농장 건물
WO2020149671A1 (ko) * 2019-01-16 2020-07-23 강승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KR20200089156A (ko) * 2019-01-16 2020-07-24 강승호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31962A (zh) 2013-04-10
LU92194B1 (en) 2013-09-13
WO2013044629A1 (zh) 2013-04-04
CN103031962B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2067A (ko) 전원식 주택
JP2019511658A (ja) 都市森林高層別荘
CN113445785A (zh) 一种城市森林花园式住宅建筑
CN202299487U (zh) 田园式住宅
CN201125543Y (zh) 一种奇偶层交错组合的多、高层住宅
CN202596195U (zh) 园田住宅
CN201056864Y (zh) 新农村功能家园
CN101144326A (zh) 一种奇偶层非对称式矩阵的多、高层住宅
CN2913519Y (zh) 院墅住宅
CN201933801U (zh) 一种院落式别墅
CN201125541Y (zh) 一种带多个花园的多/高层洋房的户型结构
CN2883565Y (zh) 院墅住宅
CN2883563Y (zh) 院墅住宅
CN201092743Y (zh) 院邸住宅
CN2883564Y (zh) 院墅住宅
CN115030563B (zh) 一种城市森林花园住宅
CN2883561Y (zh) 院墅住宅
CN2858863Y (zh) 复式单元住宅房型
CN2880980Y (zh) 院墅住宅
CN201962966U (zh) 一种多功能居室空间的三层联体别墅
CN203654800U (zh) 带有花园阳台的楼房
CN201095876Y (zh) 院邸住宅
KR200405573Y1 (ko) 정원을 구비한 다층형 공동주택
CN2883566Y (zh) 院墅住宅
CN2883567Y (zh) 院墅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