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796B1 -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796B1
KR101625796B1 KR1020150055086A KR20150055086A KR101625796B1 KR 101625796 B1 KR101625796 B1 KR 101625796B1 KR 1020150055086 A KR1020150055086 A KR 1020150055086A KR 20150055086 A KR20150055086 A KR 20150055086A KR 101625796 B1 KR101625796 B1 KR 10162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
main
entrance
spa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278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15005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7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 및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더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는 각 층에 수평 병렬과 수직 적층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인공광과 자연광 병용으로 농작물의 대량 자연재배가 가능하며 농작물 품질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전기소모를 줄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도시농장형 공동주택{City-farm typ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경량철골조 공장조립 모듈화된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공동주택에서 주거와 동시에 농작물 재배가 밀폐된 인접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주거에 있는 냉난방기,컴퓨터,조명기구등을 재배수단으로 공유가 가능함은 물론, 공동주택을 이루는 모듈의 구성방법을 태양광을 충분히 공급하게 하는 방식으로 하여 인공광과 병용하고 무농약으로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게 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지며, 각 층간의 지지력을 유지시킬 수 있어 건물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함께 입주하여 생활하는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의 경우, 입주자들에 대해 일정크기의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서의 텃밭이 확보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동주택 관리 주체에서 지정한 지상이나 옥상의 일정공간을 식생 재배를 위한 공동 텃밭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전체 입주자들에게 공평하고, 충분한 재배공간을 배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교의 주말농장 등을 이용하고 있지만, 주말농장까지 이동에 대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며, 교통체증 등에 따른 스트레스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주거지에서 농작물을 재배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종래 공개특허 제10-2010-012736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각 세대의 발코니 외측으로 슬라브층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식생 재배 및 쉼 공간으로 활용되는 텃밭이 형성된다.
이 슬라브 층 상면에는 안전난간을 고정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도심에서도 식물을 재배하고 쉼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텃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은 량이 적어 사업화할 수 없으며, 재배량을 늘리기 위해 슬라브층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하층에 설치된 텃밭을 가려 태양광의 공급을 차단시킴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심에서도 농작물을 재배함은 물론, 재배량을 증가시켜 사업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 및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킴은 물론, 각 층을 지지하기 위한 더미부로 구성되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공장조립모듈화된 주거부, 식생공간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이산화 탄소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온습도 조절이 용이한 내부를 지니는 공장조립모듈화된 농장부, 및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주거부와 농장부의 기본 철골골격을 동일하게 공장조립모듈화한 더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는 각 층에 수평 병렬과 수직 적층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거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의 넓이가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1주거부,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2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제1주거부의 후면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다른 측면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과 연결되는 전단부가 상기 후면과 연결되는 후단부보다 다른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주거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는 상기 제2주거부의 전면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3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주거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주거부, 및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4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4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제3주거부의 후면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넓이는 후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른 측면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과 연결되는 전단부가 상기 후면과 연결되는 후단부보다 다른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주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농장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주거부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농장부, 상기 제1주거부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농장부, 및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면의 넓이가 상기 제1주거부의 전면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농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주거부와 제1농장부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되는 제1세트, 상기 제1주거부와 제2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2세트, 상기 제2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제3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는 제2주거부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는 제3세트, 상기 제2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더미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4세트, 상기 제3주거부와 제1농장부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되는 제5세트, 상기 제3주거부와 제2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6세트, 상기 제4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제3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는 제4주거부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는 제7세트, 및 상기 제4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더미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8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농장부와 제2농장부는, 각 농장공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층 형성되어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평형식생판, 상기 각 수평형식생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부, 및 상기 각 농장공간부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에 구비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 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한 후면투명창, 각 상면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한 상면투명창, 및 각 후면에 구비된 후면투명창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반사시켜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수평형식생판은, 하면에 보조반사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에 의해 하측에서 조사된 태양광을 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후면투명창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하단투명부, 및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는 상단굴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면투명창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후단투명부, 및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는 전단굴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면투명창의 상측에 상기 더미부가 위치되도록 제4세트 또는 제8세트가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제3농장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내부로 조사된 태양광을 외주방향으로 굴절시켜 조사시키는 수직형광파이프, 상기 수직형광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파이프, 상기 관수파이프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물과 태양광을 공급받아 식물 재배가 되되, 관수파이프를 따라 다수 개 배열되는 수직형식생판, 및 상기 제3농장공간부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에 구비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 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부, 및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평부의 우측단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어느 한 층의 수평부의 좌측단부에 제3세트가 조립되며, 상기 제3세트의 우측으로 제2세트가 두 개 조립되고, 상기 제2세트의 우측으로 제1세트가 조립되며, 상기 제1세트의 우측으로 제3세트가 조립되어 상기 수평부의 우측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에 조립된 각 세트의 상측으로 수평복도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제3세트 상측으로 위치된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 제3세트 두 개가 조립되고, 상기 제3세트의 상측으로 제1세트가 조립되어 상기 수직부의 상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 조립된 각 세트의 좌측으로 수직복도가 형성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어느 한 층(하층)의 상측으로 다른 한 층(상층)이 형성되되, 상기 다른한 층(상층)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층 수평부의 좌측단부는 제3세트가 조립되고, 상기 제3세트의 우측으로 제4세트가 두 개 조립되며, 상기 제4세트의 우측으로 제3세트가 조립되어 상기 상층 수평부의 우측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 수평부에 조립된 각 세트의 상측으로 상층 수평복도가 형성되며, 상기 상층 수평부의 상측으로 위치된 상층 수직부의 하단부에 제3세트가 두 개 조립되고, 상기 제3세트의 상측으로 제4세트가 조립되어 상측 수직부의 상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직부에 조립된 각 세트의 좌측으로 상층 수직복도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복도(상측 수평복도)와 수직복도(상층 수직복도)가 접하는 부분에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형성되며, 상기 하층 제3세트의 제3농장부와 상층 제3세트의 제3농장부는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상측 제4세트의 더미부는 하층 제1세트의 제1농장부와 제2세트의 제2농장부의 각 후단부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에 의하면, 주거부와 농장부가 결합된 형태로 공동주택을 건설할 수 있어 도시에서도 농업활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미부에 의해 농장부로 태양광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어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여 이익 창출에 따른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의 제1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8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층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측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농장형 공동주택의 제1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주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농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세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8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층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측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농장형 공동주택(10)은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으로써, 주거부(100)와 농장부(200) 및 더미부(300)로 구성된다.
주거부(100)는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농장부(200)는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더미부(300)는 농장부(200)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주거부(100)와 농장부(200)는 각 층에 병렬로 배열된다.
이를 위한, 주거부(100)를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거부(110)와 제2주거부(120), 제3주거부(130) 및 제4주거부(140)로 구성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주거부(1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복도와 연결된 전면(112)에 제1주거용출입부(113)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주거공간부(111)가 형성된다.
이 전면(112)의 넓이가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116, 118)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면(114)의 넓이는 전면(112)의 넓이와 동일하고, 측면(116, 118)의 넓이는 전면(112)의 넓이보다 2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주거부(1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도와 연결된 전면(122)에 제2주거용출입부(123)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주거공간부(121)가 형성된다.
이 제2주거부(120)의 후면(124)은 제1주거부(110)의 후면(114)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122)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124)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양 측면(126, 128) 중 어느 한 측면(126)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주거부(120)의 다른 측면(128)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면(122)과 연결되는 전단부(128a)가 후면(124)과 연결되는 후단부(128b)보다 다른 측면(128)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3주거부(1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132)의 넓이는 제2주거부(120)의 전면(122)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132)에 제3주거용출입부(133)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주거공간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4주거부(14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도와 연결된 전면(142)에 제4주거용출입부(143)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4주거공간부(141)가 형성된다.
제4주거부(140)의 후면(144)은 제3주거부(130)의 후면(134)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142)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134)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4주거부(140)의 양 측면(146, 148) 중 어느 한 측면(146)의 넓이는 후면(144)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른 측면(148)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면(142)과 연결되는 전단부(148a)가 후면(144)과 연결되는 후단부(148b)보다 다른 측면(148)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농장부(20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 및 제3농장부(230)로 구성된다.
먼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농장부(2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거부(110)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212)에 제1농장용출입부(212a)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농장부(22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거부(110)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222a)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221)가 형성된다.
제3농장부(23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면(232, 233, 234, 235)의 넓이가 제1주거부(110)의 전면(112)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농장용출입부(232a)가 해당 주거부에서 드나들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2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수평형 식생구조이고, 제3농장부(230)는 수직형 식생구조이다.
먼저, 수평형 식생구조인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수평형식생판(213, 223)과 수평이동부(214, 224), 에어포켓(219, 229)로 구성된다.
수평형식생판(213, 223)은 각 농장공간부(211, 221)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층 형성되어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부(214, 224)는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롤러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수평이동부(214, 224)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되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회전력전달부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한 쌍의 기어와 벨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에어포켓(219, 229)은 각 농장공간부(211, 221)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212a, 222a)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태양광이 아닌 인공광을 조사하면 농작물을 식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후면투명창(215, 225), 상면투명창(216, 226) 및 반사판(217, 227)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후면투명창(215, 225)은 각 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되고, 상면투명창(216, 226)은 각 상면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태양광이 투과됨에 따라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반사판(217, 227)은 각 후면에 구비된 후면투명창(215, 225)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반사시켜 해당 농장공간부로 태양광을 조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각 수평형식생판(213, 223)은 하면에 보조반사판(218, 228)이 더 구비되어 반사판(217, 227)에 의해 하측에서 조사된 태양광을 반사시킨다.
이에, 하측에 위치된 수평형식생판(213, 223)으로 태양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면투명창(215, 225)은 하단투명부(215a, 225a)와 상단굴절부(215b, 225b)로 구성된다.
하단투명부(215a, 225a)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게 되고, 상단굴절부(215b, 225b)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게 된다.
또한 상면투명창(216, 226)은 후단투명부(216a, 226a)과 전단굴절부(216b, 226b)로 구성된다.
후단투명부(216a, 226a)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조사된 방향으로 투과시키며, 전단굴절부(216b, 226b)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단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단굴절부(215b, 225b)와 전단굴절부(216b, 226b)는 태양광을 굴절시켜 해당 농장공간부 전체로 태양광을 조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농장부(210)와 제2농장부(220)는 경우에 따라, 태양광과 인공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수직형 식생구조인 제3농장부(230)는 수직형광파이프(236)와 관수파이프(237), 수직형식생판(238) 및 에어포켓(239)으로 구성된다.
수직형광파이프(236)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내부로 조사된 태양광을 외주방향으로 굴절시켜 조사시키게 된다.
또한 관수파이프(237)는 수직형광파이프(236)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측으로 흘려 수직형식생판(248)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직형식생판(238)은 관수파이프(237)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물과 태양광을 공급받아 식물 재배가 되되, 관수파이프(237)를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그리고 에어포켓(239)은 제3농장공간부(231)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232a)에 구비된다.
이에, 다수의 수직형식생판(238)에 각각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3농장부(230)는 단층높이 또는 2층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주거부와 각 농장부는 각 세트로 설정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각 세트는 도 9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세트(400)와 제2세트(500), 제3세트(600), 제4세트(700), 제5세트(800), 제6세트(900), 제7세트(1000) 및 제8세트(1100)로 구성된다.
먼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세트(400)는 제1주거부(110)와 제1농장부(210)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제1주거부(110)에 거주하는 사람이 제1농장용출입부(213)을 통해 제1농장부(210)를 드나들어 식물을 재배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세트(500)는 제1주거부(110)와 제2농장부(220)가 일체로 제작되어 조립된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세트(600)는 제2주거부(120)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제3농장부(230)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230)는 제2주거부(120)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233)가 형성된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세트(700)는 제2주거부(120)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더미부(300)가 일체로 제작된다.
제5세트(800)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주거부(130)와 제1농장부(210)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6세트(900)는 제3주거부(130)와 제2농장부(220)가 일체로 제작된다.
제7세트(1000)는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주거부(140)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제3농장부(230)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230)는 제4주거부(140)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233)가 형성된다.
또한 제8세트(1100)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주거부(140)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더미부(300)가 일체로 제작된다.
여기서, 각 세트는 각 층에 선택적으로 배열되어 조립되되, 상면투명창(216, 226)의 상측에 더미부(300)가 위치되도록 제4세트(700) 또는 제8세트(1100)가 적층된다.
이와 같은, 도시농장형 공동주택(10)의 일 실시 예로, 도 17 내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부(20)와 수직부(30)로 구성된다.
수평부(20)는 주거부(100)와 농장부(200)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고, 수직부(30)는 주거부(100)와 농장부(200)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수평부(20)의 우측단부 상측으로 형성된다.
먼저, 어느 한 층을 살펴보면,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20)의 좌측단부에 제3세트(600)가 조립되며, 제3세트(600)의 우측으로 제2세트(500)가 두 개 조립된다.
그리고 제2세트(500)의 우측으로 제1세트(400)가 조립되며, 제1세트(400)의 우측으로 제3세트(600)가 조립되어 수평부(20)의 우측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부(20)에 조립된 각 세트의 상측으로 수평복도(22)가 형성된다.
또한 수평부(20)의 제3세트(600) 상측으로 위치된 수직부(30)의 하단부에 제3세트(600) 두 개가 조립되고, 제3세트(600)의 상측으로 제1세트(400)가 조립되어 수직부(30)의 상단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부(30)에 조립된 각 세트의 좌측으로 수직복도(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조립된 어느 한 층(하층)은 상측으로 다른 한 층(상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른 한 층(상층)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층 수평부(20')의 좌측단부는 제3세트(600)가 조립되고, 제3세트(600)의 우측으로 제4세트(700)가 두 개 조립된다.
그리고 제4세트(700)의 우측으로 제3세트(600)가 조립되어 상층 수평부(20')의 우측단부가 형성된다.
이 상층 수평부(20')에 조립된 각 세트의 상측으로 상층 수평복도(22')가 형성된다.
또한 상층 수평부(20')의 상측으로 위치된 상층 수직부(30')의 하단부에 제3세트(600)가 두 개 조립되고, 제3세트(600)의 상측으로 제4세트(700)가 조립되어 상측 수직부(30')의 상단부가 형성된다.
이 상층 수직부(30')에 조립된 각 세트의 좌측으로 상층 수직복도(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복도(상측 수평복도)와 수직복도(상층 수직복도)가 접하는 부분에 계단(40)과 엘리베이터(50)가 형성되어 층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층 제3세트(600)의 제3농장부(230)와 상층 제3세트(600)의 제3농장부(230)는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상측 제4세트(700)의 더미부(300)는 하층 제1세트(400)의 제1농장부(210)와 제2세트(500)의 제2농장부(220)의 각 후단부 상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더미부(300)는 해당 농장부로 태양광을 조사함은 물론, 각 층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각 주거부(100)와 농장부(200)는 경우에 따라, 냉방 및 난방시설이 구비되며, 특히 주거부(100)의 경우, 온돌방식의 난방시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미부(300)와 각 세트(400 ~ 1100)는 각각 제작되어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10 : 공동주택 20, 20' : 수평부
30, 30' : 수직부 100 : 주거부
110 : 제1주거부 120 : 제2주거부
130 : 제3주거부 140 : 제4주거부
200 : 농장부 210 : 제1농장부
220 : 제2농장부 230 : 제3농장부
300 : 더미부 400 : 제1세트
500 : 제2세트 600 : 제3세트
700 : 제4세트 800 : 제5세트
900 : 제6세트 1000 : 제7세트
1100 : 제8세트

Claims (5)

  1. 각 층에 공용 복도를 갖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갖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주거부;
    식생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농장부; 및
    상기 농장부로 태양광이 조사되도록 투과시키는 더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부와 농장부는 각 층에 병렬로 배열되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복수의 층이 형성되고,
    상기 농장부는,
    수평형 식생구조로,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농장부;
    수평형 식생구조로,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2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2농장부; 및
    수직형 식생구조로, 해당 층과 이 해당 층의 상층 또는 하층까지 형성되며, 인접한 하나의 주거부와 연결된 측면에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농장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농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3농장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내부로 조사된 태양광을 외주방향으로 굴절시켜 조사시키는 수직형광파이프;
    상기 수직형광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파이프;
    상기 관수파이프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물과 태양광을 공급받아 식물 재배가 되되, 관수파이프를 따라 다수 개 배열되는 수직형식생판; 및
    상기 제3농장공간부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에 구비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부는,
    해당 농장부의 상층에 형성되어 해당 농장부로 태양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해당 더미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다른 주거부나 농장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1주거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의 넓이가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1주거부;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2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제1주거부의 후면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다른 측면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과 연결되는 전단부가 상기 후면과 연결되는 후단부보다 상기 다른 측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주거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는 상기 제2주거부의 전면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3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3주거공간부가 형성되는 제3주거부; 및
    복도와 연결된 전면에 제4주거용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4주거공간부가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제3주거부의 후면과 동일한 넓이로 형성되되, 전면의 넓이가 베란다와 연결된 후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의 넓이는 후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른 측면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면과 연결되는 전단부가 상기 후면과 연결되는 후단부보다 상기 다른 측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주거부;를 포함하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거부와 제1농장부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되는 제1세트;
    상기 제1주거부와 제2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2세트;
    상기 제2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제3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는 제2주거부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는 제3세트;
    상기 제2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더미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4세트;
    상기 제3주거부와 제1농장부가 각각 제작되어 상호 대응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배열되는 제5세트;
    상기 제3주거부와 제2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6세트;
    상기 제4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제3농장부가 일체로 제작되되, 제3농장부는 제4주거부와 드나들기 위한 제3농장용출입부가 형성되는 제7세트; 및
    상기 제4주거부의 돌출되지 않은 다른 측면의 후단부에 상기 더미부가 일체로 제작되는 제8세트;를 포함하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농장부와 제2농장부는,
    각 농장공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층 형성되어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평형식생판;
    상기 각 수평형식생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부; 및
    상기 각 농장공간부를 외부와 구획하여 밀폐시키며 출입 가능하도록 각 출입부에 구비되는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KR1020150055086A 2015-04-20 2015-04-20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KR10162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86A KR101625796B1 (ko) 2015-04-20 2015-04-20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86A KR101625796B1 (ko) 2015-04-20 2015-04-20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15A Division KR101552051B1 (ko) 2014-05-02 2014-05-02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78A KR20150126278A (ko) 2015-11-11
KR101625796B1 true KR101625796B1 (ko) 2016-05-30

Family

ID=5460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86A KR101625796B1 (ko) 2015-04-20 2015-04-20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7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4629A1 (zh) * 2011-09-30 2013-04-04 Bao Lijun 一种田园式住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4629A1 (zh) * 2011-09-30 2013-04-04 Bao Lijun 一种田园式住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78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073B2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US9127468B2 (en) Building
WO2017177918A1 (zh) 城市森林高层别墅
WO2019074549A1 (en) OFF-GROUND CULTIVATION MODULE AND CONSTRUCTION SYSTEM
JP2016217123A (ja) 都市森林ガーデン建築物及び建築物群
WO2014185677A1 (ko) 다목적 온실 돔
KR101552051B1 (ko)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CN105275224A (zh) 一种山地别墅
JP4926306B1 (ja) 建築物
KR20140052067A (ko) 전원식 주택
Birkeland Resilient and sustainable buildings
KR101625796B1 (ko) 도시농장형 공동주택
RU2426302C2 (ru) Всепогодная теплица
US20230284571A1 (en) Plant support and structure system
RU2418931C2 (ru) Техногенноустойчивое биосфер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здание
WO2019167211A1 (ja) シェルタを備えた建築物
ITUB20154106A1 (it) Struttura da esterno modulare
CN205531620U (zh) 一种可居住式温室大棚
CN106013867B (zh) 一种标准化楼宇式农业设施
KR102139861B1 (ko) 수직형 도시농장시설
CN217064751U (zh) 一种温室用大跨度遮阳架
CN114961347B (zh) 一种城市森林花园住宅
KR200405573Y1 (ko) 정원을 구비한 다층형 공동주택
CN110607923B (zh) 一种具有大数据管理系统的高层别墅
Moiseev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ject for an open-air cage complex for keeping wild animals in cap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4